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447B1 -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447B1
KR960016447B1 KR1019940030214A KR19940030214A KR960016447B1 KR 960016447 B1 KR960016447 B1 KR 960016447B1 KR 1019940030214 A KR1019940030214 A KR 1019940030214A KR 19940030214 A KR19940030214 A KR 19940030214A KR 960016447 B1 KR960016447 B1 KR 96001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uction
lower plate
but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823A (ko
Inventor
양병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447B1/ko
Publication of KR96001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제1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종래 상용흡입구의 저면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에 물걸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상용흡입구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상용흡입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의 (가)는 제5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나)는 본 발명의 버튼 작동에 의하여 물걸레가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 상용흡입구에 물걸레를 설치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20 : 흡입호스
30 : 연장관40 : 상용흡입구
41 : 흡입구멍43 : 흡입구본체
50 : 하부판51 : 흡입구멍
52 : 핀지지홈53,64 : 걸레고정돌기
60 : 조임구61 : 지지핀
62 : 일단63 : 타단
70 : 버튼71 : 압압봉
72 : 걸고리80,90 : 탄력부재
100 : 물걸레431 : 버튼설치홈
432 : 압압봉구멍434 : 걸고리구멍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흡입구 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판과 물걸레를 고정시키는 조임구 사이에 물걸레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고정하므로써 바닥청소시 큰 오물은 흡입되고 바닥에 있는 얼룩진 자국이나 찌든 때를 닦아주도록 하고, 물걸레의 착탈은 버튼에 의하여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며 물걸레는 상용흡입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벽면 모서리측의 바닥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본체(10)에 흡입호스(20)가 조립되고, 흡입호스(20)의 끝단에 다수개의 연장관(30)이 조립되며, 최끝단의 연장(30)에 상용흡입구(40)를 조립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틈새흡입구는 본체(10)에 수납하여 필요시 꺼내어 조립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 흡입호스(20), 상용흡입구(40), 틈새흡입구는 각각 1개씩 구성되어 있고, 연장관(30)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용적으로 청소하고자 할때 본체(10)에 흡입호스(20)의 일단을 끼워서 조립하고 흡입호스(20)의 타단에는 다수개의 연장관(30)을 순서대로 끼워서 조립하며, 최하단의 연장관(30) 끝단에 상용흡입구(40)를 끼워서 조립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틈새를 청소하고자 할때에는 상용흡입구(40) 대신에 틈새흡입구를 본체(10)에서 인출한 뒤 연장관(30)의 끝단에 끼워서 사용한다.
즉, 본체(10)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동기(11)를 구동시키면 상용흡입구(40)의 흡입구멍(41)을 통해 바닥에 있는 오물을 빨아들이게 되며, 상용흡입구(40)를 통해 흡입되는 오물은 연장관(30), 흡입호스(20)순을 거쳐 본체(10)의 집진종이(12)에서 오물이 걸러지게 되고, 걸려진 공기는 다시 전공기(11)를 냉각시키고 배기구(13)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리고 물걸레를 사용시 상용흡입구(40)의 저면에 벨크로테이프(42)가 부착되어 있어 그 벨크로테이프(42)에 별도의 물걸레(100)를 부착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오물청소하면서 바닥에 묻어 있는 얼룩진 자국이나 찌든 때를 닦아주게 된다.
이와같이 물걸레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물걸레를 가정에서 만들기 어려워서 대리점이나 써비스센타에서 별도로 구입하여야 되므로 구입에 따른 불편함과 구입비의 부담요인이 되는 결정이 있었고, 또한 상용흡입구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물걸레는 어느 정도의 경도가 있어야 하므로 그 경도때문에 세척하기가 어렵고, 물걸레의 착탈이 어려우며, 벨크로테이프의 오랜 사용이나 또는 먼지로 미세한 오물이 끼여 부착력이 떨어져 신뢰성이 저하되었으며, 물걸레는 상용흡입구의 외측으로 돌출이 되지 않아 벽면 모서리측의 바닥면에는 물걸레를 닦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흡입구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일측에 설정된 각도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하부판과 함께 물걸레를 고정시키는 조임구와, 조임구의 일단을 탄력있게 받쳐주는 탄력부재와, 흡입구본체의 일측에 조립되어 조임구의 일단을 눌러주느 버튼과, 버튼을 항상 탄력있게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로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를 구성하여, 하부판과 조임구 사이에 물걸레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고정하므로서 바닥청소시 큰 오물은 흡입되고 바닥에 있는 얼룩진 자국이나 찌든 때는 닦아주도록 하고, 물걸레의 착탈을 버튼에 의하여 간단하게 착탈할 수가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며, 물걸레를 상용흡입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벽면 모서리측의 바닥면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흡입구본체(43)에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자유로운 방향으로 회동되는 파이프(44)와, 연통되어 바닥면의 오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구멍(51)으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40)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43)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판(50)과, 하부판(50)의 일측에 설정된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하부판(50)과 함께 물걸레(100)를 고정시키는 조임구(60)와, 조임구(60)의 일단을 탄력있게 받쳐주는 탄력부재(80)와, 흡입구본체(43)의 일측에 조립되어 조임구(60)의 일단(62)을 눌러주는 버튼(70)과, 버튼(70)을 항상 탄력있게 상승시키는 탄력부재(90)로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를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흡입구본체(43)의 일측에 버튼설치홈(431)을 형성한 뒤 그 버튼설치홈(431)에 체결덮개(432)를 삽입하여 고정설치하며, 체결덮개(432)의 바닥면에 압압봉구멍(433)과 걸고리구멍(434)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하부판(50)은 흡입구본체(43)의 저면 전방에 일체로 조립되며, 중간을 후방으로 연장하여 흡입구멍(51)과 양측 핀지지홈(52)을 각각 형성하고,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레고정돌기(53)를 돌출형성한다.
상기 조임구(60)는 대략 ㄱ자형으로 절곡하여 절곡부의 양측에 지지핀(61)을 돌출시켜 상기 하부판(50)의 핀지지홈(52)과 지지핀 고정구(54)에서 회동되게 안치하고, 후면에 탄성부재(90)와 결합용 요홈(55)을 형성하며, 일단(62)은 상기 흡입구본체(43)의 압압봉구멍(433)위치와 일치하도록 하며, 타단(63)은 만곡면으로 형성한 뒤 내측면에 다수개의 걸레고정돌기(64)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버튼(70)은 흡입구본체(43)의 버튼설치홈(431)에 설치하는 것으로, 중앙 저면에 압압봉(71)을 돌출시켜 흡입구본체(43)의 압압봉구멍(433)에 끼워서, 상,하 작동하여 조임구(60)의 일단(62)을 눌러주도록 하고, 하부 외주면에 걸거리(72)가 설정된 간격으로 돌출시켜 상기 흡입구본체(43)의 걸고리구멍(434)에 끼워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력부재(80)(90)는 코일스프링으로 사용하되 그 이외에 이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물걸레를 사용하고자 할때 제4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본체(43)의 일측에 설치된 버튼(70)을 누르면 탄력부재(80)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하강하게 되며, 버튼(70)의 하강으로 압압봉(71)의 끝단이 조임구(60)의 일단(62)을 눌러주게 된다.
상기 조임구(60)의 일단(62)이 탄력부재(90)의 탄력에도 불구하고 지지핀(61)을 중심으로 압압봉(71)의 하강거리만큼 원호운동을 하여 회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조임구(60)의 회동으로 타단(63)이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하여 하부판(50)과 거리를 더욱 벌어지게 한다.
그후 하부판(50)과 조임구(60)의 타단(63)사이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면 그 사이에 물걸레(100)를 삽입한 뒤, 버튼(70)에 압력을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버튼(70)은 탄력부재(80)에 의하여 상승하여 원상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조임구(60)의 일단(62)은 탄력부재(90)의 원상복귀력에 의하여 상부로 밀어주게 되므로 지지핀(6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조임구(60)의 회동으로 타단(63)이 하부판(50)측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물걸레(100)를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4도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판(50)과 조임구(60)의 타단(63)에 의하여 물걸레(100)는 압박을 받게 되어 고정이 되는 것이며, 더욱이 하부판(50)과 조임구(60)의 타단(63)에 다수개로 돌출된 걸레고정돌기(53)(64)가 물걸레(100)의 양측을 물어주게 되므로 물걸레(10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걸레(100)는 흡입구본체(43)에 횡방향으로 고정이 된 상태이므로 상용흡입구(40)를 이용하여 오물을 빨아들이는 동시에 물걸레(100)로 바닥에 있는 얼룩진 자국이나 찌든 때를 닦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용흡입구(40)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물걸레(100)를 이용하여 벽면의 모서리측 바닥면을 닦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한 물걸레(100)를 교체하거나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70)를 눌러서 조임구(60)의 타단(63)을 벌어지게 하여 하부판(50)과 조임구(60) 사이에 간격이 벌어졌을 때 물걸레(100)를 빼어내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판과 조임구 사이에 물걸레를 삽입하여 간단하게 고정하므로서 바닥청소시 큰 오물은 흡입되고 바닥에 있는 얼룩진 자국이나 찌든 때를 닦아주도록 하고 물걸레의 착탈을 버튼에 의하여 간단하여 착탈할 수가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주며, 물걸레를 상용흡입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벽면 모서리측의 바닥면을 용이하게 닦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흡입구본체에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자유로운 방향으로 회동되는 파이프와, 연통되어 바닥면의 오물을 빨아들이는 흡입구멍으로 구성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판과, 하부판의 일측에 설정된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하부판과 함께 물걸레를 고정시키는 조임구와, 조임구의 일단을 탄력있게 받쳐주는 탄력부재와, 흡입구본체의 일측에 조립되어 조임구의 일단을 눌러 주는 버튼과, 버튼을 항상 탄력있게 상승시키는 탄력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본체의 일측에 버튼설치홈을 형성한 뒤 그 버튼설치홈에 체결덮개를 삽입하여 고정설치하며, 체결덮개의 바닥면에 압압봉구멍과 걸고리구멍을 각각 형성하고 ; 상기 하부판은 중간을 후방으로 연장하여 흡입구멍과 양측 핀지지홈을 각각 형성하고, 배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레고정돌기를 돌출형성하며 ; 상기 조임구는 대략 ㄱ자형으로 절곡하여 절곡부의 양측에 지지핀을 돌출시켜 상기 하부판의 핀지지홈에서 회동되게 안치하고, 일단은 상기 흡입구본체의 압압봉구멍 위치와 일치하도록 하며, 타단은 만곡면으로 형성한 뒤 내측면에 다수개의 걸레고정돌기를 돌출형성하고 ; 상기 버튼은 중앙 저면에 압압봉을 돌출시켜 흡입구본체의 압압봉구멍에 끼워서 상,하 작동하여 조임구의 일단을 눌러주도록 하고, 하부 외주면에 걸고리를 설정된 간격으로 돌출시켜 상기 흡입구본체의 걸고리구멍에 끼워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 설치장치.
KR1019940030214A 1994-11-17 1994-11-17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KR96001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214A KR960016447B1 (ko) 1994-11-17 1994-11-17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214A KR960016447B1 (ko) 1994-11-17 1994-11-17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23A KR960016823A (ko) 1996-06-17
KR960016447B1 true KR960016447B1 (ko) 1996-12-12

Family

ID=1939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214A KR960016447B1 (ko) 1994-11-17 1994-11-17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4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23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471Y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960016447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WO2010080832A1 (en) Vacuum cleaner attachment
KR102368259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0424577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흡입구 장착장치
US20030145425A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accessory
US20090044359A1 (en) Suction brush having hair removal unit for vacuum cleaner
JPS6217021Y2 (ko)
KR960012812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물걸레설치장치
RU2240026C2 (ru) Дополнительный набор с протирочным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 таким набором
JPS5835176Y2 (ja) 電気掃除機
JPH0923998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KR970003568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착탈장치
CN219645645U (zh) 尘推结构及清洁机器人
KR940006559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청소기용 흡입구
KR970010414B1 (ko) 걸레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JPH10295600A (ja) 吸入ブラシ連結装置を有する真空掃除機
KR10075072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200167820Y1 (ko) 진공 청소기의 틈새 청소장치
KR880003989Y1 (ko) 전기소제기의 필터 부착장치
KR200267162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980008161A (ko) 복수의 걸레 착탈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JPH04343829A (ja) 電気掃除機
KR0155675B1 (ko) 물걸레를 겸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JP2507355Y2 (ja) 電気掃除機の差込ホ―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