KR970002236Y1 -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36Y1
KR970002236Y1 KR2019930029955U KR930029955U KR970002236Y1 KR 970002236 Y1 KR970002236 Y1 KR 970002236Y1 KR 2019930029955 U KR2019930029955 U KR 2019930029955U KR 930029955 U KR930029955 U KR 930029955U KR 970002236 Y1 KR970002236 Y1 KR 970002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mcorder
stopper
c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536U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9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236Y1/ko
Publication of KR9500215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5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제1도는 종래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외관도.
제2도 (a)는 종래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조립 상태에서의 작용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가 적용된 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외관도.
제4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의 작용 설명도.
제7도는 본 고안 장치의 스프링 조립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배터리 버튼 8a : 돌기
8b : 축지부 8c : 누름돌기
9 : 스토퍼 9a : 축지부
9b : 접촉부 9c : 걸림돌기
10 : 스프링 11 : 케이스
본 고안은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 테이프가 있는 쪽의 디자인에 제한 요소인 배터리 장착 구조를 캠코더(카메라 일체형 브이씨알)의 후방부로 이동 설치하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터리 놉(1)이 카세트 테이프 커버 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배터리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가 캠코더 후방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 놉(1)이 케이스(7)의 카세트 테이프가 장착되는 측부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배터리 놉(1)의 내측에 홀더(3)가 결합되며, 케이스(7)의 내면에 형성된 회전중심보스(4)에 스토퍼(2)가 중간부의 축지부(2a)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누름 스프링(5)에의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2)는 일단부에 회전날개(2b)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걸림돌기(2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2)의 걸림돌기(2c)는 케이스(7)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누름 스프링(5)에 의해 스토퍼(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스토퍼(2)의 회전날개(2b)가 홀더(3)의 돌기(3a)와 접촉되며, 배터리 놉(1)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놉(1)을 상측으로 밀면 돌기(3a)가 회전날개(2b)를 밀게 되어 스토퍼(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2c)가 제2도 (b)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케이스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배터리를 이탈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배터리 놉(1)이 케이스(7) 측으로 설치되어 있어 카세트 테이프 커버의 디자인에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가 적용된 캠코더의 외관도를 보인 것이고, 제4도는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의 조립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제5도는 분해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8은 배터리 버튼, 9는 스토퍼, 10은 스프링, 11은 케이스를 각각 보인 것이다.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배터리 버튼(8)이 케이스(11)의 내측에 형성된 축(12)에 축지부(8b)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스토퍼(9)가 축(13)에 축지부(9a)로 결합되어 있으며, 배터리 버튼(8)과 스토퍼(9)가 스프링(10)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한 배터리 버튼(8)은 일측부에 누름돌기(8c)와 돌기(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9)는 상기 배터리 버튼(8)의 돌기(8a)가 접촉되는 접촉부(9b)가 일측부에 형성되고 걸림돌기(9c)가 타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버튼(8)의 누름돌기(8c)와 스토퍼(9)의 걸림돌기(9c)는 케이스(11)에 형성된 통공(11a),(11b)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0)은 상기 스토퍼(9)에 형성된 걸림부(9d)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케이스(1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1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4도와 같은 상태에서는 배터리 버튼(8)의 누름돌기(8c)와 스토퍼(9)의 걸림돌기(9c)가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케이스(11)에 형성된 통공(11a),(11b)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버튼(8)의 누름돌기(8c)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 버튼(8)이 축(12)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터리 버튼(8)의 돌기(8a)가 스토퍼(9)의 접촉부(9b)를 밀게 됨에 따라 스토퍼(9)가 축(1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돌기(9c)가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배터리를 이탈시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는 배터리 버튼(8)의 누름돌기(8c)와 스토퍼(9)의 걸림돌기(9c)가 모두 케이스(11)의 후방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캠코더 디자인시 디자이너가 배터리 버튼(8)에 제한을 받지 않고 케이스(11)를 디자인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좋은 디자인으로 상품의 선호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배터리 버튼(8)을 눌러 회전시킴으로써 배터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동작이 보다 원활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동하는 배터리 버튼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및 버튼부 각각의 연장부가 케이스의 후방부 동일 평면상에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케이스 내부에 축으로 축착되고, 스프링으로 외향 탄지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버튼부는 케이스 내부에 축으로 축착되고, 일측에 형성된 돌기로 상기 스토퍼와 접촉되어 외향 탄지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KR2019930029955U 1993-12-28 1993-12-28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KR970002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955U KR970002236Y1 (ko) 1993-12-28 1993-12-28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955U KR970002236Y1 (ko) 1993-12-28 1993-12-28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36U KR950021536U (ko) 1995-07-28
KR970002236Y1 true KR970002236Y1 (ko) 1997-03-20

Family

ID=1937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955U KR970002236Y1 (ko) 1993-12-28 1993-12-28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2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536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5786B2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JPS5940795Y2 (ja) 機器の携帯用のハンドル
JPH0865369A (ja) ヒンジ部材
KR970002236Y1 (ko) 캠코더의 배터리 착탈장치
JP2922828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
JP3821696B2 (ja) 多重回転式電子部品
JP2910387B2 (ja) 蓋体開閉装置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JPH07169158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蓋予備開放装置
JP4016456B2 (ja) カバー体のロック機構及び該機構を備えた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717944B2 (ja) コネクタ
JP2566719Y2 (ja) 回転式電子部品の防滴構造
JPH0115064Y2 (ko)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JPS6343541Y2 (ko)
KR850002660Y1 (ko) 휴대용 핸들
JPH11173327A (ja) 蝶 番
JP2574585Y2 (ja) レバー付き電子部品
JP2601430Y2 (ja) キャッチクリップ
JPH0746998Y2 (ja) フックボタンの軸受構造
JP2533166Y2 (ja) 回転プラグ式電源装置
KR900000253Y1 (ko) 비데오 카메라의 뷰파인더 회전장치
JP2581130Y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0130269Y1 (ko) 잠금장치가 부가된 캠코더의 모드전환 노브
JP2912243B2 (ja) 二次電池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