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780B1 - 케이블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780B1
KR960016780B1 KR1019940011907A KR19940011907A KR960016780B1 KR 960016780 B1 KR960016780 B1 KR 960016780B1 KR 1019940011907 A KR1019940011907 A KR 1019940011907A KR 19940011907 A KR19940011907 A KR 19940011907A KR 960016780 B1 KR960016780 B1 KR 96001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edetermined
support
cable hanger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53A (ko
Inventor
박정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경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경주현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780B1/ko
Publication of KR95003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케이블 행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하 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하 이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수평축의 단면형성과 회전팔의 지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제1도 장치의 케이블 승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블2 : 공·배기관
3 : CO2공급관10 : 지주
11 : 케이블공급드럼13 : 와이어
14 : 롤러15 : 와이어드럼
16 : 모터20 : 상·하 이동부재
30 : 롤러장치40 : 수평축
50 : 회전팔60 : 회전팔지지부재
70 : 케이블 승강수단71 : 케이블승강줄
본 발명은 케이블 행거(Cable Hanger)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구역내의 여러곳에서 동시에 용접작업을 할 경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선박 건조시에, 건조하고자 하는 선박은 여러개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건조된다. 이때, 각 블록들은 블록조립공장에서 제조되고, 완성된 블록들은 도크(Dock)에서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선박이 건조되게 된다. 이러한 선박건조에는 많은 용접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블록제조작업에는 매우 많은 용접공정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블록제조작업에 있어서, 각 블록들은 여러개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 구획과 구획 사이에는 격벽이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여러구획에서 동시에 용접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용접작업을 하고자 하는 구획마다 용접작업에 필요한 각종 용접기기들과 전원, 가스등을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져야 한다.
종래에는 용접작업자가 용접에 필요한 케이블등을 직접 수작업으로 옮겼거나, 일부 일정높이로 고정된 아주 단순한 케이블 행거장치를 사용하였다. 용접용 케이블을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옮기는 경우는 말할 필요도 없겠거니와, 용접용 케이블을 용접장소까지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고정된 케이블 행거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도 불편한 점이 매우 많았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고정된 행거장치에서는 블록의 높이에 따라 행거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작하고자 하는 블록의 높이에 제약이 따르고, 케이블을 필요이상으로 길게 늘어뜨려 작업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은 케이블에 무리가 따르게 되고 용접작업자 또는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때 매우 힘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한구획의 작업을 끝내고 이웃구역로 이동시에는 부득이 인력으로 케이블을 먼거리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되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쉬 피로하게 되고, 케이블 또한 절단작업시에 발생되는 슬래그(Slag)등에 의하여 손상되기 쉽다. 또한, 여러개의 케이블들이 서로 뒤얽혀 안전사고 발생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곳의 작업장소에 쉽고 편리하게 각종 작업에 필요한 케이블등을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행거장치에 있어서, 소정위치에 설치된 지주, 상기 지주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이동부재, 상기 상·하 이동부재에 결합된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소정각도 제자리 회전가능한 다수의 회전팔들, 및 상기 상·하 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수평부재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부재 높낮이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는 소정위치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주(10)는 케이블 행거장치를 소정장소에서 안정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주(10)의 하단부에는 케이블 공급드럼(11)을 설치하기 위한 케이블공급드럼받침대(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공급드럼받침대(12)상에는 다수의 케이블공급드럼(11)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블공급드럼(11)의 상부쪽의 지주(10)에는 상·하이동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이동부재(20)는 롤러장치(30)를 통하여 지주(10)를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이동부재(20)의 상단부는 와이어(Wire)(13)에 묶여져 있다. 이 와이어(13)는 지주(10)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14)를 통하여 와이어드럼(15)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드럼(15)은 모터(16)등에 의해 회전하면서 와이어(13)를 감거나 풀어준다. 즉, 상·하이동부재(20)는 와이어드럼(15)의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상·하이동부재(20)에는 수평축(40)이 설치되어 있다. 수평축(40)은 외팔보형태로 상·하이동부재(20)의 아래 끝단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평축(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로우프, 봉등의 처짐방지재(21)가 상·하이동부재(20)의 상단부와 수평축(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수평축(40)을 지지하고 있다. 상·하이동부재(20)에는 아래쪽에서 보내져오는 케이블(1)들을 수평으로 보내기 위한 수평안내봉(21)이 지주(10)와 수평축(4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축(40)상에는 회전팔(50)들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팔(50)들은 회전팔지지부재(60)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자리회전가능하다. 이 회전팔(50)들은 모두 먼트(Moment)를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모우먼트가 많이 걸리는 지지점쪽의 회전팔(50)은 튼튼하게 구성하고, 상대적으로 모우먼트가 적게 걸리는 끝단부쪽의 회전팔(50)은 상대적으로 약한 구성을 갖게하는 것이 좋다. 이 회전팔(50)의 끝단부쪽에는 케이블승강수단(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블승강수단(70)은 제5도 설명시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 케이블승강수단(70)에는 케이블승강줄(71)이 걸려 있다. 이 케이블승강줄(71)의 한쪽끝단은 케이블(1), 공·배기관(2), CO2공급관(3) 등이 묶여져 있다. 즉, 케이블승강줄(71)은 이 줄에 묶여져 있는 케이블(1)등을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리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과 공·배기관(2), CO2공급관(3)이 소정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1)은 용접, 조명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공·배기관(2)은 작업장내에 있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한편으로는 신선하고 시원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CO2공급관(3)은 CO2용접시에 CO2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케이블(1)과 CO2공급관(3)은 케이블공급드럼(11)에서 수평안내봉(21)을 거쳐 수평축(40)으로 보내져 각각의 회전팔(50)을 거쳐 작업장소에 까지 보내지게 된다. 공·배기관(2)은 케이블(1)과는 다른 경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소정의 펌프장치와 연결되는 공·배기관(2)은 수평축(40)에 연결되어 있다. 수평축(40)에는 2개의 내부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평축의 내부통로는 연결관(41)들을 통하여 각각의 회전팔(50)과 연결되어 있다. 각 회전팔(50)들 역시 내부에 2개의 내부통로를 갖는다. 회전팔(50)들의 내부통로는 그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공·배기관(2)들과 연결되어 있다. 물론, 공·배기관(2)은 신축가능한 호스만을 따라 사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를 사용할 경우, 먼저 모터(16) 등으로 와이어드럼(15)을 회전시키면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상·하 이동부재(20)는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러면, 상·하 이동부재(20)에 고정되어 있는 수평축(40)도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축(4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그런다음, 케이블승강줄(71)을 사용하여 각 작업장에 알맞게 케이블(1)등의 길이를 조정한다. 전원과 CO2가스는 케이블(1)과 CO2가스공급관(3)을 통해 공급된다. 그러면, 선박블록의 각 구획등과 같은 작업장별로 동시에 용접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배기관(2)을 작동시켜 작업장내의 유해가스를 배추라고 한편으로는 신선하고 시원한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 지점의 용접작업을 완료하고 이동하면 케이블(1)등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팔(50)도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1)등을 작업자가 힘들게 옮기지 않더라도 필요한 위치에서 용접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박의 한블럭의 각 구획에 대한 용접작업이 완료되면 상·하이동부재(20)를 윗쪽으로 이동시켜 수평축(40)의 높이를 높게 한다. 그런 다음 용접작업이 끝난 블록은 다음 장소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블록의 용접작업을 하면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여 소정의 작업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상·하이동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20)는 소정길이를 갖고, 하단부에는 수평축결합부(22)가 상단부쪽에서 수평축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 방지재가 결합되는 처짐방지재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축결합부(22)와 처짐방지재결합부(23)측면에는 롤러장치등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4)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이동부재(20)의 최상단부에는 와이어등을 묶을 수 있는 와이어연결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상·하이동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부재를 지주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보는 방향에 따라 제3(가)도와 제3(나)도에 각각 도시하였다. 제3(가)도는 지주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장치의 측면도이고, 제3(나)도는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장치(30)는 지주(10)에 결합되어 있다. 지주(10)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I형부재를 사용한 것이 좋고, 이 I형부재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다수의 롤러(31)들을 설치하여 롤러장치(30)가 지주(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롤러장치(30)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하이동부재(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32)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장치(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재(20)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하이동부재(20)의 아랫쪽 끝단부에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장치(30)를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반드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롤러장치(30)와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수평축의 단면형상과 회전팔의 지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40)의 내부는 2개의 통로로 나누어져 있다. 제1통로(42)는 작업장내의 유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고, 제2통로(43)는 신선한 공기등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이다. 물론 이러한 제1,2통로(42,43)들이 설치되어 있더라도 수평축(40)은 케이블, 자중등에 의한 모우먼트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 수평축(40)에는 회전팔지지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팔지지부재(60)는 수평축(40)에 고정되어 있고, 좌·우 양쪽에 회전팔체결수단(61)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팔체결수단(61)들에는 회전팔(50)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팔(50)들은 회전팔지지부재(60)의 회전팔체결수단(61)들에 의해 소정각도 제자리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평축(40)내부의 제1통로, 제2통로(42,43)와 회전팔(50)의 소정부재(51)는 연결관(4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연결관(41)이 결합되는 회전팔(50)의 소정부재(51)에는 2개의 내부통로가 따로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별도의 공기 공·배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내부통로는 필요하지 않다.
제5도는 제1도 장치의 케이블승강수단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승강수단(70)은 소정형상의 몸통부(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몸통부(72)의 왼쪽 끝단에는 체결구(73)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구(73)들은 케이블승강수단(70)을 회전팔의 끝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몸통부(72)에는 도르레(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르레(74)는 제자리회전가능하다. 이 도르레(74)에는 케이블승강줄(71)이 걸려있다. 이 케이블승강줄(71)의 왼쪽부분은 케이블을 묶기 위한 부분이고, 오른쪽부분은 케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람이 조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도르레(74)옆쪽에는 편심기어(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편심기어(75)에는 원주면을 따라 일정부분에만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편심기어(75)는 스톱퍼(76)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는 소정각도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케이블승강줄(71)의 오른쪽부분을 아래로 당기면 왼쪽부분의 케이블승강줄(11)은 윗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승강줄(71)에서 손을 놓으면 케이블승강줄(71)의 왼쪽부분에 묶여 있는 케이블등의 자중에 의하여 케이블승강줄(71)의 오른쪽 부분은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편심기어(75) 이는 케이블승강줄(71)에 걸리게 되고 편심기어(7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심기어(75)와 도르레(74)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결국 케이블승강줄(71)은 도르레(74)와 편심기어(75)사이에 고정되게 된다. 즉, 케이블등을 소정높이까지 올린 상태에서 고정해 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블등을 아래로 내리고자 할 경우, 오른쪽 케이블승강줄(71)을 아래로 당기게 되면 도르레(74)와 편심기어(75)사이에 물려있던 케이블승강줄(71)은 풀리게 된다. 그런다음 아래로 당기고 있던 케이블승강줄(71)을 약간 왼쪽으로 당기게 되면 케이블 승강줄(71)은 편심기어(75)에 접촉이 되지 않게 된다. 이때, 서서히 케이블 승강줄(71)을 놓게 되면 케이블등의 자중에 의해 케이블등은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이상 제1도∼제5도를 통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장치를 사용하면 여러 작업장소에 용이하에 케이블등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선박건조시에 배의 크기 및 조립공정에 따라 결정되는 블록높이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어 생산공정 계획이 용이하다.
또한, CO2용접이 필요한 곳에는 CO2가스를 쉽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용접생산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전체 용접기 수량을 줄일 수 있고, 케이블보호, 안전사고발생방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반경은 더 넓어진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케이블 행거장치에 있어서, 소정위치에 설치된 지주; 상기 지주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이동부재; 상기 상·하 이동부재에 결합된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소정각도 제자리회전가능한 다수의 회전팔들; 및 상기 상·하 이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수평부재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부재 높낮이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수평부재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내부에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팔에는 유해가스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소정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팔의 끝단에는 작업장의 케이블등을 소정높이만큼 올리고, 내리기 위한 케이블 승강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수평부재 높낮이조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지주에 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주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장치;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된 줄; 필요에 따라 상기 줄을 감고 풀기 위한 드럼 및 상기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행거장치.
KR1019940011907A 1994-05-30 1994-05-30 케이블 행거장치 KR96001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907A KR960016780B1 (ko) 1994-05-30 1994-05-30 케이블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1907A KR960016780B1 (ko) 1994-05-30 1994-05-30 케이블 행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53A KR950034953A (ko) 1995-12-28
KR960016780B1 true KR960016780B1 (ko) 1996-12-20

Family

ID=1938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907A KR960016780B1 (ko) 1994-05-30 1994-05-30 케이블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82A (ko) * 1996-10-16 1998-07-15 이대원 케이블 행거장치
KR100980505B1 (ko) * 2008-01-17 2010-09-07 (주)티에이치엔 전선 작업용 현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53A (ko) 199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5069B1 (en) Suspender arm for machinery
JPH0230851A (ja) 構造物壁面の工事装置
US4553743A (en) Elevated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means in tapping converters
KR960016780B1 (ko) 케이블 행거장치
KR960016781B1 (ko) 케이블 행거장치
KR960016782B1 (ko) 케이블 행거장치
JPH07156093A (ja) 産業用ロボットの関節部におけるケーブル処理装置
KR20220025799A (ko) 고압살수를 이용하여 교각의 노후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장치
JP4855067B2 (ja) 溶接機用吊下装置
KR101324565B1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장치
JP3644089B2 (ja) 多連型シールド掘進機のセグメント組立装置
JP3415257B2 (ja) 溶接機用吊下装置
JPH10330071A (ja) ロール状物体の吊具
JPH071964B2 (ja) 配電線支持装置
KR100226988B1 (ko) 로봇 상하이동 장치
JPH06294129A (ja) 掘削機の吊りロープガイド装置
JPH08269961A (ja) 杭施工機用作業台昇降装置
JPH0664891A (ja) 鉄塔上作業用手動ミニクレーン
JP2941735B2 (ja) 転炉用地金除去装置
KR0148397B1 (ko) 케이블 행거장치
JPH04294894A (ja) 建築用溶接作業機
JPH04330163A (ja) バルンを用いた建物保守装置
JPH08312127A (ja) ゴンドラ兼用クレーン装置
JPH0475338B2 (ko)
JP4073474B1 (ja) 基礎杭溶接方法、基礎杭溶接装置、及び基礎杭溶接作業用基礎杭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