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259B1 -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259B1
KR102368259B1 KR1020200054111A KR20200054111A KR102368259B1 KR 102368259 B1 KR102368259 B1 KR 102368259B1 KR 1020200054111 A KR1020200054111 A KR 1020200054111A KR 20200054111 A KR20200054111 A KR 20200054111A KR 102368259 B1 KR102368259 B1 KR 10236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body
open cover
air
nozzl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572A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ublication of KR2021005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19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패드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청소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개방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커버의 오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CLEANER HEAD DEVICE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 하우징 상단에 분리가능한 개방 커버를 부착하여 청소기 노즐 본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그 내부의 공간이 깨끗하도록 수시로 내부 공간에 대한 청소를 통해 머리카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청소의 순서는 보통 먼지 등의 이물질을 쓸어낸 후 물걸레질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청소방법은 청소기를 사용하여 먼저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물걸레를 사용해서 바닥을 닦아서 이중으로 청소를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흡입 청소기와 물걸레를 부착한 청소기가 개발되었고 물걸레가 부착된 청소기를 사용하면 한번에 쓸고 닦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물걸레가 부착된 청소기는 물걸레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고, 청소기 흡입구를 통해 들어가는 먼지가 물기를 머금어 청소기 내부 노즐이 막히게 되고 그에 대한 청소가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61709(2005.06.23)호는 진공 청소기용 물걸레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진공 청소기의 일체로 결합된 흡입 연장관과 흡입 헤드부 대신에 상기 진공 청소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되는 진공 청소기용 물걸레 청소용구로서, 상기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통해서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방사상 외면을 따라서 일정두께로 권선된 물걸레, 상기 물걸레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물걸레를 에워싸는 반원형 커버, 그리고 상기 커버의 방사상 외면으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9361(2019.05.31)호는 물걸레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일 측에 청소기 본체와 연결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전원연결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모터가 내부에 구비된 헤드 본체부, 및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며 각각 걸레가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헤드 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구동에 의해 상기 헤드 본체부 하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61709(2005.06.23)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9361(2019.05.3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 흡입공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청소기 헤드 상단에 위치한 공기 흡입 관로부를 통해 노즐로 이동하여 청소기 헤드 상단에 위치한 개방 커버의 개방만으로 노즐 본체를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즐 끼움 부재의 이동을 통해 청소기 헤드 상단에 위치한 개방 커버를 고정할 수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방 커버의 분리 과정 및 노즐 끼움 부재의 이동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손쉽게 노즐 본체를 청소할 수 있고 흡입력 유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소기 헤드 장치는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패드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청소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개방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커버의 오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부와 밀폐 결합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씰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흡입공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방 커버의 개폐 결합 및 노즐 관로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관로와의 억지끼움 결합을 제공하는 노즐 끼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개방 커버의 분리 과정 및 상기 노즐 끼움 부재의 이동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개방 커버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을 통해 상기 개방 커버와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끼움 부재는 상기 노즐 본체부와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개방 커버가 상기 노즐 본체부에 견착된 상태의 억지 끼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끼움 부재는 상단에 노즐이 끼움 연결되는 노즐 끼움부 및 상기 노즐 끼움부의 하단과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 끼움부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노즐 끼움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끼움부는 전면 하단이 개구되며 전면 하부의 말단에 탄성을 가지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 끼움부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시 상기 체결홈에 상기 노즐 끼움부의 상기 체결돌기가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청소기는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헤드 장치와 연결된 손잡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 장치는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패드부, 및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청소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개방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커버의 오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는 청소기 헤드 상단에 위치한 개방 커버의 개방을 통해 노즐 본체를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는 노즐 끼움 부재의 회전을 통해 청소기 헤드 상단에 위치한 개방 커버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는 개방 커버의 분리 과정 및 노즐 끼움 부재의 이동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손쉽게 노즐 본체를 청소할 수 있고 흡입력 유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노즐 본체부에서 노즐 끼움 부재를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노즐 본체부에서 개방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8b는 도 2에 있는 개방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있는 노즐 끼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있는 공기 흡입 관로부와 노즐 끼움 부재의 결합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기 헤드 장치(110)와 손잡이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를 포함하고, 개방 커버를 통해 청소기 헤드의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 등을 사용자가 쉽게 제거하여 청소기의 흡입력 유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한쌍의 물걸레가 장착되는 한쌍의 회전판이 밑면에 설치되고 이들 회전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내장되어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공기 흡입공이 배치되어 공기 흡입공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면서 주변 먼지나 이물질을 빨아들여 청소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물걸레 진공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노즐을 통해 손잡이 장치(130)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 장치(110)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손잡이 장치(130)는 길이 조절 가능하고 전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 장치(110)에 접속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 장치(130)는 폐쇄형 손잡이 또는 개방형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장치(130)는 기존의 물걸레 청소기의 손잡이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는 손잡이 장치(130)의 손잡이를 청소기 헤드 장치(110)에 대하여 의도한 바에 따라 경사지게 변환시키면서 물걸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있는 청소기 헤드 장치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있는 노즐 본체부에서 노즐 끼움 부재를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있는 노즐 본체부에서 개방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노즐 본체부(210), 청소 패드부(220) 및 공기 흡입 관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부(210)는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213)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211)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부(210)는 상부 하우징(211)에 개방 커버(213)가 결합된 상태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흡입된 공기가 노즐을 통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 본체부(210)는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공기 흡입 관로를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부(210)는 상부 하우징(211)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공기 흡입공(231)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개방 커버(213)의 개폐 결합 및 노즐 관로의 하단에 배치되어 노즐 관로와의 억지끼움 결합을 제공하는 노즐 끼움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끼움 부재(240)는 노즐 본체부(21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공기 통로 말단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노즐 본체부(210)는 개방 커버(213)의 분리 과정 및 노즐 끼움 부재(240)의 이동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개방 커버(213)가 노즐 끼움 부재(240)의 이동 범위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노즐 끼움 부재(240)는 노즐 본체부(210)와 결합하되, 상하좌우 회전할 수 있는 연결부재로 노즐 본체부(210)와 결합할 수 있다. 노즐 끼움 부재(240)는 노즐 본체부(210)에 개방 커버(213)가 결합하게 되는 경우, 노즐 본체부(210)와 수직으로 결합하여 개방 커버(213)가 노즐 본체부(2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커버(213)는 청소가 진행되는 중에는 내부 압력이 낮아져 노즐 본체부(2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부(210)는 개방 커버(213)의 분리 과정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끼움 부재(240)를 먼저 이동시키고 개방 커버(213)를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커버(213)는 노즐 끼움 부재(240)가 노즐 본체부(210)와 수직으로 결합하여 있는 경우에는 노즐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할 수 없고, 노즐 끼움 부재(240)를 축 회전시켜 노즐 본체부(210)와의 수직 결합을 해제시킨 후에 분리할 수 있다. 노즐 끼움 부재(240)의 회전은 노즐 본체부(210)와 연결된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노즐 본체부(210)의 상부 하우징(211)에는 노즐 끼움 부재(240)가 수직으로 입설되어 결합시 노즐 끼움 부재(24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체결홈(217)이 형성되고 체결홈(217)의 양측에는 개방 커버(213)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결합홈(219)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부(210)는 개방 커버(213)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을 통해 개방 커버(213)와 체결될 수 있다. 노즐 본체부(210)는 노즐 본체 전면 자석부(215a) 및 노즐 본체 후면 자석부(215b)를 자성이 띠는 물체로 구성하여 개방 커버(213)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이 띠는 물체는 상자성, 반자성을 가지는 물체가 될 수 있고, 반자성을 가지는 물체는 될 수 없다.
청소 패드부(220)는 노즐 본체부(210)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래 부착 부재(221)는 노즐 본체부(210)의 바닥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공기 흡입공(231)의 후단에 배치되고 걸래를 탈착시켜 청소 동작 과정에서 걸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걸래 부착 부재(221)는 노즐 본체부(210)에 걸래를 부착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걸래 부착 부재(221)에는 걸래 부착면(223)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걸래 부착면(223)은 벨크로 부착면이 될 수 있고 걸래와 벨크로 결합을 할 수 있다. 걸래는 습식 걸래, 건식 걸래 또는 정전기 청소포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 패드부(220)는 걸래 부착 부재(221)의 상단에 구동기를 배치하여 걸래 부착 부재(221)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걸래 부착 부재(221)는 상호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대략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걸래 부착면(223)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걸래 부착 부재(221)는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공기 흡입공(231) 후면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공(231)이 전면에서 먼지 및 이물질을 외부 공기 흡입과 함께 1차적으로 흡입한 후에 걸래 부착면(223)에 부착된 걸래를 회전시켜 2차적으로 바닥면을 닦아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걸래 부착 부재(221)에 부착된 걸래는 사용 후 탈거할 수 있고 세탁 후 재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노즐 본체부(210)의 하단과 청소 패드부(220)의 상단에 배치되고 노즐 본체부(210)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노즐 본체부(210)의 개방 커버(213)가 닫혔을 때 공기 흡입공(231)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공기 흡입공(231)으로부터 상부 하우징(211)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개방 커버(213)의 "오픈(open)"을 통해 공기 흡입 관로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 관로 상에 축적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관로의 막힘을 방지하고 청소기를 오래 사용해도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공기 흡입공(231)으로부터 공기 흡입 관로(233)가 연장 형성되어 공기 흡입공(231)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노즐 쪽으로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개방 커버(213)를 노즐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외부로 개방된다. 사용자가 공기 흡입 관로부(230)에 대한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개방 커버(213)를 노즐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는 노즐 본체부(210)의 전면 하단에 배치된 공기 흡입공(23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기 흡입공(231)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패드부(220)의 전면 중앙에 길이홈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물질 및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다. 공기 흡입 관로(233)는 공기 흡입공(231)으로부터 노즐 본체부(210)의 후면에 배치되는 노즐 끼임 부재(240) 쪽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노즐로 전달할 수 있다.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청소 패드부(220)에 탈착된 걸래의 수분에 의해 공기 흡입 관로부(230)를 통과하는 공기를 따라 먼지나 이물질이 제대로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내벽에 붙어 쌓이게 되면서 공기 흡입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100)의 경우 노즐 본체부(210)의 개방 커버(213)를 분리함으로써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내벽을 외부에 개방하여 손쉽게 청소하고 공기 흡입력을 복원시킬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도 2에 있는 개방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개방 커버의 앞면을 나타내고 도 8b는 개방 커버의 뒷면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의 상부 하우징(2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방 커버(213)는 상부 하우징(211)과 동일 또는 이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의 상부 하우징(211)의 하단에 배치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230)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와 끼움 결합, 단순 결합 및 자석을 이용한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개방 커버(210)는 노즐 본체부(210)와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끼움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방 커버(213)의 단순 결합방법은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외부 압력과 내부 압력의 차이에 의해 노즐 본체부(210)와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와 밀폐 결합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씰링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씰링 부재(310)는 개방 커버(213)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씰링부재(310)는 개방 커버(213)에 의해 공기 흡입 관로부(230)가 폐쇄될 때 그 틈새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을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방 커버(213)는 노즐 본체부(210)의 자석 배치와 대향되는 위치에 자성을 띠는 물체로 구성하여 노즐 본체부(210)와 자력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개방 커버(213)는 자석부들(320a,3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커버(231)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자석부(320a,320b)를 포함하여 노즐 본체부(210)와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방 커버 전면 자석부(320a) 및 개방 커버 후면 자석부(320b)는 강자성 또는 상자성을 띠는 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방 커버(213)는 투명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 장치(110)는 개방 커버(213)을 투명 소재로 구성하여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청소가 필요한지를 개방 커버(213)의 분리 없이도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예측하게 할 수 있다.
개방 커버(213)는 후면 말단 중앙에 파지홈(33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개방 커버(213) 분리 조작시 파지홈(330)에 손끝(손톱)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방하게 할 수 있다. 개방 커버(213)는 도 8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후면 말단의 뒷면 부분에 결합 돌기(340)가 형성되어 개방 커버(213)가 노즐 본체부(210)와 체결시 노즐 본체부(210)에 있는 결합홈(219)에 결합 돌기(340)가 결합되어 개방 커버(213)의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있는 노즐 끼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에 있는 공기 흡입 관로부와 노즐 끼움 부재의 결합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 끼움 부재(240)는 노즐 끼움부(410)와 연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 끼움부(410)는 상단에 노즐이 끼움 연결되고 하단에 연결부(420)를 통해 공기 흡입 관로부(430)의 말단과 연결된다. 노즐 끼움부(410)는 하단 양측에 힌지축(411)이 형성되어 연결부(420)와 힌지 결합될 수 있고 힌지축(411)을 따라 상하로 회동될 수 있다. 노즐 끼움부(410)는 전면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전면 하부의 말단에 탄성을 가지는 체결돌기(413)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부(420)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시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노즐 본체부(210)의 상부 하우징(211)에 형성된 체결홈(217)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노즐 끼움부(410)의 체결돌기(413)는 상부 하우징(211)의 개방 커버(213)에 끼움 체결되어 개방 커버(213)가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청소기 헤드를 지탱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연결부(420)는 일단 상부가 개구되어 노즐 끼움부(410)가 개구를 통해 연결되고 개구된 일단 내측에 노즐 끼움부(410)의 힌지축(411)에 대응하여 힌지홈(421)이 형성되어 노즐 끼움부(410)와 힌지 결합된다. 연결부(420)는 또 다른 일단이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말단과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420)와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말단 사이에는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오링(O-ring) 형태의 씰링부(430)가 개재된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 끼움 부재(240)는 노즐 끼움부(410)가 연결부(420)에 대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고 연결부(420)가 공기 흡입 관로부(230)에 대해 좌우로 회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노즐 끼움 부재(240)는 공기 흡입 관로부(23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노즐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흡입 관로부(230)의 말단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공(235)과 노즐 끼움 부재(240)의 연결부(420) 및 노즐 끼움부(410)는 동일축 상에서 배치되어 공기 흡입 관로부(23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노즐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기는 노즐 본체부의 상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통해 사용자가 공기 흡입 관로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어 청소기를 오래 사용해도 흡입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청소기
110: 청소기 헤드 장치 130: 손잡이 장치
210: 노즐 본체부
211: 상부 하우징 213: 개방 커버
215a: 노즐 본체 전면 자석부 215b: 노즐 본체 후면 자석부
217: 체결홈 219: 결합홈
220: 청소 패드부
221: 걸래 부착 부재 223: 걸래 부착면
230: 공기 흡입 관로부
231: 공기 흡입공 233: 공기 흡입 관로
235: 공기 배출공
240: 노즐 끼움 부재
310: 씰링 부재
320a: 개방 커버 전면 자석부 320b: 개방 커버 후면 자석부
330: 파지홈 340: 결합돌기
410: 노즐 끼움부
411: 힌지축 413: 체결돌기
420: 연결부
421: 힌지홈
430: 씰링부

Claims (10)

  1.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패드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청소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개방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커버의 오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흡입공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방 커버의 개폐 결합 및 노즐 관로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관로와의 억지끼움 결합을 제공하는 노즐 끼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부에 결합시 상기 노즐 본체부에 수직 결합되는 상기 노즐 끼움 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로부터 분리시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내벽을 외부에 개방하고,
    상기 노즐 끼움 부재는
    상단에 노즐이 끼움 연결되는 노즐 끼움부 및 상기 노즐 끼움부의 하단과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 끼움부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노즐 끼움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부와 결합시 상기 개방 커버가 상기 노즐 본체부에 견착된 상태의 억지 끼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부와 밀폐 결합을 위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씰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개방 커버의 분리 과정 및 상기 노즐 끼움 부재의 이동 과정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개방 커버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배치하여 자력을 통해 상기 개방 커버와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끼움부는
    전면 하단이 개구되며 전면 하부의 말단에 탄성을 가지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노즐 끼움부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수직으로 입설시 상기 체결홈에 상기 노즐 끼움부의 상기 체결돌기가 고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끼움 부재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 사이에 개재되어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하는 오링(O-ring) 형태의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장치.
  10.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상기 청소기 헤드 장치와 연결된 손잡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헤드 장치는
    분리 가능한 개방 커버를 가지는 상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노즐 본체부;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탈착 가능한 걸래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 패드부; 및
    상기 노즐 본체부의 하단과 상기 청소 패드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의 전면 하단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 및 상기 개방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공으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단을 따라 흡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 커버의 오픈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공기 흡입 관로부;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흡입공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방 커버의 개폐 결합 및 노즐 관로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 관로와의 억지끼움 결합을 제공하는 노즐 끼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 커버는
    상기 노즐 본체부에 결합시 상기 노즐 본체부에 수직 결합되는 상기 노즐 끼움 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노즐 본체부로부터 분리시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내벽을 외부에 개방하고,
    상기 노즐 끼움 부재는
    상단에 노즐이 끼움 연결되는 노즐 끼움부 및 상기 노즐 끼움부의 하단과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 끼움부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노즐 끼움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공기 흡입 관로부의 말단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본체부와 결합시 상기 개방 커버가 상기 노즐 본체부에 견착된 상태의 억지 끼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200054111A 2019-11-06 2020-05-06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368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697 2019-11-06
KR20190140697 201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72A KR20210055572A (ko) 2021-05-17
KR102368259B1 true KR102368259B1 (ko) 2022-03-04

Family

ID=761582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11A KR102368259B1 (ko) 2019-11-06 2020-05-06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20200054113A KR102368256B1 (ko) 2019-11-06 2020-05-06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113A KR102368256B1 (ko) 2019-11-06 2020-05-06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68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162B1 (ko) * 2021-07-14 2023-05-09 주식회사 미로 청소기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749A (ja) * 2014-12-04 2016-06-2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ヘッド及び電気掃除機
KR102018521B1 (ko) * 2019-05-29 2019-09-09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709A (ko)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용 물걸레 청소용구
KR20130129060A (ko) * 2012-05-17 2013-11-27 코웨이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를 위한 진동자를 포함하는 청소기
KR200489361Y1 (ko) 2018-11-02 2019-06-13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749A (ja) * 2014-12-04 2016-06-20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ヘッド及び電気掃除機
KR102018521B1 (ko) * 2019-05-29 2019-09-09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256B1 (ko) 2022-03-04
KR20210055572A (ko) 2021-05-17
KR20210055573A (ko) 202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3025C2 (ru) Аппарат для уборки пола
KR100701177B1 (ko)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본체장착구조
US6748622B2 (en) Water circulation cleaner
RU2496402C2 (ru) Переносной пылесос для очистки от волос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JP2013141610A (ja) 真空清掃電気器具のための床ツール
KR20040107357A (ko) 전기 소제기
KR102368259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0519966B1 (ko) 청소기의 호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건식진공청소기
KR20150001344A (ko) 롤 브러시 청소기
WO2016199456A1 (ja) 電気掃除機用の吸込口体およびこの吸込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AU2021247958B2 (en) Wet mop module for cleaner
CN211022466U (zh) 收纳盒及清洁机器人
KR200276396Y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1029282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770357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20090008966U (ko) 걸레를 부착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기구
KR100504895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마루바닥 보호장치
JPH11206647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960016447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물걸레설치장치
KR100873910B1 (ko) 진공청소기
KR20070021464A (ko) 캐니스터형으로 전환이 가능한 업라이트형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