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676Y1 -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676Y1
KR970000676Y1 KR2019960034259U KR19960034259U KR970000676Y1 KR 970000676 Y1 KR970000676 Y1 KR 970000676Y1 KR 2019960034259 U KR2019960034259 U KR 2019960034259U KR 19960034259 U KR19960034259 U KR 19960034259U KR 970000676 Y1 KR970000676 Y1 KR 970000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valve
ice making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4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또 가와히라
가쯔히꼬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197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727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기따오까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676Y1/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본 고안은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20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3-137473호 공보에 명시된 종래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부분이며, 도면에 있어서, 35는 물받이 용기로써, 계량요기(36), 슬릿(39) 그리고 받침부(35a)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부(35a)에는 밸브(34a)와 캡(34)을 갖는 급수탱크(33)가 설치된다. 계량용기(36)에는 모터(45)를 날개(46)와, 케이스(44)와, 수로(47b)를 갖는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동작에 대하여 말하면, 급수 탱크(33)중에 들어 있는 물이 밸브(34a)를 통과해서 물받이 용기(35)내에 고여져, 슬릿(39)을 통과해서 계량용기(36)로 들어간다. 급수시는 계량용기(36) 부분의 물이 펌프업되나. 보급되는 물은 슬릿(39)을 통과하기 때문에, 일정시간내에서의 통과 수량은 적고, 결과로서, 계량용기(36)로부터 물은 일정량 제빙접시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종래의 급수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제빙접시의 위치와 급수장치 위치의 상하관계에도 불구하고 급수가 가능하였으나, 펌프등 가격적으로 비싸게 되며 또한 소음도 컷었다.
여기에서 제21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3-221769호 공보에 표시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부분이며,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3은 제빙실, 5는 냉장실, 6은 제빙접시, 12는 급수장치, 13은 물탱크, 14는 저수용기, 16은 저수부, 18은 유입구, 20은 유출구, 23은 자기솔레노이드, 25는 유입밸브, 26은 유출밸브, 27은 급수관을 표시하고 있다.
급수장치(12)는 냉장실(5)중에 설치되어, 급수장치(12)보다 낮은 위치의 제빙실(3)내에 제빙접시(8)가 설치되어 급수관(27)으로 연결되어 있다.
급수장치(12)는 물탱크(13), 저수용기(14) 그리고 물받이(15)로 구성되어, 특히 저수용기(14)는 상하에 구멍이 있으며, 상부의 유입구(18)와 하부의 유출구(20) 및 각각 유입구(18)와 유출구(20)를 닫는 유입밸브(26)와 유출밸브(26)를 갖고 있으며, 유입구(18)는 물받이(15)와 접속하며, 유출구(20)는 급수관(27)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유입구 밸브(25)와 유출 밸브(26)는 연속으로 변경되어 다시 상단은 전자 솔레노이드(23)와 연결되고, 유입구(18)가 열린때는 유출구(20)는 닫혀져, 유입구(18)가 닫힌때는 유출구(20)는 열리도록 연결되어, 전자 솔레노이드(23)의 동작에 의해 그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게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물탱크(13)에서 나온 물은 일단 물받이(15)에 고여, 유입구(18)로 부터 저수부(16)로 물은 흐른다. 이때, 유입밸브(25)는 열렸있으며 유출 밸브(26)는 닫혀있기 때문에, 저수부(16)로 흐른물은 거기에서 괴이기 시작해 저수부(16)에서 물은 만수로 된다.
제빙접시로 물을 흘릴때는, 전자 솔레노이드(13)를 작동시켠 유출 밸브(26)는 열리고, 유입밸브(25)는 닫힌다. 이때 물은 저수부(16)중의 물만 급수관(27)을 통과해서 제빙접시(8)로 흘러가 일정량의 급수로된다.
종래의 급수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물받이 부에 괴이는 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공중부유 균이 침입하여 장기간 물을 그대로 방지하여두면, 매끄러워지거나 부패의 원인이 되는 가능성이 높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갓의 뒤를 거쳐서 솔레노이드부로 물이 씌워지거나, 냉동실로부터 냉기가 풍압으로 누설되어 성애가 끼어거나, 개방형의 수로부분으로 젖어지거나, 물이 없어진 때의 검지가 불가능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급수장치는 냉장고 내 식품의 냄새가 물받이 부의 물로 번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 평3-137473호 공보에 기재된 펌프를 사용한 급수장치에서는, 급수시에 펌프의 회전음이 커지거나, 펌프의 회전수의 불균형, 또한 냉장고 설치시의 냉장고의 기울기나, 부품 조립시의 불균형에 의해 정량용기가 기울어져, 이에 의한 정량 용기내의 수위 변위에 의해, 급수량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 물받이 부를 없애고, 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부유균의 침입을 없애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부로 물이 끼언져지지 아니하도록 하여. 냉동실로 냉기가 흐르지 아니하도록 하므로, 개방형의 수로부분으로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물이 없어진 때의 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물받이부를 없애고, 물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하므로서, 공중부유균, 냄새의 침입을 없앰과 함께, 저소음, 또한 급수량이 균일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범위 제1항의 자동 제빙장치은 급수장치는, 제빙 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은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 장치를 내장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내 정량실의 물을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킬 때, 상기 유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의 아래편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밸브장치에 맞대이는 맞대임부 근처가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차단 수단을 갖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첨구범위 제2항에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 보다는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다는 밸브장치를 갖는 정량 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베징접시로 공급시키는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수단이 냉장고 도어의 개폐 스위치와 연동하여, 이 도어가 열린때는 상기 유출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 보다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 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구멍에서 상기 제빙 접시로 공급시키는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실로부터 제빙실의 수로에 있어서 개방형의 수로를 형성하여, 프론트 밸브에서 이 수로 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1항에 기재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기구를 거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5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와,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이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요성 고무의 일단을 상기 수납실로부터 제빙실의 수로에 형성한 개방형 수로의 일단과 끼워 맞춘 것이다.
청구범위 제6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수납실에서 제빙실로의 일부에 냉기의 통풍을 막는 물 저장소를 설치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7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정량실 또는 물탱크와 개방형의 수로를 냉기의 통풍을 막도록 밀폐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8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개방형 수로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의 수로와 거의 동일형상의 청소 접시를 상기 수로에 두어 가요성의 고무의 일단과 끼워맞춘 것이다.
청구범위 제9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정량실내에 있어서 자성테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10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다른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을 갖고, 상기한 물의 유입시에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 조립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 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 구멍 및 워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 중 케이스의 유입 구멍에 끼워 설치된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입 밸브와, 이 중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 필터를 구비하는 위케이스와, 상기 캡 및 상부 탭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서, 상기 유입구멍, 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 밸브를 갖는 연동 샤프트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13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도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에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에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 조립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 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구멍 및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중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위케이스와, 상기 캡 및 위케이스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는 연동 샤프트, 이 연동샤프트에 끼워 설치하여,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서, 상기 유입·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입밸브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11항 제1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10항 및 제13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중케이스의 천정면에, 에어 뽑기 구멍으로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12항 제15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청구항 제10항 및 제13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공기 배출 구멍을 원통형상으로 높게 형성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를 설치한 냉동 냉장고의 전체도.
제2a도 및 2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와 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를 설치한 냉동 냉장고의 제어부의 간이 모델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타이밍 챠트.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부분 상세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부분 상세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10a도, 제10b도 및 제10c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외의 실시예에 전체 구성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7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9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9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9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타이밍 챠트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0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와 상세도.
제1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1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상세도.
제18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2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상세도.
제19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 13에 의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상세도.
제20도는 종래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단면도.
제21도는 종래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냉장실 52 : 냉동실
56 : 제빙 접시 57 : 솔레노이드
59 : 탱크 60 : 계량기구
61 : 갓 62 : 도어 스위치
63 : 급수실 64 : 계량실
65 : 유입 구멍 66 : 유입 밸브
67 : 유출 구멍 68 : 유출 밸브
69 : 연동 샤프트 74 : 공기 배출부
80 : 스타트 82 : 연결봉
90 : 고무갓 91 : 청소 트레이
92 : 트랩 93 : 트랩 카버
94 : 급수로 밀폐 리브 95 : 캡 밀폐 리브
96 : 무수 검지 케이스 97 : 무수 검지 케이스
98 : 마그네트 99 : 리이드 SW
161 : 작동축 170 : 공기 배출 구멍
173 : 원판 174 : 유출 밸브
177 : 유입 밸브 178 : 유출립 밸브
179 : 경사면
청구범위 제1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밀폐된 물탱크내에 정량실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중 부유균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미끄러움이나 부패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어짐과 함께, 청소 유지가 용이해진다.
청구범위 제2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안전성이 향상하여 또한 물탱크의 무리한 제거에 의한 파손이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3항에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급수장치와 제빙접시의 수평방향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또한 급수관의 둘러침이 곤란한 구성의 때라도, 급수가 가능해지며, 또한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공기 누설이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솔레노이드에 물방울이 침입할 가능성이 적어져,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5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솔레노이드와 개방형의 수로를 가요성의 고무로 밀폐하였기 때문에, 물의 침입이 없어져, 솔레노이드의 이상 정지가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6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수로의 일부에 물고임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냉기의 통풍을 막고, 성애의 성장을 없앨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7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물탱크와 개방형의 수로를 밀폐구조로 접촉시켰기 때문에, 냉기의 통풀을 막고, 성애의 성장을 없앨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8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개방형의 수로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청소 접시를 두었기 때문에, 청소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9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리이드 SW가 어떤 일정시간 이상 ON 인때는 물이 들어있지 아니하는 것을 검지한다.
청구범위 제10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종래의 물받이 부를 없애고, 밀폐된 물탱크내에 정량실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공중부유균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미끄러움이나 부패를 방지함과 함께, 식품에서 물로의 냄새 이동이 방지된다. 다시, 펌프를 없애고, 솔레노이드 급수하는 방식때문에, 펌프의 회전음을 없애고, 저소음화된다. 또한 유입 밸브, 유출 밸브를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할때, 유입 밸브가 유출구에 밀착하여, 장량실로 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보다 급수량이 균일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는 작동시에 동작 스트로크의 도중에서 솔레노이드축이 구속괴면, 진동하여, 웅웅 소리를 발생하나, 유입 밸브는 탄성을 갖이므로 솔레노이드의 축이 동작 스트로크의 도중에서 유입밸브가 유입 구멍에 밀접해도 유입 밸브가 변형하므로서, 솔레노이드의 축은 정규의 스트로크까지 동작하여, 진동, 웅웅소리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급수탱크내의 물이 소량의 경우라도, 급수탱크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3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유입 밸브, 유출 밸브를 일체로하여 연동 샤프트에 끼워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1항의 구성에 대해서, 부품 갯수가 감소하여 염가로 됨과 함께, 제1항에 있어서, 유입 밸브의 설치불량에 의한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2항 및 제1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중케이스의 천정면에 공기 배출부로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정량실에 유입 구멍에서 물이 흘러들어 갈때에, 공기가 천정면에 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급수량을 보다 균일화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2항 및 제15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위케이스의 천정면에 공기 배출부를 원통위에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이 위케이스내에 유입할 때, 모두 정수필터를 통과하므로 정수효과가 충분힌 발휘된다.
(실시예)
(실시예1)
다음에,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제1도에 있어서 도면부호 51은 냉장실, 52는 냉장실(51)의 아래편에 있는 냉동실이며, 냉장실(51)과 냉동실(52) 사이의 칸막이에는 도어 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51)의 하단에는 급수 탱크 코어(54)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동실(52)에는 제빙기(55)가 설치되어 있다.
제2a도 및 제2b도에 있어서, 급순탱크 코어(54)중에 계량기구(60)를 포함한 물탱크 조립(58)과 솔레노이드(57)와 갓(61)을 포함하는 급수로(63)가 있으면 솔레노이드(57)는 구동수단이며 급수로(63)의 겉쪽에서 설치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57)의 작동축은 급수로(63)의 벽을 통과해서 내부로 노출하여, 또한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작동축의 선단에는 갓(61)이 설치되어 있다. 갓(61)은 차단 수단에서 실리콘계의 재질이며, 연동샤프트(69)의 하단과 동축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급수로(63)의 아래에서 냉동실(52)에는 제빙접시(56)가 있다. 물탱크 조립(58)은 물탱크(59)와 계량기구(60)를 포함한 캡(7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계량기구(60)는 유출구멍(67)과 유입구멍(65)과 공기 배출부(74)를 갖는 중케이스(71)와, 활성탄(73)을 갖는 위케이스(72)와, 중케이스(71)내에 유입구멍(65)측에 유입구멍(65)을 막는 유입 밸브(66)를 갖고, 유출 구멍(67)측에 유출구멍(67)을 막는 유출 밸브(68)와 2개의 밸브를 연결하는 연동 샤프트(69)와, 유출 밸브(67)측의 연장위에 스프링(75)을 설치하고 있다. 연동 샤프트(69)에 아래편으로부터 힘이 걸리지 아니할 때는, 스프링(75)에 의해 유입 밸브(66)는 내려가며, 유출 밸브(68)도 내려가기 때문에 유입 구멍(65)은 열리고, 유출 구멍(67)은 닫혀있다. 급수로(63)내의 솔레노이드(57)가 작동하면 접속한 갓은 위편으로 움직이여 연동샤프트(69)를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으로 누른다. 연동샤프크(69)에 아래편에서 힘이 걸려져 있을때는 스프링(75)이 축소되어 유입 밸브(66)는 올라가고 유출 밸브(68)가 올라가기 때문에, 유입 구멍(65)은 닫고, 유출 구멍(67)이 열려있다. 위케이스(72)는 중케이스(71)와 나사 또는 맞 끼우므로서 고정되고, 중케이스(71)는 캡(70)에 나사 또는 끼워맞춤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도, 제2a도 및 제2b도로부터 동작으로서는 솔레노이드(57)가 동작하고 있지 아니한 때는 갓(61)은 아래에서의 상태로 이때 스프링(75)은 연장되어 연동샤프크(69)는 내려간 상태로 되어 있디. 이때 유입 구멍(65)은 열려있기 때문에 물탱크(59)내의 물은 활성탄(73)을 통과하여, 위케이스(72)내로 들어가, 유입구멍(65)을 통과해서 계량실(64)중으로 들어가나 유출구멍(67)은 닫혀져 있기 때문에 계량실(64)중은 물로서 만수로 된다. 이때 공기를 배출해 (74)주므로서 유입구멍(65)의 물의 흐름은 원활하다. 다음에 솔레노이드(57)가 작동하고, 갓(61)은 올라가 접촉하여 연동샤프트(69)도 상승하며, 이때 유입구멍(65)은 닫고 유출구멍(67)은 열리기 때문에, 계량실(64)중의 유출구멍(67)으로 부터 배출이되나, 새롭게 물탱크(69)중으로부터 물은 보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계량실(64)중의 물만이 급수로(63)를 통과해서 제빙접시(56)로 흐르기 때문에, 정량 급수로되나, 유출 구멍(67)에는 공기를 빼는데 사용되는 구멍이 없기 때문에 유출시간은 일정치 않은, 즉 솔레노이드(57)의 동작시간이 길면 유출시간의 불균형이 있어도, 항사 정량 급수를 할 수가 있다.
또한, 모두 밀폐 물탱크의 내에 있고, 외기와 항상 노출되는 물의 부분은 없기 때문에, 공중 부유균은 거의 들어가지 않고, 결과로서 균의 발생은 거의 없다. 또한, 캡(70)의 지름이 크고 손이 들어가는 크기이기 때문에, 물탱크(59)내의 청소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 전기 접속의 솔레노이드(57)를 물탱크 조립(58)과 별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물탱크 조립(58)은 자유롭게 집어낼 수가 있어서,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갓(61)은 실리콘계의 재질이며, 솔레노이드(57)로의 물의 침입을 차단함과 함께, 유출 밸브에 맞대일 때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또한, 상기 실시예1에서는, 솔레노이드(57)의 동작은 독립이었으나, 도어 스위치(62)와 연동시킨 것을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다. 제3도는 간이적인 설치도이며, 제4도는 타이밍챠트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냉장고의 제어기판(76)으로 부터 솔레노이드(57)와 도어 스위치(62)가 설치되어 한편에서는 전원(77)으로 이어져 있다.
이때 제4도에 있어서 급수 개시 신호가 제어기판(76)으로부터 나오면 솔레노이드(57)가 OFF에서 일정시간 ON되나, 이때 도어스위치(62)가 열리면, 솔레노이드(57) OFF되는 타이밍으로 된다.
솔레노이드(57)가 동작중에 도어를 열어 급수 탱크 코너(54)중의 물탱크 조립(58)을 집어내려고 하면, 가령 솔레노이드(57)가 ON 상태에서 갓(61)이 올라가 있는 상태라면, 갓(61)과 캡(7)이 접속하여. 캡(70) 또는 갓(61)의 파손 또는 솔레노이드(57)의 축의 기울어짐 등이 염려되나, 도어 스위치(62)와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열리면 항상 갓(61)은 내려간 상태이기 때문에, 물탱크 조립(58)은 파손하는 일 없이 집어내어진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동실(52)와 냉장실(51)이 차폐되는 것도 없고 직통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냉기 누설이 생겨, 성애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 대책으로 하고 있는 것이 제5도이다. 즉 제5도에 있어서 급수로(63)내의 도중을 개방형으로 하여, 프론트 케이스(81)를 설치해, 그 출구에 프론트(8)를 둔다.
이때, 냉동실(52)과 냉장실(51)은 프론트(80)에서 차폐되어, 물이 흘러올 때는, 프론트는 부력으로서 뜨기 때문에, 물은 다소 괴인 후 급수로(63)로 흘러간다. 즉, 냉기는 차폐하나, 물은 통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8)를 사용하였으나 제6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갓(61)과 접속시켜, 연동봉(82)으로서 프론트와 같은 기능을 갖도록하여도 좋다. 즉, 솔레노이드 OFF 시는 갓(61)은 내려가며, 접속한 연동봉(82)도 내려가기 때문에, 냉동실과 냉장실의 냉기는 차폐되나 솔레노이드 ON시, 즉, 물이 흐르고 있을 때는, 갓(61)은 올라가면 접속한 연동봉(82)도 올라가기 때문에, 급수로(63)로 물은 흐른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57)의 작동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갓(61)과 접속하고 있는 부분으로 부터 물방울이 침입하여 신뢰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나, 그 대책으로 하고 있는 것이 제7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갓(61)과 급수로(63) 사이에 스프링(84)를 설치해, L자형의 아암(83)의 한끝에 상기 갓(61)의 아래끝을 접속하고, 또 다른 한끝에 수평 방향으로 솔레노이드(57)를 접속시키고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OFF 시는 스프링(84)에 의해 갓(61)은 아래의 위치에 있으며, 솔레노이드 ON 때는 아암이 받침점을 중심으로 움직여서 스프링(84)이 축소되어 갓(61)이 올라간다. 즉, 본 기능에 있어서도 솔레노이드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때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5)
제8도에 있어서, 솔레노이드(57)에 서로 접하며, 솔레노이드(57)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요성의 고무갓(90)이 있으며, 그 일단을 솔레노이드(57)의 샤프트가 통과하는 개방형의 수로(63)의 구멍부위 주위와 끼워 맞추어진다.
이때, 솔레노이드(57)가 위로 올라간 상태의 B 일짜라도, 아래로 내려간 상태의 A일찌라도 가요성의 고무 갓(90)으로 인해 개방형의 수로(63)의 구멍부의 주위와의 끼워맞춤은 벗겨지는 일이 없고, 즉, 솔레노이드(57)가 어느 상태일찌라도 물이 솔레노이드(57) 부분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5에서는 냉동실(52)과 냉장실(51)이 차폐되는 일도 없고 직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기 누설이 생겨, 성애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 대책으로 되어 있는 것이 제9도이다. 즉 제9도에 있어서 급수로(63)의 일부에 트랩(물괴임)(92)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냉동실(52)과 냉장실(51)은 트랩(92)에서 물이 들어오면, 트랩(92)내의 물이 나와 흘러간다. 즉 냉기는 차폐되나, 물은 통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급수로(63)로 일부에 일체로된 트랩(92)을 설치하였으나, 일체로 되지 않는때는 제10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로(63)의 일부에 트랩카버(93)를 설치해, 일체로서 트랩(92)이 구성이되도록 한다. 그 사시도를 제10b도에 도시한다. 이때 트랩(92)에 물이 괴여있으며, 물이 들어오면 트랩(92)내의 물이 나와 흘러가, 결국 냉기는 차폐되나 물은 통수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트랩 카버(93)의 고정방법으로서 제10c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를 트랩카버(93)에 붙여서 고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동실(52)과 냉장실(51)을 차폐하는 것으로서 급수로(63)를 이용하고 있었으나, 캡(70)과 급수로(63) 사이를 이용하려고 하는 있는 것이 제11a도 및 11b도이다.
즉, 제 11a도 및 제11b도에 있어서, 캡(70)의 일부에서 나오고 있는 캡 밀폐 리브(95)와, 급수로(63)의 일부로부터 나오고 있는 급수로 밀폐리브(94)로서 셋트시에 끼워맞추고 있다.
이때, 캡(70)도 포함하는 물탱크 조립(58)의 전체 자중이 급수로 밀폐리브(94)에 걸쳐있기 때문에 밀폐가 된다. 즉 냉기는 차폐되나 물은 통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탱크(59)의 두께 t1보다 캡(70)의 두께 t2를 충분히 두껍게 하므로서, 탱크(59)가 구부려져도 캡(70)은 평탄한 채로 있을 수가 있다. 또한 물탱크 조립(58)의 중량이 많기 때문에, 물이 들어있지 아니해도, 솔레노이드(57)로부터의 떠밀어 올리는 것이 있어도 급수로 밀폐리브(94)와 캡 밀폐리브(95)사이에 틈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제1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수로 밀폐 리브(94)에 패킹(102)을 설치하여 동등한 효과를 낼 수가 있다. 또한, 캡 밀폐 리브(95)로 패킹(102)을 설치해도 좋다.(도시않음)
(실시예 8)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요성의 고무의 한끝을 개방형의 수로의 한끝과 끼워 맞추고 있으나, 다른 부품과 끼워맞춘 것이 제12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개방형의 수로(63)와 거의 동일형상의 청소 트레이(91)를 상기 수로에 두고, 또한 고무 갓(90)을 청소 트레이(91)에 끼워맞춘 것이다.
이때, 고무갓(90)과 청소 트레이(91)를 끼워맞추고 있기 때문에, 물탱크 조립(58)으로부터 나온 물은 고무갓(90)을 통과해서 청소 트레이(91)를 통과해 냉동실(52)로 흘러가, 솔레노이드(57)나 개방형의 수로(63)로는 물이 들어가지 않고 품질상 또, 위생상으로도 좋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없이 검지는 없었으나, 물없이 검지를 부착시킨 것을 제13도에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캡(70)에 물없이 검지 케이스(96)를 설치하고 있으며, 윗면 및 아래 방향으로 유출입 구멍(100)이 뚫려있다. 물없이 검지 케이스(96)중에는 마그네트(98)가 들어있는 물없이 검지볼(97)이 들어있으며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마그네트(98)의 아래편쪽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리이드 SW(99)가 있어 수로 (63)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종래의 제어예로부터 급수시는 물이 일시적으로 없어지기 때문에 물없이 검지볼(97)이 내려가기 때문에 리이드 SW(99)가 ON되나, 곧바로 물이 보급되기 때문에 OFF한다.
그러나, 물이 없어져버리면, 보급되지 않기 때문에 OFF 시간이 길어진다. 거기에서 OFF 시간이 어느 일정시간(t)이상으로 되면 물없음으로 판정되는 것이다.
제14도에 간이적인 설치도 및 제15도에 타이밍 챠트도가 있으나, 제14도에 있어서, 제어기판(76)으로부터 리이드SW(99)와 급수 LED(101)가 있으며, 물없음으로 판정되면 급수 LED(101)가 점등한다(설치장소는 생략).
(실시예 10)
다음에, 본 고안의 한 실시예 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 있어서 급수 탱크 코어(54)중에 정량기구(60)를 포함한 물탱크 조립(58)과 솔레노이드(57)와 갓(61)을 포함하는 급수로(63)가 있으며, 솔레노이드(57)는 급수로(63)의 외측으로부터 설치가 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57)의 작동축(161)은 급수로(63)의 벽을 통과해서 노출하여, 또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작동축(161)의 선단에는 갓(61)이 설치되어 있다. 급수로(63)의 아래에서 냉동실(52)에는 제빙접시(56)가 있다. 물탱크 조립(58)과 정량기구(60)를 포함한 캡(70)으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정량기구(60)는 유출구멍(67)을 포함하는 캡(70)과 유입구멍(65), 정량실(64),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74)를 갖는 중케이스(71), 유입구멍(65)에 끼워설치한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입밸브(177)와, 정수필터(73)를 내장하여 천정면에 공기 배출 구멍(170)을 갖는 위 케이스(72)와, 상기 캡(70)과 위 케이스(72)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연동샤프트(69)로 구성이되고, 연동샤프트(69)는 중정도로, 원판(173)이 형성되어, 아래편에 유출구멍(67)을 막는 유출밸브(174)를 갖고, 다시 그 아래편에 스프링(75)이 설치되어, 연동샤프트(69)와 솔레노이드(57)의 작동축(161)은 동일선상으로 되도록 설치가 되어 있다. 연동샤프트(69)에 아래편으로부터 힘이 걸리지 아니할 때는, 스프링(75)에 의해 원판(173)은 내려가 유출밸브(174)도 내려가기 때문에, 유입구멍(65)은 열리고, 유출구멍(67)은 닫혀져 있다. 급수로(63)내의 솔레노이드(57)가 작동하면 접속한 갓(61)은 위편으로 움직여, 연동샤프트(69)를 아래편으로부터 위편으로 누른다.
연동샤프트(69)에 아래편으로부터 힘이 걸려있을 때는 스프링(75)이 축소되어, 원판(173)이 올라가 유입 밸브(177)에 밀착되므로 유입구멍(65)이 닫혀 유출구멍(67)은 열려져 있다. 위케이스(72)는 중케이스(71)와 나사 또는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중케이스(71)는 캡(70)에 나사로서 고정되어 있다.
제16a도 및 제16b도로부터 동작으로서는 솔레노이드(57)가 동작하고 있지 아니할 때는 갓(61)은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이때 스프링(75)은 연장되어 연동 샤프트(69)는 내려간 상태에 있다. 이때 유입구멍(65)은 열려있기 때문에 물탱크(59)내의 물은 정수필터(73)를 통과하여, 위케이스(72)내로 들어가, 유입구멍(65)을 통과하여 정량실(64)중으로 드어가나 유출구멍(67)은 닫혀져 있기 때문에 정량실(64)중은 물로 만수로 된다.
이때 공기 배출부(74)에 의해 유입구멍(65)의 물의 흐름은 원활하다. 다음에 솔레노이드(57)가 작동하면 갓(61)은 올라가 연동해서 연동샤프트(69)도 상승하여, 이때 유입구멍(65)은 원판(173) 이 유입밸브(177)에 밀착하므로 닫고, 유출구멍(67)은 열리기 때문에, 정량실(64)중의 물은 유출 구멍(67)으로부터 배출되나, 새롭게 물탱크(59)안으로 부터는 물은 보충되지 않기 때문에, 정량실(64)안의 물만이 급수로(63)를 통과해서 제빙접시(56)로 흐르기 때문에, 정량급수로 된다. 또한, 유입밸브(177)는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솔레노이드(57)의 자동축(161) 동작이 스트로크의 동중에서 원판(173)이 유입밸브(177)에 밀접해도 유입밸브(177)가 변형하므로서, 솔레노이드(57)의 축(161)은 정규의 스트로크까지 동작하여, 진동, 우르렁 소리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정량실(64)로의 물이 새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시 급수되는 물은 모두 밀폐된 물탱크 조립(58)중이며, 외기에 항상 노출되는 물의 부분은 없기 때문에, 공중 부유균은 거의 들어가지 않고, 결과로서 균의 발생은 거의 없고, 식품의 냄새의 이동도 방지된다.
위케이스(72)에 뚫어 설치한 공기 배출 구멍(170)은 위케이스(72)내의 공기를 배출부 위한 것으로, 물탱크(59)에 물을 넣어 정량기구(60)를 포함하는 캡(70)을 나사로서 끼울때, 위 케이스(72)내 및 정량실(64)내는 공기가 괴여있으므로, 이 공기를 배출 구멍(17)으로부터, 물탱크(59)내로 빠져나가게 하여, 물탱크(59)내의 물이 위케이스(72)내에 원할하게 정수필터(73)를 지나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11)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입밸브(177)를 중케이스(71)의 유입구멍(65)부에 설치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유입 밸브
(177)와 유출 밸브(174)를 일체화 한 것을 제17도에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78은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된 유출입 밸브이며, 연동 샤프트(69)에 끼워 설치되어 있으며, 연도샤프트(69)가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서, 유입구멍(65) 또는 유출구멍(67)을 개폐하여, 상기 실시예(10)와 같은 효과를 부여하며, 부품 갯수가 감소하여 염가로 되는 동시에, 실시예 10에 있어서, 유입밸브(1177)에 설치 불량에 의한 물이 새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2)
또한, 상기 실시예 10, 11에서는 중케이스(71) 천정면이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케이스(71)의 천정면에 기포가 남기 쉽고, 정량실(64)에 괴이는 물이량이 불균일하게 되기 쉽고, 그 대책으로 한 실시예 12를 제18도로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중케이스(71)의 천정면에는, 공기 배출부(74)로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면(179)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케이스(71) 천정면에 남은 기포는 모두, 경사면(179)을 따라서, 공기 배출부(74)에서 물탱크(59)내로 배출되어, 정량실(64)내는 물로 채워지므로, 급수량이 보다 균일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13)
또한 상기 실시예 10, 11, 12에서는, 위 케이스(72)내의 공기를 빠지게 하는 공기 배출 구멍(170)은 위 케이스(72)의 천정면에 뚫어 설치한 것을 표시하였으나, 이 구조에서는 물탱크(59)내의 물이 위케이스(72)내에 유입할 때, 일부 물탱크(59)내의 물이 정수필터(73)를 통과하지 않고, 공기 배출 구멍(170)에서 위 케이스(72)내로 들어가 정량실(64)에 유입하기 때문에, 정수핀터(73)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이 대책으로 한 실시예 13을 제 19도에서 설명을 한다.
도면에 있어서, 170은 위 케이스(72)의 천정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공기 배출 구멍이며, 물탱크(59)내의 수위보다 높게 연장하므로서, 물은 모두 정수필터(73)를 통과하여 정량실(64)로 들어가기 때문에, 정수필터(73)의 능력을 충분히 뽑아낼 수가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1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시예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가지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장치를 내장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내의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킬 때, 상기 유출 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물 탱크 이래편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밸브위치에 맞대이는 맞대임부 근처가,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갖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밀폐된 물탱크내로 정량실은 설치하였기 때문, 공기중 부유균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미끈 미끈하거나 부패될 가능성이 적어지는 동시에, 청소,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청구범위 제2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 윗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앱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이 냉장고의 도어의 개폐 스위치와 연동하여, 이 도어가 열린때는 상기 유출 밸브를 닫은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안전성이 향상할 뿐만 아니라 물탱크의 무리한 제거에 의한 파손이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3항의 자동 제빙장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 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누납실로부터 제빙실로의 수로에 있어서 개방형의 수로를 형성하여, 프론트 밸브에서 이 수로의 출구의 개폐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급수장치와 제빙접시의 수평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도, 또한 급수관의 감아붙임이 곤란한 구성인 때라도, 급수가 가능해지고, 또한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공기 누설이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1항에 기재된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연결 기구를 거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구멍으로 하였으므로, 솔레노이드에 물방울이 침입할 가능성이 적어져,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 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와,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해결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이 구동수단과 연동하여 작용하는 가요성의 고무의 한끝을 상기 수납실로부터 제빙실로의 수로에 있어서 형성한 개방형의 수로의 일단과 끼워맞춘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솔레노이드와 개방형의 수로를 가요성의 고무로 밀폐하였기 때문에, 물의 침입이 없어져 솔레노이드의 이상 정지가 없어진다.
청구범위 제6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의 기재의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수납실로부터 제빙실로의 수로의 일부에 냉기의 통풍을 막는 물의 괴임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수로의 일부에 물의 괴임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냉기의 통풍을 막고, 성애의 성장을 없앨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7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정량실 또는 물탱크와 개방형의 수로를 냉기의 통풍을 막도록 밀폐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물탱크와 개방형의 수로를 밀폐 구조로 접촉시켰기 때문에, 냉기의 통풍을 막고, 성애의 성장을 없앨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8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개방형의 수로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의 수로와 거의 동일형상의 청소 접시를 상기 수로에 두고 가요성의 고무의 한끝과 끼워맞춘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개방형의 수로와 거의 동일형상의 청소접시를 두었기 때문에, 청소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9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5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정량실내에 있어서, 자성체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리이드 SW가 있는 일정시간 이상 ON 인때는 물이 들어있지 아니한 것을 검지한다.
청구범위 제10항의 자동 제빙장치는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 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추고, 상기 물의 유입시에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 조립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구멍 및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 중게이스의 유입 구멍부에 끼워설치된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입밸브, 이 중케이스의 윗부분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 필터를 구비하는 위 케이스와, 상기 캡 및 위 캡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서, 상기 유입구멍, 유출 구멍을 개폐한다.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 밸브를 갖는 연동 샤프트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공중부유균이 침입하는 일이 없고, 미끈미끈함이나 부패를 방지함과 함께, 식품에서 물로의 냄새의 이동이 방지된다.
다시, 솔리노이드로 급수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펌프의 소음이 없는 이상, 유입 밸브, 유출 밸브를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성형하고 있으므로, 개폐 시의 소음도 적을 수 있고, 저소음으로 됨과 함께, 물이 새는 것도 확실하게 없애고, 급수량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극히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청구범위 제13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 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다른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윗편에 설치되어, 우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에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 조립과, 이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구멍 및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 중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 필터를 구비하는 위 케이스와, 상기 캡 및 위 케이스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는 연동샤프트, 이 연동 샤프트에 끼워설치하여,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므로서, 상기 유입·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입밸브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제10항의 효과에 더해서, 부품수의 감소에 의한 저코스트화가 되어 다시 유입 밸브의 설치 부량에 의한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청구범위 제11항에 및 제14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10항 및 제13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중케이스의 천정면에 공기 배출 구멍으로 향해서 높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정량실에 유입 구멍에서 물이 유입할 때, 공기가 천정면에 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수량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12항 및 제15항의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는 제10항 및 제13항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 공기 배출 구멍을 원통형상으로 높게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물탱크내의 물이 위 케이스 내로 유입할 때, 모두 정수 필터를 통과하므로 정수효과가 충분힌 끌어내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5)

  1.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 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 보다도 윗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장치를 갖는 정렬 장치를 내장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내의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킬 때, 상기 유입밸브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 아래편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밸브장치에 맞대이는 맞대임부 근처가 물의 침입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갖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2.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도 윗편에 설치되고,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에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 장치를 갖는 정량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 상기 밸브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이 냉장고의 도어의 개폐 스위치와 연동하여, 이 도어가 열렸을 때는 상기 유출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3.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 윗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밸브방치를 갖는 정량장치와, 물탱크와,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실로부터 제빙실로의 수로에 있어서 개방형의 수로를 형성하여, 프론트 밸브에서 이 수로의 출구의 개폐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를 구동하는 상기 구동 수단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결기구를 거쳐서 상하 방향으로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5.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로 물을 공급하는 자동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 윗편에 설치되어 ,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는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와, 상기 한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해방하므로서 상기 한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이 구동 수단과 연동해서 작용하는 가요성 고무의 일단을 상기 수납실에서 제빙실의 수로에 있어서 형성한 개방형의 수로의 일단과,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의 수납실로부커 상기 제빙실로의 수로의 일부에 냉기의 통풍을 방지하는 물 저장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급수장치의 상기 정량실 또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개방형의 수로를 냉기의 통풍을 방지하도록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의 개방형 수로에서, 상기 개방형의 수로와 거의 동일형상의 청소 접시를 상기 수로에 두고 가요성 고무의 한끝과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장치의 상기 정량실내에서 자성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0.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접시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 보다도 위편에 설치되어,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추고, 상기 물의 유입시에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구비한 물탱크 조립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이 유출 구멍을 개폐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 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 구멍 및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 중케이스의 유입 구멍부분에 끼워 설치된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입 밸브, 이 중케이스의 윗부분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위 케이스와, 상기 캡 및 위 캡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 운동을 하므로서, 상기 유입 구멍, 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고무등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 밸브를 갖는 연동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케이스의 상부면에 공기 배출 구멍으로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을 원통형상으로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3. 제빙실에 설치된 자동 제빙장치의 제빙 접시에 물을 공급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과는 별도의 수납실에 이 제빙실보다 윗편에 설치되의 유입·유출 구멍을 각각 막는 유입·유출 밸브를 갖고, 상기 물의 유입시에 이 유출 밸브를 닫고, 유출시는 이 유입 밸브를 닫는 정량실을 갖춘 물탱크조립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이 유출 구멍을 개방하므로서 상기 정량실의 물을 상기 유출 구멍에서 상기 제빙 접시로 공급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유출 구멍을 갖는 캡과, 이 캡에 체결한 정량실, 유입 구멍 및 원통형상의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중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중케이스와, 이중케이스의 윗부분에 설치된 공기 배출 구멍, 정수필터를 구비하는 위케이스와, 상기 캡 및 위 케이스에 보존되어, 상하로 미끄럼운동하는 연동샤프트, 이 연동샤프트에 끼워 설치하여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므로서, 상기 유입·유출 구멍을 개폐하는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유출입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케이스의 상부면에 공기 배출 구멍으로 향해서 높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을 원통형상으로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빙장치 급수
KR2019960034259U 1992-10-23 1996-10-18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KR9700006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613492 1992-10-23
JP92-286134 1992-10-23
JP31197092A JP3207274B2 (ja) 1992-10-23 1992-11-20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JP92-311970 1992-11-20
KR9316393 1994-08-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398A Division KR100346369B1 (ko) 1993-08-24 1993-08-24 산화물음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676Y1 true KR970000676Y1 (ko) 1997-02-05

Family

ID=2733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4259U KR970000676Y1 (ko) 1992-10-23 1996-10-18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6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547A (en) Refrigerator having a water dispensing system in which a water reservoir is automatically refilled when its water level is low
US4067663A (en) Sewage pump priming system
JPH03137473A (ja) 冷蔵庫
US5297939A (en) Automatic control for bilge & sump pump
WO2007148423A1 (ja) 製氷機用給水装置
JP3207274B2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US7896976B2 (en) Ventilation device for the discharge pipe of a water supply household appliance
KR100216327B1 (ko) 자동 제빙장치 및 냉장고
KR970000676Y1 (ko) 자동 제빙 장치의 급수 장치
JP3577099B2 (ja) 自動製氷装置
JP3063607B2 (ja) 自動製氷装置、及び冷蔵庫
CN216924722U (zh) 一种自动挡水装置及除湿机
JP2874087B2 (ja) 製氷装置
JP3204790B2 (ja) 自動製氷装置の給水装置
EP1190983B1 (en) Refrigerated water dispenser for domestic refrigerators
KR100469860B1 (ko) 압축에어 장치용 응축수 배출기
JP3108855B2 (ja) 製氷装置
JP3307376B2 (ja) 冷蔵庫の給水装置
WO2023227073A9 (zh) 自动换水组件及自清洁维护站
JP2000220928A (ja)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および給水装置
JP3038307B2 (ja) 冷蔵庫の給水装置
JP4680629B2 (ja) 製氷機
JP3103713B2 (ja) 製氷装置
KR200339301Y1 (ko) 제빙기의 드레인유닛
KR101789470B1 (ko) 볼 플로트 트랩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