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95B1 -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95B1
KR970002195B1 KR1019930020490A KR930020490A KR970002195B1 KR 970002195 B1 KR970002195 B1 KR 970002195B1 KR 1019930020490 A KR1019930020490 A KR 1019930020490A KR 930020490 A KR930020490 A KR 930020490A KR 970002195 B1 KR970002195 B1 KR 970002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te
value
output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430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95B1/ko
Publication of KR95001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제1도와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2a도 및 b도는 제1도의 각 장치에 대한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저역통과필터의 저역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상기 제4도에 따른 데이타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상기 제4도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제8a도 내지 b도는 음소거 동작시 검출한 댐핑방향과 데이타 변화량에 따른 데이타 파형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10a도와 b도는 상기 제9도에 따른 출력데이타 파형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버스 11 : 음소거부
12 : 데이타선택부 21 : 데이타 레지스터팩
22, 40 : 저역통과필터 23 : 지연레지스터
24, 30 : 부호검출기 25 : 인벨로프검출기
26 : 가산기 27 : 음소거제어부
28, 32, 41 : 멀티플렉서 31 : 카운터
33, 34 : 앤드게이트
본 발명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특히 DSP(Digital Signal Process)기기에서 음소거 기능이 수행될 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축, 컴포넌트 시스템과 같은 오디오 기기는 종래에는 단순히 재생, 증폭의 기능만을 수행하였지만 최근 개발하여 시판되는 고가의 오디오 기기에는 다양한 음장(sound field)처리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음장처리기능을 수행하는 DSP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음장처리기능이 포함됨에 따라 음장변화에 기인하여 DSP 장치에서 수행되는 알고리즘이 적절히 변화되어야 하며, 이러한 알고리즘 변화기간, 즉 음소거 회로와 같은 순간적인 음장처리의 변화로 알고리즘이 변화될 때, 순간적으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오디오 기기에서는 음소거기능을 아날로그 신호처리장치에서 주로 실행하였으며, 디지탈 신호처리장치에서 음소거기능을 처리할 경우에는 음소거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탈 신호처리장치로 부터의 신호출력이 제어되도록 하여 뮤트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음소거 제어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의 일 실시예이고, 제2a도, 제2b도는 제1도의 출력파형도이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음소거 제어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처리장치(1,3)와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에 함께 인가되었을 때는 그 특성상 출력이 다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즉, 아날로그 신호처리장치(1,3)는 연속적인 신호처리장치이기 때문에 장치 내부의 구조상 음소거 제어신호가 순간적으로 인가된다 하더라도 제2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력응답이 즉시 나타나지 않으며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노이즈(이하 티크 노이즈(tick noise)라 칭함)의 제거가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반면,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는 음소거 제어신호가 인가될 때, 디지털 회로가 순간적으로 동작되어 출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즉,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데이타가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에 제2b도와 같이 불연속적인 출력응답이 즉시 발생하여, 그 결과 음소거기능을 수행하는 순간에 티크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제3도는 종래 기술의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에서의 음소거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일실시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의 내부버스(2a)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면 출력 레지스터(2b)가 이를 수신한 후 외부 인터페이스부(2c)로 이들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상기 출력 레지스터(2b)의 출력값은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 내부의 제어부(2d) 또는 외부의 장치로 부터 인가된 음소거제어신호에 의해 0 혹은 내부버스(2a)의 신호값으로 설정되어 출력되도록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신호처리장치(2)에 포함한 음소거장치는 단순히 출력신호를 0으로 하여 출력신호를 제어하므로, 음소거기능 수행시 티크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지탈 신호처리장치의 음소거회로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신호처리장치의 음소거회로를 부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음소거 신호를 처리하여 티크 노이즈를 제거하였으나, 구성이 복잡해지고 하나의 칩(One Chip)으로 디지탈 신호처리장치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아날로그 음소거장치를 부가하지 않고 디지탈 신호처리기기에서만 음소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장치에 상응하는 음소거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소거장치를 디지탈 회로로만 구성하므로써, 현재의 기술흐름에 필수적인 하나의 칩으로 상기 음소거장치를 구현한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의 특징은 음소거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에 있어서, 내부버스로 부터 전송되는 최초의 데이타값을 수신하여 음소거신호 수신시 일정 시간동안 0으로 수렴하는 데이타 수열을 발생하여 음소거를 수행하는 음소거부; 음소거 신호 수신여부에 따라 내부버스로부터 전송되는 음 데이타와 상기 음소거부에서 출력되는 수렴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로 구성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의 특징은 음소거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에 있어서, 음소거신호 수신시 전송되는 데이타의 댐핑방향과 초기데이타 변화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타 변화량에 따라 데이타 변화율을 계산하여 세팅하는 제1단계; 음소거 시작점의 초기데이타에 상기 검출된 초기 데이타 변화량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 상기 가산값에 전송되는 데이타의 연속적인 데이타 변화량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계산된 값이 기 설정된 일정크기의 한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강제로 출력데이타값을 0으로 만드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방법에 대하여 각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저역통과필터의 저역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버스(1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가장 최근의 데이타 값을 수신하여 음소거시 일정시간동안 완만하게 0으로 수렴되는 데이타 수열을 발생하는 음소거부(11)와; 음소거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버스(1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데이타를 수신하고 음소거신호 수신시에는 상기 음소거부(11)에서 출력되는 수렴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12)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음소거부(11)는 디지탈 신호처리장치의 내부버스(1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가장 최근의 데이타 값을 쉬프트(shift)시키면서 저장하는 데이타 레지지스터 팩(register pack)(21); 내부버스(10)의 데이타와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 팩(21)의 출력데이타의 저주파 성분을 검출하는 저역통과필터(22); 상기 저역통과필터(22)의 출력을 일시 지연시킨 후 전송하는 지연레지스터(23); 상기 저역통과필터(22)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댐핑(damping)방향을 검출하는 부호검출기(24); 상기 저역통과필터(22)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인벨로프 검출기(25); 음소거 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완만하게 0으로 수렴되는 데이타 수열을 출력하는 가산기(26); 상기 부호검출기(24)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댐핑방향과 상기 인벨로프 검출기(25)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가산기(26)의 누적치를 제어하는 음소거제어부(27); 상기 음소거제어부(27)의 제어에 따라 상기 내부버스(10)의 데이타와 상기 가산기(26)의 데이타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8)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내부버스(10)로 전송되어오는 데이타(X(n))를 상기 데이타 레지스터 팩(21)에서 수신하여 이를 (X(n)) 한 클럽(clock)마다 1워드(word)씩 쉬프트 시키면서 저장한다.
저역통과필터(22)는 데이타 레지스터 팩(21)에 기억된 가장 최근의 출력값으로부터 아래의 제 (1)식과 같이 저주파 성분을 계산하여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한다.
이때, 저역통과필터(21)의 주파수 차단특성은 음소거가 동작하는 순간부터 출력이 0으로 안정되기 까지의 소요시간을 결정한다.
지연레지스터(23)는 상기 저역통과필터(22)의 출력을 수신하여 다음 데이타가 입력될 때까지 일시 저장한 후 다음 데이타가 입력되면 저장된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부호검출기(24)는 상기 저역통과필터(22)로부터 현재 전송되어온 데이타 (y(n))를 수신하고 상기 지연레지스터(23)로부터 현재 전송되어온 데이타(y(n))의 바로전 데이타(y(n-1))를 수신한 후 두 데이타(y(n), y(n-1))의 사인 비트(sign bi-t)로 부터 음소거시의 데이타의 댐핑(damping)방향(S)을 검출한다.
또한 상기 인벨로프 검출기(25)도 상기 저역통과필터(22)에서 출력되어 현재 전송되는 데이타(y(n))와 상기 지연레지스터(23)에서 출력한 바로전 데이타(y(n-1))를 수신하여 두 데이타 값(y(n), y(n-1))의 차, 즉 초기 댐핑비△y(y(n)-y(n-1))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부호검출기(24)와 인벨로프 검출기(25)에 의한 댐핑방향(S)과 댐핑비의 차(△y)의 검출은 음소거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 동작하도록 하여 음소거 기능 동작순간에 발생하는 시간지연을 방지한다.
상기 음소거제어부(27)는 음소거시 상기 부호검출기(24)의 출력으로부터 댐핑방향(S)을 결정하고, 상기 인벨로프검출기(25)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y(n))와 바로전 데이타(y(n-1))의 차(△y=y(n)-y(n-1)), 즉 데이타의 초기변화량(V1)을 검출하여 초기 데이타 변화량(V1)에 데이타 변화율(△V)을 누적시키면서 상기 가산기(26)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상기 제4도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타 출력도이다.
먼저, 데이타는 일정시간(ti) 간격으로 불연속적으로 전송되어오는데 데이타 값은 피크(peak)에 접근할수록 변화량(V)이 작아지고 0에 가까울수록 변화량(V)이 커진다.
즉,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시점(ti)에 음소거신호가 인가되면 음소거시험 이후에 완만한 곡선을 이루다가 0으로 수렴되는 데이타를 발생하기 위해서 음소거시점의 데이타값(y(n))에 데이타 변화량(V)을 일정시간 간격(ti)으로 누적시키는 것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y(n)-y(n-1)=V1, y(n+1)-y(n)=V2, y(n+2)- y(n+1)=V3y(n+3)-y(n+2)=V4이고, 따라서, y(n)=y(n-1)+V1, y(n+1)=y(n)+V2, y(n+2)=y(n+1)+V3, y(n+3)=y(n+2)+V4…이 된다.
또한 △V=V(n)-V(n-1) 이므로, V2=V1+△V, V3=V2+△V, V4=V3+△V, …이고, y(n)=y(n-1)+V1, y(n+1)=y(n)+V1+△V, y(n+2)=y(n+1)+V1+2△V, y(n+3)=y(n+2)+V1+3△V…가 성립된다.
따라서, 음소거 동작이 시작되어 댐핑방향(S)에 따라 △V를 일정 상수 -K 또는 K로 정하여 데이타가 연속적인 변화량(V1, V2=V1+△V, V3=V1+2△V, V4=V1+3△V…)을 상기 가산기(26)에 전송하면, 가산기(26)는 음소거 시작점에서는 상기 내부버스(10)의 데이타 값에 상기 음소거제어부(27)에서 출력한 초기데이타 변화량(V1)을 가산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가산기(26) 자신의 출력값(y(n), y(n+1), y(n+2), …)에 상기 음소거제어부(27)의 출력값(V2, V3, V4…)을 가산하여 출력함으로써 가산기(26)의 출력이 0으로 수렴되도록 한다.
또한 가산기(26)의 출력이 0에 가까워지면 상기 데이타의 변화량(V)이 매우 커지게 되어 상기 가산기(26)의 출력이 0을 넘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산기(26)의 출력이 일정 한계치(yth)내에 포함되면 상기 음소거제어부(27)에서 데이타의 변화량(V)대신에 상기 가산기(26)에서 출력한 데이타값의 반전(-) 데이타값을 상기 가산기(26)에 인가하여 가산기(26)의 출력이 0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일정 한계치(yth)는 충분히 작게 설정하여 티크노이즈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감소시키므로서, 가산기(26)의 출력이 순간적으로 0이 되어 티크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멀티플렉서(28)는 상기 음소거제어부(27)의 제어에 따라 음소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상기 내부버스(10)의 데이타를 수신하고, 음소거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상기 가산기(26)의 출력데이타를 수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7도는 상기 제4도의 구성에 따른 음소거 제어방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고, 제8도 (a) 내지 (b)는 음소거 동작시 검출한 댐핑방향과 데이타 변화량에 따른 데이타 파형도이다.
우선, 음소거신호가 인가되면(100), 상기 인벨로프 검출기(25)로 부터 음소거신호 인가 시점에 전송되어온 데이타(y(n))와 바로전 데이타(y(n-1))의 차(△y)를 검출하여 이를 초기데이타 변화량(V1)으로 세트한다(101).
그리고, 상기 부호검출기(24)로 부터 댐핑방향(S)을 검색한 후 (102) 댐핑방향(S)에 따라 데이타 변화율(△V)을 결정한다.
데이타의 댐핑방향(S)이 제8도 (a)와 (b)와 같이 양(S=0)이면 데이타의 변화율(△V)을 음의 상수시(△V=-K)로 세트하고(103), 데이타의 댐핑방향(S)이 제8도 (c)와 (d)와 같이 음(S=1)이면 데이타의 변화율(△V)을 양의 상수치(△V=K)로 세트한다(104).
이어, 상기 초기데이타(y)의 절대값을 제6도에 도시된 일정한계치(yth)와 비교하여(107) 비교결과 상기 초기데이타가 상기 일정한계치 내에 포함되면 강제적으로 0으로 데이타값을 떨어뜨려 음소거를 수행하는 것이다(108,105).
반면, 상기 초기데이타값이 상기 일정한계치 내에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검출한 초기 데이타 변화량(V1)을 상기 가산기(26)에 출력하면, 상기 가산기(26)는 상기 내부버스(1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타(y(n))에 상기 초기데이타 변화량(V1)을 가산하여 출력한다(105).
이어, 음소거제어부(27)에서는 음소거 동작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113) 음소거 동작이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가산기(26)의 출력데이타값이 0'으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하여 0으로 떨어졌을시는 음소거동작을 종료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음소거제어부(27)에서 초기 데이타 변화량(V1)을 출력한 후(105), 초기데이타 변화량(V1)에 상기 103, 104 과정에서 세트된 데이타 변화율(△V=K, 또는 -K)을 가산하여 (V2=V1+△V)(106), 상기 가산기(26)에 전송한다(105).
그리고, 상기 가산기(26)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가산기(26) 자신의 출력(y(n+1))에 상기 데이타 변화량(V2)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105, 106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인 데이타 변화량(V3, V4, V5,)을 가산기(26)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가산기(26)는 댐핑방향(S)과 데이타 변화율(△V)에 따라 0으로 수렴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의 반복적인 실행에 의해 데이타는 0으로 수렴되는데, 가산기(26)의 출력이 0에 가까워지면 변화량(V)이 매우 커, 0 지점을 넘어서는 데이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가산기(26)의 출력을 검색하여 가산기(26)의 출력이 0이 될 수 있도록 강제적으로 제어한다.
즉, 가산기(26)의 출력절대값((|y|))이 일정한계치(yth)보다 작거나 같으면(107) 상기 음소거제어부는 가산기(26)의 출력값(y)의 반전 출력값(-y)을 상기 가산기(26)에 전송하여(108) 가산기(26)의 출력이 0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변화량(V)의 절대치(|V|)가 정해진 일정 한계치(yth)의 2배보다 클 경우는 변화량이 커짐에 따라 가산기(26)의 출력이 일정 한계치(yth)내에 도달하지 않고 이를 뛰어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변화량(V)의 절대치(|V|)를 상기 일정 한계치(yth)의 2배보다 작게 형성해야 한다. 상기 변화량(V)의 절대치(|V|)가 일정한계치(yth)의 2배 보다 크고(109) 상기 106 과정에서 검출한 변화량이 (-)값이면(110) 상기 일정 한계치(yth)의 2배에 -를 곱해서 상기 가산기(26)에 출력한다(111).
그리고, 변화량이 (-1)값이면(110) 일정 한계치(yth)의 2배에 +를 곱해 상기 가산기(26)에 출력한다(112).
또한 상기한 과정을 음소거나 종료되거나(113) 상기 가산기(26) 출력이 ψ이 될때까지 실행한다(114).
[실시예 2]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이고, 제10도는 상기 제9도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타 파형도이다.
우선, 제9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음소거시 내부버스(10)이 데이타의 댐핑방향(S)을 검출하는 부호검출기(30); 음소거시 내부버스(10)의 최종 데이타를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부호검출기(30)에 검출된 댐핑방향(S)에 따라 업 카운트(up count) 또는 다운 카운트(down count)한 카운트값을 출력하는 카운터(31) ; 음소거제어신호에 따라 신호 상기 내부버스(10)의 데이타 카운터(31)의 데이타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32); 카운터(31)의 출력이 0이 되거나, 음소거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때는 상기 카운터(31)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두개의 앤드게이트(AND Gate)(33,3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음소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앤드게이트(33,34)에 의해 상기 카운터(31)가 동작되는데 이때 카운터(31)는 상기 내부버스(10)의 최종 데이타 값을 초기치로 선정하여 카운트를 한다.
또한 상기 부호검출기(30)로부터 데이타의 댐핑방향(S)을 검출하여 댐핑방향(S)이 양(S=0)이면 다은 카운트를 하고 (제10a), 음(S=1)이면 업 카운트를 하여 (제10b) 카운트값을 상기 멀티플렉서(32)는 음소거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카운터(31)의 카운트 값을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음소거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거나 상기 카운터(31)의 카운터값이 ψ이 되면 상기 앤드게이트(33)의 출력은 로우가 되고, 따라서 상기 앤드게이트(34)의 출력은 로우가 되어 상기 카운터(31)는 오프가 된다.
[실시예 3]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 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음소거제어신호에 의해 내부버스(10)의 최종 데이타를 저역통과필터(40)를 통과시켜 멀티플렉서(4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소거시 디지탈 음소거시 디지탈 장치의 출력이 급격히 변화하지 않고 천천히 변화하도록 하여 티크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아날로그 회로의 추가적인 구비가 필요치 않으며 하나의 칩(one chip)으로 음소거장치를 구현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경제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음소거 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에 있어서, 내부버스로 부터 전송되는 최초의 데이타값을 수신하여 음소거신호 수신시 일정 시간동안 0으로 수렴하는 데이타 수열을 발생하여 음소거를 수행하는 음소거부; 음소거 신호 수신여부에 따라 내부버스로부터 전송되는 음 데이타와 상기 음소거부에서 출력되는 수렴데이타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데이타 선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기기의 음소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거부는 내부버스로 부터 전송되어오는 데이타를 쉬프트 시키면서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 내부버스의 데이타와 상기 제1레지스터의 출력데이타의 저주파 성분을 검출하는 지역통과필터; 상기 지역통과필터의 출력을 일시 지연시킨 후 출력하는 제2레지스터; 상기 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댐핑방향을 검출하는 부호검출기; 상기 지역통과필터에서 출력한 데이타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인벨로프 검출기; 음소거 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0으로 수렵되는 데이타 수열을 출력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기(26)의 누적치가 0으로 수렴되도록 상기 부호검출기 및 인벨로프 검출기에서 검출된 댐핑방향 및 데이타 변화량에 따라 음소거를 제어하는 음소거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소거부는 음소거신호 수신시 내부버스의 댐핑 방향을 검출하는 부호검출기; 음소거 신호 수신시 내부버스의 최종 데이타를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부호검출기에 검출된 댐핑방향에 따라 업카운트나 다운카운트 한값을 출력하는 카운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4. 음소거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에 있어서, 음소거신호 수신시 전송되는 데이타의 댐핑방향과 초기데이타 변화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데이타 변화량에 따라 데이타 변화율을 계산하여 세팅하는 제1단계; 음소거 시작점의 초기데이타에 상기 검출된 초기 데이타 변화량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2단계; 상기 가산값에 전송되는 데이타의 연속적인 데이타 변화량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계산된 값이 기 설정된 일정크기의 한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강제로 출력데이타값을 0으로 만드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데이타값이 기 설정된 일정 크기의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타값을 다른 설정한계치와 비교하여 비교결과 상기 설정한계치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데이타를 기 설정된 일정크기의 한계치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설정한계치는 상기 기 설정된 일정 크기의 한계치보다 큰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기기의 음소거 제어방법.
KR1019930020490A 1993-10-05 1993-10-05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KR970002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90A KR970002195B1 (ko) 1993-10-05 1993-10-05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490A KR970002195B1 (ko) 1993-10-05 1993-10-05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30A KR950012430A (ko) 1995-05-16
KR970002195B1 true KR970002195B1 (ko) 1997-02-25

Family

ID=1936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490A KR970002195B1 (ko) 1993-10-05 1993-10-05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9321B2 (ja) * 1996-08-22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430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3404B1 (en) D/A conversion apparatus and D/A conversion method
KR900009193B1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
JPH07105692B2 (ja) パルス状雑音検出回路及びそれを具えるパルス状雑音抑圧回路
US6362764B1 (en)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cross-fading between new and old data
KR970002195B1 (ko) 디지탈기기의 음소거장치 및 음소거 제어방법
US5923768A (en) Digital audio processing
US8825186B2 (en) Digital audio processing
KR940013255A (ko) 수정된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법
US7366491B1 (en) Noise cancel circuit
JP2004056660A (ja) オーディオ信号雑音除去装置
US7031412B2 (en)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S63260208A (ja) デジタルagc方式
JP2953923B2 (ja) 音場制御システム
GB2310985A (en) Digital audio processing
JP2793520B2 (ja) 有音判定回路
US5513267A (en) Signal strength adapter circuit
JP3068034B2 (ja) 周波数検出装置
US20060178832A1 (en) Device for the temporal compression or expansion, associated method and sequence of samples
EP0598440B1 (en) Signal strength adapter circuit
JP3177394B2 (ja) ディジタルpll回路
JPH11330881A (ja) ダイナミックバスブースト回路
JPH06164275A (ja) 信号処理装置
JP2000022566A (ja) ノイズ低減回路
JPH09258780A (ja) デジタル音声処理方式
JPH04360424A (ja) デジタルコンプレッ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