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39B1 -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39B1
KR101407739B1 KR1020130125729A KR20130125729A KR101407739B1 KR 101407739 B1 KR101407739 B1 KR 101407739B1 KR 1020130125729 A KR1020130125729 A KR 1020130125729A KR 20130125729 A KR20130125729 A KR 20130125729A KR 101407739 B1 KR101407739 B1 KR 10140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power supply
equipment
broadcast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득인
전종우
Original Assignee
전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우 filed Critical 전종우
Priority to KR102013012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의 전관방송 장비들이 관리용 PC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된 방송 시나리오 및 이를 수신한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이 과정에서 방송 시나리오 및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 스케쥴이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방송장비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방송장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은, 방송장비들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송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의 실행 및 실행된 방송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신호 입력을 통해 관리용 방송장비들에 대한 방송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방송 관리용 PC와, 상기 방송 관리용 PC의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 후 수신된 방송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방송장비들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AV(Audio/Video) 통합 제어장치와,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별로 해당 방송장비의 현재 동작에 필요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broadcas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의 전관방송 장비들이 관리용 PC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된 방송 시나리오 및 이를 수신한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이 과정에서 방송 시나리오 및 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 스케쥴이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방송장비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방송장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 후 수신된 방송 데이터가 해당 건물 내에서 출력되게 하고 또한 전관방송(PA: Public Address)에 사용되는 방송 장비가 설치되며, 이러한 방송 장비는 건축 관련법규에 의해 공시청 설비로써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건물 내 방송장비는 최근 TV 방송시스템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그 전체 설비가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TV 방송시스템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채널 수의 증가 및 고화질 방송으로 인해 헤드엔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듈레이터, 위성수신기, 엔코더, 모듈레이터 등의 장치 수가 늘어나 결과적으로 건물 내 TV 방송장비가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물 내 방송장비는 더 복잡해지는데 비해 전체방송의 형태로 빈번히 운영되는 전관방송의 특성으로 인해 불필요한 과다 전력 낭비가 초래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72816호(2010.07.28.공고), “전원분배기를 이용한 음향방송시스템의 오프모드 상태에서의 대기전력 절감 제어방법” 한국등록특허 제0725832호(2007.06.13.공고), “퍼블릭어드레스 파워앰프 시스템 및 그 전원공급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소정 범위 내의 방송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으로 구분 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등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채널 별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의 동작이 관리용 컴퓨터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이러한 방송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자동 진행되고, 이때 해당 방송장비들의 모니터링 후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방송 시나리오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개별 방송장비의 동작 및 그 동작 특성에 적합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여 해당 방송장비들의 전체 전력 소모량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이 가능토록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방송장비 관리용 PC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방송장비들에 개별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다원화 번호 간 데이터 일치시의 해당 방송장비에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방송장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은, 방송장비들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송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의 실행 및 실행된 방송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신호 입력을 통해 관리용 방송장비들에 대한 방송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방송 관리용 PC와, 상기 방송 관리용 PC의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 후 수신된 방송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방송장비들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AV(Audio/Video) 통합 제어장치와,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별로 해당 방송장비의 현재 동작에 필요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복수의 AC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AC전원공급부 및 복수의 DC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DC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 각각의 AC전원커넥터들 및 DC전원커넥터들에 대한 채널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설정부를 통해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가 사전 설정되고 각 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출력 스케쥴 및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방송 시나리오 데이터 간의 일치 시에만 해당 커넥터의 출력채널에 접속된 방송장비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에서 수신한 방송신호의 수 및 수신된 방송신호의 수와 동수의 방송장비 수에 해당하는 다원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는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 전송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기기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의 출력 장비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출력채널별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동작 시 연동하는 방송장비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통신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수신되는 상기 통신 프레임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방송장비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에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데이터인 입력채널정보, 출력채널정보, 볼륨데이터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데이터인 장비번호, 전원공급 채널정보가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는 입력되는 소스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소스 신호에 영상신호가 없거나 무의미한 영상신호인 경우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블랙 영상신호로 전환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방법은, 방송 관리용 PC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이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시나리오 및 통신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관리용 PC가 방송 시나리오는 AV 통합 제어장치에 전송하고 통신프레임은 전원공급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수신된 통신프레임 및 사전 설정된 전원커넥터별 출력스케쥴을 비교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수신된 통신프레임 및 사전 설정된 출력스케쥴 간에 일치를 나타내는 전원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커넥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오디오 출력장비 및 비디오 출력장비에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방송 시나리오에 기반한 제어를 통해 오디오 소스의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소스의 비디오 데이터가 각각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수신된 통신프레임 및 사전 설정된 출력스케쥴 간에 일치를 나타내는 전원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커넥터별로 개별 접속되는 각 방송채널 상의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 전송장비, 오디오 및 비디오 소스에는 데이터 및 전기적 신호의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장비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해당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 관리용 PC가 방송 시나리오는 AV 통합 제어장치에 전송하고 통신프레임은 전원공급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포함되는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의 AC전원커넥터들 및 DC전원커넥터들에 대해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채널 설정부를 통해 각 전원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가 사전 설정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각 전원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이 사전 설정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 및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방송장비들의 개별 동작 상태가 상기 방송 관리용 PC의 방송관리 프로그램 상에서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범위 내의 방송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으로 구분 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등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채널 별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 방송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관련 장비들의 통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의 동작이 관리용 컴퓨터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이러한 방송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음향 및 영상 통합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 진행되고, 이때 해당 방송장비들의 모니터링 후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방송 시나리오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개별 방송장비의 동작 및 그 동작 특성에 적합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여 해당 방송장비들의 전체 전력 소모량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이 가능케 된다.
또한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방송장비 관리용 컴퓨터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방송장비들에 개별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다원화 번호 간 데이터 일치시의 해당 방송장비에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방송장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적 사용이 가능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방송 관리용 PC를 통해 형성되는 통신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전원공급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전원공급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100: 이하 “방송장비의 AV 통합제어 시스템”이라 약침함)은 방송 관리용 PC(110), AV(Audio/Video) 통합 제어장치(120), 전원공급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관리용 PC(110)는 방송장비들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이 탑재되며, 이에 따라 방송 관리용 PC(110)는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의 실행 및 실행된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에 대한 신호 입력을 통해 관리용 방송장비들에 대한 방송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그리고 방송 관리용 PC(11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동작 시 연동하는 방송장비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통신 프레임을 형성 후, 이렇게 형성된 통신 프레임을 전원공급장치(13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장치(130)는 수신되는 상기 통신 프레임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방송장비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방송 관리용 PC(110)에서 형성되는 상기 통신 프레임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방송 관리용 PC를 통해 형성되는 통신 프레임의 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관리용 PC(110)에서 형성되는 통신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에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데이터인 입력채널정보, 출력채널정보, 볼륨데이터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30)의 데이터인 장비번호, 전원공급 채널정보가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AV 통합 제어장치(120)는 방송 관리용 PC(110)의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 후 수신된 방송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방송장비들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여기서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방송장비로는 도시된 증폭기(140), 신호변환 장치(150), 전송장비(160) 및 미도시된 오디오 출력장치, 비디오 출력장치 등이 포함된다.
전원공급장치(13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별로 해당 방송장비의 현재 동작에 필요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130)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전원공급장치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에서 전원공급장치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30)는 복수의 AC전원커넥터(131a)를 포함하는 AC전원공급부(131) 및 복수의 DC전원커넥터(132a)를 포함하는 DC전원공급부(132) 그리고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 각각의 AC전원커넥터(131a)들 및 DC전원커넥터(132a)들에 대한 채널 설정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채널 설정부(133)는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를 설정하는 것으로써, 이때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는 AV 통합 제어장치(120)에서 수신한 방송신호의 수 및 수신된 방송신호의 수와 동수의 방송장비 수에 해당하는 다원화번호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30)는 방송 관리용 PC(110)의 통신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34) 그리고 수신부(134)를 통해 수신된 통신 프레임의 분석 후 프레임 분석 결과와 채널 설정부(133)의 채널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한 다음 해당 전원공급부에 출력하는 프레임 분석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30)는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의 각 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이 사전 설정됨으로써, 상기 출력 스케쥴 및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방송 시나리오 데이터 간의 일치 시에만 해당 커넥터의 출력채널에 접속된 방송장비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의 각 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은 채널 설정부(133)를 통해 설정되거나 별도의 출력 스케쥴 설정모듈(미도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설정부(133)에서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의 각 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이 설정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그리고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는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150), 전송장비(160), 오디오 및 비디오 소스(170,180)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장비(미도시)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출력채널별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AV 통합 제어장치(120)에 방송신호가 수신 시,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는 그 각각의 커넥터에 접속된 모든 방송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방송장비 중 오디오 출력장비는 다른 종류의 입력 소스 신호가 전원공급장치(130)의 동일 채널의 커넥터를 통해 출력 시, 이 출력 신호가 믹싱 신호인 경우에는 즉시 출력을 한다. 이와 달리 오디오 출력장비는 우선 순위가 정해진 다른 종류의 입력 소스 신호가 전원공급장치(130)의 동일 채널의 커넥터를 통해 출력 시, 최우선 순위의 신호는 즉시 재생하고 최우선 순위의 신호보다 순위가 낮은 신호들은 녹음 후 최우선 순위의 신호 재생이 끝난 후 순차적으로 이어서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AV 통합 제어장치(120)는 전원공급장치(130)의 전원 온/오프 시 발생 가능한 방송신호의 지연 또는 손실 현상의 방지를 위해 해당 방송신호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여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 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AV 통합 제어장치(120)는 방송장비 중 증폭기(140), 신호변환장치(150), 전송장비(160)에 전원 인가 시 해당 장비들이 3~10초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데 따라 방송신호를 3~10초 메모리에 저장 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AV 통합 제어장치(120)는 입력되는 소스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소스 신호에 비디오신호가 없거나 무의미한 비디오신호인 경우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블랙 비디오신호로 전환하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방송 관리용 PC(11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전력 사용량을 방송관리 프로그램(11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리용 PC(11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전력 사용량을 일일 기준으로 감시하여 10% 이상의 변동 발생 시 일부 방송장비의 고장 또는 추가로 판단 후 해당 정보를 방송관리 프로그램(11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리용 PC(11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일, 주, 월, 년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일일 피크시간 및 최소기간 분석이 가능한 동시에 주간, 월간, 년간 최고치 및 최소치 분석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방송 관리용 PC(110)는 AV 통합 제어장치(120)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전원공급장치(1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일일 전력 사용량의 피크 시점에서의 동작 중인 장비의 내역이 식별 가능하도록 방송관리 프로그램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AV 통합제어 시스템(100)에 의해서, 소정 범위 내의 방송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으로 구분 후 신호전송장비, 신호변환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장비 등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음향 및 영상 출력장비 등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채널 별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체 방송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관련 장비들의 통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의 동작이 관리용 컴퓨터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이러한 방송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음향 및 영상 통합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자동 진행되고, 이때 해당 방송장비들의 모니터링 후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방송 시나리오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개별 방송장비의 동작 및 그 동작 특성에 적합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여 해당 방송장비들의 전체 전력 소모량의 효율적 관리 및 운영이 가능케 된다.
또한 소정 범위 내의 방송 장비들, 예를 들어 건물 내 전관방송 장비들에 대한 전원 공급이 방송장비 관리용 컴퓨터의 방송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는 방송 시나리오 및 방송장비들에 개별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다원화 번호 간 데이터 일치시의 해당 방송장비에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방송장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의 절약 및 효율적 사용이 가능케 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방법에서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예로 한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100)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방송 관리용 PC(110)의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이 실행된다.
단계(S120)에서, 단계(S110)을 통해 실행된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에 신호가 입력되고, 방송관리 프로그램(111)은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방송 시나리오 및 통신프레임을 생성한다.
단계(S150)에서, 방송 관리용 PC(110)는 단계(S120)을 통해 생성한 방송 시나리오를 AV 통합 제어장치(120)에 전송한다.
단계(S160)에서, 방송 관리용 PC(110)는 단계(S120)을 통해 생성한 통신프레임을 전원공급장치(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계(S150) 및 단계(S160)은 선후 관계가 필요치 않은 것으로서, 즉 본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에서 단계(S150) 및 단계(S160)의 순서로 설명되고 있으나, 단계(S160) 및 단계(S150)의 순서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단계(S110) 및 단계(S120)과는 별도로 단계(S130)에서, 전원공급장치(130)에는 채널설정부(133)를 통해 AC전원공급부(131) 및 DC전원공급부(132)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 번호가 설정된다. 또한 단계(S140)에서, 전원공급장치(130)에는 AC전원공급부(131)의 AC전원커넥터(131a)들 및 DC전원공급부(132)의 DC전원커넥터(132a)들에 대한 개별 출력스케쥴이 설정된다. 즉, 단계(S130) 및 단계(S140)은 단계(S150) 및 단계(S160) 이전에 진행된다.
그리고 단계(S150) 및 단계(S160)에 이어서 단계(S170)에서 전원공급장치(130)는 수신된 통신프레임과 사전 설정된 전원커넥터별 출력스케쥴을 비교 분석하여 통신프레임과 전원커넥터별 출력스케쥴의 데이터 간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S180)에서, 전원공급장치(130)는 통신프레임과 데이터가 일치하는 전원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며, 이에 따라 해당 전원커넥터와 접속된 방송채널 및 이 방송채널에 접속된 방송장비들에 전원공급을 시작한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130)는 전원커넥터별로 개별 접속되는 각 방송채널 상의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150), 전송장비(160), 오디오 및 비디오 소스(170,180)에는 데이터 및 전기적 신호의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장비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해당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전원공급장치(130)의 각 전원커넥터별로 사전 설정되는 출력스케쥴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단계(S190) 내지 (S210)에서, 단계(S180)을 통한 전원공급장치(130)의 전원이 오디오 소스(170), 비디오 소스(180), 증폭기(140), 신호변환장치(150), 전송장비(160), 오디오 출력장치, 비디오 출력장치 등의 방송장비들에 공급된다.
단계(S220)에서, 단계(S19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증폭기(140), 신호변환장치(150), 전송장비(160), 오디오 출력장치, 비디오 출력장치 등의 방송장비가 작동한다.
단계(S230) 및 단계(S240)에서 단계(S200) 및 단계(S2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오디오 소스(170) 및 비디오 소스(180)가 AV 통합 제어장치(120)에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단계(S230) 및 단계(S240)은 선후 관계가 필요치 않은 것으로서, 즉 본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에서 단계(S230) 및 단계(S240)의 순서로 설명되고 있으나, 단계(S240) 및 단계(S230)의 순서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단계(S250) 및 단계(S260)에서, AV 통합 제어장치(120)는 단계(S230) 및 단계(S240)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각각 방송 관리용 PC(110)로부터 수신한 방송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방송장비에 출력한다. 즉, 전원공급장치(130)의 전원커넥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오디오 출력장비 및 비디오 출력장비에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방송 시나리오에 기반한 제어를 통해 오디오 소스(170)의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소스(180)의 비디오 데이터가 각각 전송된다.
그리고 단계(S250) 및 단계(S260)은 선후 관계가 필요치 않은 것으로서, 즉 본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에서 단계(S250) 및 단계(S260)의 순서로 설명되고 있으나, 단계(S260) 및 단계(S250)의 순서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동작 상태 및 AV 통합 제어장치(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방송장비들의 개별 동작 상태가 방송 관리용 PC(110)의 방송관리 프로그램(111) 상에서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방송장비의 AV 통합제어 시스템 110 : 방송 관리용 PC
111 : 방송관리 프로그램 120 : AV 통합 제어장치
130 : 전원공급장치 131 : AC전원공급부
131a : AC전원커넥터 132 : DC전원공급부
132a : DC전원커넥터 133 : 채널 설정부
134 : 수신부 135 : 프레임 분석부
140 : 증폭기 150 : 신호변화장치
160 : 전송장비 170 : 오디오 소스
180 : 비디오 소스

Claims (19)

  1. 방송장비들의 통합 관리를 위한 방송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의 실행 및 실행된 방송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신호 입력을 통해 관리용 방송장비들에 대한 방송 시나리오가 생성되는 방송 관리용 PC;
    상기 방송 관리용 PC의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 후 수신된 방송 시나리오에 따라 해당 방송장비들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AV(Audio/Video) 통합 제어장치;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별로 해당 방송장비의 현재 동작에 필요한 값의 전원만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AC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AC전원공급부 및 복수의 DC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DC전원공급부 그리고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 각각의 AC전원커넥터들 및 DC전원커넥터들에 대한 채널 설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 설정부를 통해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가 사전 설정되고 각 커넥터별 출력 스케쥴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출력 스케쥴 및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포함된 방송 시나리오 데이터 간의 일치 시에만 해당 커넥터의 출력채널에 접속된 방송장비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는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 전송장비, 음향 및 영상 소스기기에는 통신에 필요한 기본 전압만 공급하고 영상데이터 및 음향데이터의 출력 장비에는 해당 장비의 동작 시에만 각 출력채널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는 입력되는 소스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소스 신호에 영상신호가 없거나 무의미한 영상신호인 경우 소비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블랙 영상신호로 전환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전력 사용량을 일일 기준으로 감시하여 10% 이상의 변동 발생 시 일부 방송장비의 고장 또는 추가로 판단 후 해당 정보를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에서 수신한 방송신호의 수 및 수신된 방송신호의 수와 동수의 방송장비 수에 해당하는 다원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 각각의 각 커넥터별 출력채널의 번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에 방송신호 수신 시 상기 AC전원공급부 및 DC전원공급부는 그 각각의 커넥터에 접속된 모든 방송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방송장비 중 오디오 장비는 다른 종류의 입력 소스 신호가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동일 채널의 커넥터를 통해 출력 시, 이 출력 신호가 믹싱 신호인 경우에는 즉시 출력을 하고, 우선 순위가 정해진 신호인 경우에는 최우선 순위의 신호는 즉시 재생하고 최우선 순위의 신호보다 순위가 낮은 신호들은 녹음 후 최우선 순위의 신호 재생이 끝난 다음 순차적으로 이어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동작 시 연동하는 방송장비들의 동작 제어를 위한 통신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수신되는 상기 통신 프레임을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방송장비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에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의 데이터인 입력채널정보, 출력채널정보, 볼륨데이터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데이터인 장비번호, 전원공급 채널정보가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전원 온/오프 시 발생 가능한 방송신호의 지연 또는 손실 현상의 방지를 위해 해당 방송신호를 메모리에 일시 저장하여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지연 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는 방송장비 중 신호변환장치, 증폭기, 전송장비에 전원 인가 시 해당 장비들이 3~10초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데 따라 방송신호를 3~10초 메모리에 저장 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전력 사용량을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일, 주, 월, 년의 전력 사용량을 분석하여 일일 피크시간 및 최소기간 분석이 가능한 동시에 주간, 월간, 년간 최고치 및 최소치 분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관리용 PC는 상기 AV 통합 제어장치를 통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방송장비를 포함한 방송시스템의 일일 전력 사용량의 피크 시점에서의 동작 중인 장비의 내역이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방송관리 프로그램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125729A 2013-10-22 2013-10-22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7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29A KR101407739B1 (ko) 2013-10-22 2013-10-22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729A KR101407739B1 (ko) 2013-10-22 2013-10-22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739B1 true KR101407739B1 (ko) 2014-06-13

Family

ID=5113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729A KR101407739B1 (ko) 2013-10-22 2013-10-22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95B1 (ko) * 2015-12-03 2017-12-15 최대종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310B1 (ko) * 2019-07-31 2020-01-13 이기만 인공 지능 기반 음성 제어를 이용한 구내 방송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412A (ko) * 2007-02-09 2008-08-13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5547A (ko) * 2007-03-20 2008-09-24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모자이크 이피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0956368B1 (ko) * 2009-09-16 2010-05-06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구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00126929A (ko) * 2009-05-25 2010-12-03 송인걸 방송 장비의 통합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412A (ko) * 2007-02-09 2008-08-13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레코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5547A (ko) * 2007-03-20 2008-09-24 티유미디어 주식회사 모자이크 이피지 생성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00126929A (ko) * 2009-05-25 2010-12-03 송인걸 방송 장비의 통합 관리/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6368B1 (ko) * 2009-09-16 2010-05-06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구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95B1 (ko) * 2015-12-03 2017-12-15 최대종 전관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65310B1 (ko) * 2019-07-31 2020-01-13 이기만 인공 지능 기반 음성 제어를 이용한 구내 방송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4397C (zh) 广播接收系统和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
US200901724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saving setting method
US9432737B2 (e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linked application supplying system
JP2005524101A (ja) バックライト調節及び映像信号の適応変換による消費電力減少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87369B1 (ko)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CN107872660B (zh) 显示装置、显示方法及显示系统
KR101407739B1 (ko) 방송장비의 오디오 및 비디오 통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0510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20110145808A1 (en) Content Receiver Having a Low-Power Mode
EP0975109A1 (en) Digital broadcasting method and receiver therefor
JP2000253330A (ja) 画像表示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制御方法
US6804827B1 (e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signal adjus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outing apparatus
KR20080080042A (ko)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
EP282994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US20120320281A1 (en) Television receiv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60301973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20110102589A1 (en) Wireless video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video reception device
US20100091189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CN101674438B (zh) 广播接收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00186876A1 (en) Smart standby with multiple devices
KR100688649B1 (ko) 원격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CN102802072A (zh) 广播接收器及广播接收器控制方法
US9813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active television channel
CN105141934A (zh) 模数信号补偿的方法及装置
WO201718801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