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384B1 - 리모콘의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의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384B1
KR960016384B1 KR1019910021696A KR910021696A KR960016384B1 KR 960016384 B1 KR960016384 B1 KR 960016384B1 KR 1019910021696 A KR1019910021696 A KR 1019910021696A KR 910021696 A KR910021696 A KR 910021696A KR 960016384 B1 KR960016384 B1 KR 96001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learning
code data
functions
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762A (ko
Inventor
양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384B1/ko
Publication of KR93001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리모콘의 학습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한 리모콘 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학습 방법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가전제품 등을 원거리에서 조작하는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리모콘에 다수의 리모콘의 기능을 학습시킬 시 학습리모콘의 학습을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이해시킬 수 있는 리모콘의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가전제품들의 조작은 그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키 또는 버튼들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가전제품들은 그 제품에 부착되어 있는 키 또는 버튼들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 조작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전제품들을 원거리에서도 조작가능하게 하는 것이 리모콘(Remocon : Remote controller)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리모콘은 그 대응하는 가전제품들에만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수의 가전제품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콘을 일일이 바꾸어 가면서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겪게 된다. 일예로 사용자가 텔레비젼(Television)을 시청하다가 비디오 테이프레코더(VTR : Video Tape Recorder)를 재생시키기위해서는 이전에 사용하던 텔레비젼의 리모콘과 VTR의 리모콘을 동시에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학습리모콘이다. 통상 학습리모콘이라 함은 다수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리모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기능은 하나의 리모콘에 미리 다수의 리모콘의 기능을 기억시킴에 따라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리모콘의 기능을 하나의 리모콘에 기억시키는 소위 학습과정을 통해 사용자들은 다수의 가전제품들을 하나의 리모콘을 통해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라 리모콘을 학습시키는 방법은 복잡한 절차가 요구됨에 따라 일반 사용자들이 그 절차를 이해하고 사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그 학습 절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일예로, 종래 기술에 다른 학습리모콘에 대한 기술이 1991년 1월 9일자로 공개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3-3499호 제목 "학습리모콘"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평3-3499호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학습리모콘은 그 특허에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고정키들(K1∼K12)과 새로운 기능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키들(K13∼K15,a,b,c)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학습키들(L13∼K15,a,b,c)에 소정 리모콘의 기능을 기억시키는 동작은 기억/통상 전환스위치 9를 기억측으로 전환시킨 후 학습키들(K13∼K15,a,b,c)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학습키에 리모콘의 기능을 기억시키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정 리모콘의 기능을 미리 학습키에 기억시킴으로써 이후에 리모콘을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지 않고도 이 학습리모콘의 학습키를 누르는 경우 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학습리모콘의 각 학습키들은 어떤 리모콘의 기능이 기억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다수의 학습키들에 다수 리모콘의 기능을 기억시킨 경우에 사용자가 그 기억된 내용을 숙지하지 못한다면 다수의 학습키들을 일일이 눌러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학습리모콘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리모콘만을 조작하여도 다수 리모콘을 조작하는 것과 같은 편리성을 얻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리모콘의 각 학습키들에 어떠한 기능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숙지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많은 절차의 번거로움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그에 따라 절차상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리모콘의 학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가전제품들을 학습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할 시 사용자가 겪게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는 리모콘의 학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가전제품들을 학습리모콘을 이용하여 조작할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리모콘의 학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aspect)에 따른 리모콘의 학습방법은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명칭이 미리 인레이(in-lay)되어 있는 키들을 구비하고 있는 하나의 리모콘에 다수의 리모콘의 기능을 학습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수의 리모콘의 각 기능들 중 상기 하나의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에 명칭이 인레이되어 있는 기능들을 상기 하나의 리모콘의 각 키들에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른 리모콘의 학습방법은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명칭이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코드데이터를 상기 구비된 키들의 값에 관련시켜 저장하고 있는 롬을 적어도 포함하는 하나의 리모콘에 다수 리모콘의 기능을 학습시키는 리모콘의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수 리모콘중 어느 한 리모콘의 키가 눌리어짐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되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러한 리모콘의 특징적인 요소는 리모콘의 각 키들에 미리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이 인레이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와 같은 이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이 미리 인에리되어 있지만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에 따른 리모콘의 학습과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각 키들을 누르더라도 해당하는 가전제품의 기능은 조작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에 따른 리모콘의 학슴과정을 거친 이후에 소정의 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하는 가전제품의 기능이 조작되게 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에는 TV에 대한 기능들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키들(13,14,15,17)과, VTR에 대한 기능들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키들(16,18,19)과, 오디오에 대한 기능들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키들(20)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참조번호 13은 음성을 뮤트(MUTE)시키기 위한 키이고, 14는 TV를 파워온시키기 위한 키이고, 15는 TV 채널의 설정을 위한 키이고, 17은 TV 모드와 VTR 모드의 절환을 위한 키이다. 참조부호 16은 VTR을 파워온시키기 위한 키이고, 18은 VTR의 2배속 설정을 위한 키이고, 9는 VTR의 각종 기능[재생(PLAY), 빨리감기(FF), 되감기(REW), 정지(STOP), 스틸(STILL)]의 조작을 위한 키이다. 참조부호 20은 오디오의 각종 기능[오디오(AUDIO), 컴팩트디스크(CD), 덱크(DECK), 디지털오디오테이프(DAT), 튜너(TUNER), 볼륨(VOL)]의 조작을 위한 키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발광소자인 세트(SET) LED(Light Emitting Diode) (10)와 모어(MORE) LED(11)와 세트키(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트 LED(10)는 리모콘이 학습과정으로 세트되었음을 나타낸다. 모어LED(11)는 리모콘의 학습과정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다수 가전제품의 기능이 이 학습리모콘에는 인레이되어 있지 않으므로 한번 더 다른 기능을 입력하라는 요구를 나타낸다. 세트키(12)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학습모드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 구조를 가지는 학습리모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리모콘의 내부는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개의 리모콘들 중의 하나의 리모콘(25)에서 인가되는 펄스파형을 입력하게 파형처리하기 위한 파형처리부(30)와, 각종 키를 스캐닝하기 위한 키매트릭스부(40)와, 상기 파형처리부(30)의 출력 및 상기 키매토릭스부(40)에 연결되어 학습리모콘의 학습과정을 미리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기 위한 마이컴(100)과, 상기 마이컴(100)에 연결되어 상기 리모콘의 동작 프로그램 및 학습과정에 필요한 각종 코드를 내장하고 있는 롬(ROM) (50)과, 상기 마이컴(10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세트 LED 및 모어 LED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롬(50)에는 학습과정에 필요한 각종 코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인레이된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코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각 코드 데이터는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명칭이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키들의 값과 함께 저장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학습방법에 따른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학습방법은 크게 리모콘을 학습모드로 세트시키는 과정(301,302단계)과, 다수 리모콘중 어느 한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303단계),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롬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304,305단계),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306단계)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이하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제1도의 세트키(12)를 누르면 제2도의 마이컴(100)은 제3도의 (301)단계에서 키매트릭스부(40)를 통해 세트키(12)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302)단계에서 세트LED(10)를 발광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제2도의 외부 리모콘(25)으로부터 학습동작을 요구하는 키를 누르면 파형처리부(30)은 (303)단계에서 상기 키가 눌리어짐에 따라 입력된 신호를 파형처리하여 이 처리된 코드데이터를 마이컴(10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304)단계 및 (305)단계에서 마이컴(100)은 상기 롬(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들을 검색하여 상기 리모콘(25)으로 입력된 코드데이터와 동일한 코드데이터가 롬(50)에 저장되어 있는지 유무를 비교한다. 즉, 대부분의 리모콘은 그 리모콘에 사용되는 제품이 무엇인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커스텀 코드(custom code)라는 것이 있는데, 마이컴(100)은 상기 (304)단계 및 (305)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키신호중에서 카스텀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를 가려낸다.
상기 (305)단계에서 입력된 키신호의 코드데이터가 롬(50)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와 동일한 것으로 비교되는 경우에 마이컴(100)은 (306) 단계에서 롬(50)으로부터 해당하는 코드데이터를 로드(LOAD)하고, (307)단계에서 세트 LED(10)와 모어LED(11)를 오프시킨다.
한편 상기 (305)단계에서 입력된 키신호의 코드데이터와 동일한 코드 데이터가 롬(50)으로부터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 마이컴(100)은 (308)단계로 진행하여 2번째 비교일 경우에는 상기 (307)단계로 리턴하고, 아니면 상기(309)단계에서 모어 LED(11)를 온시키고 상기 303단계로 루프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외부의 TV리모콘(25)을 이용하여 뮤트키를 누르게 되면 파형처리부(30)은 이에 따른 키신호를 처리한 후 처리된 코드데이터를 마이컴(100)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컴(100)은 이 코드데이터, 즉 TV 리모콘(25)상의 뮤트키를 학습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롬(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검색하여 확인한다. 이때 롬(50)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학습리모콘에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따른 코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뮤트키(13)의 코드데이터가 확인된다. 이 경우 마이컴(100)이 롬(50)에 저장되어 있는 뮤트키(13)의 코드데이터를 로드하고 학습동작을 종료한다. 그러므로 이후에 사용자가 학습리모콘상에 뮤트기능을 나타내는 명칭이 인레이되어 있는 뮤트키(13)을 누르는 경우 뮤트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 가전제품들의 명칭이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학습리모콘을 학습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그 학습리모콘에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이 학습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그 인레이되어 있는 명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학습리모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학습리모콘을 빠른 시간내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학습리모콘은 TV, VTR 및 오디오의 기능을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키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가전제품들 이외의 다른 가전제품들의 기능을 조작가능하도록 하는 키들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명칭이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키들을 구비하고 있는 하나의 리모콘에 다수의 리모콘의 기능을 하급시키는 리모콘의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 리모콘의 각 기능들 중 상기 하나의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에 명칭이 인레이되어 있는 기능들을 상기 하나의 리모콘의 각 키들에 학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2.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명칭이 미리 인레이되어 있는 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 가전제품들의 기능들에 대한 코드데이터를 상기 구비된 키들의 값에 관련시켜 저장하고 있는 롬을 적어도 포함하는 하나의 리모콘에 다수 리모콘의 기능을 학습시키는 리모콘의 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 리모콘 중 어느 한 리모콘의 키가 눌리어짐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코드데이터가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이 확인된 코드데이터를 로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KR1019910021696A 1991-11-29 1991-11-29 리모콘의 학습 방법 KR96001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696A KR960016384B1 (ko) 1991-11-29 1991-11-29 리모콘의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696A KR960016384B1 (ko) 1991-11-29 1991-11-29 리모콘의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62A KR930011762A (ko) 1993-06-24
KR960016384B1 true KR960016384B1 (ko) 1996-12-09

Family

ID=1932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696A KR960016384B1 (ko) 1991-11-29 1991-11-29 리모콘의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3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1762A (ko) 199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527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udio/video system
US6507306B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5438325A (en) Remote controller apparatus and an audio-video comb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4807052A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apparatus
EP0124331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arrangement for one or more television devices
US5539391A (e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urning appliances on and off
US7116264B2 (en) Programmable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6879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KR930015845A (ko) 케이블 컨버터 유닛의 vcr 제어 장치
US6078270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remote controller
US6469751B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remote control program
KR100352312B1 (ko) 무선 키보드
KR930015818A (ko) 케이블 컨버터 유닛의 vcr 제어 장치
KR960016384B1 (ko) 리모콘의 학습 방법
KR100230771B1 (ko) 브이씨알의 통합 리모콘 키이 처리방법
KR100902498B1 (ko)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61277272A (ja) システムリモ−トコントロ−ル送信器
JPH1122538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2001204089A (ja) リモコン装置
JPH01212095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3380454B2 (ja) Avシステム
JPH0583646A (ja) Avセレクタ
JP2511170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JP2000099230A (ja) 電子機器制御装置
GB2228134A (en) Auto tape sear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