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498B1 -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498B1
KR100902498B1 KR1020070013481A KR20070013481A KR100902498B1 KR 100902498 B1 KR100902498 B1 KR 100902498B1 KR 1020070013481 A KR1020070013481 A KR 1020070013481A KR 20070013481 A KR20070013481 A KR 20070013481A KR 100902498 B1 KR100902498 B1 KR 10090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mmand
unit
audio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412A (ko
Inventor
채종국
유영갑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49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687 priority patent/WO2008097006A1/en
Publication of KR2008007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한 후,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시간이 되면 이들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입력되는 다수의 키를 패턴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방송 장치에 대한 예약 레코딩/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간을 입력받거나 특정키로 설정받고,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설정된 시간이 되면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해당되는 전체 키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여 방송 장치로 전송한 후, 예약 레코딩 명령의 경우에는 방송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디스플레이 명령의 경우에는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방송 장치의 전원 또는 레코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모든 기기들을 예약으로 제어 가능하며,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모든 기기에 연결하여 레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 단말기, 방송 장치, 레코딩, 전원 제어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RECORD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의 모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된 시간에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모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 도이다.
본 발명은 방송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한 후,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시간이 되면 이들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 구비된 TV, VTR, STB와 같은 방송 장치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제어하거나 리모콘으로 제어를 한다. 이러한 방송 장치에 대해 예약 녹화, 예약 디스플레이, 타이머 기능 등을 명령한다.
그런데, 예약 녹화, 예약 디스플레이를 할 경우마다 다수의 키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PDA, PMP와 같은 이동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를 이용하여 방송 장치를 제어할 수 없었다. 또한, 단말기를 이용해 HOME A/V 장치와 같은 장비의 채널 변경, HOME A/V 장치의 전원 온/오프 제어와 같은 많이 사용되는 기능이 제공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크래들을 통해 HOME A/V 장치와 같은 방송 장치와 연결하거나 직접 방송 장치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시간이 되면 저장된 일련의 명령 패턴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방송 장치를 손쉽게 제어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코딩 제어 장치는,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한 개 이상의 방송 장치와 연결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 및 크래들과 접속하여 방송 장치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 접속부와,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와, 입력된 일련의 무선 제어신호의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패턴에 일치하는 전체 키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체 키를 방송 장치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와, 크래들 접속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와, 패턴화된 명령과 상기 코덱 처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레코딩 제어 장치는,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한 개 이상의 방송 장치; 및 방송 장치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A/V 신호 송수신부와,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와, 입력된 일련의 무선 제어신호의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패턴에 일치하는 전체 키를 판독하여 판독된 전체 키를 방송 장치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와, A/V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와, 패턴화된 명령과 코덱 처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코딩 제어 방법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입력되는 다수의 키를 패턴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 방송 장치에 대한 예약 레코딩/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간을 입력받거나 특정키로 설정받는 과정;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설정된 시간이 되면,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해당되는 전체 키를 저장부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전체 키를 방송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명령이 예약 레코딩인 경우, 방송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과정; 및 명령이 디스플레이인 경우,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 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는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한 개 이상의 방송 장치(200)와 연결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cradle)(170)과 이동 단말기(100)로 구성되는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HOME A/V 장치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와; 명령 패턴을 HOME A/V 장치로 출력하는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160)와; 그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거나 입력된 명령의 패턴을 분석하여 HOME A/V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HOME A/V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코덱 처리하고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부(130)와; 코덱 처리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와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크래들과 접속하여 방송 장치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 접속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방송 장치(200)는 TV, 비디오, 셋톱 박스 등의 영상 장비를 주로 지칭하며 디지털 장치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장치도 모두 포함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그 입력된 시간, 명령의 종류,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패턴은 분석된 후 데이터베이스(DB)화되거나 DB로 저장부에 저장된다.
"패턴"이란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레코딩할 경우 다수의 키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다수의 키를 특정 키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특정 기능(예: 레코딩)이 특정 시간에 주로 선택될 경우, 해당 시간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레코딩 제어 장치는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HOME A/V 장치 기기와 같은 방송 장치를 통해 표시되거나 혹은 표시될 예정인 프로그램이 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기 위해 다수의 키가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된 다수 키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다수의 키가 일정한 패턴을 가질 경우, 제어부(120)는 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여 DB화 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런 반복 수행으로 인해 레코딩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시간, 또는 특정 패턴을 가진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키(또는 명령)이 리모콘 패턴을 위한 명령인지, 방송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인 지, 특정 시간에 방송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예약 레코딩하기 위한 명령인지, 방송 장치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인지, 또는 방송 장치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기 위한 명령인지 분석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명령이 분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패턴을 가진 키의 전체 키 명령을 리드한다. 그리고, 리드된 키 명령은 블루투스, IrDA와 같은 통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160)를 통해 HOME A/V 장치 기기로 출력한다. 키 명령을 수신한 HOME A/V 장치 기기로부터 소정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그 수신된 신호를 코덱부(130)를 통해 음성 또는 비디오 코덱 처리를 한 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또는,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키가 HOME A/V 장치 기기의 전원을 특정 시간에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면, 제어부(120)는 특정 시간에 사용자로부터 어떤 키도 입력되지 않더라도 HOME A/V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특정 시간에 재생하기 위한 키가 패턴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면, 특정 시간에 사용자로부터 어떤 키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HOME A/V 장치의 재생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무선 제어신호의 고유 파형을 인식하여 저장하고, 패턴화된 명령에 따라 각 방송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고유 파형을 갖는 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160)를 통해 방송 장치(200)로 송신한다. 즉, 각 방송 장치마다 딸려 있는 리모 콘 각각에 부여된 고유 파형을 제어부에서 인식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패턴화된 명령에 따라 각 단계를 수행할 때 제어 대상이 해당되는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에 적절한 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방송 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하며 크래들(170)과 크래들 접속부(150) 대신 A/V 신호 송수신부(180)가 이동 단말기(100)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A/V 신호 송수신부(180)는 방송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170)을 통하지 않고 방송 장치로부터 직접 방송 신호를 전송받아 코덱부(130)를 통해 코덱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방송 장치로 방송 신호를 송신하여 방송 장치에서 프로그램이 재생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의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는 IR(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터치패드,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모듈도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110)에 구비된 모듈을 통해 소정 신호 또는 명령이 입력되면,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는 입력된 신호 또는 명령을 코드변환을 수행한다. 코드 변환이 수행된 명령은 제어부의 제어하에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크래들(170) 또는 A/V 신호 송수신부(180)를 통해서 비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비디오 디코더는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데이터가 크래들(170) 또는 A/V 신호 송수신부(180)를 통해 입력되면, 오디오 코덱은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코덱 처리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의 선택 또는 예약 설정된 시간이 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된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 되거나 또는 스피커(미도시)와 같은 출력장치로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듈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의 패턴을 인식하는 모듈은 다수의 패턴화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패턴을 분석하여 단일화된 키를 생성하고,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패턴화라 함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입력된 다수의 키를 단축키와 같은 특정 키로 지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이유는 단말기를 제조하는 업체 별로 메뉴의 트리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 정 기능을 실행하고자 할 때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20)는 입력된 키의 순차적인 코드를 플래쉬 메모리등에 일시 저장하고, 일시 저장된 순차적인 코드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순차적인 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체크를 한다. 그리고, 체크 결과, 일치하면 순차적인 코드에 할당된 특정 키를 저장부로부터 리드하고, 리드된 특정 키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약된 시간에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장치는 예약 시간을 설정 및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방송 장치의 파워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 장치의 파워를 예약된 시간에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어하고자 하는 시간을 예약 설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예약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생략한다.
다수의 키 조작으로 인해 방송 장치의 파워를 온/오프 하기 위한 예약 시간이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되면, 제어부(120)는 주기적으로 현재 시간이 설정된 예약 시간과 일치하는지 체크를 한다. 체크 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방송 장치의 파워를 제어하기 위한 단축키 코드를 리드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리드된 코드를 IR 모듈을 사용하여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160)를 통해 방송 장치로 전송한다. 방송 장치는 리드된 코드를 통해서 전원을 온/오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또는 예약이 설정된 시간이 되면, 이동 단말기는 방송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각 수신된 신호를 해당 코덱 모듈이 구비된 코덱부(130)로 전송한다. 코덱부로부터 코덱처리가 수행되면, 제어부(120)는 코덱 처리가 수행된 신호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방송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 자체 내의 화면 등을 통해 바로 재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가 수신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코덱 처리되어 일단 저장부(140)에 저장된 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재생될 수 있으며, 또는 신호의 저장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어부(120)는 코덱 처리된 신호에 대하여 음성 및 영상의 동기화 과정을 수행하여 시간지연 없이 음성은 스피커/헤드폰과 같은 장비를 통해 출력하고, 영상은 LCD 또는 TV와 같은 장비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예약 시간이 되면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설정된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크래들(170) 또는 A/V 신호 송수신부(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TV와 같은 방송 장치로 전송한다. 또는, 이동 단말기 자체 내의 화면을 통해 프로그램을 재생한다. 이때, 방송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와 방송 장치의 코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덱부(130)를 통해 코덱 변환을 수행한 후에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송 장치의 파워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신호를 시청취하고자 할 때, 방송 장치의 전원이 Off 일지라도, 이동 단말기는 방송 장치의 전원을 On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코딩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ME A/V 장치의 전원 온/오프, HOME A/V 장치의 통해 디스플레이된는 프로그램의 레코딩, HOME A/V 장치를 통해 예약하고자 하기 위해 입력되는 다수 키와 같이 단말기를 통해 HOME A/V 장치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면,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다수의 키를 패턴화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100). 이처럼 과정(S100)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된 다수 키의 패턴을 분석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하게 된다.
이처럼 다수의 키가 패턴화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태에서 방송 장치에 대한 예약 레코딩/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간을 입력받거나 앞서 패턴화되어 저장된 일련의 다수의 키를 특정키로 설정받는다(S102).
그리고, 특정 키가 입력되거나 예약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S104), 입력된 키를 분석하여 그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파악한다(S106). 과정(S106)에서 기능이 파악되면, 제어부(120)는 입력된 키에 해당되는 전체 키를 저장부(140)로부터 판독하고(S108), 그 판독된 전체 키를 블루투스, IrDA를 이용하여 HOME A/V 장치로 전송한다(S110).
그런 후에,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HOME A/V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거나 디스플레이될 예정인 프로그램을 레코딩하기 위한 명령이면, HOME A/V 장치는 수신한 키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A/V 신호를 HOME A/V 장치와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 크래들(170)을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단말기의 A/V 신호 송수신부(180)로 직접 전송하고, 단말기는 HOME A/V 장치로부터 수신된 A/V 신호를 디코딩하여 저장한다(S112~116).
이러한 과정들(S102~S116)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기의 저장부(140)에는 다수의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저장된 신호를 시청 또는 청취하기 위해 선택하면, 그 선택된 신호를 재생한다(S118).
그러나,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명령이면,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또는 인덱스가 첨부되어 저장 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한다(S120).
만일, 과정(S106)에서 파악된 기능이 예약된 시간에 HOME A/V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기능이거나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이면, 제어부(120)는 타이머(미도시)를 제어하여 그 예약된 시간이 되면, HOME A/V 장치로 해당 명령을 전송한다. 명령을 수신한 HOME A/V 장치는 이를 분석하여 전원 온/오프 명령이면 예약된 시간에 그 명령에 따라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반면, 채널 변경 명령이면 예약된 시간에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로 변경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으로 제어되는 모든 기기들을 예약으로 제어 가능하며,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모든 기기에 연결하여 레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복수 개의 방송 장치에 대한 프로그램 예약 녹화, 전원 온/오프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사용자가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여러 다양한 방송 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레코딩을 디지털 레코딩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향후 보급화될 리모콘이 있는 장비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인터넷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홈오토메이션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한 개 이상의 방송 장치와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과 연결되는 레코딩 제어 장치로서,
    상기 크래들과 접속하여 상기 방송 장치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크래들 접속부;
    상기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
    상기 입력된 일련의 무선 제어신호의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패턴에 일치하는 전체 키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전체 키를 상기 방송 장치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크래들 접속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 및
    상기 패턴화된 명령과 상기 코덱 처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코딩 제어 장치.
  2. 무선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한 개 이상의 방송 장치를 이용하는 레코딩 제어 장치로서,
    상기 방송 장치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A/V 신호 송수신부;
    상기 방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
    상기 입력된 일련의 무선 제어신호의 명령을 패턴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패턴에 일치하는 전체 키를 판독하여 상기 판독된 전체 키를 상기 방송 장치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A/V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코덱 처리하는 코덱부; 및
    상기 패턴화된 명령과 상기 코덱 처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코딩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딩 제어 장치는 무선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제어신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무선 제어신호의 고유 파형을 인식하여 저장하고, 상기 패턴화된 명령에 따라 각 방송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고유 파형을 갖는 무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제어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제어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명령이 상기 특정 시간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예약 레코딩하기 위한 명령으로 분석되면, 상기 입력된 명령을 상기 특정 시간에 상기 방송 장치로 전송 제어하고, 상기 특정 시간에 방송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코덱 처리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명령을 패턴화하기 위해 상기 방송 장치에 대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명령을 소정 키로 단축화하면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키의 순서 및 상기 키가 입력된 시간을 통계화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딩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13481A 2007-02-09 2007-02-09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90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81A KR100902498B1 (ko) 2007-02-09 2007-02-09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08/000687 WO2008097006A1 (en) 2007-02-09 2008-02-04 Record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481A KR100902498B1 (ko) 2007-02-09 2007-02-09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412A KR20080074412A (ko) 2008-08-13
KR100902498B1 true KR100902498B1 (ko) 2009-06-15

Family

ID=3968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481A KR100902498B1 (ko) 2007-02-09 2007-02-09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2498B1 (ko)
WO (1) WO2008097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39B1 (ko) * 2013-10-22 2014-06-13 전종우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878180A (zh) * 2021-09-29 2023-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分布式实现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135A (ko)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용 리모콘
KR20060053058A (ko) * 2004-11-13 200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관리방법
KR20070038643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KR20070083280A (ko) * 2006-02-09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227A (ja) * 1998-12-11 2000-06-30 Aiwa Co Ltd 多チャネル放送受信装置
KR20050080291A (ko) * 2004-02-09 200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분배기 내장형 tv 크래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135A (ko) * 2003-02-28 2004-09-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용 리모콘
KR20060053058A (ko) * 2004-11-13 200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방송채널 관리방법
KR20070038643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KR20070083280A (ko) * 2006-02-09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 검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7006A1 (en) 2008-08-14
KR20080074412A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805B2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8797149B2 (en) State-base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1040358B (zh) 响应于对用户的生物统计识别的遥控电子设备
CN100525436C (zh) 内容播放系统、内容播放设备和内容播放方法
KR10103739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US6759967B1 (en) Remote control for activating household video products and services
KR101772653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US20100150532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CN101102425A (zh) 利用触摸屏控制频道搜索速度及/或音量大小的遥控器
KR101555430B1 (ko) 스마트폰 알람 기능을 통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2498B1 (ko)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040227857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ic apparatus control method
KR101057810B1 (ko) 휴대폰에 리모컨 기능을 부가하는 리모컨 기능 부가 시스템및 리모컨 기능 부가 방법
US2005014052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rom a distance via a command controller
CN101127823A (zh) 多个遥控器的控制装置及其方法
CN100371920C (zh) 可自订遥控机制的电子装置/系统及相关方法
KR100531301B1 (ko) 다기능 원격 제어장치
KR20100081186A (ko) 제어데이터 전송방법, 피제어장치, 원격제어 중개장치, 통합 원격제어장치, 서버, 그리고, 원격제어 시스템
US2007005780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s and playback devices
US20070083636A1 (en) Remote control transmits xml-document
JPH1122538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4568501B2 (ja) 外部コマンドに応答する装置及び動作方法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KR100860393B1 (ko) 휴대용 착탈식 iptv단말기 및 크래들
KR20110110442A (ko) 리모트 컨트롤러, 그에 대응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키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