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32Y1 -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32Y1
KR970001032Y1 KR2019900016732U KR900016732U KR970001032Y1 KR 970001032 Y1 KR970001032 Y1 KR 970001032Y1 KR 2019900016732 U KR2019900016732 U KR 2019900016732U KR 900016732 U KR900016732 U KR 900016732U KR 970001032 Y1 KR970001032 Y1 KR 970001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guide post
circuit board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968U (ko
Inventor
요오이찌 가시와
다까시 가모노
준 사이또
요시까즈 다니까와
히데오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09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제1a도, 1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의 제1실시예의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확대단면도.
제2a도, 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의 제2실시예의 서로 직교 방향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이미 제안되어 있는 엣지 접속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로기판 14 : 하우징
20 : 가이드 포스트 22 : 홈
24, 24' : 플레이트형 유지부재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 특히 엣지 접속기등의 회로기판 탑재형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에 관한다.
전자기기의 고성능화, 고속화, 고밀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회로기판(프린트기판)에 탑재되는 전자부품(디바이스)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주 회로기판(모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부품으로 형성되는 회로와 부 회로기판(자기판)에 탑재된 전자부품으로 형성되는 회로를 효과적으로 서로 접속하기 위해서 엣지 접속기로 불리는 전기 접속기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같은 전기 접속기의 1 예는 제3도에 도시하듯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개구 또는 천공부(10a)를 갖는 주 회로기판(10)의 면에 전기 접속기의 절연 하우징(14)이 탑재된다. 하우징(14)은 그 길이 방향으로 개구를 가지며, 이것과 직교 관계의 다수의 단자(콘택트 또는 접촉자) 수용 구멍(13)내에 때려 빼게 형성된 평판형 단자(12)가 삽입된다. 이 단자(12)는 거의 C자 형상의 접촉자부(12a)와 회로기판(10)의 천공부(10a)에 삽입되며, 땜납 고정되는 접속단자부(25)를 갖는다. 도히하진 않았지만 접속단자부(25)는 하우징(14) 밑면의 개구로부터 하우징(14)의 외부로 돌출한다.
하우징(14)의 상면에는 개구(15) 양단부로부터 플레이트형 부재가 세워지며, 그 내면의 테이퍼부(16a) 및 이것에 계속되는 결합면(16b)를 갖는 래치부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래치부재(16)과 직교관계로 플레이트형 정지부재(18)가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결합용 돌기(18a)를 갖는다.
하우징(14)의 홈 또는 개구(15)내에 정렬된 다수의 단자(12)의 C자형 접촉부(12a)의 개구에 부회로기판(6)의 엣지, 즉 단면을 도시와 같은 각도로 삽입한다. 그후, 그 부회로기판(6)을 하우징(14)의 개구(15)내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기판(6)의 양측단부가 래치부재(6)의 테이퍼면(16a)에 접촉하면서 이것을 밀어 넓히며, 다시 회전시키면 결합부(16b)와 결합된다. 이때, 부회로기판(6)의 개구(6a)는 정지부재(18)의 돌기(18a)와 끼어 맞춰지며, 하우징(14)를 거쳐서 양 회고기판(6, 10)을 완전히 고정한다. 동시에 부회로기판(6)의 엣지를 따라서 형성되고 있는 접촉편(8)이 각 단자(12)의 접촉부(1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하우징(14)과 주 회로기판(10)과의 소정위치 맞춤 및 납땜 작업중의 가고정이 필요하다. 특히, 단자(12)의 피치가 1mm 정도의 고밀도로 장착되는 전기 접속기에선 위치 맞춤 작업이 중요함과 더불어 어렵다. 이 목적 때문에 하우징(14)의 하면 양단부 근처에 가이드 장치, 즉 가이드 포스트(20a, 20b)가 하우징(14)과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 회로기판(10)의 가이드용 개구(11a, 11b)와 끼워 맞춰진다. 이들 가이드 포스트(20a, 20b)와 주회로기판(10)의 가이드용 개구(11a, 11b)의 크기에 차이를 두어 하우징(14)이 주회로기판(10)에 정확하게 장치되게 방향지워져 있다.
그러나, 가이드 포스트(20a, 20b)는 직경 약 2mm 정도의 극히 소경의 포스트이므로 이들 가이드 포스트(20a, 20b) 및 개구(11a, 11b)에 충분한 치수차를 두는 것은 곤란하다. 게다가, 가이드 포스트(20a, 20b) 및 개구(11a, 11b)에 충분히 높은 치수 및 정밀도를 얻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가이드 포스트(20a, 20b)는 일반적으로 진원이 아니며 진원의 일부를 개략 중심에서 부채꼴로 절단함으로써 약간의 탄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주회로기판(10)의 개구(11a, 11b)와 충분한 결합 유지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이드 포스트(20a, 20b) 및 개구(11a, 11b)의 치수에 엄밀한 정밀도를 필요호하지 않으며 또한, 하우징(14)과 회로기판(10)의 개구(11a, 11b)의 충분한 결합력이 얻어지는 신규의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안내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14)의 가이드 포스트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내에 탄성 유지부재를 매설하고, 이 유지부재의 선단에 형성한 결합부를 주 회로기판의 개구를 관통해서 기판저면과 결합시킨다. 또, 이 유지부재를 필요에 따라 회로기판 장치의 개구 주위의 전도체 패드에 납땜 고정한다.
이하, 제1a, 1b도 및 제2a, 2b도을 참조해서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3도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의 제1실시예의 가이드 포스트(20)을 포함하는 부분의 하우징(14)의 길이 방향으로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며, 제1b도는 제1a도와 직각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a, 1b도로 분명하듯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는 단순히 하우징(14)과 일체로 성형된 가이드 포스트(20)뿐만 아니고 그 가이드 포스트(20)의 선단을 향해서 가늘고 긴 수직홈(22)를 형성하고, 그 속에 플레이트형 유지부재(24)를 끼워서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유지부재(24)는 예컨대 탄성 금속판을 때려 빼기로 형성한 것이며, 하우징(14)의 홈(22)의 확대부(22a)의 측면에 파고들어 유지되는 가시부재(26)을 갖는 기부(28)와, 이 기부(28)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1쌍의 탄성 다리부재(30a, 30b)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 및 결합면을 갖는 결합부(32a, 32b)의 일부분을 가이드 포스트(20)의 외벽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데 선단부는 홈(22)의 바닥면의 오목부(22b)내에 수납되게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접속기의 하우징(14)의 가이드 포스트(20)을 회로기판(10)의 가이드용 개구(11)에 위치맞춤 시키고 아래로 누르면 우선 가이드 포스트(20)의 선단부의 테이퍼가 회로기판(14)의 개구(11)의 입구에 맞닿으며 이것을 정확히 개구(11)내로 안내한다. 다시 누르면 유지부재(24)의 탄성 다리부재(30a, 30b)의 선단의 결합부(32a, 32b)의 경사면이 개구(11)에 맞닿으며 탄성 다리부재(30a, 30b)를 내측, 즉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하우징(14)를 다시 아래로 누르면 탄성 다리부재(30a, 30b)의 경사면이 회로기판(10)의 개구(11)내를 통과하므로 탄성 다리부재(30a, 30b)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결합부(32a, 32b)의 비교적 급경사를 이루는 결합면이 회로기판(10)의 개구(11)의 양측의 바닥면과 결합된다. 이 유지부재(24)는 예컨대 0.5mm 정도의 금속판을 써도 하우징(14)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가이드 포스트(20)만의 유지력에 비해 충분한 유지강도 및 큰 탄력성을 갖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회로기판(10)의 개구(10)의 주위에 전도체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납땜하여 유지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4)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가이드 포스트(20a), (20b)의 치수에 따라 유지부재(24)의 치수에도 차이를 줄 수 있다. 또한, 제1도의 실시예에선 하우징(14)의 가이드 포스트(20) 위치에 하우징(14)의 상면(14a)으로부터 유지부재(24)를 삽입용 홈(22)으로 형성했는데, 가이드 포스트(20)의 하(선)단으로부터 하우징(14)의 하면에 홈을 형성해도 된다. 그 경우엔 유지부재(24)는 가이드 포스트(20)이 선단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삽입된다. 또한 다시 가이드 포스트(20)는 하우징(14)의 양단부로부터 하우징(14)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포스트(20) 위치까지 틈을 형성하며, 이틈을 따라 유지부재를 가이드 포스트(20)와 일치할 때까지 삽입해도 된다. 가이드 포스트(20)는 하우징(14)의 양단 밖에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해도 된다.
제2a도, 2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의 제2실시예의 서로 직교 방향의 확대 단면 도면이다. 제1a도, 1b도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자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제1실시예와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그 나머지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유지부재(24')의 기부(28')의 꼭지(또는 머리)부는 하우징(1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토록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14)의 홈(22)내에 해머 기타의 공구로 때려 넣을 수 있게 한다. 또, 탄성 다리부재(30a', 30b')는 제1실시예와 같이 직선형이 아니고, 자 형성으로 구부러져 기판(10)의 개구의 거의 전체에 걸쳐 접촉함과 더불어 탄성 또는 스프링성을 개선하고 있다.
또 결합부(32a', 32b')도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형상을 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가이드 장치(24')는 제1실시예의 것보다 하우징(14) 및 기판(10)의 개구 치수 및 위치 오차에 대한 허용도가 크며, 회로기판(10)과의 유지력이 크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과 일체 형성된 가이드 포스트에 교묘하게 유지부재를 조합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의 가이드 포스트 및 회로기판의 가이드용 개구의 치수 및 위치정밀도는 엄밀을 요하지 않으며, 게다가 가이드 장치의 탄성 및 유지력을 종래의 플라스틱제 가이드 포스트만의 경우에 비해 충분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한번 주 회로기판에 삽입한 전기 접속기를 빼내고 싶을 경우엔 기존의 공구를 사용해서 유지부재(24)의 결합부(32a), (32b)를 내쪽으로 누르면서 가이드 포스트(20)를 누르거나 하우징(14)을 당기면 디며 복수회의 합입 발췌를 견딜 수 있다.

Claims (4)

  1. 회로기판에 장치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접촉자를 가짐과 더불어 적어도 양단 근처에 상기 회로기판의 개구내에 삽입고정되는 가이드포스트를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적어도 1개의 내부에 형성된 홈과 그 홈내에 고정된 플레이트형 유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홈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ㄹ 통해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단부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유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유지부재가 유지용 가시부재를 갖는 바닥면과, 자유단부에서의 결합부를 갖는 외팔보형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포스트가 상기 금속유지부재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장치.
KR2019900016732U 1989-11-02 1990-11-01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KR9700010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880 1989-11-02
JP12788089 1989-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68U KR910009968U (ko) 1991-06-29
KR970001032Y1 true KR970001032Y1 (ko) 1997-02-15

Family

ID=1497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732U KR970001032Y1 (ko) 1989-11-02 1990-11-01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70001032Y1 (ko)
GB (1) GB2239135B (ko)
MY (1) MY1072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7898A1 (de) * 1991-08-22 1993-02-25 Wago Verwaltungs Gmbh Elektrisches geraet oder klemme mit rastzapfen-befestigung
US5176349A (en) * 1992-03-27 1993-01-05 Amp Incorporated Post retention arrangement
FR2696878B1 (fr) * 1992-10-13 1994-11-18 Souriau & Cie Attache amovible pour solidariser un support plat à un élément et connecteur la comportant.
GB9223064D0 (en) * 1992-11-04 1992-12-16 Redpoint Limited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US5257947A (en) * 1992-12-14 1993-11-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ld-down mechanism
US5411404A (en) * 1993-10-29 1995-05-0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us bars providing circuit board retention
US5393247A (en) * 1994-03-23 1995-0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ponent mounting device
US5489219A (en) * 1994-05-24 1996-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Self-retaining board lock
WO1996036094A1 (en) * 1995-05-09 1996-11-14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lock for electrical connector
US6490164B2 (en) * 2000-05-16 2002-12-03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ttachment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to circuit board and clip used in attach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JP2003059558A (ja) * 2001-08-09 2003-02-28 Tokai Rika Co Ltd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KR100666112B1 (ko) * 2005-06-23 2007-01-1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 커버
CN110905896B (zh) * 2019-12-05 2021-06-04 嘉兴市奥科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鱼眼壁虎
CN112012994A (zh) * 2020-09-07 2020-12-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具有吸能结构的卡扣组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28404A (en) * 1966-04-07 1968-09-25 Ml Aviation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releasable fasteners
US4824398A (en) * 1987-08-21 1989-04-25 Amp Incorporated Solderable standoff boardlock
US4842552A (en) * 1988-03-04 1989-06-27 Amp Incorporated Tolerance forgiving boardlock
US4820180A (en) * 1988-06-09 1989-04-11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7281A (en) 1995-10-31
GB2239135A (en) 1991-06-19
GB2239135B (en) 1994-09-07
KR910009968U (ko) 1991-06-29
GB9022631D0 (en) 1990-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5820A (en)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0125456B1 (ko) 전기 커넥터
KR970001032Y1 (ko) 전기 접속기용 가이드 장치
US4780603A (en) Integrated circuit card and connector arrangement using same
KR100208637B1 (ko) 인쇄 회로 기판 장착용 전기 커넥터
US7179095B1 (en)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20080050947A1 (en) Double-ended press-fit connector
KR960013851B1 (ko) 엣지 커넥터와 커넥터용 기판 래칭 장치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5230638A (en) Surfac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101053753B1 (ko) 커넥터
US6227898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removable rail guide
KR910004992Y1 (ko) 전기 접속기
US614617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device
KR20020034877A (ko) 기판취부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기판취부구조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US765862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rame
KR20160126875A (ko) 케이블 커넥터
JPH0616312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7265458B2 (ja)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EP0724782B1 (en) Gang modular jack
JP2816435B2 (ja) コンタクトスペーサ付き電気コネクタ
JP3244615B2 (ja) Pcカード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JPH0722058Y2 (ja) 電気コネクタ用ガ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