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48Y1 -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48Y1
KR970000148Y1 KR2019940001216U KR19940001216U KR970000148Y1 KR 970000148 Y1 KR970000148 Y1 KR 970000148Y1 KR 2019940001216 U KR2019940001216 U KR 2019940001216U KR 19940001216 U KR19940001216 U KR 19940001216U KR 970000148 Y1 KR970000148 Y1 KR 970000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nc
cable
uni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080U (ko
Inventor
박영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1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148Y1/ko
Publication of KR950024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09G1/165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using a CRT,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1/167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C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2Graphics controller able to handle multiple formats, e.g. input or output for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제1도는 종래 비앤씨/디서브 절환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에 따른 신호스위칭부의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비앤씨케이블 12 : 디서브케이블
13 : 신호버퍼부 14 : 수평/수직신호판별부
15 : 영상전치증폭부 16 : 마이크로컴퓨터
17 : 신호스위칭부 17-1 : 비앤씨스위칭부
17-2 : 디서브스위칭부
본 고안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선택버튼의 간단한 반복조작으로 필요한 비앤씨신호 또는 디스브신호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앤씨/디서브 절환회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퍼스널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된 비앤씨신호(R, G, B, H, V)를 전달하는 비앤씨케이블(1)과, 상기 퍼스널컴퓨터에서 발생된 디서브 신호(R, G, B, H, V)를 전달하는 디서브케이블(2)과, 상기 비앤씨케이블(1)이 전달하는 비앤씨신호(R, G, B, H, V)에 포함되어 있는 색신호(R, G, B) 또는 상기 디서브케이블(2)이 전달하는 디서브신호(R, G, B, H, V)에 포함되어 있는 색신호(R, G, B)를 전달하는 신호버퍼부(3)와, 상기 신호버퍼부(3)가 전달하는 색신호(R, G, B)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영상전치증폭부(5)와, 상기 비앤씨케이블(1)이 전달하는 비앤씨신호에 포합된 수평/수직신호(H, V) 또는 디서브케이블(2)이 전달하는 디서브신호에 포함된 수평/수직신호(H, V)에 대해 수평/수직판별동작을 수행하는 수평/수직신호판별부(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비앤씨케이블(1) 또는 디서브케이블(2)에 있어서, 사용자는 퍼스널컴퓨터의 환경에 따라 비앤씨신호가 필요한 때는 비앤씨케이블(1)을 신호버퍼부(3)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접속하고, 반대로 디서브신호가 필요할 때는 상기 비앤씨케이블(1)을 신호버퍼부(3)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4)로부터 분리하고 디서브케이블(2)을 신호버퍼부(3)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접속해야 하며, 비앤씨케이블(1)과 디서브케이블(2)을 동시에 접속하여 원하는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를 얻을 수는 없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가 신호버퍼부(3)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비앤씨케이블(1)을 연결하면, 퍼스널컴퓨터의 비앤씨신호(R, G, B, H, V)가 상기 비앤씨케이블(1)을 통해 신호버퍼부(3)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전달되는데, 이때 그 비앤씨신호의 색신호(R, G, B)는 신호버퍼부(3)를 통해 영상전치증폭부(5)에 전달되어 일정레벨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색신호(R, G, B)가 브라운관(도시되지 않음)의 케소드에 가해지며, 비앤씨신호(R, G, B, H, V)에 포함되어 있는 수평/수직신호(V, H)는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전달되어 그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서 수평신호인지 수직신호인지가 판별된다.
이제, 사용자가 디서브신호가 필요하여 신호버퍼부(3)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연결된 비앤씨케이블(1)을 그 신호버퍼부(3) 및 수평/수직판별부(4)로부터 분리하고 디서브케이블(2)을 연결하면, 퍼스널컴퓨터의 비앤씨신호(R, G, B, H, H, V)가 상기 대서브케이블(2)을 통해 신호버퍼부(3)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전달되는데, 이때 그 디서브신호의 색신호(R, G, B)는 신호버퍼부(3)를 통해 영상전치증폭부(5)에 전달되어 일정레벨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색신호(R, G, B)가 브라운관의 캐소드에 가해지며, 디서브신호의 수평/수직신호(V, H)는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 전달되어 그 수평/수직신호판별부(4)에서 수평신호인지 수직신호인지가 판별된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종래에는 비앤씨케이블과 디서브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하여 쉽게 사용할 수 없으므로 퍼스널컴퓨터의 환경에 따라 둘중에서 필요한 하나의 케이블만을 신호버퍼부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에 접속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즉 비앤씨신호가 필요할 때는 비앤씨케이블을 접속하고, 그리고 디서브신호가 필요할 때는 접속된 비앤씨케이블을 분리하고 디서브케이블을 접속해야 하는 등 매번 필요시마다 케이블을 수동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하여 번갈아 바꾸어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퍼스널컴퓨터의 환경에 따라 일일이 수동적으로 케이블을 접속 또는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하여 외부에서의 간단한 키조작(가령, 선택버튼을 누름)으로 원하는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를 쉽게 얻을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는, 퍼스널컴퓨터에서 발생된 비앤씨신호를 전달하는 비앤씨케이블과, 상기 퍼스널컴퓨터에서 발생된 디서브신호를 전달하는 디서브케이블과, 외부의 선택버튼이 눌려 질 때마다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를 통해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비반전출력단자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앤씨케이블이 전달하는 비앤씨신호를 선택하고 그리고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디서브케이블이 전달하는 디서브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스위칭부와, 상기 신호스위칭부 에 의해 선택된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색신호만을 전달하는 신호버퍼부와, 상기 신호버퍼부에 의해 전달된 색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영상전치증폭부와, 상기 신호스위칭부에서 선택된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수평/수직신호에 대해 수평/수직판별동작을 수행하는 수평/수직신호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외부 선택버튼을 한번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가 이를 감지하여 비반전출력단자를 통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반전출력단자를 통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신호스위칭부로 보낸다.
그러면 신호스위칭부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된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비앤씨케이블이 전달하는 비앤씨신호와 디서브케이블이 전달하는 디서브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를 선택하고, 신호버퍼부는 상기 신호스위칭부에서 선택된 비앤씨신호의 색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색신호를 영상전치증폭부로 전달하여 그 영상전치증폭부로 하여금 상기 색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게 한다.
그리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는 상기 신호스위칭부에서 선택된 비앤씨신호의 수평/수직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수평/수직신호에 대해 수평/수직판별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비앤씨케이블과 디서브케이블 모두를 신호버퍼부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에 접속하고서 사용자의 외부 선택버튼의 간단한 조작으로 두 케이블중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작용을 갖는 본 고안에 대하여 하나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낸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외부선택보튼의 조작에 따라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를 자동절환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2도에서 비앤씨케이블(11)을 통해 비앤씨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가 신호버커부(13)에 그리고 그 수평/수직신호(B, V)가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에 입력되고, 디서브케이블(12)을 통해 디서브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가 신호버퍼부(13)에 그리고 그 수평/수직신호(H, V)가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에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의 선택버튼을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16)가 이를 감지하여 자기의 반전출력단자를 통해 신호스위칭부(17)로 로우상태의 선택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6)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로우상태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은 신호스위칭부(17)는 비앤씨신호는 소멸시키고 디서브신호를 선택하여 신호버퍼부(13)로 하여금 선택된 그 디서브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를 영상전치증폭부(15)에 보내게 한다. 그러면 영상신호증폭부(15)는 상기 신호버퍼부(13)로부터의 색신호(R, G, B)를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는 상기 디서브신호(R, G, B, H, V)의 수평/수직신호(H, V)에 대해 수평신호인지 수직신호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비앤씨신호가 필요하여 사용자가 외부의 선택보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16)가 이를 감지하여 자기의 비반전출력단자를 통해 신호스위칭부(17)로 로우상태의 선택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6)의 비반전출력단자로부터 로우상태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은 신호스위칭부(17)는 디서브신호는 소멸시키고 비앤씨신호를 선택하여 신호버퍼부(13)로 하여금 선택된 그 비앤씨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를 영상전치증폭부(15)에 보내게 한다.
그러면 영상신호증폭부(15)는 상기 신호버퍼부(13)로부터의 색신호(R, G, B)를 일정레벨로 증폭하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는 상기 비앤씨신호(R, G, B, R, V)의 수직/수직신호(H, V)에 대해 수평신호인지 수직신호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동작을 수행한다.
이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6)의 선택신호에 따라 신호스위칭부(17)가 비앤씨케이블의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케이블의 디서브신호를 소멸시키거나 선택하는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앞서 기술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사용자가 외부의 선택버튼을 한번 누르면, 마이크로컴퓨터(16)가 이를 감지하여 자신의 비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신호를 그리고 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로우신호를 내보낸다.
이때 비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된 하이신호는 신호스위칭부(17)의 비앤씨스위칭부(17-1)에 입력되어 바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따라서 그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2)도 온되어 그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2)은 그 저항값의 미소함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거의 단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C1)를 통해 상기 신호스위칭부(17)의 저항(R2)과 연결되어 있는 제2도의 신호버퍼부(13)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는 비앤씨케이블(11)로부터 입력된 비앤씨신호(R, G, B, H, V)가 상기 저항(R2)에서의 전기적 단락으로 로우레벨(가령, 0.2V)로 다운됨에 따라 영상전치증폭부(15)에 색신호(R, G, B)를 공급해 줄 수 없게 되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에서는 수평/수직신호(H, V)에 대한 신호판별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비반전출력단자(Q)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된 로우신호는 신호스위칭부(17)의 디서브스위칭부(17-2)에 입력되어 바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따라서 그 티랜지스터(Q3)이 컬렉터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4)도 오프되어 그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 저항(R4)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그 저항(R4)은 전기적으로 단락상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콘덴서(C2)를 통해 상기 저항(R4)과 연결되어 있는 제2도의 신호버퍼부(13)에 입력된 비앤씨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는 영상전치증폭부(15)에 그대로 전달되어 일정레벨로 증폭되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에서는 그 수평/수직신호(H, V)에 대한 신호판별동작을 수행한다.
이제, 사용자가 외부의 선택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와는 반대로 마이크로컴퓨터(16)의 비반전출력단자(Q)에서 로우신호가, 그리고 반전출력단자(Q)에서 하이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16)의 비반전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로우신호는 신호스위칭부(17)의 비앤씨스위칭부(17-1)에 입력되어 바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2)도 오프되어 그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 저항(R2)에 걸린 신호버퍼부(13)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17)로부터의 비앤씨신호는 소멸되지 않고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버퍼부(13)에 입력된 비앤씨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는 영성전치증폭부(15)에 전달되어 그 영상전치증폭부(15)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반전출력단자(Q)에 출력된 하이신호는 신호스위칭부(17의 디서브스위칭부(17-2)에 입력되어 바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가해지므로 트랜지스터(Q3)가 온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Q4)도 온되어 그 트랜지스터(Q4)의 컬렉터단자에 연결된 저항(R4)에 걸린 신호버퍼부(13) 및 수평/수직신호판별부(17)로부터의 디서브신호는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버퍼부(13)에 입력된 디서브신호(R, G, B, H, V)의 색신호(R, G, B)는 신호스위칭부(17)에 의해 차단되어 영상전치증폭부(15)에 전달되지 못하게 되고, 수평/수직신호판별부(14)에서는 수평/수직신호(H, V)에 대한 신호판별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비앤씨신호와 디서브신호의 절환 이외에 음성신호와 고주파 디지탈신호의 절환에도 응용가능하며, 그리고 종래에는 필요에 따라 비앤씨케이블 또는 디서브케이블을 선택하여 일일이 신호버퍼부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에 연결하여야 했으나 본 고안은 비앤씨케이블과 디서브케이블을 동시에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에서 선택버튼을 간단히 선택버튼을 간단히 조작하면 편리하게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를 신호버퍼부와 수평/수직신호판별부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신호절환동작이 매우 간편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퍼스널컴퓨터에서 발생된 비앤씨신호를 전달하는 비앤씨케이블과, 상기 퍼스널컴퓨터에서 발생된 디서브신호를 전달하는 디서브케이블과, 외부의 선택버튼이 눌려 질 때마다 하이신호 및 로우신호를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를 통해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비반전출력단자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비앤씨신호를 선택하고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오우신호가 입력되면 디서브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스위칭부와, 상기 배앤씨케이블에 의해 전달된 비앤씨신호의 색신호와 디스브케이블에 의해 전달된 디서브신호의 색신호중에서 상기 신호스위칭부에 의해 선택된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색신호만을 전달하는 신호버퍼부와, 상기 신호버퍼부가 전달하는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색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영상전치증폭부와, 상기 신호스위칭부에서 선택된 비앤씨신호 또는 디서브신호의 수평/수직신호에 대해 신호판별동작을 수행하는 수평/수직신호판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진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스위칭부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비앤씨신호를 선택하거나 소멸시키는 비앤씨스위칭부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디서브신호를 선택하거나 소멸시키는 디서브스위칭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KR2019940001216U 1994-01-22 1994-01-22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KR970000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216U KR970000148Y1 (ko) 1994-01-22 1994-01-22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216U KR970000148Y1 (ko) 1994-01-22 1994-01-22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80U KR950024080U (ko) 1995-08-23
KR970000148Y1 true KR970000148Y1 (ko) 1997-01-06

Family

ID=1937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216U KR970000148Y1 (ko) 1994-01-22 1994-01-22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1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403B1 (ko) 2020-07-24 2021-02-08 (주)주안전기 전선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080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2241C (en) Audio switching for an audio/video system having s-video capability
WO1979000745A1 (en) Tv graphics and mixing control
US6226053B1 (en) Video line connection apparatus for adaptively connecting external input/output line
KR100263951B1 (ko) 상호 연결 시스템용 장치
KR970000148Y1 (ko)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비앤씨/디서브 자동절환회로
US4361854A (en) Video switch for a VTR-compatible television receiver
CA1212466A (en) Television receiver muting apparatus
PL165157B1 (pl) U k l a d t e l e w i z y j n e g o m o n i t o r a o b r a z u k o l o r o w e g o PL PL PL PL
KR100223206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출력신호 선택방법 및 그 장치
US5262859A (en) Video signal transmitter/receiver
JPH06233203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256711Y1 (ko) Av기기의 연결 상태 표시장치
EP0501412B1 (en) Signal line changeover circuit
KR100220597B1 (ko) 고품위 텔레비젼(hdtv)의 오디오 출력 자동 절환장치
KR910002436Y1 (ko) 영상 음성신호 선택회로
JP2748481B2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200156522Y1 (ko) 모니터에 있어서 비디오 입력 선택회로
JPH067654Y2 (ja) カラ−デイスプレイ装置
KR950009584B1 (ko) 캡션신호의 합성출력장치
KR100216199B1 (ko) Vtr 출력 채널 절환장치
KR920008524Y1 (ko) 영상신호 절환회로
JP3282241B2 (ja) 信号切り換え回路
JPS6333357B2 (ko)
KR910009052Y1 (ko) 텔레비젼의 그리인 모니터 절환 회로
JP2000069379A (ja) 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