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499B1 -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 Google Patents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499B1
KR970001499B1 KR1019890001510A KR890001510A KR970001499B1 KR 970001499 B1 KR970001499 B1 KR 970001499B1 KR 1019890001510 A KR1019890001510 A KR 1019890001510A KR 890001510 A KR890001510 A KR 890001510A KR 970001499 B1 KR970001499 B1 KR 97000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sheet material
skin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444A (ko
Inventor
데쭈지 스기이
산따로 와다
마사우끼 곤노
Original Assignee
니또 덴꼬 가부시기가이샤
가마이 고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또 덴꼬 가부시기가이샤, 가마이 고로오 filed Critical 니또 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감압성(pressure-sensitive) 접착 시이트 재료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피부에 도포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접착 붕대, 외과용 자재, 반창고, 드레싱(dressing),드레이프(drape) 등과 같은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에 관한 것이다.
접착 붕대와 같은 통상적인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는 한쪽면에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배면제(backing)를 지닌다. 이러한 시이트 재료는 접착증의 접착력에 의해 피부에 접착시켜 사용한다.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의 배면제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피부와 유사한 탄성 거동에 의한 낮은 모듈러스를 지니지 못하여 피부의 팽창 및 수축을 따를 수 없다. 그 결과, 환자는 움직일 때에 피부에 압박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용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들 물질은 충분한 수분투과율을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땀이 피부와 감압성 접착층 사이에 모이게 되어 필요이상으로 상피의 수분함량을 증가시켜 정상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인 땀은 감압성 접착층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시이트 재료가 피부에서 밀리거나 벗겨져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낮은 수분투과율로 인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공성 또는 미세 다공성인 감압성 접착 시이트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공성 시이트는 물 또는 세균이 구멍을 통해 들어와 피부의 표면에 닿을 염려가 있으므로 위생면에서 볼때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인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감압성 접착제는 대개 피부를 상당히 자극하며, 피부와 장기간 접촉할 경우에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이러한 경우에 피부가 과민해지고, 염증 및 발진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피부 표면은 불규칙하고 복잡하므로 만족할만한 응집력을 겸비한, 피부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지닌 접착제를 개발한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피부와 유사한 낮은 모듈러스의 탄성 거동을 나타내며 높은 수분투과율, 우수한 세균 저항성 및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피부와 유사한 낮은 탄성 거동을 나타내며, 높은 수분투과율, 우수한 세균 저항성 및 우수한 방수성을 나타내는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배면제의 한쪽면에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40내지 80중량%, 알콕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내지 50중량%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점이 250°K 이하이며, 건조후 겔 함유율이 25%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에 의해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1)는 한쪽면에 감압성 접착창(3)을 갖는 배면제(2)를 포함한다.
감압성 접착층을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40 내지 80중량%, 알콕시-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이유는 이들 단량체가 감압성 접착제에 접착 특성으르 부여하며, 피부를 자극하지 않고, 투명도가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접착성이 저하되지 않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40내지 8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중합체중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아트 단량체의 양이 40중량% 미만이며, 충분한 접착성을 수득할 수 없다. 80중량%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응집력을 수득할 수 없다.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나트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특정한 예로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이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알콕시-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접착제에 수분투고율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또한, 공중합체는 건조된 후에, 카복실-함유 단량체와 탈-알코올 반응을 일으켜 가교결합된 구조를 만든다.
알콕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10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하기에 설명되어있다.
알콕실-함유 단량체의 양이 10중량% 미만이면, 수분투과율 및 겔 함유율이 너무 작아서, 목적하는 응집력을 수득할 수 없다.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중합체가 과도하게 친수성으로 되어 피부에 대한 충분한 접착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알콕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특정한 예로는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부톡시디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에톡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둘 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접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또한 알콕실-함유 단량체와의 가교반응에서 반응물로서도 작용한다.
카복실-함유 단량체의 특정 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이 있다.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1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그 이유는 하기에 설명되어 있다.
카복실-함유 단량체의 양이 1중량%미만이면, 응집력이 비교적 약해진다. 한편,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지나치게 강해질뿐 아니라 공중합체에 도입된 많은 극성 그룹이 접착제를 자극성으로 만들어서, 이를 부착했을 때 피부위에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에는 아조비스 화합물 및 과산화물 같은 일반적인 중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은 용액 중합, 유액 중합 및 현탁 중합과 같은 모든 기술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 및 라디칼 생성 촉매를 중합 용기에 충전한 다음, 10내지 20시간 내에 중합을 완료시킨다.
필요에 따라, 단량체 혼합물을 비닐 단량체를 추과로 함유할 수도 있다.
생성된 공중합체는 250°K 이하의 유리전이점 및 25% 이상의 건조 후 겔 함유율을 가질 것이 요망된다. 만일 유리전이점이 250°K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접착성 및 응집력을 얻을 수 없다. 건조후 겔 함유율이 25% 미만이면, 바람직한 응집력을 얻을 수 없다.
건조시의 겔 형성은 상기한 단향체를 사용함으로써 가교결합 구조가 형성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교결합구조가 형성되면, 접착성은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접착성의 감소가 가교결합 구조에 의한 응집력의 증가에 비교하여 최소화됨을 확인했다.
감압성 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10내지 50μm가 바람직하다. 10μm미만의 두께는 피부에 대해 불충분한 접착성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50μm를 초과하면 불충분한 수분투과율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어쨋든, 적당한 두께는 접착층이 부착되는 피부의 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배면제 물질에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체 및 폴리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물질은 하기 일반식의 폴리에테르-폴르아미드블록 공중합체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A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1및 나일론 12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 성분이고, B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중에서 선택된 폴리에테르성분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A로 표시된 폴리아미드 성분은 디카복실산(예 : 테레프탈산, 옥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1-사이클로헥실디카복실산) 및 디아민(예 : 에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간의 증축합, 사이클릭 락탐사이클릭 락탐, 디카복실산 및 디아민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B로 표시된 폴리에테르 성분은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예 :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시판품[예 : PEBAX(페박스), Toray Industries, Inc.의 상품명]을 상술한 블록 공중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배면제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20내지 1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배면제가 너무 얇으면, 붙이고 데는 등의 조작에 있어 불편하다. 베면재가 너무 두꺼우면, 유연성이 손실되고 수분투과울이 저해될 수 있다. 어쨌든, 배면제의 적당한 두께는 배면제가 부착될 피부 부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잇다.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 재료가 피부 팽창 및 수축이 비교적 큰 부위(예 : 관절)에 도포될 경우에는, 베면제가 100내지 500kg/cm2의 인장강도 및 10 내지 100kg/cm2웨 100% 모듈러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강도가 500kg/cm2를 초과하거나 100% 모듈러스가 100kg/cm2를 초과하면, 배면제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를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로서 피부에 부착시킬 때, 시이트 재료가 피부의 팽창 및 수축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주어 불편한 느낌을 갖게 하거나, 시이트 재료가 미끄러지거나 벗겨진다. 반면, 인장강도가 100kg/cm2미만이거나 100% 모둘러스가 10kg/cm2미만인 경우에는 기재 시이트가 너무 유연하여 다루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사용시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범위내의 인장강도 및 모듈러스를 갖는 상기 일반식으로 표시된 블록 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당해 블록 중합체는 불록 중합체 내의 경질 부위와 연질 부위의 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즉, 폴리에테르 성분 B의 중량%가 경질 부위 성분인 폴리아미드 성분 A와 연질 부위 성분인 폴리에테르 성분 B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운동량이 비교적 적인 피부(예 : 대퇴, 다리, 팔. 가슴등)에 적용할 경우에는, 배면제의 인장강도 및 100% 모듈러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당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용 감업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땀에 쉽게 젖는 부위(예 : 손바닥 및 발바닥)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접착층이 1,000g/m2·240hr·40℃ 이상의 수분투과율을 갖고, 배면제 적층물 및 접착층의 전체 수분투과율이 800g/m2·240hr·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접착층의 수분투과율이 1,000g/m2·240hr·40℃ 미만이거나 배면제 적층물 및 감압성 접착층의 전체 수분투과율이 800g/m2·240hr·40℃ 미만이면, 감압성 접착층과 피부 표면사이에 땀이 모여서 필요 이상으로 상피 수분 함량으르 증가시켜 정상피부에 손상을 유발하거나, 감압성 접착제의 접착룰을 감소시켜서 미끄러지거나 벗겨지게 한다.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땀이 비교적 적게 분비되는 부위에 도포할 경우에는, 감압성 접착층 및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전체 수분투과율을 상기 기술된 범위로 제한하지 않고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성 시이트는 배면제위에 감압성 접착제를 직접 피복시키고, 접착제를 건조시킨후 접착제 층위에 박기 시이트를 붙이거나, 박리 시이트에 감압성 접착제를 피복시키고, 접착제를 건조시킨 후, 접착제 층에 배면제를 접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박기 시이트로 보호된 감압성 접착층을 지닌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수득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재료를 사용함에 있어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 시이트 재료는 감압성 접착층의 접착력이 이용하여 환부의 피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는 땀을 수증기(4)상태로 없애는 동시에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는 하기 효과를 나타낸다.
감압성 접착층을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40 내지 80중량%, 알콕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따라서, 접착제는 피부에 무자극성이며, 투명도가 우수하고, 장기간 사용해도 이의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점이 250°K 이하이고 건조후 겔 함유율이 25% 이상이므로, 만족할만한 접착성 및 응집력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접착 시이트 재료가 의학용 장비를 고정하기 위한 자재로 쓰일 때 탁월한 고정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접착 시이트 재료는 피부에 대해 강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거나 장기간 사용하여도 접착력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탁월한 안전성 및 안전성을 갖게된다.
특히, 감압성 접착층의 수분투과율이 1,000g/m2이상이고 배면제 적층물 및 접착층의 수분 투과율이 800g/m2이상일 경우에는, 피부에서 분리된 땀을 피부와 감압성 접착층 사이에 고여있지 않게 효과적으로 증발시키므로, 상피의 수분함량이 과량으로 증가되어 정상피부가 손상되거나 접착층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미끄러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수분 방출을 위한 기공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물 또는 세균이 피부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또는, 이는 환부로부터의 삼출물이 배면제를 통해 새어나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접착 시이트는 매우 위생적이다.
특히, 배면제의 인장 강도가 100 내지 500kg/cm2이고 100% 모듈러스가 10내지 100kg/cm2인 경우, 붙이고 떼는등의 조작이 용이함과 동시에 피부와 유사한 탄성을 지니고, 배면제가 피부의 움직임에 따라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통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인지하여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부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제조된 공중합체 및 감압성 시이트의 물리적 특성 또는 성능 특성을 하기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한다.
1)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접착 강도(g/20mm)를 측정하기 위해, 20mm 너비의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JIS Z-1528에 따라 피착제(adherend)로서 바켈리트(Bakelite) 판을 사용하여 180°의 박리각도로 박리 시험한다.
2)접착 시이트의 정착(holding)시간:
10×20mm 크기의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바켈리트판 위에 접착시킨다. 40℃에서 그위에 500g의 하중을 가하고, 접착 시이트가 판으로부터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시험하는 접착 시이트 재료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덧대하여 하중을 적용하는 동안 시이트 물질이 늘어나지 않게 된다.
3)접착 시이트 재료의 수분투과율
증류수 10㎖를 내경 38mm 및 높이 40mm의 유리로 만든 용기에 넣고, 직경 50mm의 접착 시이트 재료를 그위에 놓은 후, 접착층이 아래로 향하도록 고정시켜서 입구를 덮는다. 용기를 공기-조절된 공간내에서 40℃ 및 30% RH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키고, 용기내의 수분 손실정도를 측정하여 수분투과율(g/m2·24hr·40℃)을 산정한다.
4)공중합체의 겔 함유율:
소정량의 건조시킨 중합체를 24시간 동안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그 잔사의 중량을 측정한다. 겔 함유율은 하기 공식에 따라 산정한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부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부
아크릴산 5부
에틸 아세테이트 150부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0.3부
상기 성분들을 중합 용기내에 충전시키고, 대기를 질소로 대체시키면서 혼합물을 교반한다. 이어서, 내부온도를 55 내지 65℃로 유지하면서 약 10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한다. 내부온도를 70℃ 이하로 상승시키고, 추가로 약 2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킨다. 생성된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점(Tg)은 212°K이고, 겔 함유율은 31.5%이다.
실리콘으로 처리한 박리지위에 공중합체를 25㎛의 건조 두께로 피복하고 130℃에서 5분간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킨다. 한 면을 코로나 방전 처리시킨 35㎛ 두께의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시이트를 가압하에서 접착증에 접착시켜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생성시킨다.
생성된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2
하기에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제조한다. 공중합체의 Tg 및 겔 함유율, 및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62부
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5부
아크릴산 3부
실시예 3
하기의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제조한다. 공중합체의 Tg 및 겔 함유울, 및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5부
부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0부
메타크릴산 5부
비교 실시예 1
에틸 아세테이트 대신 톨루엔과 라우릴캅탄(중량비 100/0.025)이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접착 시이트를 제조한다. 공중합체의 Tg 및 겔 함유율, 및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 실시예 2
건조 조건율 95℃ 및 5분으로 변화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접착 시이트재료를 제조한다. 공중합체의 Tg 및 겔 함유율, 및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 실시예 3
하기의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를 제조한다. 공중합체의 Tg 및 겔 함유율, 및 접착 시이트 재료의 접착 강도, 정착 시간 및 수분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5부
아크릴산 5부
Figure kpo00003
본 발명을 이의 특정양태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긴 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관점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화 및 변경을 수행할 수 있음을 명백히 인지할 것이다.

Claims (4)

  1.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40 내지 80중량%, 알콕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 내지 50중량% 및 카복실-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고 유리 전이점이 250°K 이하이며 건조 후의 겔 함유율이 25%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이 한쪽 면에 제공되어 있는 배면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층의 수분투과율이 1,000g/㎥ 이상이고, 접착 시이트 재료의 수분투과율이 800g/㎥ 이상인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배면제의 인강강도가 100 내지 500㎏/㎠이고 100% 모듈러스가 10 내지 100㎏/㎠인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배면제가 하기 일반식의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Figure kpo00004
    상기 식에서, A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아미드 성분이고, B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테르 성분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KR1019890001510A 1988-11-17 1989-02-10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KR970001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065188 1988-11-17
JP63-290651 1988-11-17
JP290651/88 198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444A KR900007444A (ko) 1990-06-01
KR970001499B1 true KR970001499B1 (ko) 1997-02-11

Family

ID=1775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510A KR970001499B1 (ko) 1988-11-17 1989-02-10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69092B1 (ko)
JP (1) JP2584866B2 (ko)
KR (1) KR970001499B1 (ko)
DE (1) DE689116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952B2 (ja) * 1994-04-01 2005-11-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医療用粘着剤及びこれを有する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AU732803B2 (en) * 1996-01-17 2001-05-03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Adhesives resistant to skin-penetration enhancers
JPH09286077A (ja) * 1996-04-24 1997-11-04 Elf Atochem Japan Kk 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
US5733570A (en) * 1996-09-05 1998-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sorbent dressing
US6998432B2 (en) * 2000-09-01 2006-02-1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composition for skin and adhesive tape or sheet for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JP5177726B2 (ja) * 2000-09-01 2013-04-10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4615759B2 (ja) * 2001-04-19 2011-01-19 日東電工株式会社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JP2004160211A (ja) * 2002-10-21 2004-06-10 Sekisui Chem Co Ltd 通気性粘着テープ
EP1607104B1 (en) * 2003-03-27 2015-12-09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ercutaneous absorp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and medicinal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JP2005314618A (ja) *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及びこの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を用いてなる皮膚貼付材
JP4608422B2 (ja) * 2005-12-05 2011-01-12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粘接着フィルム
JP4521784B1 (ja) * 2009-06-16 2010-08-11 義知 徳重 合板貼着性シート
US10017670B2 (en) 2012-03-08 2018-07-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 release, stretch releasable tape
WO2016103449A1 (ja) * 2014-12-26 2016-06-30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材
US10858547B2 (en) 2015-06-29 2020-12-08 Mitsui Chemicals Tohcello, Inc. Film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rts
JP5920519B1 (ja) * 2015-11-25 2016-05-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DE102021004134B3 (de) 2021-08-11 2022-12-08 Lohmann Gmbh & Co. Kg Atmungsaktive Klebstoffmembra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medizinische Abdeck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3021B1 (ko) * 1974-05-31 1977-03-11 Ato Chimie
JPS597690B2 (ja) * 1980-09-27 1984-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外用部材
AU562370B2 (en) * 1982-10-02 1987-06-11 Smith &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Moisture vapour permeable adhesive surgical dressing
US4608249A (en) * 1982-11-02 1986-08-26 Nitto Electric Industrial Co., Ltd. Hydrophilic therapeutic material
JPS59175420A (ja) * 1983-03-25 1984-10-04 Nitto Electric Ind Co Ltd 外用部材
GB8309993D0 (en) * 1983-04-13 1983-05-18 Smith & Nephew Ass Surgical adhesive dressing
GB8422492D0 (en) * 1984-09-06 1984-10-10 Smith & Nephew Ass Adhesive dressing
ATE90880T1 (de) * 1986-09-20 1993-07-15 Smith & Nephew Heftpflaster in form eines duennen films,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32048A (ja) 1990-09-14
EP0369092A2 (en) 1990-05-23
DE68911654T2 (de) 1994-04-07
DE68911654D1 (de) 1994-02-03
KR900007444A (ko) 1990-06-01
EP0369092A3 (en) 1990-09-05
EP0369092B1 (en) 1993-12-22
JP2584866B2 (ja) 1997-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499B1 (ko) 피부용 감압성 접착 시이트 재료
JP6358874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US5947917A (en) Adhesive bandage or tape
US5783209A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edical dressing material provided with the same
JP5457446B2 (ja) 貼付材
EP0934042B1 (en) Moisture-regulating adhesive dressing
AU2003204326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US20050013957A1 (en) Disposable medical article with multiple adhesives for skin attachment
EP1060719A1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SE503384C2 (sv) Förband innefattande en silikongel i vilken ett bärarmaterial är inneslutet
JP5020141B2 (ja) 粘着性ハイドロゲル、その製造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IE47183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JP2002069405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EP0175562A2 (en) Vinyl caprolactam containing hot melt adhesives
KR20150108771A (ko) 피부 접착 테이프 또는 시트
GB2094809A (en) Stoma seal adhesive
WO1991014461A1 (en) Adhesive compositions
JP5177726B2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皮膚貼付用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EP0594609B1 (en) Adhesive compositions
JP2000230157A (ja) 伸縮性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2005314618A (ja) 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及びこの皮膚貼付用粘着剤組成物を用いてなる皮膚貼付材
JP4205197B2 (ja) 医療用貼付材
JP2571400B2 (ja) 医療用粘着性シート
JP2005304756A (ja)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JPH09206369A (ja) 皮膚貼付材および救急絆創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