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342Y1 - 열접착장치 - Google Patents

열접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342Y1
KR970000342Y1 KR2019910016387U KR910016387U KR970000342Y1 KR 970000342 Y1 KR970000342 Y1 KR 970000342Y1 KR 2019910016387 U KR2019910016387 U KR 2019910016387U KR 910016387 U KR910016387 U KR 910016387U KR 970000342 Y1 KR970000342 Y1 KR 970000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eating
frame
rollers
heat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6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452U (ko
Inventor
쇼오지 유야마
Original Assignee
쇼오지 유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지 유야마 filed Critical 쇼오지 유야마
Priority to KR2019910016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342Y1/ko
Publication of KR930008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65B51/28Rollers for produc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eam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열접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열접착장치 일실시예의 부분절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열접착로울러의 쌍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열접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제6도는 선행기술의 열접착장치의 사시도.
제7도는 선행기술의 열접착장치의 개략도.
본 고안은 열용융박판종이시트(heat-fusing laminated paper sheet)의 열접착(heatsealing)을 위한 열접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6도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각각 원형가열표면(32) 및 축방향 가열표면(33)을 가지는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를 가지고 있는 선행기술의 열접착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폭방향으로 반 접혀있는 열전단발판종이시크(P)를 가열로울러(R1 및 R2) 사이에 삽입하여 가열표면(32) 양쪽으로 겹친 측면모서리를 열접착하고 또한 축방향 가열표면(33)으로 시트폭쪽을 열접착시킨다.
이러한 열접착장치에 있어서는 모우터(M)의 회전이 가열로울러(R1)의 하나에 전달되고 로울러(R1)의 회전이 상호 맞물려있는 기어(31)를 통해 다른 가열로울러(32)에 전달된다.
가열로울러(R1 및 R2)가 상호 접촉하고 있으면 박판종이시크(P)를 그 사이에 삽입하는것이 대단히 어렵다.
더욱이, 종이를 삽입할 때 삽입하는 자의 손이 가열로울러(R1 및 R2) 사이에 끼일 수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의 열접착장치는 걔폐가 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가 개방된 상태에서 종이삽입 작업이 수행된다.
가열로울러(R1 및 R2)를 개방하는데 있어서는, 만약 연결기어(31)들이 상호 이탈된다면, 한쌍의 가열로울러상의 축방향 가열표면(33)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것이다.
따라서 기어(31)들을 상호 이탈시킬 정도로,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가 크게 개방되지 않도록 주의를 하여야 한다.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러한 선행기술의 열접착장치는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를 갖되, 이때 하나의 가열로울러(R1)는 고정되어 있으며, 반면 다른 하나의 가열로울러(R2)는 기어(31)들로부터 먼쪽의 단부가 0점 주위를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가 개방되어 있을 때 그들 사이의 공간이 매우 작아 그 사이에 종이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방지하고 한쌍의 가얼로울러 사이에 종이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열접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쌍의 가열로울러 사이에 종이시트를 삽입함에 있어서, 축이음장치는 이탈되고, 분리된 프레임의 쌍은 상호간에 대해 개빙되어진다. 분리된 프레임의 개방 및 폐쇄동작의 중심이 연결기어의 피치점을 통과하는 맞물림선(meshing line)의 외측단부상에 또는 상기 외측단부의 약간 바깥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분리된 프레임이 넓게 개방되어진다고 해도, 연결 기어는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한쌍의 가열로울러 사이의 매우 큰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종이시트는 매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가 직각 프레임(1)내에 장착된다. 가열로울러(R1 및 R2)는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원통형 가열표면(2) 및 상기 한쌍의 가열표면(2) 사이에 축방향 가열표면(3)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는 각각 상단 프레임(5) 및 하단 프레임(6)상에 지지되어 있는 베어링(7)에 의해 회전하도록 지지된 상단 및 하단로울러 샤프트(4)를 가지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단 프레임(5)상에 지지된 베어링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들은 하단 프레임(6)상에 지지된 베어링(7)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지되고 있다.
제3도는 베어링(7)이 어떻게 하단 프레임 상에 지지되는 가를 보여주고 있다.
가렬로울러(R1)의 로울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7)은 유도구멍(8)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되고 유도구멍(8)의 폐쇄된 끝단 접촉하고 있는 교대에 의해 정위치하고 있다.
다른 가열로울러(R2)의 로울러 샤프트(4)를 지지하는 베어링(7)은 가열로울러(R1)의 로울러 샤프트(4)를 지지하는 베어링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유도구멍(9)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스프링(10)은 각 유도구멍(9)내에 장착되어 상기 베어링(7)이 가열로울러(R1)를 지지하는 베어링(7)쪽으로 가도록 하여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를 각각에 대하여 가압한다.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의 상단 로울러 샤프트(4)가, 상단 프레임(5)을 관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상단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연결기어(11)가 샤프트(4)의 돌출되어 있는 단부상에 장착되고, 각각 맞물림 연결(meshing engagement)되어 있다.
베벨기어(12)는 가열로울러(R1)의 상단 로울러 샤프트 상에 장착되어 있다. 베벨기어(12)는 모우터(13)에 의해 회전되는 베벨기어(14)와 맞물려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13)를 구동시키면 가열로울러(R1)가 회전한다.
로울러 R1의 회전은 맞물림연결기어들(11)을 통해 다른 가열로울러 R2에 전달된다.
로울러 프레임(1)은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 사이의 접촉선을 따라 우측 및 좌측프레임(1a 및 1b)으로 나누어진다.
분리된 프레임들(1a 및 1b)은 2쌍의 힌진 부품을 이동시키는데 한쌍은 상단 프레임(5)의 앞이고 다른 것은 뒷부분이다.
힌지 프래이트(15)의 각 쌍은 핀(16)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핀(16)의 중심축은 연결기어(11)의 피치점을 통과하는 맞물림선의 외측단부 상에 위치한다.
본 면세서에서, 피치점이란 한쌍의 기어들(11)의 피치 서클들(제2도에 실선으로 나타난 두개의 원)의 교점(2개)을 의미하고, 맞물림선은 이점을 통과하는 축방향 직선(특, 제4도 및 제5도에서 기어들(11)사이에 연장되는 수직선)을 의미한다.
맞물림선의 외측단부는 상기 맞물림선이 상기 기어들(11)의 외부표면과 교차하는 점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핀(16)의 중심축이 외측단부에 상에 위치하나 이점보다 약간 높을 수도 있다.
연장장치(17)가 분리된 프레임(1a 및 1b)들의 하부 상에 장착되어, 분리된 프레임(1a 및 1b)들을 폐쇄상태로 유지한다.
연결장치(17)는 캐취(catch : 18) 및 훅킹장치(19)를 포함한다.
캐취(18)는 분리된 프레임(1a)의 표면 상에 장착되어 있다.
훅킹장치(19)는 제어레버(20) 및 양쪽끝이 제어레버(20)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고 캐취(18)과 맞물리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형 맞물림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제어레버(20)는 그 머리끝 부분이 다른 분리된 프레임(1b)의 바닥표면 상에 회전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열접착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한싸의 분리된 프레임(1a 및 1b)의 하나 즉, 가열로울러(R1)를 지지하는 분리된 프레임(1a)은 예를들면 기계 래퍼(machine wrapper)의 프레임 상에 장착된다.
연결장치(17)를 이탈시키고 다른 분리된 프레임(1b)의 하부를 당김으로써 다른 분리된 프레임(1b)은 핀을 자신의 개방위치로 선회시킨다.
다른 분리된 프레임(1b)의 회전 중심이 연결기어(11)의 피치점을 통과하는 맞물림선의 외측단부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맞물려 있는 외측 단부에서 상호 관력해서 각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분리된 프레임(1b)이 바깥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더라도 연결기어(11)는 맞물려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한쌍의 가열로울러(R1 및 R2) 사이에 매우 큰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서 가열로열러(R1 및 R2) 사이로 종이시트를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도는 열접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연결기어(11a)는 상호 맞물려 있고 보조연결기어(11b)는 가얼로열러(R1 및 R2)의 상단 로울러 샤프트(4)상에 장착된다.
분리된 프레임(1a 및 1b)은 보조연결기어(11b)의 피치점을 통과하는 맞물림선의 외측단부 상에 위치한 개방 및 폐쇄 운동의 중심축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리된 프레임을 개방시킴으로써 한쌍의 가얼로열러(R1 및 R2)사이에 종이삽입을 위한 보다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로울러(R1 및 R2)의 각각은 동시에 2개의 래퍼를 형성하기 위해 상호 대향하여 위치한 2개의 축방향 가열표면(3)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가얼로열러(R1 및 R2)는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각 로울러는 1개의 래퍼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축방향 기열표면(3)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축방향 가열표면(3)은 동시에 3개의 래퍼를 형성하기 위해 120도 간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로울러 프레임 및, 그 로울러 프레임에 양단부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그 일단부에는 연동하여 회전하기 위한 기어를 구비한 한쌍의 가열로울러 이루어지고, 상기 로울러 프레임을 한쌍의 가열로울러의 접촉선을 따라 분할하고, 그 한쌍의 분할된 프레임의 일단부를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한쌍의 분할된 프레임의 타단부간에는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한 연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분할된 프레임의 회전중심축은, 상기 연동회전을 위한 기어의 피치점을 통과하는 맞물림선의 외측단부 또는 맞물림선상의 기어외측으로의 소정거리범위내의 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장치.
KR2019910016387U 1991-10-05 1991-10-05 열접착장치 KR970000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387U KR970000342Y1 (ko) 1991-10-05 1991-10-05 열접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6387U KR970000342Y1 (ko) 1991-10-05 1991-10-05 열접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52U KR930008452U (ko) 1993-05-24
KR970000342Y1 true KR970000342Y1 (ko) 1997-01-16

Family

ID=1932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6387U KR970000342Y1 (ko) 1991-10-05 1991-10-05 열접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3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452U (ko) 199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215A (en) Sealing device
KR970000342Y1 (ko) 열접착장치
EP1035020A1 (en) Binding machine with tape
JP3057030B2 (ja) ヒートシール装置
JPH0738105Y2 (ja) ヒートシール装置
CA2731543C (en) Sealing device and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JP2569926B2 (ja) 扉密閉装置
KR101078254B1 (ko) 패널 절곡장치
JP4434409B2 (ja) 屋根板の立ちハゼ継ぎ部の切断機
CN214566620U (zh) 一种包装机的压轮机构
CN213975675U (zh) 一种切割机送料机构
JP2534772Y2 (ja) 自動壁紙糊付機
JPS6218587Y2 (ko)
TWI304104B (en) Dobby and weaving loom equipped with such a dobby
JPS59105491A (ja) ミシンのホイ−ル搬送装置
CN209838931U (zh) 铰链联动机构
JPH0551477B2 (ko)
JPS6330754Y2 (ko)
JPS6029084Y2 (ja) カセツトホルダ−のダンパ−装置
JPH0350127Y2 (ko)
JPS61155861U (ko)
CN118047250A (zh) 卷材对边控制装置
JPS5841451Y2 (ja) 記録計器
JPH0637917Y2 (ja) アジロ装置駆動機構
JPH0551712U (ja) ヒート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