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69B1 -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69B1
KR970002169B1 KR1019930016749A KR930016749A KR970002169B1 KR 970002169 B1 KR970002169 B1 KR 970002169B1 KR 1019930016749 A KR1019930016749 A KR 1019930016749A KR 930016749 A KR930016749 A KR 930016749A KR 970002169 B1 KR970002169 B1 KR 97000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source
lamp holder
holder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251A (ko
Inventor
존 코스마트카 월터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엠. 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아더 엠. 킹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94000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제1도는 링 고정 짐발, 광원 및 플라스틱 저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테이퍼 단부와 골진 홈을 도시하는 글래스-마카 램프 홀더의 측면도.
제3도는 외부 리드선을 위한 홈 개구 및 축 홈의 한 면에 있는 교대하는 골을 도시하는 글래스-미카램프 홀더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 리드선용 축홈, 홈 개구의 한면의 골 및 테이퍼 단부를 도시하는 글래스-미카 램프 홀더의 3차원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광원 14 : 글래스-미카 짐발 장치
18 : 외측 리드선 20 : 내측 리드
24 : 외부 리드선 26, 34 : 내부 개구
30 : 글래스-미카 램프 홀더 38 : 금속 링
42, 44 : 외측 표면 56 : 테이퍼 단부.
본 발명은 교환가능한 자동차용 헤드 램프 전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교환 가능한 전구 일부분인 램프 저부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있는 광원을 배열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장치게 제공된 교환가능한 전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설계에 있어서, 자동차 전면의 미관자 자동차의 공기 역학적인 성능을 위해 후드 선을 낮추면서 소형의 헤드 램프 팩키지에 대한 필요성이 현저해졌다. 소형 헤드 램프 팩키지는 소형이므로 섭씨 700도까지 상승하는 고온에서도 견딜수 있는 소형 광 전구를 필요로 한다. 전형적인 이중 단부형인 그러나 단일 단부형일 수 있는 이들 광 전구는 수정 물질로 제조된다. 보통 광 전구는 헤드 램프 조립체 내부에 있는 플라스틱 저부상에 고정된다. 램프가 일반 소비자에게 구입되기 위해서는 다른 유사 헤드 램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고 품질 및 가격상 이유로 교환 전구는 적은 부품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헤드 램프 조립체내의광 전구의 적절한 배열 및 안정성은 헤드 램프의 성능에 있어 중요한 요건이다. 광 전구는 플라스틱 저부에 대해 특정한 위치에 배열되어야 한다. 일단, 플라스틱 저부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배열되어 완전히 고정되면, 헤드 램프의 신뢰할 만한 성능을 위해 전구는 배열된 위치에 사용중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실제로, 램프는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를 위한 편향 시험을 규정하는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 108을 충족시켜야 한다.
편향 시험은 교환가능이 램프 고정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세로축에 대해 수직으로 전구에 4파운드(1.81kg)이 힘이 가해질 때 0.005인치(0.127cm)의 특정한 거리 이상으로 전구가 영구히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짐발 장치는 플라스틱 저부에 대해 광원을 배열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쓰이는 기계장치이다. 전구를 고정시키는 짐발은 플라스틱 저부를 가열된 전구로부터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짐발은 전구가 배열되기 시작하는 플라스틱 저부내의 실린더형 개구내에 포함한 뒤, 광전구를 배열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열 또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플라스틱 저부에 부착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69,006호는 설계된 한 형태의 짐발 장치가 비용상 합당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배열된 위치내에서 완전히 고정하고 배열하는 것을 기술하였다. 의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이 짐발 장치는 세개의 별도의 부품을 포함하여 적은 부품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을 정도로 대량 생산을 하지 못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복수 부품/공정의 사용은 필연적으로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부가적인 품질 비용을 야기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95,939호는 전구 홀더로 쓰이는 단일 단부의 수정 전구용 세라믹 부재와 세라믹 전구 홀더를 플라스틱 저부에 결합시키는 플라스틱 부재로 된 2개 부품을 포함하는 짐발 장치를 기술하였다. 플라스틱 부재는 금속링이 내부에 고정되는 홈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부재의 링 고정 단부는 플라스틱-플라스틱 용접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링의 무선 주파수(RF) 가열에 의해 실린더형 개구에 부착된다. 2개 부품 짐발 장치는 짐발 장치의 복수 부품 때문에 대량 생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비용, 품질 및 대량 생산의 용이성 측면에서, 플라스틱 저부를 세라믹 전구 홀더에 접속시키는 중간 플라스틱 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RF 에너지를 사용하여 가열되어 세라믹 부재가 플라스틱 저부에 부착되게 하는 금속링을 포함하기 위해 세라믹 홀더의 표면 상에 완만한 주변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RF 열 부착 방법이 견고한 결합을 만들기 위해 RF에너지를 인가함에 따라 세라믹 변형 또는 용융되거나 홈이 금속링의 모양이고 정확한 규격의 크기여야 한다.
그러나, 세라믹은 연화 또는 용융되지 않으므로, 세라믹과 플라스틱을 상호 고정시키는 유체는 플라스틱 저부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저부 물질이 용융되는 동안, 플라스틱 저부가 세라믹 홈내로 흘러 들어가 결합을 안정화시킨다는 보장은 없다. 만일 짐발 물질이 흐르지 않는다면, 짐발 표면의 홈이 홈내에 있는 금속링에 꽉 끼도록 빈틈없는 공차로 짐발을 제조함으로써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결합은 금속링이 연화된 플라스틱 저부의 실린더부 내로 돌출하고 플라스틱이 용융되어 금속 주위로 흐름으로 결합이 형성된다. 결합은 여전히 홈의 벽내에 있는 플라스틱 벽내로 돌출하는 링의 고정 효과로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형태의 결합은 링과 홈의 꽉 끼이는 특성에 의존한다. 홈과 링의 측면사이에 간격 즉 공차 간격으로 있으면, 짐발은 저부에 여전히 고정되어 있어도 약간만 진동할 것이다. 진동은 전구가 연방 구격의 변형 한계 밖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이들 특성 때문에, 세라믹 물질은 이러한 형태의 고정에 필요한 빈틈없는 공차로 성형될 수 없다. 링 규격 공차는 링이 홈에 꽉 끼도록 빈틈없이 제어되어야 하나 이것은 비용에 따라 선택할 문제이다. 홈의 테이퍼된 측벽은 링이 플라스틱 내로 용융되어 들어가면서 외측으로 쉽게 확장함으로 공차 간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공차 간격의 제거가 더욱 빈틈없는 신뢰할만한 결합을 제공함은 분명하다. 추가적으로, 비용과 품질면에서도 빈틈없는 링 규격 공차를 유지할 필요없이 위와 같은 빈틈 없는 더욱 신뢰할만한 결합을 얻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해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고, 고품질 부품을 제조하는데 빈틈없는 공차로 제조될 수 있고, 합당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링 규격 공차가 견고한 짐발 장치/플라스틱 결합을 얻는데 중요하지 않은 저부 광 전구를 단단히 지지하는 향상된 신뢰성을 갖는 탁월한 짐발 장치/플라스틱 저부 결합을 갖는 일체로 된 짐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저부에 램프 홀더로 쓰이는 실린더형 글래스-미카 부재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여 고온의 광원과 플라스틱 저부 사이에 차단 물질은 물론 광원용의 강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차에 응용되는 교환가능한 전구에 있어서, 고온에서 동작하는 광원은 플라스틱 저부에 대해 정해진 촛점 위치에 배열되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일체로 된 글래스-미카 짐발이 광 전구의홀더로 쓰이기 위해 광원을 집속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짐발 플라스틱 저부에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필연적으로, 짐발 장치는 광원이 플라스틱 저부에 대해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배열되고 고정되는 것을 허용하는 일체로 된 구조물이다.
본 발명에 의해 광원을 배열하고 정확히 고정하는 고안된 수단은 광 전구용 홀더인 실린더형의 내열성인 글래스-미카 짐발 부재와 짐발 부재의 한 단부상의 골진 홈내에 고정되는 금속 링 및 링 고정 짐발 장치가 접속, 배열되어 열 수단에 의해 플라스틱 저부에 강하게 부착되는 내부 개구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저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교환가능한 전구를 구성하였다. 램프 홀더는 주입 성형에 의해 골진 홈을 포함하도록 정밀하게 제조되어 합당한 비용으로 정밀 부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미카가 채워진 글래스 물질이다. 가열함에 따라, 금속 링은 연화된 플라스틱내로 돌출하고 따라서 금속링이 플라스틱 저부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자유 공간 즉 공차 간격이 홈의 측면과 금속링 사이에 생기게 된다. 금속링이 가열되었을 때 미카 입자가 확장되거나, 부풀어 올라 금속링 주위에서 홈의 측면과 금속링 사이의 공차 간격을 채워 짐발 부재가 금속링에 고정되도록 하므로 미카가 채워진 글래스 물질이 선호된다. 글래스-미카 홀더 링을 포함하는 홈내에 있는 교대하는 골은 홈내에서 크기가 커진 링을 수용하는데 쓰인다. 크기가 커진 링이 홈내에 고정되고, 가열시 공차 간격의 외부로의 직경의 확장은 그리 크지 않으므로 결합의 신뢰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홈의 측면과 금속링 사이의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해 공차 간격을 제거하면서 링 규격 공차는 완화될 수 있다. 본 응용에서, 부푸는 특성과, 내열성, 낮은 열 전도 및 빈틈없는 공차로 골진 램프 홀더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카가 채워진 글래스 물질이 선호된다.
글래스-미카 전구 홀더는 신뢰할 만한 짐발/ 플라스틱 결합과 합당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에 의해 제조되는 고품질 부품을 제공하였다. 글래스-미카 물질은 부푸는 특성이 있어서 홈과 링 사이의 공차 간격을 제거하여 신뢰할만한 단단한 결합을 보장한다.또한 글래스-미카 물질은 링 규격 공차가 빈틈없는 고정을 이루기 위해 중요하지 않은 교대하는 홈내의 골을 얻기 위해 정밀 성형될 수 있다.
일체로된 세라믹 짐발은 또한 교환가능한 조립체의 부품을 줄여서 전체 비용을 경감하고 헤드 램프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제1도는 광원(12), 일체로 된 글래스-미카 짐잘 장치(14) 및 플라스틱 저부(16)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1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자동차 헤드 램프의 교환가능한 전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새로운 전구는 제1도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러한 형태의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에 표준적인 방식으로 헤드 램프 고중물상에 설치함으로써 교환된다. 고정물내에 일단 설치된 조립체는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 108에 따라야 한다. 램프 고정물 내에 장착된 교환가능한 전구의 기준 요건은 세로측에 대해 직각으로 가해진 4파운드(1.81kg)의 힘에 대해 정해진 거리인 0.005인치(0.0127cm) 이상 편향되어서는 안된다. 일체로된 짐발 장치(14)와 플라스틱 저부(16)사이의 빈틈없는 신뢰할만한 결합은 램프가 편향 규격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증하는데 중요하다.
제1도에 도시된 고온 광원(12)은 이중 단부형이고, 수정 물질로 제조되며, 광원(12)의 전구 부(22)의 한측면상의 목부로부터 나오는 한쌍의 리드선(18 및 20)을 갖는다. 외측 리드선 (18)은 제4도의 글래스-미카 램프 홀더(30)의 측면내의 축홈(28)을 경유하여 플라스틱 저부(16)내의 내부 개구(26)내로 향하는 외부리드선(24)에 접속된다.
내측 리드(20)은 두개의 리드(18 및 20)이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종래의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플라스틱 저부(16)의 내부 개구(26)내에서 종단된다. 내측 리드선(20)을 둘러싸는 광원(12)의 목부(32)는 내부 개구(34)내의 세라믹 세멘트가 광원(12)의 목부(32)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글래스-미카 램프 홀더(30)의 내부 개구(34)내에 보유된다. 광원(12)의 지지된 목부(32)의 단부 팁(36)은 글래스-미카 헤드 램프의 개구(34)내로 연장하여 램프 홀더(30)의 링 고정 단부 개구(48)과 동일 평면에 있게 된다.
고온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 플라스틱 저부(16)은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짐발 장치(14)의 링 고정 단부가 결합되는 실린더형 내부 개구(26)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저부(16)은 산업상 관행과 일치하는 방법으로 헤드 램프 고정물내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이다.
제1도의 짐발 장치(14)는 전구 홀더(30)의 한단부에 있는 골진 홈(40)내에 포함된 외연 금속 링(38)과 함께 글래스-미카 램프 홀더(30)을 포함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의 램프 홀더(30)은 링 고정 단부 대향단부에서 테이퍼되어 이 단부에서 홀더의 외부를 둘러싸는 연부는 완만하게 되었다. 램프 홀더(30)은 골진 홈(40)과 주입성형에 의해 홀더(30)의 골진 홈을 통하여 축 홈(28)을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는 글래스-미카 물질이다. 금속링(38)은 고정링을 지지하는 홈의 벽 또는 대향면의 캐슬의 상부와 같이 불연속이고 홀더(30)의 완전한 원주 주위에 연장된 교대하는 골진 홈(40)내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벽 또는 골내의 불연속은 홈(40)의 어느 한 면에서, 램프 홀더(30)의 원주를 따라 교대한다.
제2도는 홈(40)의 어느 한면상의 교대하는 골(42 및 44)의 상부를 도시하는 램프 홀더의 측면도이다. 제4도는 골진 홈을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의 슬롯(28)은 제1도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램프의 전기 회로를 완성하는데 쓰이는 외부 리드선(24)를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홀더(30)은 테이퍼 단부(46)으로부터 짐발(14)의 링 고정 단부(48)까지 연장된 내부 개구(34)를 포함한다. 제1도는 개구의 크기가 짐발(14)의 링 고정 단부(48)에서 가장 크고 짐발(14)의 테이퍼 단부(46)으로 가면서 점점 작아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제3도는 동심원(50,52 및 54)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테이퍼 단부(46)을 향해 진행함에 따라 글래스-미카 짐발(14)의 내부 개구(34)의 직경이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짐발(14)의 링 고정 단부(48)에서 본 단면도이다. 외측 원(50)은 링 고정 단부(48)에서의 개구의 직경을 나타내고, 중앙 원(52)는 짐발(14)의 테이퍼 단면(56)의 시작 부분(52)에서의 내부 개구(34)의 직경이고 짐발(14)의 테이퍼 단면(56)에 있는 내부 개구(34)의 최소 내경(54)는 내측원(54)에 의해 표시된다. 그 위에 광원(12)가 장착되는 짐발(14)의 단부에 있는 테이퍼 단면(56)은 외관은 물론 제1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광원(12)의 전구 부(22)로 부터 발산된 광을 짐발(14)가 차단하는 것을 막기 위해 테이퍼 되었다. 짐발(14)의 내부 개구(34)는 짐발(14)의 테이퍼 단면(56)에서 상당히 작게 제조되어, 제1도에 도시된 내부로 삽입되는 광원(12)의 목부(32)를 지지하는데 쓰이는 세라믹 세멘트를 포함하기 위한 적절한 직경을 갖는다.
짐발(14)의 링 고정 단부(48)은 플라스틱 저부(16)의 개구(26)내로 삽입되어 플라스틱 저부(16)의 내부개구(26)의 내벽은 제1도에 도시된 금속링(38) 또는 홈(40)의 한면상에 있는 제2도의 구형 외측 표면(42 및 44)에 접한다. 제1도에 도시된 이와같은 형상은 짐발 장치(14)가 자유롭게 한 평면내에서 축으로 움직이게 하고 다른 두 평면내에 있는 골의 구형 외측 표면의 중심부 주위에서 회전하게 하여 광원(12)가 플라스틱저부(16)에 대해 촛점이 맞도록 한다. 일단 플라스틱 저부(16)에 대해 광원(12)가 촉점이 맞으면 짐발/플라스틱 결합내의 금속링(38)의 무선 주파수(RF)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열은 플라스틱 벽을 연화시키고 금속링(38)이 연화된 플라스틱 저부(16)내로 돌출하고, 홈(40)내의 짐발 물질의 확장은 램프 홀더를 플라스틱 저부에 상호고정시킨다. 금속링(38)을 경유하여 짐발(14)를 고온으로 가열함에 따라 글래스-미카 짐발(14)내의 미카 입자는 링(38) 근처에서 홈(40)내에 있는 물질에 한해 확장 또는 부풀어 올라 링(38)의 측면에 있는 모든 공간을 채워 빈틈없는 결합을 형성한다. 광원(12)를 안정하고 신뢰할만하게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빈틈없는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홈(40)의 측면과 링(38) 사이에 있는 간격은 제거되어야 한다. 수정없이 홈(40)의 측면과 링(38) 사이의 홈(40)의 제조 공차에 의한 공차 간격은 플라스틱/짐발 결합을 현저하게 느슨하게 할 것이며 따라서 광원(12)가 촛점 위치에서 연방 규격에 의해 정해진 공차 밖으로 편향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짐발 결합에 RF 부착 방법을 사용하여 강한 고정을 형성하기 위해, 짐발 물질과 플라스틱은 용융되어 홈의 측면과 링 사이의 공차 간격을 채우기 위해 흐르거나 다르게는 링이 홈내에 완전히 고정되어 위의 공차 간격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세라믹은 용융되어 흐르지 않는다. 더나아가, 종래의 세라믹은 이러한 형태의 고정에 적합한 빈틈없는 공차로 성형될 수 없다.
링 규격 공차를 저절하여 공차 간격을 필요한 수준까지 제거할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글래스-미카 물질의 부푸는 특성이 저렴한 비용으로 공차 간격을 제거하는 한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글래스-미카 물질의 부가적인 장점은 주입 성형에 의해 골진 홈을 얻도록 정밀 가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합당한 비용으로 부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홈의 한 측면에서 홈의 벽이 교대하므로, 또 벽이 링을 골진 홈 개구내에 수용하도록 작용하므로 링 공차는 완화될 수 있다. 홈내의 골이 없으면, 크기가 커진 링은 충분히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홈의 측면과 링 사이의 유격 공차를 증가시킨다. 최악의 경우, 링이 홈의 밖으로 확장되어 홈의 측면과 링 사이의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유리 물질은 골을 갖도록 가공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응용에는 부적절할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705,939호에 개시된 2개로 된 짐발은 세라믹 램프 홀더와 플라스틱 저부 사이에 여분의 플라스틱 부재를 포함한다. 이 부재는 주변홈과 플라스틱 부재를 플라스틱 저부에 부착하기 위해 그롯에 배치된 금속링을 포함한다. 이 경우 결합은 저부와 부재를 포함하는 링으로부터 플라스틱을 용융 또는 혼합하여 형성된다. RF 가열 공정 동안 금속링은 방사상으로 플라스틱 내로 확장되어 금속 링을 플라스틱저부에 고정되게 한다. 과대하게 커진 링에서, 이와같은 방사 확장 공차 간격을 상당히 증가시킬 것이다. 견고하고 신회할만한 용접을 얻기 위해 결합내의 틈의 존재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RF가 열 공정동안 플라스틱이 용융되어 결합내의 간격으로 흘러서 결합내의 간격을 최소화 시킨다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결합을 항상 신뢰할 수는 없다. 공차 간격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빈틈없이 링 규격 공차를 제어할 수는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들고 모든 틈이 제거되었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 자연히 부가적인 플라스틱 부품이 전체 부품의 수에 추가되고,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하여 제품의 전체 품질과 비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적은 부품을 갖는 단순화된 설계의 잇점은 비용, 품질 및 대량 생산에 의한 제조의 용이함에 있다.
제공된 글래스-미카 짐발은 내열성이어서 RF링이 접촉해 있는 광원의 강한 열하에서도 구조적인 고유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또한 낮은 열 전도성이어서 가열된 전구로부터 플라스틱 저부를 차단시킨다. 고온 플라스틱은 비용이 많이 들고 세라믹 또는 유리 대신에 쓰일 수 있는 고온에서 필요한 열 안정도도 없다. 열안정성도의 결핍으로 플라스틱은 증가된 온도하에서 가스를 유출하여 만일 유리상에 피착되면 램프에서 나오는 색에 영향을 줄수도 있는 응집성 증가를 만든다. 반면에, 금속내의 고유한 높은 열 전달 특성으로 금속 짐발은 플라스틱 저부를 과열시킨다. 본 발명은 방전 및 할로겐 IR과 같은 모든 고온 광원용으로 쓰일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을 가지며, RF 부착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짐발이 용융되거나 중합체 물질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된 짐발 장치는 다수 부품 구조가 필연적으로 품질, 비용 및 대량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종래 기술과 비교해 탁월한 한 개 부품으로 구성되는 고온 글래스-미카 수용 기계 장치와 홀더의 짐발/링 부착부로 되어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다른 변경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RF 금속링에 대해, 단일 링 대신에 교대하는 형상의 일련의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된 링을 포함하는 것을 홈내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RF 에너지가 분리된 링의 각 부분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짐발과 램프 저부 사이에 필요한 고정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Claims (19)

  1. 램프 및 램프의 정밀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이 장착되고, 높은 내열성이고 절연성인 물질로 구성되는 램프 홀더, 상기 램프 홀더가 결합되고, 광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유입되는 내부 개구가 있는 램프 저부,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상기 램프 홀더의 부분의 원주주위에 균일하게 열을 발생시키며 상기 램프 홀더 뿐이 상기 램프 저부의 내부 개구의 측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램프 홀더를 상기 램프 저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홀더와 상기 광원은 배열 단계 동안 램프 저부에 대해 상기 광원의 정말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램프 저부의 상기 내부 개구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램프 홀더는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에 유도하고, 마카 물질이 반응하여 상기 램프 홀더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 배열에 의해 미카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내부에 필라멘트 구조를 갖는 엔벨로프 및 상기 엔벨로프로부터 돌출하는 2개 이상의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이중 단부형이고 수정 물질로 이루어지는 엔벨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의 상기 부분의 상기 원주가 상기 램프 저부와 결합하여 고정 및 설치하는 영역내의 주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광원에 연결되는 엔벨로프 부분이 삽입되는 실린더형 개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연결된 엔벨로프가 삽입된 상리 램프 홀더의 주변 외부 연부가 상기 엔벨로프의 상기 전구 부분으로부터의 광 발산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 되고,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리 램프 저부의 상기 내부 개구의 벽돌과 접하고 있는 상기 램프 홀더의 상기 부분의 상기 원주는 상기 램프 홀더가 상기 램프 저부 내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광원을 정열하도록 구형이고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이 상기 램프 홀더 내에 형성된 상기 골진 홈 내에 포함된 금속 링이고, 상기 금속 링이 열을 발생하도록 무선 주파수(RF)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저부가 플라스틱 물질을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과 상기 램프 홀더 부분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에 따라 연화되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과 연결된 엔벨로프로부터 돌출하는 한쌍의 리드선을 상기 에너지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가 세로축을 따라 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리드는 램프용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홈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1. 램프 및 램프의 정밀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이 장착되고, 높은 내열성이고 절연성인 물질로 구성되는 램프 홀더, 상기 램프 홀더가 결합되고, 광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에너지가 유도되는 내부 개구가 있는 램프 저부,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상기 램프 홀더의 부분의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열을 발생시키며 상기 램프 홀더 부분이 상기 램프 저부의 내부 개구의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램프 홀더를 상기 램프 저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램프 홀더와 상기 광원은 배열 단계 동안 상기 램프 저부에 대해 상기 광원의 정밀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램프 저부의 상기 내부 개구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램프 홀더가 상기 램프 저부와 결합하여 고정 및 설치하는 영역내의 주변홈과 함께 형성되고, 상기 홈이 홈의 벽내에 골을 갖고, 상기 골이 상기 홈 내에 형성된 벽 내부에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간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홀더는, 상기 광원에 연결되는 엔젤로프 부분이 삽입되는 실린더형 개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구 홀더의 상기 실린더형 개구가 상기 엔벨로프가 삽입되는 단부쪽으로 가면서 작아지고, 상기 소형 개구는 상기 램프 홀더의 상기 실린더형 개구내에 있는 상기 엔벨로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라믹 세멘트를 포함하기에 적당한 직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구 홀더의 상기 실린더형 개구가 그 내부에 삽입된 상기 엔벨로프의 상기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세라믹 세멘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연결된 엔벨로프가 삽입된 상기 램프 홀더의 주변 외부 연부가 상기 엔벨로프의 상기 전구 부분으로부터의 광 발산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이퍼 되고,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저부의 상기 내부 개구의 벽들과 접하고 있는 상기 램프 홀더의 상기 부분의 상기 원주는 상기 램프 홀더가 상기 램프 저부 내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광원을 정열하도록 구형이고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이 상기 램프 홀더 내에 형성된 상기 골진 홈 내에 포함된 금속 링이고, 상기 금속링이 열을 발생하도록 무선 주파수(RF)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저부가 플라스틱 물질을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과, 상기 램프 홀더 부분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기 에너지 수신 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에 따라 연화되어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과 연결된 엔벨로프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리드선을 상기 에너지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홀더가 세로축을 따라 축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리드는 램프용 전기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홈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및 장착 장치.
KR1019930016749A 1992-08-28 1993-08-27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KR970002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36,469 1992-08-28
US07/936,469 1992-08-28
US07/936,469 US5386173A (en) 1992-08-28 1992-08-28 One-piece thermally resistant gimbal device for a replaceable headlamp bul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251A KR940004251A (ko) 1994-03-14
KR970002169B1 true KR970002169B1 (ko) 1997-02-24

Family

ID=2546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749A KR970002169B1 (ko) 1992-08-28 1993-08-27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86173A (ko)
JP (1) JPH06187803A (ko)
KR (1) KR970002169B1 (ko)
CA (1) CA2101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007A (ja) * 1994-12-06 1996-06-21 Koito Mfg Co Ltd 放電ランプ装置
US5510967A (en) * 1994-12-13 1996-04-23 Osram Sylvania Inc. Hid headlamp assembly
US5684355A (en) * 1995-08-04 1997-11-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 strap for holding cylindrical lamp
US6520663B1 (en) 2000-03-23 2003-02-18 Henkel Loctite Corporation UV curing lamp assembly
DE10015558C2 (de) * 2000-03-30 2002-03-14 Heraeus Noblelight Gmbh Optischer Strahler
JP3910410B2 (ja) * 2001-11-09 2007-04-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バル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02285B2 (en) * 2003-01-03 2006-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lamp with bulb fixture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08882A1 (en) * 2005-11-16 2007-05-17 Schneider Jerome J Jr Incandescent lamp including self sealing mount base
CN104214742B (zh) * 2014-08-29 2017-04-26 广州市华宇电子科技有限公司 车用前照灯散热器
US10935437B2 (en) * 2018-03-26 2021-03-02 Rosemount Aerospace Inc Coaxial high temperature thermocouple backgrou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2489A1 (de) * 1984-04-03 1985-10-03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Einseitig gesockelte hochdruckentladungslampe
US5039904A (en) * 1989-09-28 1991-08-13 General Electric Company Mount for miniature arc lamp
DE69106996D1 (de) * 1990-09-28 1995-03-09 Philips Electronics Nv Gesockelte Hochdruckentladungslampe und Lampenfassung für diese La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87803A (ja) 1994-07-08
CA2101147A1 (en) 1994-03-01
US5386173A (en) 1995-01-31
KR940004251A (ko) 199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186B2 (en) Lamps with variable lower base
KR970002169B1 (ko) 교환가능한 헤드 램프 전구용의 일체로 된 내열성 짐발 장치
JP2004119397A (ja) 口金付高圧放電ランプ
US5039904A (en) Mount for miniature arc lamp
JP2004534363A5 (ko)
JPH07262805A (ja) Hid車両用ヘッドランプカプセル組立体
JP3940722B2 (ja) バルブ固定装置を備えた放電ランプ及び放電ランプを製造する方法
US5032758A (en) Precision tubulation for self mounting lamp
JPH0660801A (ja) 片口金形高圧放電ランプ
KR19990028205A (ko) 반사경 램프
JP6063405B2 (ja) ランプ、同ランプを有する自動車用のヘッドライト、同ランプでの使用のためのホルダ並びに同ランプでの使用のための保持部
GB2311595A (en) Discharge headlamp assembly
US4300189A (en) Sealed beam lamp unit having bonded terminals
KR950010122Y1 (ko) 접합제 없는 램프와 베이스 결합
US5130911A (en) Two piece lamp holder
KR870001470B1 (ko) 램프 조립체
KR20090088947A (ko) 전기 반사기 램프
JP2003503818A (ja) 電灯の口金取付け法
US5003217A (en) Floating rivet pin lamp base
US4988912A (en) Electric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599358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の製造方法
HU219697B (hu) Villamos lámpa
CA2097628A1 (en) Vented hid vehicle capsule
HU195031B (en) Electric lamp with improved cap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