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78B1 -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78B1
KR970001678B1 KR1019930013571A KR930013571A KR970001678B1 KR 970001678 B1 KR970001678 B1 KR 970001678B1 KR 1019930013571 A KR1019930013571 A KR 1019930013571A KR 930013571 A KR930013571 A KR 930013571A KR 970001678 B1 KR970001678 B1 KR 97000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gear
roller
shaf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984A (ko
Inventor
김영점
Original Assignee
영창산업
김영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창산업, 김영점 filed Critical 영창산업
Priority to KR101993001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678B1/ko
Publication of KR95000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41J23/04Mechanical power drives with driven mechanism arranged to be clutched to continuously- operating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의 각 구동수단만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a)는 제1도의 A부위에 대한 확대분리사시도, (b)는 (a)도의 I-I선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20a,20b : 제1, 제2 안내로울러
30a,30b : 제1, 제2삽지로울러 32 : 클러치기어
34,42a,42b,42c : 제1, 제2, 제4스프로킷휠
38a,38b,38c : 제1, 제2, 제3전동축
B1,B2,B3,B4 : 이송벨트 40,41 : 제1, 제2회전축
45 : 인쇄판지이송키커 50 : 엔코더
M : 제동모우터 70a,70b : 에어실린더
83a,83b : 두께조절판 84 : 인쇄판지폭조절판
90 : 인쇄판지길이조절대 S : 감지센서
본 발명은 박스용 판지에 임쇄를 하고져 그 판지를 인쇄기에 연속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용 판지의 공급을 자동화한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기에 인쇄용 판지를 공급함에는 일일히 수조작으로 의존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인쇄작업의 속도저하와 아울러 많은 인력소요로 생산성 저하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시 수조작으로 인해 인쇄판지에의 인쇄위치 정확도를 떨어지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결점들을 해소키 위한 것으로, 인쇄판지의 공급을 자동화한 것에 의해 안쇄작업의 고속화와 아울러 동장의 무인화를 달성하고, 항시 인쇄위치의 정확도가 유지되게 한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기체(機體), 기체선단에 회전가능케 축지지 되며 축단에는 인쇄기의 동력전달기어와 치함되는 제1치차를 갖는 제1안내로울러와, 제1안내로울러의 직하방에서 한쌍의 제2치차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기체의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제2안내로울러로 이루어진 인쇄판지를 인쇄기측으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수단, 축단에는 상기 제1치차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클러치기어가 부착되며 상기 안내로울러의 근접위치에서 기체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제1삽지로울러와, 제1삽지로울러와 한쌍의 제3치차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제1삽지로울러와 인접위치에서 기체에 축지지된 제2삽지로울러와, 제2삽지로울러와 기체 중앙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전동축과를 연결하는 수개의 이송벨트들로 이로어진 안내수단측으로 이송되는 인쇄판지를 삽지하는 삽지수단, 상기 전자클러치기어와 체인에 전동되어 회전되며 이송벨트들을 가로질러 기체에 축지지된 제1회전축과, 제1회전축에 대응하여 기체후단에 축지지된 제2회전축과, 제1,제2회전축을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기체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체결된 인쇄판지이송키커로 이루어진 삽지수단으로 인쇄판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상기 삽지수단에 의해 삽지되는 인쇄판지의 인쇄작업동안 연속 이동되는 인쇄판지의 삽지작업을 일시 정지코져, 상기 삽지로울러를 통과한 인쇄판지실이측정값에 전자클러치를 단절위치로 변환시키어 삽지수단을 구동정지하고, 계속 회전되려고 하는 삽지로울러를 신속히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작동되게 하는 인쇄판지길이측정수단, 상기 인쇄판지길이측정수단에 의한 삽지수단 제어시 가속력에 의한 삽지로울러들의 회전으로 인쇄판지의 삽지작업이 있게 됨을 즉시 억제코져, 상기 삽지로울러와 치합작동되게 설치하여 삽지로울러를 즉시 제동하는 길이측정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삽지로울러제동수단, 상기 삽지수단구동정지시 그 위에 쌓인 인쇄판지의 하중이 인쇄가 진행되는 인쇄판지에 미치지 않게 하고져, 상기 삽지로울러사이에 공압에 의해 승강가능케 수직입설되어 삽지수단위의 인쇄판지를 들어올리며, 상기 제동수단과 같이 작용되는 인쇄판지승강수단, 및 상기 인쇄판지이송키커가 주행되는 통로에 설치되며 그 이송키커를 감지시 상기 삽지수단의 전자클러치기어와 제동수단을 구동위치로 변환시키어 인쇄판지삽지수단을 구동되게 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인쇄판지 자동공급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룰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인쇄판지 자동공급장치는 수개의 지지후레임들(11a,11b,11c,11d,11e)을 조합하여된 장방형의 기체(機體)(10)를 구비한다. 상기 기체(10)는 후레임(11b)선단부 일측에슨 제2도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인쇄기(P)의 구동치차(13)와 치합작동되는 전동치차(14)가 회전가능케 부착된다. 또한 기체(10)의 선단부에는 그 기체(10)를 횡절(橫切)하는 형태로 되어 상·하로 밀접되어져 위치되는 한쌍의 인쇄판지안내로울러(20a)가 설치된다. 안내로울러(20a)는 이송되는 인쇄판지(18)를 협지하여 제2도에서 설명되는 인쇄기(P)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로울러축들(21a,21b)의 양단은 후레임(11b,11c)에 각각 회전가능케 축지지된다. 제1안내로울러축(21a)의 축단(軸端)에는 하부에 위치한 제2안내로울러와 일체로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제2치차(23a)가 구비된다. 제2치차들(23a)은 제1안내로울러축(21a)과 제2안내로울러축(21b) 각각에 설치된다. 이에 대한 상세구조는 제4도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안내로울러축(21b)의 후레임(11b)으로부터 돌출되어진 축단(軸端)에는 제1치차(22)가 부착된다. 상기 제1치차(22)는 인접배지된 상기의 전동치차(14)와 치합되면, 전동치차(14)의 회전시 이와 치합작동되는 제1치차(22)에 의해 한쌍의 안내로울러(20a)가 회전된다. 상기 안내로울러(20a)과 인접된 위치에는 한쌍의 인쇄판지삽지로울러(30a,30b)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제1삽지로울러(30a)는 그 축(31a)의 양단이 기체(10)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다. 또한 상기 후레임(11b)으로부터 돌출된 제1삽지로울러축(31a)의 축단에는 일반적으로 전자클러치기어(32)가 부착된다. 또한 전자클러치기어(32)와 같은 축에 스프로킷휠(34)에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클러치기어(32)는 후레임(11b)에 회전가능케 치합 작동된다. 제2삽지로울러(30b)도 그 축(31b)의 양단이 기체(10)에 회전가능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삽지로울러의 제1, 제2축(31a,31b)에는 한쌍의 제3치차(36a,36b)가 부착되고, 이들 치차들(36a36b)은 기체(10)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제2아이들링기어(37)을 개재하여 치합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삽지로울러(30a,30b)들은 동시에 회전되며, 그 위에 놓여지는 인쇄판지(18)를 안내로울러(20a)측으로 삽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안내로울러(30b)와 거리들 둔 위치에는 제1, 제2, 제3전동축들(38a,38b,38c)이 기체(10)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다. 상기 제2삽지로울러(30b)와 제1전동축(38a)은 그 양단에 설치되는 제1, 제2이송벨트들(B1,B2)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또 제1전동축(38a)과 제2, 제3전동축들(38b,38c)은 제3, 제4이송벨트들(B3,B4)에 의해 같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벨트들(B1~B4)은 삽지로울러(30a,30b)의 회동시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안내로울러들(30a,30b)와 인접되는 위치에는 제1회전축(40)이 설치된다. 또한, 제1회전축(40)에 대응한 제2회전축(41)이 기체(10)후단에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축(40)은 상기 이송벨트들(B1,B3)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되어 일단은 기체(10)의 후레임(11b)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되고, 하단은 기체(10)의 중앙후레임(11e)에 축지지된다.
또한, 제1회전축(40)의 일측 측단에는 제2스프로킷휠(42a)이 일체로 부착된다. 제2스프로킷휠(42a)은 상기한 제1스프로킷휠(34)과 체인(43)이 전동된다. 이에 의해 제1회전축(40)이 회전된다. 제1회전축(40) 타단에는 제3스프로킷휠(42b)이 부착된다. 상기 제2회전축(41)은 기체(1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되어 그 양단이 각각 후레임(11b,11c)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다. 또한 제2회전축(41)중앙에는 상기 제3스프로킷휠(42b)에 대응한 제4스프로킷휠(42c)이 설치된다. 상기 제3스프로킷휠(42b)과 제4스프로킷휠(42c)은 판지 이송체인(44)에 의해 전동된다. 상기 이송체인(44)은 기체(10)의 길이방향으로 되는 중앙을 따라서 회전된다. 이송체인(44)에는 인쇄판지(18)를 1매씩 이송하는 인쇄판지이송키커(Kicker)(45)가 착탈사능케 부착된다. 따라서, 키커(45)는 이송체인(44)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그 위체 놓여진 인쇄판지(18)를 앞에 인접하여 위치된 삽지로울러(30a,30b)와 함께 안내로울러(20a)쪽으로 공급한다. 키커(45)에 대한 상세구조는 제5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삽지로울러(30b)에는 그 로울러에 의해 안내로울러(20a)측으로 삽지되는 인쇄판지(18)의 길이를 측정키 위한 일반적인 엔코더(50)가 설치된다. 엔코더(50)는 기체(10)의 일측후레임(11b)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엔코더(50)로부터 연장된 감지케이블(51)이 제2삽지로울러(30b)의 축(31b)에 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엔코더(50)는 미도시한 중앙제어부에 사전입력되는 수치에 따라서 삽지로울러(30a,30b)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판지(18)의 길이를 측정한다. 엔코더(50)에 의한 인쇄판지(18)의 측정결과에 따라서 전자클러치기어(32)가 해제되고, 또한 후술하는 제동모우터(M)가 오프된다.
상기 제동모우터(M)는 상기 제1삽지로울러(30a)의 축(31a)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다. 제동모우터(M)는 기체(10)저부에 장착되며, 모우터축(61)에 부착된 제동치차(60)는 제1삽지로울러축(31a)로 구비된 제4치차(36a)에 치합된다. 평상시 온상태로 되어 있던 제동모우터(M)은 엔코더(50)의 인쇄판지(18) 길이측정결과에 따라 오프되므로 인해, 제동치차(60)가 제1삽지로울러(30a)에 구비된 제4치차(36a)와의 맞물림으로 삽지로울러들(30a,30b)의 회전이 제동된다.
상기 삽지로울러들(30a,30b) 사이는 한쌍의 에어실린더(70a,70b)가 수직입설된다. 에어실린더들(70a,70b)은 삽지로울러들(30a,30b)의 길이만큼 간격을 두고 기체(10)에 고착된다. 또한 에어실린더들(70a,70b)의 상단에은 지지봉(71)이 가로질러 위치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부착된다. 상기 에어실린더들(70a,70b)은 미도시한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가해지는 압축공기에 의해 승강작동된다. 에어콤프레셔의 밸브 개폐는 제동모우터(M)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서 실행된다.
상기한 판지이송키커(45)가 지나가는 통로에는 감지센서(S)가 설치된다. 감지센서(S)는 이송체인(44)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는 키커(45)가 인접될시 이에 의해 작용된다.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한 평상시 해제위체에 있던 전자클러치기어(32)를 접속시키고, 또한 엔코더(50)와 제동모우터(M)를 가동되게 한다.
상기 기체(10)의 선단에는 기체(10)를 가로지르는 고정봉(80)이 설치된다. 고정봉(80)은 그 양단이 기체(10)의 양단에서 수직입설된 고정대(81a,81b)에 고착된다. 상기 고정봉(80)에는 나사조절축(82a,82b)에 의해 상·하로 조절되는 인쇄판지두께조절판(83a,83b)이 설치된다. 이에 대한 상세구조는 제2도에서 설명한다.
또한 고정봉(80)의 어느 일측에는 그 고정봉(80)을 따라서 기체(10)의 폭방향인 좌·우로 이동되는 인쇄판지폭조절판(84)이 설치된다. 이에 의해 기체(10)상에 놓여지는 인쇄판지(18)의 폭넓이에 따라서 폭조절판(84)을 이동시키면서 그 인쇄판지(18)를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기체(10)의 후측에는 인쇄판지(18)의 길이에 따라서 기체(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인쇄판지길이조절대(90)가 그 기체(10)를 횡절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인쇄판지길이조절대(90)는 앞쪽과 저부는 폐쇄되고, 윗쪽과 후측은 개방된 함체(函體)모양을 이룬다. 조절대(90)의 내부에는 손잡이(93)를 갖는 축봉(92)이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축봉(92)의 양단에는 피니언(94a,94a)가 일체로 부착되어 축봉(92)과 같이 회전된다. 상기 피니언기어(94a,94a)와 대응하여 그 피니언(94a,94a)에 치합작용되는 랙(95a,95a)에 치합작용되는 랙(95a,95a)이 기체(10)의 양단을 따라서 실이방향으로 부설된다.
따라서 손잡이(93)를 잡고 돌리면 축봉(92)의 회전에 의한 랙(94a,94a)의 피니언(94a,94a)과의 치합작용으로, 조절대(90)는 기체(10)의 길이방향 전·후 어느쪽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체(10)의 전방에는 한쌍의 인쇄로울러(R1,R2)로 구성된 인쇄기(P)가 위치된다. 인쇄기(P)의 구동치차(13)가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의 기체(10)에 설치된 전동치차(14)와 치합작동된다. 이에 의해 인쇄판지공급장치의 구동수단이 일체로 작동된다. 상기 인쇄판지안내로울러들(20a,20b)은 기체(20)상에서 상·하로 인접배치된다. 제2안내로울러(20b)의 제1치차(22)는 전동치차(14)와 치합되고, 제1안내로울러(20a)와 제2안내로울러(20b)는 한쌍의 제2치차(23a,23b)들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에어실린더(70a)는 제1, 제2삽지로울러(30a,30b) 사이에서 수직입설되며, 상단에는 지지봉(71)이 고착된다. 평상시 에어실린더(70a)의 높이는 삽지로울러들(30a,30b)과 수평상태를 이룬다. 기체(10)상에 수직으로 고착된 상기 고정대(81a)는 고정봉(80)의 양단을 지지하며, 고정봉(80)에는 상기 인쇄판지두께조절판들(83a)이 설치된다. 인쇄판지두께조절판들(83a)은 조절나사(82a)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제3도는 제1도를 후측에서 보아 표시한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감지센서(S)는 인쇄판지이송키커(45)와 접하게 하고져, 이송판지길이조절대(90)의 저부중앙에 설치된다. 이송판지길이조절대(90)는 회전되는 이송체인(44)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송체인(44)과는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기체(10)상에 설치된다. 상기 인쇄판지폭조절판(84)은 고정봉(80)에 좌·우로 슬라이드가능케 결합된다. 이에 의해 폭조절판(84)의 이동이 가능하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의 구동수단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인쇄판지안내로울러들(20a,20b)은 상·하로 거의 인접되게 위치된다. 상기 안내로울러중 제2안내로울러(20b)의 축(21b)에 일체로 부착된 제1치차(22)가 전동치차(14)와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제2안내로울러축(21b)으로 전단되는 구동력은 다시 로울러축(21a,21b) 각각에 구비된 제2치차들(23a,23b)의 치합작동을 이루게 하여 상기 안내로울러들(20a,20b)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인쇄판지삽지로울러들(30a,30b)의 각 축(31a,31b)에는 한쌍의 제3치차(36a,36b)들이 구비되고, 이들은 상기한 제2아이들링 기어(37)를 개재하여 전동된다. 이로 인해 삽지로울러(30a,30b)들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제1삽지로울러(30a)에 구비된 차차(36a)에는 그 하부에 위치된 제동모우터(M)의 제동치차(60)가 치합된다. 따라서 제동모우터(M)의 제동시 제동치차(60)와 상기 치차(36a)의 교합(咬合)으로 삽지로울러들의 회전을 중시킨다. 상기 제1회전축(40)은 이송벨트(B1,B3) 내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이송체인(44)은 제1전동축(38a)을 건너질러서 제2회전축(41)에 연결된다.
제5도(a)는 제1도의 A 부위에 대한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표시의 A 부위는 이송체인(44)에 일체로 부착되어 작동되는 인쇄판지이송용키커(45)를 지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체인(44)의 일부위에는 체결공(46a,46b)을 갖는 한쌍의 고정편(47a,47b)이 설치된다. 고정편(47a,47b)위에는 일측부위에 경사면(48a)을 갖는 4각형의 지지판(48)이 상기 체결공(46a,46b)에 대응한 나사공(148a,148b)을 통하여 저부로부터 나사(49a,49b)가 체결된다. 경사면(48a)에는 나사공(140a,140b)이 설치되고, 판스프링(141)이 고정나사(142a,142b)에 의해 경사면(48a)에 부착된다. 상기 판스프링(141)은 경사면(48a)에 의해 경사를 이루게 설치된다. 판스프링(141) 상단면에는 인쇄판지걸림핀(143)이 단턱(144)을 이루게 설치된다.
제5도(b)는 상기 제5도(a)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판(48)은 이송체인(44)에 일체로 부착되어 같이 회전된다. 이송체인(44)과 회전시 안내로울러이송키커(45)의 단턱(144)에 인쇄판지(18)가 걸려서 삽지로울러측으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 제2삽지로울러(30a,30b)와 제1~제4이송벨트(B1~B4)위에 상기 인쇄판지(18)들의 앞부분이 두께조절판(83a,83b)에 지지되는 상태로써 수매의 인쇄할 박스용 인쇄판지들(18)을 적층되게 올려놓는다. 이때 인쇄판지들(18)에 쌓는 높이는 가능한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인쇄판지두께조절판(83a)들의 높이만큼 준비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으로 해도 무방하지만 인쇄판지들(18)이 전도됨이 없이 안정된 공급을 위해 인쇄판지두께조절판(83a) 높이에 상응하는 만큼 준비시킴이 좋다.
다음은 인쇄될 인쇄판지(18)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한 인쇄판지두께조절판(83a,83b)과 폭조절판(84), 그리고 길이조절대(90)를 조절한다. 상기 인쇄판지두께조절판(83a,83b)은 제2도 표시와 같이 조절나사(82a)에 의해 상·하로 조절하여, 하나의 인쇄판지(18)만이 제1, 제2안내로울러(20a,20b)측으로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시킨다. 기타 다른 인쇄판지들(18)은 두께조절판(83a,83b)에 걸려서 전방으로 밀려나가지 못하는 상태로 있는다.
상기 인쇄판지폭조절판(84)은 고정봉(80)을 따라 좌·우 조절하여 인쇄판지들(18)의 일측에 밀접되게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 인쇄판지들(18)에 대한 기체(10)의 폭넓이가 조정되고, 인쇄판지들(18)은 폭조절판(84)에 의해 일측으로 밀리는 일없이 견고히 지지된다.
상기 인쇄판지길이조절대(90)는 손잡이(93)회전에 의한 축봉(92)의 회전으로, 축봉(92)에 있는 랙(94a,94b)이 피니언(95a,95b)을 따라 회전된다. 이에 의해 축봉(92)과 일체로 된 조절대(90)를 기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인쇄판지(18)에 대한 기체(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인쇄판지들(18)의 후측부위를 조절대(90)에 지지되게 하여 그 인쇄판지가 뒷쪽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인쇄할 인쇄판지들(18)의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와 관련하여 전방에 배치된 인쇄기(P)를 가동한다(제2도). 인쇄기(P)를 가동하면 인쇄로울러(R1,R2)와 같이 이와 연계된 인쇄기의 구동치차(13)가 작동된다.
상기 구동치차(13)의 동력은 전동치차(14)에 의해 제1치차(22)에 전달된다. 제1치차(22)에 치합작용은 제2회전로울러(20b)와 제2회전 로울러(20b)와 제2치차들(23a,23b)에 의해 치합되어 있는 제1회전로울러(20a)를 연속 회전되게 한다. 상기 제1치차의 구동력(22)은 제1아이들링기어(35)에 의해 제1삽지로울러축(31a)에 일체로 부착된 전자클러치기어(32)에 전달되어져서 클러치기어(32)를 회전되게 한다. 이때 삽지로울러축(31a)은 전자클러치기어(32)에 의해 단절(斷切)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1삽지로울러(30a)는 회전되지 않는다. 전자클러치기어(32)는 처음에 즉, 후술하는 인쇄판지이송키커(45)가 감지센서(S)를 작동하여 이전에는 단절된 상태로 있는다. 상기 전자클러치기어(32)의 구동력은 그 클러치기어(32)와 동축(同軸)에 있는 제1스프로킷휠(34)에 있는 체인(43) 전동에 의하여, 제2스프로킷휠(42a)이 있는 제1회전축(40)을 회전되게 한다. 또한 제1회전축(40)의 구동력은 그 제1회전축(40)의 제3스프로킷휠(42b)과 제1회전축(40)을 회전되게 한다. 또한 제1회전축(40)의 구동력은 그 제1회전축(40)에 제3스프로킷휠(42b)과 제2회전축(41)의 제4스프로킷휠(42c)에 연결되어 있는 인쇄판지이송체인(44)을 제1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연속 회전되게 한다. 상기 이송체인(44)은 기체(10)상면으로부터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위에 놓여져 위치되는 인쇄판지들(18)에 의해서 전연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된다. 다만, 인쇄판지이송용키커(45)의 판스프링(141)이 인쇄판지(18)에 눌려서 압축되어 있으나, 판스프링(141)이 인쇄판지(18) 저면에 접하여 있는 상태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송체인(44)의 회전에 전연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이송체인(44)의 회전으로 인쇄판지이송키커(45) 역시 같이 회전된다. 상기 키커(45)가 이동로상에 위치된 감지센서(S)를 지나는 순간, 감지센서(S)에 의해 키커(45)의 경유를 감지한다. 이때의 감지신호는 미도시한 일반적인 중앙제어부에 보내지고, 중앙제어부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그때까지 해제위치로 있던 상기 전자클러치기어(32)와 제1삽지로울러축(31a)에 접속위치로 변환되게 한다. 또한 제동상태로 있던 제동모우터(M)측으로도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제동치차(60)와 제1삽지로울러(30a)의 치차(36a)와의 결합이 자유로운 상태로 있게 된다. 클러치기어(32)의 구조와 그에 대한 단속(斷續)작동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삽지로울러축(31a)으로 전동되는 구동력으로 인해 제1삽지로울러(30a)가 회전된다. 제1삽지로울러(30a)의 회전력은 치차(36a)에 의해 제2아이들링기어(37)를 개재하여 제2삽지로울러축(31b)의 치차(36b)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2삽지로울러(30b)가 회전된다. 또한 제2삽지로울러(30b)의 구동력은 그 삽지로울러(30b)와 제1전동축(38a)의 양단에 걸쳐서 있는 제1, 제2전동벨트(B1,B2)을 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전동벨트(B1,B2)의 회전으로 제1전동축(38a)이 회전되고, 제1전동축(38a)의 회전으로 그 제1전동축(38a)과 제2, 제3전동축(38a,38b)에 걸쳐서 있는 제3, 제4전동벨트(B3,B4)이 화살표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감지센서(S)를 지나는 인쇄판지이송키커(45)가 기체(10)상에 놓인 인쇄판지(18)에 접히는 순간, 제일 하부에 놓여져 있는 인쇄판지의 모서리가 이송키커(45)의 걸림편(143)에 있는 단턱(144)에 걸린 상태로 되기 때문에, 한매의 인쇄판지는 이송체인(44)과 같이 회전이동되는 이송키커(45)에 밀리면서 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자동키커(45)에 의해 이송되는 한장의 인쇄판지는 회전되는 전동벨트들(B1~B4)과 삽지로울러(30a,30b)에 의해 계속 회전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상기 안내로울러(20a,20b)층으로 삽지된다.
상기 삽지로울러들(30a,30b)과 전통벨트들(B1~B4)의 구동은 인쇄판지이송키커(45)가 감지센서(S)를 지나는 순간 동시에 작동되면서, 이송키커(45)가 밀고 들어오는 한장의 인쇄판지를 안내로울러들(20a,20b)측으로 스무스하게 삽지한다. 상기 안내로울러들(20a,20b) 사이로 삽지된 인쇄판지(18)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안내로울러들(20a,20b)의 안내를 받으면서 연속 회전되는 인쇄로울러(R1,R2)측으로 일부가 공급되기 시작하여 인쇄판지(18)표면에는 점차로 인쇄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인쇄진행중에 있는 하나의 인쇄판지(18)의 길이가 제2삽지로울러(30b)에 있는 엔코더(50)에 의해 측정되며, 이때의 신호는 미도시한 중앙제어반으로 보내지고, 중앙제어반의 에어에 의해 그때까지 접속되고 있던 클러치기어(32)를 다시 해제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고 있던 제동모우터(M)를 오프시켜서 제동치차(60)가 제1삽지로울러(30a)의 치차(36a)와 치합되게 하여, 삽지로울러들(30a,30b)의 구동을 신속히 중지시킨다. 이에 대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엔코더(50)에 의한 인쇄판지의 길이측정은 미도시한 중앙제어반에 사전 입력되는 수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예켠데, 엔코더(50)가 연결된 제2삽지로울러(30b)의 회전수를 제어반에 설정하여 놓으면, 설정된 제2삽지로울러(30b)의 회전수만큼 통과하는 인쇄판지의 길이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삽지로울러(30b)의 회전수에 의해 이를 통과하는 인쇄판지길이가 측정되게 한다. 로울러(30b)의 회전수는 엔코더(50)의 케이블(51)이 제2삽지로울러(30b)의 회전축(31b)에 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측정된다. 상기 엔코더(50)의 인쇄판지측정치에 의해 중앙제어부에서 클러치기어(32)와 제동모우터(M)를 제어하는 시기는, 인쇄판지가 제1삽지로울러(30b)의 중심축선상에 있을 때 개시된다. 삽지로울러(30a,30b)을 제동하는 이유는 그 위에 쌓여 있는 인쇄판지들이 앞서 인쇄기(P)측으로 공급되어 인쇄중에 있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회전되는 삽지로울러들(30a,30b)에 의해 안내로울러(20a,20b)측으로 계속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인쇄기(P)측으로 기 공급된 인쇄판지에 인쇄작업이 종료될시까지 타이밍을 두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에서 제동모우터(M)로 삽지로울러들(30a,30b)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은, 클런치기어(32)를 해제시에도 그때까지의 삽지로울러들(30a,30b)의 회전력으로 계속 회전하여고 하기 때문에, 그 위에 쌓인 인쇄판지들이 삽지로울러들(30a,30b)의 회전력으로 인해 기히 인쇄판지가 삽지된 안내로울러축으로 삽지되려고 한다. 이를 신속히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동모우터(M)가 제동되면 미도시한 에어콤프레셔로부터 가해지는 압축동기의 작용으로 에어실린더(70a,70b)가 상방으로 신속히 작동된다. 에어실린더(70a,70b)의 상승작동은 삽지로울러(30a,30b)위에 쌓여 있는 인쇄판지들(18)을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에어실린더의 지지봉(71)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하여 인쇄판지들(18)이 삽지로울러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준다. 이에 인쇄가 진행되고 있던 인쇄판지(18)는 위에 쌓여 있는 인쇄판지들의 하중이 해제되어 쉽게 안내로울러들(20a,20b)의 안내를 받으면서 인쇄기(P)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에어실린더(70a,70b)를 상승작동시키은 이유는 인쇄진행중인 인쇄판지를 인쇄기(P)측으로 쉽게 공급되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2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인쇄기(P)에 의해 인쇄가 진행되고 있던 인쇄판지(18)는 계속 회전되는 안내로울러들(20a,20b)의 안내를 받으면서 그 후단부분이 삽지로울러(30a)로부터 쉽게 이동되어야 하지만, 그 인쇄판지(18)의 후단부분은 삽지로울러(30a)의 회전이 중단된 상태에서 인쇄순서를 기다리고 있는 그 위에 적층된 수매의 인쇄판지들(18)로부터 가해지는 압축하중때문에 큰 저항을 받게 되어 안내로울러(20a,20b)를 통해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소키 위한 것으로, 삽지로울러(30a,30b)위에 적층된 상태로 있는 인쇄판지들(18)을 들어올리며, 인쇄중에 있는 어느 하나의 인쇄판지에는 하중이 제거되어 인쇄기측으로의 공급이 쉬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제동모우터(M)의 제동시 에어실린더(70a,70b)의 작동은,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서 달성되게 할 수다 있다. 예컨데, 미도시한 에어콤프레셔에 제동모우터(M)와 같은 전원으로 연결시킨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함에 의해, 제동모우터(M)의 온 또는 오프시 개폐되게 함에 에어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에어실린더(70a,70b)에 작용되게 살 수가 있다.
한편, 하나의 인쇄판지(18)가 안내로울러(20a,20b)를 통과하여 인쇄기(P)측으로 이송되는 순간, 그 인쇄판지를 밀고 왔던 이송키커(45)는 다시 무단상 이송체인(44)에 의해 회전되어 감지센서(S)와 접하면서 감지센서(S)를 작용시킨다. 이때 감지센서(S)의 감지신호는 미도시한 중앙제어부를 통해 전가클러치기어(32)와 제동모우터(M)가 제어되게 한다. 이로 인해 그때까지 단절상태로 있던 클러치기어(32)가 제1삽지로울러축(31a)과 연계되어 삽지로울러들(30a,30b)을 구동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제동모우터(M) 역시 온 위치로 하여 제동력을 해제함에 의해, 제동치차(60)가 삽지로울러의 치차(36a,36b)들과 치합작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동모우터(M)가 온위치로 미도시한 밸브폐쇄로 인해 에어실린더(70a,70b)로부터의 압축동기가 해제되므로, 그때까지 상승되어 있던 에어실린더(70a,70b)는 다시 원위치로 하강된다. 그순간 또 한장의 인쇄판지는 이송체인(44)의 이송키커(45)와 삽지로울러(30a,30b) 및 이송벨트들(B1~B4)에 의해서 안내로울러(20a,20b)를 통해 인쇄기(P)측으로 삽지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같은 동일과정을 거치면서 인쇄작업이 실행된다. 인쇄판지(18)들이 있는한 상기 작업은 계속 반복하여 진행된다. 또한 상기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용과정을 단계적으로 하나씩 설명하였으나, 모든 일련의 작동이 연속하여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판지를 인쇄기측으로 자동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인쇄작업의 고속화와 아울러 무인화를 달성하여 인쇄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불필요한 인력소요를 없게한 효과를 갖게 한다.

Claims (11)

  1. 기체(機體) ; 기체 선단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되며 축단에는 인쇄기의 동력전달기어와 치함되는 제1치차를 갖는 제1안내로울러와, 제1안내로울러의 직하방에서 한쌍의 제2치차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기체의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제2안내로울러로 이루어진 인쇄판지를 인쇄기측으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수단 ; 축단에는 상기 제1치차와 연계되어 작동되는 클러치기어가 부착되며 상기 안내로울러의 근접위치에서 기체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제1삽지로울러와, 제1삽지로울러와 한쌍의 제3치차로 치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제1삽지로울러와 인접위치에서 기체가 축지지된 제2삽지로울러와, 제2삽지로울러와 기체중앙에 회전가능케 축지지된 전동축과를 연결하는 수개의 이송벨트들로 이로어진 안내수단측으로 이송되는 인쇄판지를 삽지하는 삽지수단 ; 상기 전자클러치기어와 체인에 전동되어 회전되며 이송벨트들을 가로질러 기체에 축지지된 제1회전축과, 제1회전축에 대응하여 기체후단에 축지지된 제2회전축과, 제1, 제2회전축을 일체로 회전되게 연결하며 기체중앙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회전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체결된 인쇄판지이송키커로 이루어진 삽지수단으로 인쇄판지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 상기 삽지수단에 의해 삽지되는 인쇄판지의 인쇄작업동안 연속 이동되는 인쇄판지의 삽지작업을 일시 정지코져, 상기 삽지로울러를 통과한 인쇄판지실이측정값에 전자클러치를 단절위치로 변환시키어 삽지수단을 구동정지하고, 계속 회전되려고 하는 삽지로울러를 신속히 제동하는 제동수단을 작동되게 하는 인쇄판지길이측정수단 ; 상기 인쇄판지길이측정수단에 의한 삽지수단제어시 가속력에 의한 삽지로울러들의 회전으로 인쇄판지의 삽지작업이 있게 됨을 즉시 억제코져, 상기 삽지로울러와 치합작동되게 설치하여 삽지로울러를 즉시 제동하는 길이측정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삽지로울러제동수단 ; 상기 삽지수단구동정지시 그 위에 쌓인 인쇄판지의 하중이 인쇄가 진행되는 인쇄판지에 미치지 않게 하고져, 상기 삽지로울러사이에 공압에 의해 승강가능케 수직입설되어 삽지수단위의 인쇄판지를 들어올리며, 상기 제동수단과 같이 작용되는 인쇄판지승강수단 ; 및 상기 인쇄판지이송키커가 주행되는 통로에 설치되며 그 이송키커를 감지시 상기 삽지수단의 전자클러치기어와 제동수단을 구동위치로 변환시키어 인쇄판지삽지수단을 구동되게 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차와 클러치기어 사이에는 동력전달용 제1아이들링기어를 더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판지이송키커는 이송체인에 채결된 일측에 경사면을 갖는 지지편과, 지지편의 경사면에 경사를 이루게 걸치된 판스프링과, 판스프링 상단면에 걸림턱을 이루게 설치되며 상기 감지수단을 작용케 하는 걸럼편으로 된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와 제1, 제2회전축 각각의 체인전동을 위한 스프로킷휠을 거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로울러의 제3치차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제2아이들링기어를 더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쇄판지길이측정수단은, 사전입력된 수치에 의해 인쇄판지길이를 측정하는 엔코더인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엔코더에 의해 구동되는 모우터와, 모우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부착되어 삽지로울러의 제3치차에 치합된 제동기어로 구성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한쌍의 에러실린더와, 한쌍의 에어실린더를 가로질러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기체상에 놓여지는 인쇄판지의 길이에 따라서 기체의 길이를 조절키 위해, 기체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설된 한쌍의 랙과, 기체를 가로지르는 손잡이가 달리 축봉양단에 일체로 고착되어 랙과 치합작용되게 위치한 피니언과, 축봉을 회전되게 지지토록 기체의 가로방향으로 위히하여 랙과 같이 이동되는 케이싱으로된 인쇄판지길이조절대를 더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기체 선단에는 조절나사에 의해 상·하로 조절되는 인쇄판지두께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기체상에는 인쇄판지의 폭에 따라서 기체폭넓이를 조절하기 위해 좌·우로 이동가능케된 인쇄판지폭조절판을 더 포함하는 인쇄판지자동공급장치.
KR1019930013571A 1993-07-19 1993-07-19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KR97000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571A KR970001678B1 (ko) 1993-07-19 1993-07-19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571A KR970001678B1 (ko) 1993-07-19 1993-07-19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984A KR950002984A (ko) 1995-02-16
KR970001678B1 true KR970001678B1 (ko) 1997-02-13

Family

ID=193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571A KR970001678B1 (ko) 1993-07-19 1993-07-19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029B1 (ko) * 2007-02-08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배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984A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1623B1 (en) Feeding apparatus for paperboard sheets
EP0309388B1 (en) Feeder for sheet-feed printing machine
EP2475603B1 (en) Document feeder with pivoting delivery table, particularly for digital printers
US6431537B1 (en) Multiple card hopper for card printer
US84348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457886B1 (en) Card stack lifter and exception feed
KR970001678B1 (ko) 인쇄판지의 자동공급장치
JP5539761B2 (ja) 画像形成装置
GB2111468A (en) Stacking and banding paper sheets
JP2001048411A (ja) 丁合装置
JP4122282B2 (ja) 給紙装置
US7857302B2 (en) Vacuum friction feeder
EP0830303A1 (en) Paper set feeding
JP5208663B2 (ja)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KR20150071075A (ko) 용지의 스탬프 장치
ITMI971977A1 (it) Impilatore con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 posizione delle cinghie di trasporto delle segnature
JPH07257790A (ja) 層間紙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556325B1 (ko) 용지의 스탬프 방법
CA1164487A (en) Modular bidirectional tractor feed assembly
JPH0380706B2 (ko)
JPS58139968A (ja) シ−ト折りたたみ装置
JP2588294Y2 (ja) 用紙駆動型プロッタ
JP3000229B2 (ja) 簡易包装機
JP2005008374A (ja) 段ボールシートの搬送装置
JPS5830221B2 (ja) 枚葉紙員数自動計数積み重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