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24Y1 - 영상신호 절환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절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24Y1
KR920008524Y1 KR2019900015956U KR900015956U KR920008524Y1 KR 920008524 Y1 KR920008524 Y1 KR 920008524Y1 KR 2019900015956 U KR2019900015956 U KR 2019900015956U KR 900015956 U KR900015956 U KR 900015956U KR 920008524 Y1 KR920008524 Y1 KR 920008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luminance
outpu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611U (ko
Inventor
장종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5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24Y1/ko
Publication of KR920008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절환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절환부 2 : 제2절환부
3 : 제1증폭기 4 : 제1임피던스 변환부
5 : 콤필터부 6 : S입력부
7 : 제2증폭기 8 : 제2임피던스 변환부
9 : 제3절환부 10 : 제1지연기
11 : 휘도/색신호 출력부 12 : 제2지연기
본 고안은 텔레비전에 있어서 영상 신호 절환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신호와 S입력신호간의 간섭을 배제한 영상 신호 절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함)나 텔레비젼(이하 TV라 함)혹은 S입력단자[고해상도를 얻기 위한 슈퍼 잭(super jack)]및 위성 방송 수신기가 내장된 케이블 텔레비전의 입력 영상 신호 절환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현되어왔다.
즉, 제1절환부(1)는 TV안테나 혹은 위성 방송 수신기 혹은 VTR의 재생계로 부터 제1및 제2비디오 신호(CV1, CV2)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절환부(2)는 사용자의 조절에 따라 TV 혹은 비디오 신호의 선택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 선택된 비디오 신호 혹은 TV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절환부(2)로 부터 선택되어진 TV 혹은 비디오 신호는 제1증폭기(1)에서 증폭된다.
상기 제1증폭기(3)로 부터 증폭된 신호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4)를 거쳐 콤필터부(5)에서 휘도신호(Y1)와 칼라신호(C1)로 분리 출력된다.
한편 S입력부(6)에서는 휘도 신호(Y2)를 상기 제1절환부(1)의 제1비디오 신호(CV1)입력단을 통해 상시 제1 비디오 신호(CV1)와 함께 입력되도록 하였고, 칼라 신호(C2)는 제2증폭기(7)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한 다음 제2임피던스 변환부(8)를 거쳐 제3절환부(9)로 인가하였다.
상기 S입력부(6)로 부터 출력되어 상기 제1비디오 신호(CV1)와 함께 상기 제1절환부(1)로 입력되는 휘도신호(Y2)는 상기 제2절환부(2)를 거쳐 제1앰프(3)에서 소정 증폭된 후 상기 제3절환부(9)로 입력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제1증폭기(3)의 출력신호, 상기 콤필터부(5)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1)와 색신호(C1), 상기 제2임피던스 변환부(8)의 출력신호를 입력한 상기 제3절환부(9)는 비디오 신호 혹은 S입력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휘도 신호와 칼라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제3절환부(9)로 부터 출력된 색신호는 그대로 상기 휘도/색신호 출력부(11)로 인가되도록 하였으며, 휘도신호는 규격 레벨을 맞추기 위해 제1지연기(10)를 거쳐 소정 지연된 다음 상기 휘도/색신호 출력부(11)로 인가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비디오 신호(CV1)와 S입력부(6)로 부터 휘도신호(Y2)를 통시에 가하는 상태에서는 S입력부(6)로 부터의 휘도신호(Y2)와 제1비디오 신호(CV1)가 겹쳐져 상호 간섭 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정상적인 수신이 불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S입력부(6)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2)가 상기 제1및 제2절환부(1,2)를 거쳐 제1증폭기(3)에서 소정 증폭된후 제3절환부(9)로 공급되는 관계로 상기 S입력부(6)로 부터 출력되는 칼라신호도 증폭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휘도신호와 칼라신호 각각에 엠프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경비 및 회로 구성상의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와 S입력의 휘도신호를 분리 입력하여 상호간섭을 없애 수신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영상 신호 절환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로써, 임의의 제1비디오 신호(CV1)와 제2비디오 신호(CV2)를 입력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절환부(1)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TV혹은 비디오 신호 선택 여부를 절환하여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제2절환부(2)와, 상기 제2절환부(2)출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증폭기(3)와, 상기 제1증폭기(3) 출력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4)와, 상기 제1임피던스 변환부(4) 출력신호를 콤필터링하여 휘도신호(Y1)와 칼라신호(C1)를 분리 출력하는 콤필터부(5)와, 상기 콤필터부(5)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1)를 소정 지연하는 제2지연기(12)와, 슈퍼잭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휘도신호(Y2)와 칼라신호(C2)로분리하여 출력하는 S입력부(6)와, 상기 S입력부(6)출력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제2임피던스 변환부(8)와, 상기 제2지연기(12)로 부터 소정 지연된 휘도신호(Y3)를 입력하며 상기 콤필터부(C1)로 부터 칼라신호(C2)를 입력하고 상기 제2임피던스 변환회로(8)로 부터 출력되는 S입력부(6)를 통한 휘도 및 칼라신호(Y4,C3)를 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 혹은 S입력부(6)로 부터의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3절환부(9)와, 상기 제3절환부 (9)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Y0)와 색신호(C0)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휘도/색신호 출력부(11)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절환부(1)에서 제1및 제2비디오 신호(CV1,CV2)를 선택하여 출력하면 제2절환부(2)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거 상태를 절환하는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 출력되는 TV혹은 비디오 신호를 선택한다.
상기 제2절환회로(2)로 부터 제1증폭기(3)에 입력되어진 TV혹은 비디오 신호는 소정 레벨로 증폭된다.
상기 제1증폭기(3)로 부터 증폭된 신호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4)를 거쳐 콤필터부(5)에서 휘도신호(Y1)와 칼라신호(C1)로 분리 출력된다.
한편 S입력부(6)에서는 휘도 신호(Y2)와 칼라신호(C2)를 분리 출력하여 제2임피던스 변환부(8)를 거쳐 제3절환부(9)로 인가한다.
상기 제3절환부(9)는 상기 제2임피던스 변환부(8)로 부터의 휘도신호(Y4)및 칼라신호(C3)를 입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콤필터부(5)로 부터 출력되는 칼라신호(C1)와 상기 콤필터부(5)로 부터 출력되어 제2지연기(12)를 통해 규정 레벨 값(1Vp-p)만큼 지연된 휘도신호(Y3)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3절환부(9)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비디오 신호 혹은 S입력신호를 선택하여 해당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3절환부(9)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한 휘도/색신호 출력부(11)에서는 최종적으로 휘도신호(Y0)와 색신호(C0)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비디오신호와 S입력신호와의 간섭을 배제토록 함으로써 수신상태가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휘도신호와 칼라신호 각각에 대해 별도로 사용되던 앰프의 수를 하나로 줄임으로써 원가절감 및 회로가 간단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전의 영상신호 절환회로에 있어서, 임의의 제1비디오 신호(CV1)와 제2비디오 신호(CV2)를 입력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절환부(1)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TV혹은 비디오 신호 선택 여부를 절환하여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제2절환부(2)와, 상기 제2절환부(2)출력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증폭기(3)와, 상기 제1증폭기(3) 출력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제1임피던스 변환부(4)와, 상기 제 1임피던스 변환부(4) 출력신호를 콤필터링하여 휘도신호(Y1)와 칼라신호(C1)를 분리 출력하는 콤필터부(5)와, 상기 콤필터부(5)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1)를 소정 지연하는 제2지연기(12)와, 슈퍼 잭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휘도신호(Y2)와 칼라신호(C2)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S입력부(6)와, 상기 S입력부(6) 출력 신호의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제2임피던스 변환부(8)와, 상기 제2지연기(12)로 부터 소정 지연된 휘도신호(Y3)를 입력하며 상기 콤필터부(C1)로 부터 칼라신호(C2)를 입력하고 상기 제2임피던스 변환회로(8)로 부터 출력되는 S입력부(6)를 통한 휘도 및 칼라신호(Y4,C3)를 입력하여 소정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절환부(1)로 부터의 비디오 신호 혹은 S입력부(6)로 부터의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3절환부(9)와, 상기 제3절환부(9)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Y0)와 색신호(C0)를 입력하여 출력하는 휘도/색신호 출력부(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신호 절환회로.
KR2019900015956U 1990-10-20 1990-10-20 영상신호 절환회로 KR920008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956U KR920008524Y1 (ko) 1990-10-20 1990-10-20 영상신호 절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5956U KR920008524Y1 (ko) 1990-10-20 1990-10-20 영상신호 절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11U KR920008611U (ko) 1992-05-20
KR920008524Y1 true KR920008524Y1 (ko) 1992-11-30

Family

ID=193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956U KR920008524Y1 (ko) 1990-10-20 1990-10-20 영상신호 절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611U (ko) 199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81B1 (ko) 통합된 수신기 디코더를 구비하는 텔레비전, 및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와 혼합하는 방법
KR100789548B1 (ko) 티브이의 오디오 출력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5315391A (en) PIP main and subscreen selection from among TV, BS, and VCR playback signals
KR920008524Y1 (ko) 영상신호 절환회로
KR100246708B1 (ko) 자동이득제어회로
US4956712A (en) Apparatus for delaying a sub-aural signal in a television receiver
JPH0121673B2 (ko)
JP292454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50009454B1 (ko) 2페리 잭 시스템
KR940006302Y1 (ko) Vcr의 튜너/라인 녹화/시청 선택회로
KR930004546Y1 (ko) 브이씨알의 문자다중방송 수신회로
KR100218304B1 (ko) 티브이와 브이씨알의 연결장치
KR100477426B1 (ko) 영상및음향의무한반복재생용텔레비젼및그텔레비젼의주요장면에대한영상녹화및재생방법
KR0123219Y1 (ko) 위성 수신기에서의 아날로그 스위칭 회로
KR950007155Y1 (ko) Tv의 가변 출력용 잭 터미날
KR100193595B1 (ko) 위성 방송 데코더 출력 비디오 회로
KR940003459Y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력신호 자동절환회로
KR200152784Y1 (ko) 영상신호 변환 회로
KR100218012B1 (ko) 슬로우 및 반복기능을 갖는 티브이와 티브이의 슬로우 및 반복기능의 제어방법
KR19980027221U (ko) 다중 영상 수신기기의 음성 레벨 조절회로
KR930020387A (ko) 브이씨알 트윈 시스템의 입력 자동 절환장치
KR20000034306A (ko) 텔레비젼의 외부입력선택장치
JPH06311470A (ja) 磁気記録装置
KR19990020637U (ko) 복수의 외부신호출력기능을 갖춘 2-튜너식 텔레비전
JPS6121682A (ja) 受信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