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369B1 -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369B1
KR101387369B1 KR1020130160384A KR20130160384A KR101387369B1 KR 101387369 B1 KR101387369 B1 KR 101387369B1 KR 1020130160384 A KR1020130160384 A KR 1020130160384A KR 20130160384 A KR20130160384 A KR 20130160384A KR 101387369 B1 KR101387369 B1 KR 10138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op box
packet
view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
장홍규
김정호
김동현
양정은
한만재
신기철
Original Assignee
(주)그린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콤 filed Critical (주)그린콤
Priority to KR102013016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사업자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시청자가 셋톱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하여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하면 셋톱박스가 시청종료 패킷을 전송 후, 일정 시간 동안 시청시작 패킷을 전송하지 않으면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한편, 셋톱박스가 전원 ON/OFF된 시간, 시청한 채널번호, 시청 채널에 대한 시청시작 시간 및 시청종료 시간 등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누적하고,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시켜야 할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ON 시키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EXTERNAL TYPE THE STANDBY POWER OFF AND POWER ACTIVATE SYSTEM OF SET-TOP BOX}
본 발명은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사업자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시청자가 셋톱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하여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할 경우, 셋톱박스가 시청종료 패킷을 전송 후, 일정 시간 동안 시청시작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한편, 셋톱박스가 전원 ON/OFF된 시간, 시청 채널 번호, 시청 채널에 대한 시청시작 시간 및 시청종료 시간 등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시켜야 할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ON 시키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사업자는 영상정보를 사업자의 통신방식에 맞게 변환 하여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하고, 셋톱박스는 변환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원 영상으로 변환하여 TV 또는 모니터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영상정보의 전송 방식은 케이블방송, IP-TV, 위성방송 등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IP-TV를 예로 들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IP-TV란 네트워크 사업자가 공중파방송 혹은 케이블방송 등의 TV채널 영상과 영화 혹은 드라마 등의 VoD(Video on Demand)영상을 IP패킷으로 변환하여 IP망을 통해 전송하고, 셋톱박스는 IP패킷을 수신하여 영상의 형태로 변환하며, 시청자는 TV 또는 모니터로 출력된 영상을 시청한다. IP-TV사업자의 경우, TV 채널의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멀티캐스트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있는데,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또는 MDL(Multicast Listener Discovery)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VoD(Video on Demand)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는데,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와 RTMP(Real Time Messaging Protocol)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상기 IGMP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이란, 특정 TV채널을 시청하는 다수의 시청자의 그룹을 멀티캐스트 그룹이라고 할 때, 시청자가 특정 TV 채널을 선택할 경우, 셋톱박스는 IGMP Report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시청자는 해당 TV채널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join)하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해당 TV채널에 해당하는 IP패킷을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IGMP Report 패킷을 시청시작 패킷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시청자가 특정 TV채널을 시청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는 IGMP Leave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시청자는 해당 TV채널의 멀티캐스트 그룹에서 탈퇴(Leave)하게 되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셋톱박스로 전송했던 TV채널에 해당하는 IP패킷의 전송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IGMP Leave 패킷을 시청종료 패킷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MDL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이란, 특정 TV채널을 시청하는 다수의 시청자 그룹을 멀티캐스트 그룹이라고 할 때, 시청자가 특정 TV채널을 선택할 경우, 셋톱박스는 MLD Report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시청자는 해당 TV채널의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join)하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해당 TV채널에 해당하는 IP패킷을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MLD Report 패킷을 시청시작 패킷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시청자가 특정 TV채널을 시청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는 MLD Leave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시청자는 해당 TV채널의 멀티캐스트 그룹에서 탈퇴(Leave)하게 되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셋톱박스로 전송했던 TV채널에 해당하는 IP패킷의 전송을 중지한다. 이때 상기 MLD Leave 패킷을 시청종료 패킷이라 할 수 있다.
IGMP를 이용한 시청시작과 시청종료를 예를 들면, 시청자가 TV채널 10번을 TV채널 20번으로 변경할 경우, 셋톱박스는 TV채널 10번에 해당하는 IGMP Leave 패킷(시청종료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TV채널 10번에 해당하는 IP패킷 전송을 중지한다. 또한, 셋톱박스는 TV채널 20번에 해당하는 IGMP Report 패킷(시청시작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는 TV채널 20번에 해당하는 IP패킷을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그리고, 셋톱박스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할 경우, 대부분의 셋톱박스는 마지막 시청한 TV채널에 해당하는 IGMP Leave 패킷(시청종료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스트리밍 프로토콜인 RTSP를 이용한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이란, IP-TV 가입자가 특정 VoD를 선택할 경우, 셋톱박스는 RTSP PLAY패킷을 VoD 서버로 전송하고, VoD 서버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프로토콜을 이용해 영상정보를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RTSP PLAY 패킷을 시청시작 패킷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IP-TV 가입자가 특정 VoD를 시청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는 RTSP TEARDOWN 패킷을 VoD서버로 전송하고, VoD 서버는 셋톱박스로 전송하던 VoD영상 전송을 중지한다.
그리고, 셋톱박스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할 경우, 대부분의 셋톱박스는 마지막 시청한 VoD에 해당하는 RTSP TEARDOWN 패킷을 VoD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RTSP TEARDOWN 패킷을 시청종료 패킷이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트리밍 프로토콜인 RTMP를 이용한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이란, IP-TV 가입자가 특정 VoD를 선택할 경우, 셋톱박스는 RTMP play 패킷을 VoD 서버로 전송하고, VoD 서버는 RTMP를 이용해 영상정보를 셋톱박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RTMP play 패킷을 시청시작 패킷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IP-TV 가입자가 특정 VoD를 시청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는 RTMP deleteStream 패킷을 VoD서버로 전송하고, VoD 서버는 셋톱박스로 전송하던 VoD 영상 전송을 중지한다.
그리고, 셋톱박스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할 경우, 대부분의 셋톱박스는 마지막 시청한 VoD에 해당하는 RTMP deleteStream 패킷을 VoD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RTMP deleteStream 패킷을 시청종료 패킷이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멀티캐스트 전송 프로토콜은 동일한 목적을 갖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스트리밍 프로토콜 역시 동일한 목적을 갖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해 전자제품의 전원을 OFF할 경우, 전자제품은 리모콘 등의 외부 입력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이른바 대기모드로 진입하며, 대기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대기전력(待機電力, standby power)이라 한다.
댁내 전자제품이 다양해지고 통신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대기전력으로 낭비되는 전력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셋톱박스, 공유기 등의 통신기기는 댁내 가전기기 보다 훨씬 많은 대기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특히, 셋톱박스의 경우, 사용자가 셋톱박스 리모콘으로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 하여도 셋톱박스의 핵심 칩셋을 비롯한 주변회로는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운용 중 소비전력과 대기전력의 차이가 크지 않다.
또한, 셋톱박스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댁내 셋톱박스 대기전력에 의한 전력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서 현재 큰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 중인 셋톱박스의 전원이 리모콘으로 완전 차단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TV시청을 위해 셋톱박스를 재시동 할 경우 수분(2-3분) 이상이 소요되어, TV 시청자들의 불편이 크다는 것도 주요 이유 중 하나이다.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낭비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외부 장치를 통해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과 특허 문헌 2 참고)
상기의 특허 문헌 1은 TV와 셋톱박스의 교류출력 콘센트를 제공하는 기기로서 TV로의 교류출력을 감시하고 TV전원이 OFF될 경우, 일정시간 지연 후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한다. 그리고 TV전원이 ON 되었거나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기술이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은 지연시간이 짧게 설정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TV를 잠시 동안만 OFF한 경우에도 셋톱박스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시청자가 TV를 다시 시청하고자 할 경우 셋톱박스를 재시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TV전원이 특허 문헌 1에 연결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할 수 없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ON 하는 경우, 댁내 애완견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셋톱박스의 전원이 ON 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는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특허 문헌 1은 자체적으로 절전모드를 지원하지 않아 셋톱박스와 TV의 전원이 OFF되어도 동작 상태를 유지하므로, 댁내 소비전력 감소의 효과가 크지 않다.
한편, 특허 문헌 2는 콘센트 형태로서 대기전력을 차단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콘센트가 연결되며, 해당 전자제품의 전류량이 기준값 이하로 감소할 경우, AC릴레이를 제어하여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술로서, 대기전력과 소비전력의 차이가 크지 않은 셋톱박스의 경우, 활용도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TV시청 패턴분석의 경우, 그 동안 IP-TV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특허 문헌 4 그리고 특허 문헌 5 참고)
상기의 특허 문헌 3은 외부서버에서 IP-TV 가입자의 TV시청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가입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특허 문헌 4는 셋톱박스가 IP-TV가입자의 TV시청 패턴을 외부서버에 제공하고, 외부서버는 이를 분석하여 가입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또한, 특허 문헌 5는 셋톱박스 외부에 위치하는 시청률 조사장비를 통해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된 결과를 외부서버에 전송하여 시청률 조사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TV시청 패턴분석을 통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며,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셋톱박스 사용자의 TV시청 정보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제어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기술 역시 전무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1 : 한국 공개 특허 출원번호 10-2011-0105385호.
특허 문헌 2 : 한국 공개 특허 출원번호 10-2007-0050189호.
특허 문헌 3 : 한국 공개 특허 출원번호 10-2007-0054669호.
특허 문헌 4 : 한국 공개 특허 출원번호 10-2008-0107408호.
특허 문헌 5 : 한국 공개 특허 출원번호 10-2010-008485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사업자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하고 시청자가 셋톱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하여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할 경우, 셋톱박스가 시청종료 패킷을 전송 후, 일정 시간 동안 시청시작 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한편, 셋톱박스가 전원 ON/OFF된 시간, 시청한 채널번호, 시청 채널에 대한 시청시작 시간 및 시청종료 시간 등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TV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시켜야 할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ON 시키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와 댁내 셋톱박스 사이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의 케이블과 셋톱박스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케이블 연결부; 통신 케이블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IP패킷으로 변환하는 IP패킷 변환부; 시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 하여 시청시작 패킷일 경우 시청정보 테이블에 새롭게 추가하거나, 시청종료 패킷일 경우 시청정보 테이블에서 해당 채널정보를 삭제하고, 시청시작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최초로 부팅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시청종료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며,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셋톱박스 전원제어부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차단을 요청하거나, 시청정보 테이블을 이용해 TV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예측시간을 산출하는 패킷 모니터링부; 셋톱박스의 대기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에서 산출된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에 셋톱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셋톱박스 전원 제어부; 셋톱박스의 전원차단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시스템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 및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에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수동/자동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TV 또는 모니터 전원 OFF 후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거나, TV 또는 모니터 전원 OFF 여부에 관계없이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될 경우, 셋톱박스가 전송하는 시청종료 패킷을 감지하고 일정시간을 지연시킨 후,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완전 차단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셋톱박스 전원 ON/OFF 시간, 시청한 채널번호, 시청 채널에 대한 시청시작 시간 및 시청종료 시간 등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누적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한 후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예측시간을 산출하며, 예측시간에 셋톱박스의 전원을 자동으로 ON 함으로써, 시청자가 시청을 위해 셋톱박스가 동작할 때까지 수분 동안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셋톱박스 전원 ON/OFF 시간, 시청한 채널번호, 시청 채널에 대한 시청시작 시간 및 시청종료 시간 등의 정보를 제3 사업자에게 제공하여 마케팅, 광고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셋톱박스가 일정시간 동안 전원 OFF상태를 유지할 경우, 스스로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추가 장비를 사용함으로 인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탭 기능을 내장하여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존 통신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네트워크 사업자나 일반 사용자가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모드/자동모드 전환 스위치를 더 제공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차단 동작의 유무를 셋톱박스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구현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기 위한 구현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와 댁내 셋톱박스(500) 사이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의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되는 W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 셋톱박스(500)의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되는 LAN 통신 케이블 연결부(112); 상기 WAN/LAN 통신 케이블 연결부(111)(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IP패킷을 변환하는 IP패킷 변환부(116); 시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셋톱박스(500)가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 하여 시청시작 패킷일 경우 시청정보 테이블에 새롭게 추가하거나, 시청종료 패킷일 경우 시청정보 테이블에서 해당 채널정보를 삭제하고, 시청시작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최초로 부팅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시청종료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며, 셋톱박스(500)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셋톱박스(500)의 전원차단을 요청하거나, 시청정보 테이블을 이용해 시청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하는 예측시간을 산출하는 패킷 모니터링부(121); 셋톱박스(500)의 대기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셋톱박스(50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에서 산출된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에 셋톱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셋톱박스 전원 제어부(123); 셋톱박스(500)의 전원차단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시스템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 및 상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에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164); 셋톱박스(500)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수동/자동모드 스위치(19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상기 시청시작 패킷은 IGMP Report 패킷과 RTSP PLAY 패킷을 실시예로 하고, 시청종료 패킷은 IGMP Leave 패킷과 RTSP TEARDOWN 패킷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상기 TV채널 시청을 위한 멀티캐스트 전송 프로토콜로는 IGMP를 예로 들고, 시청시작 패킷은 IGMP Report를 예로 들며, 시청종료 패킷은 IGMP Leave 패킷을 예로 든다. 또한, VoD 시청을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로는 RTSP를 예로 들고, VoD 시청시작 패킷은 RTSP PLAY패킷을 예로 들고, VoD 시청종료 패킷은 RTSP TEARDOWN 패킷을 예로 든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여기서,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은 교류전원(200)을 입력받아 셋톱박스(500)와 TV 또는 모니터(600)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와 셋톱박스(500)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케이블(400)은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을 경유하여 셋톱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은 셋톱박스(500)가 대기모드로 전환된 후 셋톱박스의 대기모드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완전 차단한다. 그리고, 셋톱박스(500)가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는 IGMP Report/Leave 패킷과 RTSP PLAY/TEARDOWN 패킷을 모니터링 하여, 사용자의 TV 시청패턴을 분석 후,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에 자동으로 교류전원(8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는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설치된 장비로서, FTTH모뎀, 케이블모뎀 혹은 게이트웨이 등이며,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 한편, 상기 통신케이블(400)은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포설된 것으로서, 네트워크 사업자가 사용하는 프로토콜 및 영상 신호전달 방식에 따라 케이블의 형태는 다양하다. 예를 들어, 케이블방송 사업자의 경우 동축케이블이 사용되고 IP- TV 사업자의 경우 UTP케이블이 사용된다.
또 한편, 상기 셋톱박스(500)는 댁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TV 또는 모니터(600)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사업자가 전송한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TV 또는 모니터(600)로 출력시킨다.
또 한편, 상기 댁내 통신장비(700)란 댁내에서 사용되는 공유기, 허브 등 다양한 통신장비를 의미하고,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과 UTP케이블로 연결되어,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교류전원 입력부(161)는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입력받으며, AC/DC전원부(162)는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161)에서 입력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한다.
한편, 도시된 시스템 상시 전원부(163)는 상기 AC/DC전원부(162)로부터 직류전류를 공급받아서 시스템에 상시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또 한편, 도시된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164)는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와 전류감지 센서(142)에 상시 전원을 공급한다.
또 한편, 도시된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131)은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161)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셋톱박스로 출력한다.
또 한편, 도시된 AC 릴레이(132)는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131)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ON/OFF 제어 한다.
또 한편, 도시된 교류출력 소켓(141)은 상기 교류전원 입력부(161)에서 입력된 교류전원을 TV 또는 모니터로 출력한다.
또 한편, 도시된 전류감지 센서(142)는 교류출력 소켓(141)의 전류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량 값은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에 의해 모니터링 되며 TV 또는 모니터 전원이 ON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는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TV 또는 모니터 전원이 ON 되었음을 알려준다.
또 한편, 도시된 W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에 연결되는 통신 케이블(400)이 연결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사업자가 케이블방송 사업자일 경우 동축 케이블이 연결되고, IP-TV사업자일 경우, UTP케이블이 연결된다.
또 한편, 도시된 L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2)는 셋톱박스(500)에 연결되는 통신케이블(400)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가입자일 경우 동축케이블이 연결되고, IP-TV가입자일 경우 UTP 케이블이 연결된다.
따라서, W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에 사용되는 통신케이블과 L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2)에 사용되는 통신케이블(400)의 종류는 동일하며,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에 통신케이블(400)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형태는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한편, 도 2의 RJ-45포트는 UTP케이블을 이용해 댁내 통신장비(700)가 연결된다.
또 한편, 도시된 통신케이블 연결 모드 변환부(114)는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의 동작모드에 따라 W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와 L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2)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언급된 동작모드란 탭(TAP) 모드와 브리지(bridge)모드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탭 모드란 W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1)와 L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2) 사이에서 송수신 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복사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 모드란 W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1)에서 수신된 신호 및 데이트를 증폭 또는 조작 한 후, L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2)로 전송하거나, L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2)에서 수신된 신호 및 데이터를 증폭 또는 조작을 한 후, WAN통신 케이블 연결부(111)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탭 모드 일 경우,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와 셋톱박스(500)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브릿지 모드로 동작하고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와 셋톱박스(500)는 상호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은 점퍼스위치(115)를 더 포함하여 탭모드 혹은 브릿지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 한편, 도시된 IP패킷 변환부(116)는 WAN/L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112)로 입력된 신호 및 데이터를 IP패킷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만일 WAN/LAN 통신케이블 연결부(111)(112)에 UTP케이블이 연결될 경우, 상기 IP패킷 변환부(116)는 IP네트워크 칩셋에 해당하고, 동축케이블이 연결된다면 상기 IP패킷 변환부(116)는 케이블모뎀 칩에 해당한다.
또 한편, 도시된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상기 IP패킷 변환부(116)를 통해 IP패킷으로 변환된 패킷 중 IGMP 패킷과 RTSP 패킷이 수신되었는지 모니터링 하며, IGMP 패킷 혹은 RTSP 패킷이 수신되었을 경우, IGMP Report, IGMP Leave, RTSP PLAY, RTSP TEARDOWN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며, 패킷 종류에 따라 시청정보 테이블의 내용을 변경한다.
이때, 상기 시청정보 테이블이란 시청자가 시청했던 TV채널 이력(TV channel history) 또는 VoD 시청이력을 기록하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시청자가 특정 TV채널 또는 VoD채널을 선택할 경우, 셋톱박스(500)는 IGMP Report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하고 시청자가 특정 VoD 채널을 선택 할 경우, 셋톱박스(500)는 RTSP PLAY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한다. 이때, 셋톱박스(500)에서 전송된 IGMP Report 패킷 혹은 RTSP PLAY 패킷은 패킷 모니터링부(121)에 의해 감지되고,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IGMP Report 패킷 혹은 RTSP PLAY 패킷이 수신된 시간, TV 채널번호, VoD 채널 번호를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 이때, IGMP Report 패킷이 수신된 시간은 특정 TV채널의 시청을 시작하는 시간이며, RTSP PLAY 패킷이 수신된 시간은 특정 VoD의 시청을 시작한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만일, 패킷 모니터링부(121)가 0시 이후 처음 IGMP Report 패킷 혹은 RTSP PLAY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 0시 이후 셋톱박스(500)가 처음 부팅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 아래의 표 1은 시청자가 오후 7:30분에 TV 채널 50번을 하루 중 처음 시청하는 경우의 시청정보 테이블의 예이다.
날짜 TV/VoD
채널번호

시작시간

종료시간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
셋톱박스 전원
OFF 시간
2013.1.1 50번 PM 7:30 PM 7:30
표 1 셋톱박스 부팅 후 최초 시청할 경우, 시청정보 테이블 변경 예
시청자가 특정 TV채널을 시청 중 다른 TV채널로 변경하거나 VoD를 시청할 경우, 셋톱박스(500)는 채널 변경 전 시청했던 TV채널에 해당하는 IGMP Leave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며, 새로 시청하는 종류가 TV채널일 경우, IGMP Report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며, 새로 시청하는 종류가 VoD일 경우, RTSP PLAY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시청자가 특정 VoD를 시청 중 다른 TV채널로 변경하거나 다른 VoD를 시청할 경우, 셋톱박스(500)는 VoD 변경 전 시청했던 VoD에 해당하는 RTSP TEARDOWN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며, 새로 시청하는 종류가 TV채널일 경우, IGMP Report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며, 새로 시청하는 종류가 VoD일 경우, RTSP PLAY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 통신장비(300)로 전송한다.
이때,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상기 IP패킷 변환부(116)를 통해 IGMP Leave 패킷 혹은 RTSP TEARDOWN 패킷을 수신 할 경우, 이전 TV채널 혹은 VoD 시청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시청종료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며, IGMP Report패킷 또는 RTSP PLAY패킷을 수신할 경우, 새로운 TV채널 시청시작 시간, TV채널 번호, VoD 종류를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 표 2는 시청자가 오후 10시에 TV채널을 VoD 드라마-X 로 변경한 경우의 예이다.
날짜 TV/VoD
채널번호

시작시간

종료시간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
셋톱박스 전원
OFF 시간
2013.1.1 50번 PM 7:30 PM 10:00
PM 7:30
VoD
드라마-X
PM 10:00
표 2 TV채널을 VoD로 변경시 시청정보 테이블의 변경 예
셋톱박스(500)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해 셋톱박스(500)의 전원을 OFF할 경우, 셋톱박스(500)는 시청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한 것이 TV채널일 경우, IGMP Leave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시청한 것이 VoD일 경우, RTSP TEARDOWN 패킷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300)로 전송하며, 이 후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또 한편, 도시된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IGMP Leave 패킷 혹은 RTSP TEARDOWN 패킷이 수신되었으나, IGMP Report 패킷 혹은 RTSP PLAY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셋톱박스(500)가 대기모드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때 만일, 위의 대기모드로의 전환이 0시 이전에 마지막으로 대기모드로 전환된 것이라면,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0시 이전에 마지막으로 셋톱박스가 사용된 것으로 간주하여 그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 표 3은 오후 11:30분에 시청자가 셋톱박스(500)를 리모콘으로 전원을 OFF한 경우의 예이다.
날짜 TV/VoD
채널번호

시작시간

종료시간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
셋톱박스 전원
OFF 시간
2013.1.1 50번 PM 7:30 PM 10:00
PM 7:30

PM 11:30
VoD
드라마-X
PM 10:00 PM 11:30
표 3 TV채널을 VoD로 변경시 시청정보 테이블의 변경 예
또 한편, 도시된 시청정보 저장부(124)는 패킷 모니터링부(121)에서 생성된 시청정보 테이블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누적한다.
또 한편, 도시된 시청패턴 분석부(122)는 시청정보 저장부(124)에 저장된 시청정보를 분석하여, 셋톱박스 전원을 ON 하기 위한 예측시간을 계산한다.
또 한편, 도시된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는 AC릴레이(132)를 제어하여, 셋톱박스 교류 출력소켓(131)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원을 ON/OFF 한다.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121)는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판단한 후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셋톱박스(500)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준다.
또 한편, 도시된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는 타이머(126)의 시간 동안 대기 후, 셋톱박스가 재시동 되지 않을 경우, AC릴레이(132)를 제어하여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131)의 교류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시청패턴 분석부(122)에서 추정된 셋톱박스 ON 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거나, 상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로부터 TV전원이 ON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셋톱박스 리모콘의 전원 ON신호가 수신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AC릴레이(132)를 제어하여 셋톱박스 교류 출력 소켓(131)으로 교류전원을 출력하여 셋톱박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 한편, 도시된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이 절전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164)에 의해 상시 직류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는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131)의 전원을 차단 한 후,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했음을 알려주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을 절전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타이머(151)를 구동시킨다.
이때 만일, 상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가 전류감지 센서(142)의 전류량을 측정한 후 TV 또는 모니터(600) 전원이 ON 되었다고 판단되거나, 셋톱박스 리모콘 수신부(180)로부터 셋톱박스 리모콘의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메시지를 수신 할 경우, 타이머(151)를 중지시키고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 측으로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셋톱박스 전원제어부(123)는 AC릴레이(132)를 제어하여 셋톱박스 교류 출력 소켓(131)을 통해 셋톱박스(5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만일, 타이머(151)가 만료될 경우, 시스템 상시 전원부(163)의 전원을 차단하여 본 발명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본 발명은 절전모드로 전환된다.
이때 만일, 상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150)는 상기 시청패턴 분석부(122)에서 추정된 셋톱박스 ON 시간과 현재시간이 일치하거나 전류감지 센서(142)의 전류량을 모니터링 하여 TV 또는 모니터(600) 전원이 ON 되었다고 판단되거나 셋톱박스 리모콘 수신부(180)를 통해 셋톱박스 리모콘의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할 경우, 시스템 상시 전원부(163)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전체에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은 DDR메모리(172)와 플래쉬메모리(171)를 더 포함하여 IP패킷 변환부(116), 패킷 모니터링부(121), 시청패턴 분석부(122), 셋톱박스 전원 제어부(123)와 시청정보 저장부(124)에서 테이블 저장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은 셋톱박스(500)의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는 수동/자동모드 스위치(19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 도 3은 셋톱박스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셋톱박스 대기전력 차단 진입의 제 1단계(S500)를 갖는다.
다음으로, 시청시작 패킷 혹은 시청종료패킷을 모니터링 하고 시청정보 테이블을 작성 및 변경하는 제 2단계(S501)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확인하는 제 3단계(S502)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단계(S502)에서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타이머(126)를 구동시키는 제 4단계(S503)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 3단계(S502)에서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지 않았을 경우,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제 2단계(S501)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단계(503)에서 타이머(126)가 구동 중 셋톱박스가 운용모드로 복귀했는지 확인하는 제 5단계(S508)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제 5단계에서 셋톱박스가 운용모드로 복귀했다고 판단 될 경우,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 하는 제 2단계(S501)로 복귀한다. 만일, 제 5단계(S508)에서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를 유지하고 타이머(126)가 만료되었을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 6단계(S509)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셋톱박스의 전원이 차단된 후, 전류감지 센서(142)에서 측정된 전류량이 TV 또는 모니터 전원이 ON 되었음을 나타내지 않았거나, 셋톱박스 리모콘 수신부(180)로부터 셋톱박스 리모콘의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을 경우, 본 발명인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100)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제 7단계(S510)를 진행한다.
그리고, 도 4는 셋톱박스(500)의 전원을 ON 하는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시청패턴 분석부(122)를 통해 결정된 셋톱박스의 전원 ON 예측시간을 조회하는 1단계(S600)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 1단계의 셋톱박스 전원 ON 예측시간과 현재시간이 동일한지 비교하는 제 2단계(S601)를 진행한다.
이때, 제 2단계의 판단결과 현재시간이 예측시간과 동일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제 6단계(S605)를 진행한다. 제 2단계의 판단결과 현재시간이 예측시간과 다를 경우, 전류감지 센서(142)를 모니터링 하는 제 3단계(S602)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TV 또는 모니터(600) 전원이 ON 되었는지 확인하는 제 4단계(S603)를 진행한다. 이때, 제 4단계(S603)의 판단결과 TV 또는 모니터(600) 전원이 ON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제 6단계(S605)를 진행하며, TV 또는 모니터(600) 전원이 OFF 상태일 경우, 셋톱박스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는 제 5단계(S604)를 진행한다.
이때, 제 5단계(S604)에서 셋톱박스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제 6단계(S605)를 진행하며, 셋톱박스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ON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을 예측하는 제 1단계(S600)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200 : 교류전원 300 :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
400 : 통신케이블 500 : 셋톱박스
600 : TV 700 : 댁내 통신장비
800 : 셋톱박스 교류전원 900 : TV 또는 모니터 교류전원

Claims (10)

  1.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와 댁내 셋톱박스 사이에 위치하고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의 케이블과 셋톱박스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신케이블 연결부; 통신 케이블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IP패킷으로 변환하는 IP패킷 변환부;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 또는 삭제하고,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셋톱박스 전원제어부에 셋톱박스의 전원차단을 요청하거나, 시청정보 테이블을 이용해 TV시청 패턴을 분석하여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예측시간을 산출하며, 셋톱박스의 전원이 차단되면 시청정보 저장부의 정보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한 시간을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전달하는 패킷 모니터링부; 셋톱박스의 대기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에서 산출된 셋톱박스 전원 ON 시간에 셋톱박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셋톱박스 전원 제어부; 셋톱박스의 전원차단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면 절전모드로 전환시키는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 스템 절전모드 제어부에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 및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수동/자동모드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케이블 연결부는 동축케이블 또는 UTP케이블 또는 위성안테나 연결케이블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의 연결 모드를 탭모드 또는 브리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점퍼스위치 및 댁내 통신장비를 연결하는 RJ-45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는 시청정보 테이블 정보를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누적하는 시청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가 시청정보 저장부의 정보와 셋톱박스의 전원을 OFF한 시간을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통신케이블 연결부를 탭모드에서 일시적으로 브릿지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 전원제어부는 TV 또는 모니터로 교류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교류출력 소켓과 TV 또는 모니터 전원의 ON/OFF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거나, 셋톱박스로 교류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과 셋톱박스 교류출력 소켓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ON/OFF 제어하기 위해 AC릴레이를 더 포함하거나, 셋톱박스가 대기모드로 전환되고 대기모드 상태가 일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TV 또는 모니터 전원이 ON 되면 전류감지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즉시 셋톱박스의 전원을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는 셋톱박스 전원차단부가 셋톱박스의 전원을 차단 후, 일정시간 동안 셋톱박스의 전원이 ON 되지 않으면 시스템을 절전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거나, 전류감지 센서를 통해 TV 또는 모니터 전원이 ON 되었다고 판단되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셋톱박스의 전원을 ON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거나, 셋톱박스 사용자의 리모콘에서 전송된 전원 ON 신호를 수신하며 AC릴레이를 제어하여 셋톱박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셋톱박스 리모콘 수신부를 더 포함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시간 주기로 시스템 상시 전원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여 운용 상태로 동작하며, 사전에 설정된 시간 후 다시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AC전원을 DC로 변환하여 시스템 절전모드 제어부에 상시전원을 공급하는 절전모드 제어부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는 시청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셋톱박스가 네트워크 사업자의 통신장비로 전송하는 시청시작 패킷과 시청종료 패킷을 모니터링하여, 시청시작 패킷이면 시청정보 테이블에 새롭게 추가하고, 시청종료 패킷이면 시청정보 테이블에서 해당 채널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모니터링부는 시청시작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최초로 부팅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시청종료 패킷을 이용해 셋톱박스가 마지막으로 종료된 시간을 시청정보 테이블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KR1020130160384A 2013-12-20 2013-12-20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KR10138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384A KR101387369B1 (ko) 2013-12-20 2013-12-20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384A KR101387369B1 (ko) 2013-12-20 2013-12-20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369B1 true KR101387369B1 (ko) 2014-04-21

Family

ID=5065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384A KR101387369B1 (ko) 2013-12-20 2013-12-20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3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799B1 (ko) * 2014-09-29 2016-01-12 (주)아이피캐스트 Ip 방송의 터미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39525A1 (ko) * 2014-09-11 2016-03-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0831A (ko) * 2014-09-11 2016-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1747A (ko) * 2015-07-24 201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WO2020231067A1 (en) * 2019-05-16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900875A (zh) * 2021-11-23 2022-01-07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一种开机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3214649A1 (ko) * 2022-05-06 2023-11-09 이연재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434374A (zh) * 2023-12-11 2024-01-23 东莞市诺正电子有限公司 一种机顶盒用接口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422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셋탑박스에서의 리부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9006A (ko) * 2009-11-04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 박스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048597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누리비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422A (ko) *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케이티 셋탑박스에서의 리부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8597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누리비젼 대기전력 차단을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20110049006A (ko) * 2009-11-04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 박스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9525A1 (ko) * 2014-09-11 2016-03-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30831A (ko) * 2014-09-11 2016-03-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231016B2 (en) 2014-09-11 2019-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etwork cooperation-based low power type charged broadcasting set-top box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2320385B1 (ko) * 2014-09-11 2021-1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4799B1 (ko) * 2014-09-29 2016-01-12 (주)아이피캐스트 Ip 방송의 터미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11747A (ko) * 2015-07-24 2017-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KR102088958B1 (ko) * 2015-07-24 2020-03-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WO2020231067A1 (en) * 2019-05-16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900875A (zh) * 2021-11-23 2022-01-07 深圳市康冠商用科技有限公司 一种开机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3214649A1 (ko) * 2022-05-06 2023-11-09 이연재 셋톱박스 및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434374A (zh) * 2023-12-11 2024-01-23 东莞市诺正电子有限公司 一种机顶盒用接口检测装置
CN117434374B (zh) * 2023-12-11 2024-03-26 东莞市诺正电子有限公司 一种机顶盒用接口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69B1 (ko)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US115891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network reliability and/or enabling phased deployment of video services
US10834474B2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a content stream
CN100355283C (zh) 基于频道切换与收视率模型的网络电视频道推送方法
US2014022223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CN101523908A (zh) 多媒体管理
US20150153816A1 (en) System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a device and a method therefor
US2014018048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the same
US20140337909A1 (en) Network personal video recorder system, method and associated subscriber device
US20140337901A1 (en) Network personal video recorder system, method and associated subscriber device
US9781487B2 (en) Streaming multicast content to a television via a mobile device
CN103916694A (zh) 播放源处理方法和装置
KR102320385B1 (ko) 네트워크 협력기반 저전력형 유료방송 셋톱박스 및 그 제어 방법
US9154836B2 (en) Resource conservation for packet television services
US98542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80080042A (ko)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
US9537664B2 (en) Network based remot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powering on a hardware subsystems and determining energy usage billing information of a gateway device based on determination of source of received input signal
WO2017139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pectrum & power recove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media manipulation
WO2012034430A1 (zh) Iptv系统中顶盒带宽控制方法及装置
KR20140102472A (ko) 셋톱박스, 원격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09225174A (ja) ルータ装置、受信端末、放送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受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80072165A (ko) 다중 홈게이트웨이로 구성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마스터선정 방법
KR1014639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청 상태에 연동한 소스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10009574A (ko)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8010945A (ja) 映像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