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16Y1 - 전동식 윈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16Y1
KR970000816Y1 KR2019940016829U KR19940016829U KR970000816Y1 KR 970000816 Y1 KR970000816 Y1 KR 970000816Y1 KR 2019940016829 U KR2019940016829 U KR 2019940016829U KR 19940016829 U KR19940016829 U KR 19940016829U KR 970000816 Y1 KR970000816 Y1 KR 970000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rive motor
piece
spe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049U (ko
Inventor
안진수
Original Assignee
안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수 filed Critical 안진수
Priority to KR2019940016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816Y1/ko
Publication of KR960005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식 윈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감속장치의 발췌사시도.
제3도(a)(b)는 감속장치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윈치 11 : 구동모터
11a : 회전판 12 : 변속기
12a : 팬벨트 13 : 동체
14 : 감속장치 15 : 슬라이드편
141 : 솔레노이드 142 : 작동편
143 : 축심부재 144 : 감속부재
144a : 제동편 145 : 캠
146 : 비틀림스프링 147 : 탄성부재
148 : 고정축 149 : 고정틀
본 고안은 원통상의 동체를 회전시켜 동체에 감긴 밧줄이나 쇠사슬의 한끝에 매달린 중량하물을 승, 하강시키는 전동식 윈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통상의 동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로우프를 매개로 동체에 연결된 중량하물의 승, 하강 속도제어 기능을 부여한 전동식 윈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전동식 윈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변속기에서 감속시켜, 감속된 회전속도에 의해 그에 조합된 원통상의 동체를 회전되게 하였고, 동체에 감긴 로우프 및 그 끝에 묶음 연결된 중량하물을 상, 하향으로 이동되게 하였다.
이럴 경우, 동체에 권취되는 로우프의 속도 즉, 로우프끝에 묶음 연결된 중량하물의 상, 하강속도는 일정하였고, 필요에 따라, 중량하물의 승, 하강 속도를 감속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중량하물의 승, 하강도중 정지에 가까운 속도에 의해 중량하물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에는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일시정지동작이 이루어졌으나, 이는 계속적인 전원차단후 재공급으로 인하여 전력소모가 증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동모터의 회전판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할 수 있는 감속장치를 별도 설치하여 중량하물의 이동시에 적절한 제어를 할 수 있게된 전동식 윈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구동모터(11)와 변속기 (12)는 팬벨트(12a)를 매개로 연계 조합시키고, 구동모터(11)에 연결된 회전판(11a) 내측으로 제동편(144a)이 부착된 감속부재(144)를 위치되게 하였다.
그리고, 감속부재(144)를 고정축(148)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조합하되, 감속부재(144) 하단에는 축심부재(143)에 결합된 캠(145)이 위치되게 하였다.
여기에서, 축심부재(143)는 고정틀(149)에 설치되고, 그 끝단에는 작동편 (142)을 조합하면서,
연결부재를 매개로 솔레노이드(141)와 작동편(142)을 연결되게 하였다.
한편, 변속기(12)와 결착된 원통상의 동체(13) 전방으로 로우프(16) 정렬용 슬라이드편(15)을 형성되게 하였다.
여기에서, 미설명부호 141a는 플런저를 지칭하는 것이다.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상세도 즉, 감속장치(14)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141)와 작동편(142) 및 감속부재(144)의 연결관계를 상세히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감속부재(144) 선단에는 석면 내지는 가죽 또는 금속으로 된 제동편 (144a)을 부착하였다.
또한, 감속부재(144)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틀(149)과 감속부재(144) 사이에는 탄성부재(147)를 개재하여, 상기 감속부재(144) 하단부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고정틀(149)에 조합되는 축심부재(143) 외주상에 캠(145)을 결합하되, 고정틀(149)과 작동편(142) 사이에는 비틀림스프링(146)을 체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도면 제3도 (a)(b)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솔레노이드(141)의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11)의 회전판(11a)에 감속부재(144)가 마찰되면서 감속되는 관계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체(13)의 회전동작에 의해, 로우프(16)와 그에 결속된 중량하물 및 슬라이드편(15)의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 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동식 윈치는 간판 등 소정의 중량물을 일정높이까지 상향이동 시키거나 하향이동시키는데 필요한 기계적 장치인 것으로, 일반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지면에 있는 소정의 중량물을 상승시키거나, 지상에서 지면로 중량물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도면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에 전원이 인가되고, 팬벨트 (12a)에 의해 그 회전력이 변속기(12)에 전달되면, 변속기(12)에서는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구동모터(11)의 회전속도에 비해 일정속도로 감속된 속도로서 회전되고, 그와 조합된 동체(13)는 변속기(12)와 같은 속도로 회전된다.
이때, 동체(13)의 회전속도 즉, 로우프(16)를 권취하는 속도를 더욱 낮추기 위해서는, 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41)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미도시함)를 ON시키면, 솔레노이드(141)의 플런저(141a)가 인장되어, 그에 결합된 작동편(142)은 화살표 P와 같이 이동된다.
이때, 작동편(142)이 조합된 축심부재(143)상에는 비틀림스프링(146)이 개재되어 있고, 작동편(142)의 운동으로 비틀림스프링(146)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한, 축심부재(143)에 연결된 캠(145)은 제3도 (a)에서와 같이 화살표 P1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감속부재(144)의 하단을 밀치게되고, 감속부재(144)는 고정축(148)을 매개로 화살 P2와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므로서, 그하단 내측에 삽입되어진 탄성부재(147)가 압축되고, 상부의 제동편(144a)은 구동모터(11)의 회전판(11a)에 마찰되어, 그 마찰력에 의해 구동모터(11)의 회전속도가 감속된다.
이때,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이 감소되어 결국에는, 그 회전력이 변속기(12) 및 동체(13)에 연결되므로서, 로우프(16)에 결속된 간판등의 중량물이 초기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에 의해 서서히 상승 내지는 하강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41)의 작동의 중지시키게 되면, 솔레노이드 (141)의 플런저(141a)는 흡인되고,
그와 동시에 도면 제3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편(142)이 원위치되고, 그와 결합된 축심부재(143)와 캠(145)이 비틀림스프링(14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이동된다.
또한, 캠(145)이 원위치되므로써,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47)는 자체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됨과 동시에, 감속부재(144)가 고정축(148)을 중심으로 회전이동되므로서 제동편(144a)은 회전판(11a)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한편, 원통상의 동체(13)의 회전에 의해 로우프(16)가 권취되는데, 이때에는 로우프(16)가 한쪽으로만 감기거나 중량하물의 이동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감기게 됨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동체(13)의 선단부에 슬라이드편(15)을 조합하였다.
즉, 동체(13)에 마지막으로 감긴 바로옆의 빈공간으로 로우프(16)가 놓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편(15)이 좌측, 내지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로우프(16)를 순차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량하물이 로우프(16) 끝단에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체(13)가 회전되면, 로우프(16)는 동체(13)의 한지점에서 한번 감기게되고, 계속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면, 로우프(16) 한끝의 중량하물에 의해 S와 같은 힘의 작용되므로, 동체(13)에 감기는 로우프(16)는 위치적으로 낮은 쪽으로 위치되려고 하는 힘에 의해, 슬라이드편(15)을 화살표 S1 또는 S2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계속적인 권취동작을 하게 되어, 로우프(16)는 순차적으로 정렬되면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중량물을 상향 내지는 하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구동모터와 변속기를 통해 동체를 회전시키면서, 로우프의 권취 또는 풀림동작으로 중량하물을 이동하였으나, 이는 그 속도가 일정하여 중량하물의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본 고안은 구동모터와 연결된 회전판에, 마찰되는 제동편을 구비하여, 유사시에, 초기속도보다 더욱 낮아진 회전속도로 동체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으로서, 중량하물의 상향 내지는 하향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도중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의 공급으로 구동모터(11)가 회전되면서, 그 회전력을 팬벨트(12a)를 매개로 변속기(12)에 제공하여, 변속기(12)와 조합되는 원통상의 동체(13)를 변속된 속도로 회전되게 하는 전동식 윈치에 있어서, 상기의 구동모터(11)에 결속된 회전판(1 1a)의 일측면으로, 제동편(144a)을 갖춘 감속부재(144)를 밀착조립하되, 감속부재 (144) 하단으로는 축심부재(143)에 연결된 캠(145)이 맞닿도록 하여 설치하면서,솔레노이드(141)와 작동편(142)을 구비하여, 상호 연결되게 함과, 작동편(142)과 상기의 축심부재(143)가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감속장치(14)를 부설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윈치.
KR2019940016829U 1994-07-07 1994-07-07 전동식 윈치 KR970000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829U KR970000816Y1 (ko) 1994-07-07 1994-07-07 전동식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829U KR970000816Y1 (ko) 1994-07-07 1994-07-07 전동식 윈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49U KR960005049U (ko) 1996-02-16
KR970000816Y1 true KR970000816Y1 (ko) 1997-02-10

Family

ID=1938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829U KR970000816Y1 (ko) 1994-07-07 1994-07-07 전동식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8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235B1 (ko) * 2022-01-10 2023-03-07 (주)코스텍 무대용 바텐 위치 설정용 리미트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049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76B1 (ko) 엘레베이터 장치
KR870002538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FI96838B (fi) Hissin turvajarru
US20040101393A1 (en) Pantographic device for conveying loads in vehicle assembly lines
JPH0237825Y2 (ko)
KR970000816Y1 (ko) 전동식 윈치
EP0269625B1 (en) Cable tensioning device for ski lifts or aerial cableways
EP1500621A1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or
AU7917800A (en) Lift with a car attached to a support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CN211895879U (zh) 一种电动提升机
JPH08268239A (ja) 昇降脚における上下位置決め装置
CN220578797U (zh) 电动晾衣架的动力装置
JP2701199B2 (ja) 昇降補助機
KR0153232B1 (ko)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20000051657A (ko) 수문용 권양장치
US4151381A (en) Reversal stop device
KR900009206Y1 (ko) 승강횡형식 2차 주차 설비의 안전 장치
CN111422770B (zh) 钢丝绳预紧设备和工程机械
JP3306229B2 (ja) 昇降ケージの駆動装置と制動装置
CN219546572U (zh) 便携式升降机
CN211110805U (zh) 一种一体式升降系统
CN211521419U (zh) 提升机构
EP0345901A1 (en) A method of,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n element about an axis by means of a wrap spring
KR100494926B1 (ko) 드롭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