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22621A -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22621A
KR960022621A KR1019940035612A KR19940035612A KR960022621A KR 960022621 A KR960022621 A KR 960022621A KR 1019940035612 A KR1019940035612 A KR 1019940035612A KR 19940035612 A KR19940035612 A KR 19940035612A KR 960022621 A KR960022621 A KR 960022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ft
latex
rubber
monomer mixture
impac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6399B1 (ko
Inventor
하두한
정하식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40035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399B1/ko
Publication of KR96002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균입경이 0.25~0.40μm정도의 고무와 0.50~1.0μm정도의 고무를 동시에 사용하고, 전체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30∼60중량부와 단량체 혼합물 70-40중량부로 투입하되, 먼저 평균입경이 0.25~0.40μm인 고무 라텍스를 존재시키고 단량체 혼합물 중 일부를 투입하여 적정전환율까지 중합시켜 1차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는 1단계 반응과, 제조된 1차 그라프트 라텍스의 존재하에 평균입경이 0.50~1.0μm정도인 고무라텍스를 첨가한 후 잔량의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을 연속 투입하는 방법으로 그라프트 반응을 완결시키는 2단계 반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7)

  1. 평균 입자직경이 0.25~0.40μm 크기의 고무와 0.50~1.0μm 크기의 고무가 함께 혼재한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전체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 30~60중량부와 단량체 혼합물 70∼40중량부로 구성되며, 1) 평균입자 직경이 0.25∼0.40μm 크기의 고무가 전체 고무질 라텍스의 60~95중량%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온교환수 140부, 유화제, 산화환원제 조성물을 투입하여 60∼75℃로 승온한 후 혼합물의 온도가 60∼75℃에 도달하면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혼합물 중 일부와 분자량조절제, 중합개시제를 연속투입하는 방법으로 그라프트시켜 중합 전환율이 90% 이상 이르는 1차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는 1단계 반응과, 2) 상기 제조된 1차 그라프트 라텍스의 존재하에 평균 입자직경이 0.5~1.0μm인 잔량의 고무(40~5중량%)를 일시에 투입하면서 혼합물의 온도를 50~70℃가 되게 한 후 잔량의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혼합물과 분자량조절제, 중합개시제를 연속투입하여 2차 그라프트 라텍스를 제조하는 2단계 반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2차 그라프트 중합시 단량체 투입비를 전체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100에 대하여 1차 10~40%, 2차 90~60%로 하고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단량체 조성비를 70:30으로 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1차 그라프트 라텍스 제조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과 분자량조절제, 중합개시제를 30분에서 2시간에 걸쳐 연속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2차 그라프트 라텍스 제조시 1차 그라프트 라텍스의 중합 전환율이 90% 이상에서 0.50~1.0μm인 고무를 일시에 투입하면서 반응기의 온도를 50~70℃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2차 그라프트 라텍스 제조시 분자량 조절제, 2차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중합개시제를 1시간에서 5시간에 걸쳐 연속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1, 2차 그라프트 라텍스 제조시 반응온도가 1차 60~75℃, 2차 50~75℃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반응 종료후 최종 중합전환율은 90~98%, 최종 고형분은 38~44%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40035612A 1994-12-21 1994-12-21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KR016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612A KR0166399B1 (ko) 1994-12-21 1994-12-21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5612A KR0166399B1 (ko) 1994-12-21 1994-12-21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621A true KR960022621A (ko) 1996-07-18
KR0166399B1 KR0166399B1 (ko) 1999-03-20

Family

ID=1940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5612A KR0166399B1 (ko) 1994-12-21 1994-12-21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324B1 (ko) * 1999-02-04 2006-04-2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자연색상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62866B1 (ko) * 2002-05-29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공정에서 스크린의 이상 검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387B1 (ko) * 2000-05-31 2006-04-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광택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94904B1 (ko) * 2000-11-16 2003-08-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2209827B1 (ko) 2016-11-09 2021-0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324B1 (ko) * 1999-02-04 2006-04-2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자연색상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862866B1 (ko) * 2002-05-29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공정에서 스크린의 이상 검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6399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8807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ore-shell morphologies from polybutadiene-polystyrene graft copolymers
US3819765A (en) Graft copolymerization of alpha-monoolefin copolymer rubbers to make gum plastics
Kochthongrasamee et al. Effects of redox initiator on graft co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onto natural rubber
JPS6057443B2 (ja) 耐衝撃性に改質されたスチロ−ル重合物の製法
KR950018108A (ko) 모노 비닐방향족 공액 디엔 공중합체 및 제조방법.
KR940011512A (ko) 다정 테이퍼드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KR920021611A (ko) 폴리모달 중합체 제조 방법
JPH08511298A (ja) 改良されたゴム変性ポリスチレン
KR950000752A (ko) 내충격성 저광택 abs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GB1476703A (en) Continuous mass polymerization process
KR960705863A (ko) 특성의 개선된 조합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s having improved combinations of properties)
US4935466A (en) Modified block copolymer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4242469A (en) Controlling grafted elastomers in blends with resinous copolymers
JPS62101647A (ja) 耐衝撃性、耐候性の熱可塑性ポリブレンド
DE3581387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fropfcopolymeren durch emulsionspolymerisation.
KR960022621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US4972032A (en) Process for preparing copolymers of alpha-methylstyrene and acrylonitrile
JPS60104112A (ja) 耐衝撃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10015649A (ko) 내충격성 및 표면 광택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US3651177A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3472308B2 (ja) 耐衝撃性メタクリル系樹脂
GB1444055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rubber-modified copolymers of an olefinic nitrile and a vinyl aromatic monomer
KR920012249A (ko) 내열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A1202444A (en) P-methylstyrene-conjugated diene-styrene block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styrene, poly(p-methylstyrene) and copolymers thereof
KR910020057A (ko) 투명 내충격성 스티렌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