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958B1 -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958B1
KR102088958B1 KR1020150104931A KR20150104931A KR102088958B1 KR 102088958 B1 KR102088958 B1 KR 102088958B1 KR 1020150104931 A KR1020150104931 A KR 1020150104931A KR 20150104931 A KR20150104931 A KR 20150104931A KR 102088958 B1 KR102088958 B1 KR 10208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top box
broadcast
input sig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747A (ko
Inventor
박영수
김영일
변성원
박현호
이용태
류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0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태 전환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상태 또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차단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를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STATE CONVERSION METHOD PERFORMING THE SETTOP-BOX COUPLED WITH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셋톱 박스의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한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의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 전환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TV와 연동되는 셋톱 박스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상태인 온모드와 TV를 시청하지 않아 화면이 꺼져있는 대기모드로 구분된다. 온모드 상태는 셋톱 박스를 구성하는 H/W요소들이 모두 활성화되어 있어 소비전력이 높으며, 반면, 대기모드 상태는 화면이 출력되지 않으므로 일부 H/W요소를 비활성화시켜 소비전력이 낮다. 그러나, 셋톱 박스는 대기모드 상태에서의 소비전력이 다른 가전에 비하여 높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기모드를 능동대기 및 수동대기 모드로 세분화하고 소비전력을 관리하는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다시 말해, 능동대기 모드는 화면 출력에 관련된 H/W의 소비전력을 낮추며 수동대기 모드는 보다 적극적으로 셋톱 박스의 대부분 H/W를 비활성화시켜 소비전력을 최대로 낮춰 관리하게 된다.
능동대기 모드는 화면 출력에 관련된 일부 H/W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화면 출력만 활성화시키면 온모드로 전환됨으로 빠르게 시청 가능 상태에 진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동대기 모드에서 온모드로 전환을 위해서 콜드부트(Cold boot)나 웜부트(warm boot)의 2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콜드부트는 전원이 처음 켜질 때와 같이 이전 사용 컨텍스트 없이 부팅되며 추가 기능의 구현 없이 기존의 power-on 초기부팅에서 구현된다. 웜부트는 메모리 등의 기억공간을 이용하여 수행 컨텍스트를 저장한 후 온모드 복귀시에 저장된 컨텍스트를 복구하며 이에 따라 콜드부트에 비하여 매우 빠른 복귀시간을 가진다.
수동대기 모드에서 웜부트를 이용하려면 컨텍스트 저장, 유지 및 복구를 위해 기억공간과 컴퓨팅 파워가 요구되며 이를 위하여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온모드의 주 CPU와 별도로 저전력의 보조 CPU를 활용하는 추세이다. 이 경우, 보조 CPU는 수동대기 모드에서 리모콘의 입력을 받아 온보드 복귀를 시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수동대기 모드에서 웜부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컨텍스트를 저장과 복원으로 인하여 능동대기 모드에 비하여 긴 온모드 복귀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대기 모드는 소비전력이 능동대기 모드에 비하여 작은 장점이 있으나 긴 온모드 복귀 시간이라는 단점으로 사용자 불편을 초래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짧은 간격으로 TV을 반복할 때 매번 수동대기 모드에서 복귀한다면 긴 복귀 시간을 대기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또한, 수동대기 모드의 셋톱 박스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사용을 개시하기 전까지 리모콘을 제외한 외부 입력을 받지 못하며 이로 인하여 펌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셋톱 박스의 상태가 대기 모드에 진입한 상태이더라도, 외부의 상황에 따라 온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셋톱 박스의 추가 기능으로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를 제공함에 따라 셋톱 박스가 대기 상태에 진입하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전력의 대기 상태를 수동 대기 상태와 절전 대기 상태로 세분화하여 관리함에 따라 셋톱 박스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되는 대기 전력을 저감하는 상태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상태 또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파라미터에 따라 셋톱 박스의 상태를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는, 네트워크로부터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방송 차단 상태에서 사용하는 전력보다 낮은 대기 전력으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수동 대기 상태 또는 절전 대기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전환 방법은 셋톱 박스가 대기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있어 원격에서 셋톱 박스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으며, 상태 전환에 따른 펌웨어나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
상태 전환 방법은 셋톱 박스와 연동이 가능한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에 대한 사용자의 잠재적 존재 유무에 따라 동적으로 셋톱 박스의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절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태 전환 방법은 자연 현상의 변화에 의한 재난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 박스의 상태를 ON 모드로 전환하여 긴급 상황에 대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상태가 천이되는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셋톱 박스의 상태가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로부터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셋톱 박스(101)는 대기 상태에서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하는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셋톱 박스(101)의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대기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상태 전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셋톱 박스(101)는 이용 스크린(106)과 연동하여 헤드 앤드(107)로부터 수신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셋톱 박스(101)는 이용 스크린(106)과 외부 전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용 스크린(106)은 외부에서 전송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주문형 비디오(VOD), 쌍방향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101)는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셋톱 박스(101)는 이용 스크린(106)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101)는 입력 신호 감지부(102), 방송 처리부(103) 및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105)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 장치(105)는 셋톱 박스(101)와 연동하는 장치로, 이용 스크린(106)의 리모콘과 별개로 셋톱 박스(101)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셋톱 박스(101)의 방송 차단 상태 및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도 사용자 입력 장치(105)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셋톱 박스가 방송 제공 상태인 경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차단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셋톱 박스가 방송 차단 상태인 경우,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방송 제공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에 따른 방송 서비스와 관련된 ON/OFF, 채널변경, 음량변경, VOD 요청 등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로의 천이를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신호 감지부(102)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방송 차단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의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105)의 ON 버튼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방송 처리부(103)는 네트워크를 통해 헤드 앤드(107)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처리부(103)는 헤드 앤드(107)로부터 수신한 방송 서비스를 이용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드 앤드(107)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방송 처리부(103)는 헤드 앤드(107)에서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이용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 박스(101)는 방송 처리부(103)가 수신한 콘텐츠를 이용 스크린에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방송 처리부(103)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방송 차단 상태 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어 서버(108)는 셋톱 박스(101)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셋톱 박스의 ON/OFF 상태, 펌웨어와 어플리케이션 버전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108)는 파악한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셋톱 박스(101)의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방송 차단 상태 또는 대기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에 대한 소비를 낮추기 위하여 셋톱 박스(101)의 메인 CPU가 아닌 저전력의 보조 CPU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CPU는 대기 전력에 따른 소비률이 작고, 컴퓨팅 능력이 제한적인 특징을 나타내며, 다시 말해, 보조 CPU는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컴퓨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방송 제공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는 셋톱 박스(101)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에 대한 활성화가 언제든지 가능해야 함에 따라 메인 CPU를 통해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방송 차단 상태 또는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최소한의 기능만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보조 CPU를 통해 컴퓨팅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셋톱 박스(101)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 따라 CPU를 적응적으로 활용함에 따라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셋톱 박스(101)의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비활성화된 방송 처리부(103)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방송 처리부(103)와 연결된 메인 CPU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처리부(103)는 메인 CPU에 발생된 인터럽트를 통해 활성화됨에 따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반대로,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셋톱 박스(101)의 상태가 천이 됨에 따라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101)는 보조 CPU를 비활성화시킴에 따라 보조 CPU에서 동작하는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셋톱 박스(101)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제공 여부에 따라 방송 제공 상태 및 방송 차단 상태와 대기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101)는 각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송 제공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는 방송 처리부(103)가 활성화되어 헤드 앤드(107)로부터 출력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방송 차단 상태와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101)는 방송 처리부(103)가 비활성화되고, 저전력 네트워크부(104)가 활성화되면서, 외부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태를 천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셋톱 박스(101)의 상태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상황에 따라 상태가 천이되는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셋톱 박스의 상태는 방송 제공 상태(201), 방송 차단 상태(202), 수동 대기 상태(203), 절전 대기 상태(204) 및 오프 상태(205)로 구분될 수 있다.
(1) 방송 제공 상태
방송 제공 상태(201)는 일반적으로 셋톱 박스가 활성화되어 이용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방송 제공 상태(201)는 셋톱 박스가 동작하는 구성 기능이 모두 활성화 된 상태이며, 소비 전력이 높고,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채널 변경, 메뉴 표시, 선택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방송 제공 상태(201)는 셋톱 박스의 전원이 ON 되어 있는 상태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2) 방송 차단 상태
방송 차단 상태(202)는 일반적으로 이용 스크린이 비활성화되어 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송 차단 상태(202)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OFF 버튼)에 의하여 이용 스크린을 비활성화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방송 차단 상태(202)는 이용 스크린만 비활성화된 상태이며, 셋톱 박스의 구성 기능은 모두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송 차단 상태(202)는 이용 스크린을 통해 콘텐츠를 출력하는 기능만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기능을 활성화됨에 따라 이용 스크린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입력 신호에 따라 빠르게 방송 제공 상태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차단 상태(202)는, 콘텐츠에 대한 출력 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셋톱 박스의 펌웨어나 어플리케이션의 업그레이드, EPG 스케줄의 다운로드 등의 추가 작업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3) 대기 상태
대기 상태는 이용 스크린 및 셋톱 박스에 대한 대부분의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기 상태는 방송 차단 상태(202)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가 일정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천이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대기 상태는 방송 차단 상태로 진입한 후, 긴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시청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셋톱 박스의 대기 전력을 절감시키기 위한 상태일 수 있다. 방송 차단 상태(202)와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제공 상태로의 천이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상태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수동 대기 상태(203)와 절전 대기 상태(204)로 보다 세분화되어 구분되며, 구현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하여 하나의 상태만으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버튼을 통해 상태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는 절전 대기 상태(204)와 방송 차단 상태(202)로의 진입을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장치에 포함된 별도의 버튼을 통해 독자적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셋톱 박스의 상태 천이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포함된 별도의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방송 차단 상태(202), 절전 대기 상태(204)를 설정하여 시청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 장치는 추가적으로 셋톱 박스의 전원과 관련된 오프 상태(205)에 대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프 상태(205)는 셋톱 박스의 모든 구성 상태(즉, 방송 제공 상태(201))에서 셋톱 박스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는 오프 상태(204)에서 셋톱 박스의 전원이 연결되면, 방송 제공 상태(201)로 전환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전원이 끊어지는 마지막 상태(방송 차단 상태(202) 또는 대기 상태)로의 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표현된 절전 대기 상태(204)는 네트워크가 완전히 차단된 상태이며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해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제공 상태(201)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202)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수동 대기 상태(203)로 전환됨에 따라 셋톱 박스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수동 대기 상태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로써, 외부의 제어에 따라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상태가 천이되는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셋톱 박스는 방송 제공 상태(301), 방송 차단 상태(302) 및 수동 대기 상태(303)로 구분될 수 있다.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제공 상태(301)에서 방송 차단 상태(302)로 또는 방송 차단 상태(302)에서 방송 제공 상태(301)로 상태를 전화할 수 있다.
수동 대기 상태는 상기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의 수행 컨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셋톱 박스는 방송 제공 상태(301)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방송 차단 상태(302)로 전환할 수 있다. 일례로,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로 OFF가 입력될 경우, 현재 상태를 방송 차단 상태(302)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302)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상태를 방송 제공 상태(301)로 전환할 수 있다. 일례로,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로 ON이 입력될 경우, 현재 상태를 방송 제공 상태(301)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는 방송 서비스의 시청 대기 시간에 따라 방송 차단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수동 대기 상태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에 대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동 대기 상태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수동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는 곧 사용자에 의해 시청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에 따라 미리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의 동작을 조작에 대비할 수 있다.
즉, 수동 대기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는 기존에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수동 대기 상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되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셋톱 박스는 방송 제공 상태(304), 방송 차단 상태(305) 및 수동 대기 상태(306)로 구분될 수 있다. 셋톱 박스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제공 상태(304)에서 방송 차단 상태(305)로 또는 방송 차단 상태(305)에서 방송 제공 상태(304)로 상태를 전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동작 순서는 도 3의 (a)와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셋톱 박스는 방송 서비스의 시청 대기 시간에 따라 방송 차단 상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절전 대기 상태(306)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305)에 대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절전 대기 상태(306)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절전 대기 상태(306)는 수동 대기 상태(303)에서 네트워크 기능과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절전 대기 상태(306)는 보다 빠르게 방송 제공 상태(304)로 복귀를 위해 내부적으로 유지되는 기능이 비활성화되며, 이로 인해 소비 전력을 줄이는 반면, 방송 제공 상태(304)로의 복귀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소요하는 상태이다. 또한, 절전 대기 상태(306)는 오랜 기간 동안 사용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추가적인 절전 기능으로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대기 상태(306)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를 통해 방송 제공 상태(304)로의 복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대기 상태(306)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 차단 상태(305) 또는 이용 스크린의 콘텐츠 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는 셋톱 박스의 소프트웨어 버전 업데이트 또는 자연 재난과 관련 정보의 통보 등 상태 변경의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절전 대기 상태는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 및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제외한 상기 셋톱 박스의 방송 제공 상태에서 동작하는 기능 및 방송 차단 상태에서 동작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절전 대기 상태는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제공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절전 대기 상태는 상기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가 업데이트 정보인 경우, 셋톱 박스는 절전 대기 상태(306)에서 방송 차단 상태(305)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가 재난과 관련된 정보인 경우, 셋톱 박스는 절전 대기 상태(306)에서 이용 스크린의 콘텐츠 출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차단 상태와 대기 상태는 이용 스크린이 비활성화되는 상태로써, 사용자의 입장에서 이용 스크린 시청 측면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으나, 방송 제공 상태로의 복귀 소요 시간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인 경우, 이용 스크린과 관련된 기능만 비활성화되며, 이외에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어 별도의 동작없이 방송 제공 상태로의 빠른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상태가 전환될 때, 전환 시점의 수행 컨텍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셋톱 박스의 메인 CPU 및 H/W요소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된다. 그리고, 셋톱 박스는 대기 상태에서 방송 차단 상태로 상태가 전환될 때, 비활성화된 셋톱 박스의 메인 CPU 및 H/W요소를 활성화시킨 후, 메모리에 저장된 수행 컨텍스트를 복구하며, 복구된 수행 컨텍스트의 복구 과정에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후, 셋톱 박스는 방송 차단 상태에서 방송 제공 상태로 전환이 됨에 따라 방송 차단 상태보다 긴 복귀 시간이 소요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셋톱 박스의 상태가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셋톱 박스(101)는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로 동작하고, 셋톱 박스(101)의 절전을 위해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101)는 다음과 같은 각 단계를 통해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활성화되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함을 감지할 수 있다. 셋톱 박스(101)의 방송 처리부(103)는 감지한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이네이블부(40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네이블부(400)는 방송 처리부(103)에 내부적으로 위치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저전력 네트워크(104)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요한 사전 작업과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이네이블부(400)는 제어 서버(108)에 포함된 셋톱 박스(101)을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제어 서버(108)는 이네이블부(400)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셋톱 박스(101)에 대한 파라미터를 이네이블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 박스와 연결되는 제어 서버의 식별 정보, 셋톱 박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주기 정보, 셋톱 박스가 전환될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는 수동 대기 상태 또는 절전 대기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404)에서 이네이블부(400)는 제어 서버(108)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파라미터를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로 전달함으로써,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단계(405)에서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이네이블부(400)에 의해 활성화되고, 파라미터에 포함된 상태 정보를 이용해 해당 상태로 부팅될 수 있다. 즉, 저전력 네트워크(104)는 수동 대기 상태 또는 절전 대기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406)에서 저전력 네트워크부(406)는 정상적으로 상태가 전환되었음에 대한 감지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기 위한 ready 상태를 방송 처리부(103)에 보고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저전력 네트워크(406)를 통해 전달된 ready 상태에 따라 셋톱 박스의 상태가 대기 상태임을 제어 서버(108)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408)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ready 상태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처리부(103)에 의한 단계(307-308)는 상위 단계(301-306)의 흐름과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단계(301)를 수행하기 이전에 셋톱 박스는 방송 처리부(103)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507)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동작하지 않고, 저전력 네트워크부(104)에서 ready 상태를 제어 서버(108)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로부터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셋톱 박스(101)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 상태이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101)는 감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대기 상태를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101)는 다음과 같은 각 단계를 통해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단계(501)에서 제어 서버(108)는 네트워크를 통해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로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서버(108)는 firmware, EPG 등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의 대기 상태를 방송 차단 상태로 천이시킬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서버(108)는 셋톱 박스의 상태를 천이하기 위한 입력 신호(wake-up)를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502)에서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108)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감지한 입력 신호가 셋톱 박스(101)의 천이를 위해 제어 서버(108)에서 전달된 것인지 판독할 수 있다. 그리고,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는 제어 서버(108)에 의해 보내진 정상적인 입력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셋톱 박스의 메인 CPU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인터럽트를 방송 처리부(1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503)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인터럽트를 통해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처리부(103)는 셋톱 박스의 업데이트 정보가 아닌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셋톱 박스의 상태를 방송 제공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단계(504)에서 방송 처리부(103)는 상태가 전환됨에 따라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를 비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이네이블부(500)를 호출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이네이블부(500)는 호출되어 저전력 네트워크부(104)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단계(506)에서 방송 처리부(503)는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제어 서버(108)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헤드 앤드(107)는 셋톱 박스의 상태 전환에 따라 콘텐츠를 방송 처리부(103)로 방송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셋톱 박스(601)는 네트워크 기반의 수동 대기 상태와 절전 대기 상태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셋톱 박스(601)는 사용자의 이용 가능성에 따라 방송 차단 상태, 수동 대기 상태 및 절전 대기 상태를 적절히 천이시켜 빠른 방송 제공 상태로의 복귀 및 절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셋톱 박스(601)의 사용 공간 내에 있는 경우, 방송 차단 상태 또는 수동 대기 상태로 셋톱 박스의 상태를 천이시켜 소비 전력을 낮추며, 사용자 입력 장치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방송 제공 상태로의 복귀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셋톱 박스(601)는 사용자가 셋톱 박스가 위치한 공간 내에 존재하지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톱 박스(601)는 사용자의 공간 내에 존재 여부에 따라 방송 차단 상태, 수동 대기 상태 및 절전 대기 상태로의 전환을 위하여 도 1과 비교하여 홈 게이트웨이(610) 및 사용자 단말(609)를 포함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610)는 셋톱 박스(601)와 같은 공간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610)는 미리 특정한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접속된 경우, 이를 사용자가 셋톱 박스가 설치된 공간 내에 존재한 상태라고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6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607)가 셋톱 박스(601)의 상태를 천이시키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셋톱 박스(601)의 상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일례로, 홈 게이트웨이(601)는 사용자 단말이 셋톱 박스(601)와 같은 공간 내에 위치한 경우, 셋톱 박스(601)의 상태를 방송 차단 상태 또는 수동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홈 게이트웨이(610)는 셋톱 박스의 대기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절전 대기 상태로 상태를 천이시켜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셋톱 박스(601)는 홈 게이트웨이(610)를 통해 사용자가 같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셋톱 박스(601)는 다음과 같은 각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절전 대기 상태에서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701)에서 홈 게이트웨이(610)는 셋톱 박스(601)가 설치된 공간 내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홈 게이트웨이(610)는 셋톱 박스가 절전 대기 상태에서 방송 차단 상태로의 천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홈 게이트웨이(610)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잠재적으로 사용자가 셋톱 박스가 설치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610)는 셋톱 박스의 모드를 천이하기 위한 입력 신호(wake-up)를 저전력 네트워크부(604)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저전력 네트워크부(604)는 홈 게이트웨이(610)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처리부(603)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인터럽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703)에서 방송 처리부(603)는 저전력 네트워크부(604)로부터 발생된 인터럽트에 따라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즉, 방송 처리부(603)는 헤더 앤드가 방송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704)에서 방송 처리부(603)는 셋톱 박스(601)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보고를 제어 서버(607)에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셋톱 박스의 상태가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셋톱 박스(601)는 홈 게이트웨이(610)를 통해 사용자가 같은 공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셋톱 박스(601)는 다음과 같은 각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 기반의 절전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단계(801)에서 홈 게이트웨이(610)는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끊겼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부재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610)는 사용자 단말과의 접속이 중단 경우, 셋톱 박스(601)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sleep)를 방송 처리부(6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방송 처리부(603)는 저전력 네트워크부(60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단계(803)에서 저전력 네트워크부(604)는 정상적으로 상태가 전환되었음에 대한 감지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기 위한 ready 상태를 방송 처리부(603)에 보고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방송 처리부(603)는 저전력 네트워크(604)를 통해 전달된 ready 상태에 따라 셋톱 박스의 상태가 대기 상태임을 제어 서버(607)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805)에서 방송 처리부(603)는 ready 상태에 대응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셋톱 박스
102: 입력신호 감지부
103: 방송 처리부
104: 저전력 네트워크부
105: 사용자 입력 장치
106: 이용 스크린
107: 헤드앤드
108: 제어 서버

Claims (9)

  1.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상태 또는 상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파라미터에 따라 셋톱 박스의 상태를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방송 제공 상태 또는 방송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가 방송 차단 상태로 진입한 후, 상기 방송 차단 상태로 동작하는 셋톱 박스가 일정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1) 상기 방송 차단 상태에서 사용하는 전력보다 낮은 대기 전력으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수동 대기 상태 또는, 2)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감지한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를 천이하는 절전 대기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셋톱 박스가 방송 제공 상태인 경우, 상기 셋톱 박스와 연결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차단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상태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셋톱 박스가 방송 차단 상태인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상태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셋톱 박스와 연결되는 제어 서버의 식별 정보, 상기 셋톱 박스를 웨이크업하기 위한 주기 정보, 셋톱 박스가 전환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대기 상태는,
    상기 셋톱 박스의 작동 상태 또는 능동 대기 상태에서 네트워크 기반의 대기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의 수행 컨텍스트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대기 상태는,
    상기 셋톱 박스의 작동 상태에서 동작하는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상태 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대기 상태는,
    상기 셋톱 박스와 연결된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셋톱 박스의 상태가 작동 상태로 전환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전환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의 입력 신호는,
    상기 셋톱 박스의 소프트웨어 버전에 따른 업데이트 정보 또는 자연 현상의 변화에 의한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전환 방법.
KR1020150104931A 2015-07-24 2015-07-24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KR10208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31A KR102088958B1 (ko) 2015-07-24 2015-07-24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931A KR102088958B1 (ko) 2015-07-24 2015-07-24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47A KR20170011747A (ko) 2017-02-02
KR102088958B1 true KR102088958B1 (ko) 2020-03-13

Family

ID=5815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931A KR102088958B1 (ko) 2015-07-24 2015-07-24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9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69B1 (ko) * 2013-12-20 2014-04-21 (주)그린콤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856A (ko) * 2007-06-20 2008-12-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모뎀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69B1 (ko) * 2013-12-20 2014-04-21 (주)그린콤 셋톱박스의 외장형 대기전력 차단 및 전원 활성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47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4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power
US9625968B2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standby state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5916010B (zh) 一种智能电视的待机及唤醒方法及装置
JPWO2009101804A1 (ja) 省電力システム
US20240196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removal of a controlling device
CN112988246A (zh) 系统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00026142A (ko) 영상 표시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342415A (zh) 一种定时任务执行方法及显示设备
KR102088958B1 (ko)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셋톱 박스가 수행하는 상태 전환 방법
JP2008205882A (ja) 電子機器の起動モード設定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946221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time information thereof
KR20190088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64155B1 (ko) 다중 대기모드를 갖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CN112804588A (zh) 一种机顶盒运行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664014B1 (ko)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44887B1 (ko) 비활성 시간구간 관리 기반의 가전장치 전력소비 절감 방법
KR101818424B1 (ko) 사용자 유무 검출에 따른 전력 모드 자동 스위칭을 이용한 셋톱박스의 저전력 모드 제어 방법
KR101264157B1 (ko) 다중 대기모드에서의 업데이트 운용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CN111316660B (zh) 显示设备以及对显示设备进行操作的方法
KR20160054807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방치 전력 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CN117896560A (zh) 显示设备和通道信号切换方法
KR20170091330A (ko) 상황 별 동작 모드 제어가 가능한 저전력 셋톱박스를 포함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1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제어 방법
US20150373405A1 (e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formation applianc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41667A (ja) 複数のマイコンで構成されるテレビシステムにおけるマイコン誤動作の自動復旧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