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0560A -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 Google Patents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0560A
KR960700560A KR1019950702845A KR19950702845A KR960700560A KR 960700560 A KR960700560 A KR 960700560A KR 1019950702845 A KR1019950702845 A KR 1019950702845A KR 19950702845 A KR19950702845 A KR 19950702845A KR 960700560 A KR960700560 A KR 960700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complementary
input
output
cas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라지나 에이 파쥬넨
레이몬드 루이스 쥬니어 베레이트
배리 웨인 헤롤드
Original Assignee
존 에이취. 무어
모토롤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에이취. 무어, 모토롤라. 인크 filed Critical 존 에이취. 무어
Publication of KR960700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폴 증폭기 회로는 바이어스 발생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 캐스코드 입력단(416,417), 캐스코드 출력단(410,411),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56,457), 및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451)을 포함한다.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0)에 응답하고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킨다.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2입력(421)에 응답하고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킨다. 캐스코드 출력단(410,411)및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451)은 각각의 입력 신호(420,421)에 응답하여, 그리고 바이어스 제어 전압 및 발생된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l0)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다.

Description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7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상보적 캐스코드 미러 증폭기.

Claims (11)

  1.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집속된 제1입력 신호(420)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노드(427)에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바이어스 발생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접속된 제2입력 신호(421)에 응답하여,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27)에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 제1 및 제2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1입력 신호(420)에 접속되는, 캐스코드 입력단(416,417),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1입력 신호(420)과 발생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1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캐스코드 출력단(410,411), 제1 및 제2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입력을 상기 출력 및 상기 제1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2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56,457), 및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2입력 신호(421) 및 발생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2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4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416,417)은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1형의 제1 및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코드 출력단(410,411)은 또한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1형의 제1 및 제2천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16,417)은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2형의 제1 및 제2전계 효과 트렌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10,411)은 또한 캐스코드 구성으로 접속된 제2형의 제1 및 제2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2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45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453),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45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은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 신호(420)과 상기 제2입력 신호(421)내에 나타나는 공통 모드 신호들은 상기 공통출력 단자(510)에서 발생된 상기 출력 전류 신호 내에서 효과적으로 상쇄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트릭콜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트릭콜 바이어스 발생기(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 및 상기 공통 바이어츠 노드(620)에 접속된 저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1)에 집속된 저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노드(620)내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453)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54,453),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져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버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미러 출력 증폭기(454,453)의 드레인 단자애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디어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스 노드(427)은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에 접속되고, 상기 제1입력 신호(420)과 상기 제2입력 신호(421) 내에 나타나는 공통 모드 신호들은 상기 공통출력 단자(510)에서 발생된 상기 출력 전류 신호 내에서 효과적으로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트릭콜 바이어스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에 접속된 트릭콜 바이어스 발생기(7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0)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입력 신호(420)의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1형의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 상기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1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여, 상기 공통노드 내의 바이어스입력 전류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의 드래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2형의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 및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바이어스 노드(427)을 가지며, 상기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414,413)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12)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는 제1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갖고, 드레인 단자에 제1입력 신호(421)의 전압에 비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전류를 발생하는 제2형의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입력 증폭기(455)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된 제어 입력을 가지며, 상기 공통 바이어스 노드(620) 내의 바이어스 입력 전류에 이례하는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를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발생하는 제1형의 상보적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 및 상보적 다이오드 접속 증폭기(452)의 제어 입력 및 드레인 단자의 접속을 포함하는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67)을 가지며,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전류 미러 출력 증폭기(610)의 드레인 단자에 접속되며, 상보적 바이어스 출력 전류에 응답하여 상보적 자기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형의 상보적 다이어드 접속 증폭기(4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증폭기 회로.
  11.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는 선택호출 신호를 변환하여 목조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무선 신호 내의 정보를 회복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접속되어 이 제어기에 응답하여, 상기 회복된 정보에 따라 경보 표시를 발생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바이어스 제어 입력에 접속된 제1입력 신호(420)에 응답하여, 상보적 바이어스 노드(427)에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을 발생시키는 상보적 바이어스 발생기, 제1 및 제2입력과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1입력 신호(420)에 접속되는, 캐스코드 입력단(416,417), 상기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1입력 신호(420)과 발생된 상기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전류 신호의 제1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캐스코드 출력단(410,411), 제1 및 제2입력파 출력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입력은 상기 출력 및 상기 제1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입력과 상기 제2입력 신호(421)에 접속된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456,457), 및 상기 상보적 캐스코드 입력단의 상기 제1 및 제2입력에 접속된 제1 및 제2입력을 가지며, 상기 제2입력 신호(421) 및 발생된 상기 상보적 바이어스 제어 전압에 응답하여 출력 전류 신호의 제2부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공통 출력 단자(510)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상보적 캐스코드 출력단(450,451)를 포함하는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무선 수신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702845A 1993-11-10 1994-11-10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KR960700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50,930 US5373249A (en) 1993-11-10 1993-11-10 Complementary cascode push-pull amplifier
US08/150,930 1993-11-10
PCT/US1994/013082 WO1995013653A1 (en) 1993-11-10 1994-11-10 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60A true KR960700560A (ko) 1996-01-20

Family

ID=225366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845A KR960700560A (ko) 1993-11-10 1994-11-10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KR1019950702845A KR0140917B1 (ko) 1993-11-10 1994-11-10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845A KR0140917B1 (ko) 1993-11-10 1994-11-10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73249A (ko)
EP (1) EP0682826A4 (ko)
KR (2) KR960700560A (ko)
CN (1) CN1034381C (ko)
CA (1) CA2153586A1 (ko)
WO (1) WO1995013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681A (en) * 1993-11-10 1997-06-17 Motorola, Inc. Boot-strapped cascode current mirror
DE10016445C2 (de) * 2000-03-29 2002-03-28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Ausgangsstufe
US6329878B1 (en) * 2000-08-04 2001-12-1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supply rejection in amplifier rail to rail output stages
ATE303016T1 (de) * 2001-11-22 2005-09-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ildschirmapparat und hochspannungstreiber
DE102005038442B4 (de) * 2005-08-12 2011-11-17 Siemens Ag Gegentaktverstärker mit transformatorischer Gegenkopplung
US7729300B1 (en) * 2005-08-19 2010-06-0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Class-B transmitter and replica transmitter for gigabit ethernet applications
US7541871B2 (en) 2007-05-02 2009-06-02 Micron Technology, Inc.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OTA)
US20090160557A1 (en) * 2007-12-20 2009-06-25 Infineon Technologies Ag Self-biased cascode current mirror
US7694243B2 (en) * 2007-12-27 2010-04-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voiding device stressing
US8847685B2 (en) * 2012-09-14 2014-09-3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Push-pull amplifier and differential push-pull amplifier
US9225303B1 (en) * 2014-07-11 2015-12-29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 AB audio amplifier output stage voltage protection
CN113098404B (zh) * 2021-04-02 2022-08-26 华南理工大学 一种高增益超宽带低噪声放大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9254B (en) * 1987-08-29 1991-07-03 Motorola Inc Current mirror
GB2214018A (en) * 1987-12-23 1989-08-23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Current mirror circuit arrangement
US5170078A (en) * 1990-10-22 1992-12-08 Gould Inc. Highly stable high-voltage output buffer using CMOS technology
FR2672749B1 (fr) * 1991-02-12 1996-11-08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Amplificateur operationnel a transconductance a grande excursion de mode commu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3586A1 (en) 1995-05-18
CN1118640A (zh) 1996-03-13
EP0682826A1 (en) 1995-11-22
KR0140917B1 (ko) 1998-07-15
CN1034381C (zh) 1997-03-26
US5373249A (en) 1994-12-13
WO1995013653A1 (en) 1995-05-18
EP0682826A4 (en)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0560A (ko) 상보적 캐스코드 푸쉬-풀 증폭기(A Differential Amplifier with Common Mode Bias)
KR930015349A (ko) 로그변환회로
KR960039603A (ko) 전위-전류 변환기
EP0173288A3 (en) Voltage level converting circuit
KR920009060A (ko) 연산 증폭기를 안정시키기 위한 보상 회로 및 방법
JPS63194404A (ja) 差増幅器
US72596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asing cascode devices in a differential pair using the input, output, or other nodes in the circuit
US6909327B2 (en) Amplifier
KR950007272A (ko) 차동 증폭기
KR910013690A (ko) 전류증폭회로
KR880010561A (ko) 음성출력증폭기
TW281828B (en) Video differential bus receiver for audio/video interconnection
CA1090892A (en) Differential amplifier
KR960004317B1 (ko) Fm 수신기
TW355882B (en) Gain control circuit and method
KR19990037539A (ko) 전력 증폭 장치
KR960027255A (ko) 시퀀스 제어회로를 구비한 연산증폭기
KR860008690A (ko)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3437944A (en) Three-state amplifier
KR960700561A (ko) 일치된 출력들을 갖는 연산 상호 콘덕턴스 증폭기(An Operational Transconductance Amplifier with Matched Outputs)
KR960043482A (ko) 정밀 전류 미러 회로
US4831337A (en) Wideband amplifier
JPH10126171A (ja) 低オフセットを有する増幅器
KR840002196A (ko) 비데오 신호 dc 성분에 둔감한 주파수 선택성 dc 결합 비데오 신호 제어시스템.
KR19980028169A (ko)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