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242Y1 -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242Y1
KR970001242Y1 KR2019930030150U KR930030150U KR970001242Y1 KR 970001242 Y1 KR970001242 Y1 KR 970001242Y1 KR 2019930030150 U KR2019930030150 U KR 2019930030150U KR 930030150 U KR930030150 U KR 930030150U KR 970001242 Y1 KR970001242 Y1 KR 970001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eeding
head
roller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40U (ko
Inventor
유영선
이용기
권기찬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242Y1/ko
Publication of KR950022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테이프 T1 : 커버테이프
T2 : 본체테이프 2 : 테이프릴
4 : 테이프홀더 6 : 리어플레이트
4a : 걸림핀 5 : 축
7 : 안내홈 8 : 인디케이터
10, 12 : 테이프가이드 20 : 피이딩바디
21 : 가이드홈 22 : 스프로켓
26 : 래칫1 23 : 완충수단
23a : 요홈 23b : 완충부재
30 : 드라이브플레이트 32, 34 : 연결바
36 : 폴 37 : 스프링
40 : 레버 42 : 피이딩링크
44 : 링크 50 : 롤러플레이트
51 : 래칫2 52 : 회전축
53 : 폴 54 : 롤러
56 : 아이들롤러 58 : 가압부재
본 고안은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이 헤드에 흡착시 깨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공급은 물론 공급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부품의 자동공급장치는 본체테이프와 커버테이프사이에 전자부품이 일정간격으로 배열포장되어 권취릴에 감겨있는 테이프로 부터 상기 본체테이프로 부터 커버테이프를 벗겨내어 전자부품을 다른 공정으로 공급하게 되는 장치로서 이러한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는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754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커버테이프가 벗겨져 본체티이프상에서 외부로 표출되는 부품은 피이딩바디 상부에서 헤드에 흡착되어 지는데, 이때 상기 피이딩바디는 금속성의 재료료 제작되고 또한 상기 헤드의 흡착부도 금속성으로 제작되어 지는 관계로 헤드가 하부로 이송되는 속도 및 부품흡착시 부품에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는 부품이 변형되거나 심하게는 깨지는 현상을 초래하여 안정된 부품공급을 이루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공급불량으로 인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품흡착시 헤드로부터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여 부품을 보호하므로써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을 물론 안정된 부품공급을 이룰수 있는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이딩바디의 상면중 헤드와 대응되는 지점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완충수단으로 부품에 완충력을 부여하여 외부의 압력을 흡수완충시킬 수 있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완충수단은 고무를 사용함에 바람직할 수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이 되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품이 포장되어 있는 테이프(T)가 권취되는 테이프릴(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테이프홀더(4)가 리어플레이트(6)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릴(2)을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가압지지하는 인디케이터(8)가 상기 리어플레이트(6)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리어플레이트(6)상에는 테이프 가이드(10, 12)가 형성되어 테이프릴(2)에 권취되어 있는 테이프(T)를 리어플레이트(6)의 전방에 설치되는 피이딩바디(20)로 안내하게 된다. 이 피이딩바디(20)는 상면으로 테이프를 지지하게 되는데 그 상면상에서 커버테이프가 벗겨지고 상부로 부터 헤드(46)가 하강하여 상기 부품을 흡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피이디바디의 상면중 헤드(46)와 대응되는 지점에 완충수단(2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피이딩바디(20)상에는 테이프(T)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되어 있는 이송구멍이 상부 이세 끼워지는 스프로켓(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로켓(22)의 회전축(24)상에는 래찻1(26)이 결합되어있다.
상기 회전축(24)에는 서로 인접한 V자형의 연결바(32, 34)를 갖는 드라이브플레이트(30)가 결합되어 이 드라이브플레이트(30)의 회전량만큼 상기 스프로켓(22)은 회전을 이루게 된다. 드라이브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상기 래칫1(26)에 일방향(도면상 방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만 래칫1(26)에 걸리도록 하는 폴(36)이 구비된다. 이 폴(36)은 상기 연결바(34)에 스프링(37) 탄지되어 항시 래칫1(26)측으로 향하는 힘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연결바(32)는 피이딩바디(20)상에 링크(44)결합되는 피이딩링크(42)와 회전자재토록 연결된다. 피이딩링크(42)는 피이딩바디(20)상부에 설치되는 헤드(46)와 일체로 승강하는 피이딩바(48)에 의해 가압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4)의 단부에는 피이딩바디(20)에 스프링탄지되는 레버(40)의 일단이 링크연결되고, 레버(40)의 타단은 상가 리어플레이트(6)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롤러클레이트(50)에 연결되어있다. 롤러클레이트(50)의 회전축(52)상에는 래칫2(51)이 결합되어있다. 롤러클레이트(50)의 일측에는 상기 래칫2(51)에 일방향(제2도의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만 래칫2(51)에 걸리도록 하는 폴(53)이 구비된다. 또한 롤러클레이트(50)의 회전축(52)상에는 롤러(54)가 결합되고, 롤러(54)상부에는 리어플레이트(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59)에 의해 항시 롤러(54)표면에 접촉회전하는 아이들롤러(56)를 갖춘 가압부재(58)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피이딩바디(20)상에 구비되는 완충수단(23)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딩바디(20)의 상면에 길이방향의 오홈(23a)을 형성하고 그 요홈(23a)상에 고무등의 완충수단(23b)를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테이프(T)는 테이프릴(2)에서 테이프 가이드(6)(10, 12)로 안내되어 등간격으로 천공된 테이프(T)의 피치홀이 스프로켓(22)에 끼워져 스프로켓(22)이 회전함에 따라 테이프(T)가 한 피치씩 이동되며, 이 테이프가 이동되면 커버테이프(T1)가 벗겨지고 본체테이프(T2)는 아래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는 헤드(46)의 피이딩바(48)가 피이딩링크(42)를 누르면 이 피이딩링크(42)에 연결된 드라이브플레이트(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는 드라이브플레이트(30)에는 설치된 폴(36)이 래찻1(26)의 톱니와 물리지 않고 회전하다가 헤드(46)의 피이딩바(48)가 상승하면 드라이브플레이트(30)가 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드라이브플레이트(30)의 폴(36)이 래찻1(26)의 톱니와 물리게되어 래찻1(26)이 회전하므로 스프로켓(22)도 함께 회전하여 스프로켓(22)의 이빨에 걸려있는 테이프(T)가 한피치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T)가 이송되면 커버테이프(T1)가 벗겨지고 이 벗겨진 테이프(T)의 끝을 리어플레이트(6)상의 가압부재(58)를 젖히고 롤러(54)와 아이들롤러(56)사이에 끼워 넣으면 롤러(54)의 회전에 따라 커버테이프(T1)가 벗겨진다.
상기 롤러(54)의 회전은 피이딩바(48)가 피이딩링크(42)를 누르면 피이딩링크(42)의 단부에 연결된 레버(40)가 하강하게 되며 롤러클레이트(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된다. 이때에는 폴(53)이 래칫2(51)의 톱니와 물리지 않고 회전됨에 따라 롤러(54)과 아이들롤러(56)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커버테이프(T1)가 이송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피이딩바(48)가 상승하면 레버(4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결된 롤러클레이트(50)가 스프링(59)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폴(53)이 래칫2(51)의 톱니에 물리게 되어 래칫2(51)을 회전시키면 롤러(54)가 밖으로 이송되며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가 일정피치씩 이동하여 이 테이프(T)에 포장되어 있던 전자부품이 노출되면서 헤드(46)의 흡착수단에 의하여 흡착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벗겨진 커버테이프(T1)기 동시에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장치의 구동은 설명한 바와같이 헤드(46)의 하강과 동시에 헤드와 일체로 구성되는 피이딩바(48)가 피딩링크를 가압하여 이루게 되는데 상기 헤드(46)는 하강시에 테이프로 부터 표출되어 있는 부품을 흡착시키게 되며, 이때 흡착되는 부품은 완충수단(23b)상부 위치에 있게되는 본체테이프상에 얹혀져 있는 상태이므로 헤드(46)의 흡착을 위한 가압력이 적정압 이상일경우에는 완충수단(23b)가 이를 완충흡수하여 부품은 손상됨이 없이 헤드에 흡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는 피이딩바디의 상면중 헤드와 대응되는 위치에 완충수단을 제공하므로써 헤드의 하강속도 및 흡착압력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도 완충수단이 이를 보상하게되어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된 공급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전자부품이 포장되어있는 테이프가 권취되는 테이프릴로 부터 테이프를 등간격으로 이동시켜 피이딩바디(20) 상면에서 헤드(46)에 흡착 동급하는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이딩바디(20)의 상면중 헤드(46)와 대응되는 지점에 완충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피이딩바디(20)의 상면에 길이방향의 요홈(23a)을 형성하고, 요홈(23a)상에 완충부재(23b)를 삽입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3b)는 고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KR2019930030150U 1993-12-28 1993-12-28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KR970001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150U KR970001242Y1 (ko) 1993-12-28 1993-12-28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150U KR970001242Y1 (ko) 1993-12-28 1993-12-28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40U KR950022340U (ko) 1995-07-28
KR970001242Y1 true KR970001242Y1 (ko) 1997-02-21

Family

ID=1937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150U KR970001242Y1 (ko) 1993-12-28 1993-12-28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2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679B1 (ko) * 2002-01-11 2004-12-03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 피더용 진동 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40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0301A (en) Chip feeder for chip mounter
KR970001239Y1 (ko) 릴상태의 전자부품 자동공급 장치
US4952113A (en) Chip feeder for chip mounter
KR0137864B1 (ko) 테이프 송출장치의 커버테이프 박리장치
JP4707584B2 (ja) 部品供給装置
KR970001242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JP2988285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177891B1 (ko) 테이프 피더의 커버 테이프 배출 장치 및 방법
KR970001237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KR970001241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KR970001236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JP2841844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0254251B1 (ko) 칩마운터테이프의피더
JPH071838Y2 (ja)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用テープフィーダ
JPS63178593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960005342Y1 (ko) 전자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JPH0310710Y2 (ko)
JPH03232298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H0766589A (ja) 部品供給装置のテープ送り機構
KR0121157B1 (ko) 표면실장기의 전자부품 공급장치
JPH039353Y2 (ko)
KR920002936Y1 (ko) 전자부품자동 공급 장치
JPS63178592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S6118627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S5884500A (ja) 電子部品のテ−ピ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