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784B1 -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784B1
KR960014784B1 KR1019930005449A KR930005449A KR960014784B1 KR 960014784 B1 KR960014784 B1 KR 960014784B1 KR 1019930005449 A KR1019930005449 A KR 1019930005449A KR 930005449 A KR930005449 A KR 930005449A KR 960014784 B1 KR960014784 B1 KR 960014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skin active
lotion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034A (ko
Inventor
서봉석
한영준
Original Assignee
임충헌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헌, 한국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충헌
Publication of KR94002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where at least one nitrogen atom is part of a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 조성물(샘플 A)에 함유된 미세다중 소구체의 입자크기 분포도.
제2도는 종래 화장수 조성물(샘플 B)내에 함유된 미세다중 소구체의 입자크기 분포도이다.
본 발명은 미세다중 소구체(Micro Multiple Sphere)화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또는 지용성 비타민류, 한방생약 성분류 또는 생체활성 성분류등과 같이 피부의 노화예방, 피부생리기능의 활성 및 피부보호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각종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미세다중 소구체를 화장수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에의 도포시 미세다중 소구체 성분의 피부 침투력과 지속력이 우수하며, 피부자극 정도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화장수에 난용성인 향료등을 가용화제로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향료등의 부유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이 화장수조성물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존재 할 수 있도록 한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수는 물과, 물에 가용성인 에탄올(Ethanol)을 주성분으로 하고, 물에 난용성인 일부량의 향료나 오일(Oil)류 등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물속에 분산시키거나 유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수는 피부에의 도포시 피부각질층의 최외층에 잔존하면서 함유된 에탄올과 각종 보습성분의 작용에 의해 단순히 피부수렴효과와 피부청정 효과만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질뿐, 미용성분을 피부에 침투시켜 피부에 활성을 부여하는 기능은 없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이와 같은 화장수 분야에도 의약계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는 약물전달체계(Drug Delivery System)나 방출제어 기능(서방효과; Time Release System)과 같이 리포좀(Liposome)화되거나 또는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화장수에 함유시킴으로써 피부에의 도포시 여러가지 피부활성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시도는 종래 화장수류에 내포되어 있는 기술적인 문제점 때문에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화장수류의 기술적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 화장수류들은 물에 난용성인 일부량의 향료나 오일류등을 가용화 내지는 미세분산시키기 위하여 대부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화장수류등에는 리포좀화 또는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의 화장수류에는 화장수로서의 고유성질중의 하나인 피부수렴효과 및 피부청정효과, 그리고 피부에의 도포시 청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에탄올을 함유시키고 있다. 에탄올을 함유하고 있는 화장수류에 리포좀화 또는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구성하는 단백질과 다당류가 에탄올에 엉기는 현상이 초래되어 그 사용함량에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화장수류가 불안정한 상태가 되며 소구체의 구조 유지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화장수류에는 향료등의 가용화 내지는 미세분산을 위하여 탈크가 첨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상기한 바와같이 피부활성 미용성분이 탈크에 의해 침전되거나 엉김현상이 초래되어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고유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난용성 물질인 향료 및 오일류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층부로 부유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일정 조성비로 화장수에 함유시키되, 화장수에 첨가되는 난용성 물질인 향료 및 오일류의 미세분산 내지는 가용화를 위하여 이산화티타늄 또는 카올린 또는 탈크(tal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을 일정조성비로 첨가시켜 난용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는 분산매체로 사용한 후, 제거함으로써 소구체의 막을 생체막 유사물질로만 구성할 수 있어 생체와의 친화성이 높으며, 조직에 선택성을 갖고 있고, 생체에 대한 자극이 없으며, 타물질에 비해 작용부위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원료를 방출하거나 약물 흡수를 촉진시키는 특성을 갖는 미세다중 소구체의 다량함유가 가능하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향료나 오일류등과 같은 물에 난용성 물질의 부유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미세다중 소구체가 화장수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화장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은 향료 성분중 정제수에 용해되지 않는 오일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간접부향방식을 채택, 전단계로 향료 탈크와 클리콜계통의 수용성 보습성분에 균질 혼합시키고, 여기에 적당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재차 교반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밀폐시켜 2-3일 동안 방지후,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만을 취해서 1, 3-브틸렌글리콜, 농글리세린, 에탄올을 20-80℃에서 균일혼합 용해시킨 원료용액에 배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이들 성분이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용액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분산용액을 다시 상온에서 3-24시간 정지시킨 후, 여과함으로써 화장품 원액을 얻고, 여기에 방부제, pH조정제, 미세다중 소구체와 적량의 정제수를 첨가한 다음, 8-48시간 숙성하여 안정화시키면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한 미세다중소구체의 화장수 조성물을 얻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은 화장수내에 수용성비타민류 또는 지용성 비타민류 도는 한방생약 성분류 또는 생체활성 성분류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을 함유하는 미세다중소구체화된 피부활성미용성분 0.1~60.0중량%를 함유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한 화장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난용성 물질인 향료등을 분산내지는 가용화시키기 위해 분산매체중에 이산화티타늄 또는 카올린 또는 탈크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을 전체조성물의 0.1~40.0중량%로 첨가 혼합한 후, 3~24시간 방치, 상등액만을 취하고, 이를 다시 여과하여 그 여과액만을 사용함으로써 피부활성미용성분을 함유한 안정된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래 표에서와 같이 화장수내에 함유되는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pH와 화장수의 pH를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2상(Phase)의 삼투압이 평형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미세다중 소구체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에는 수용성·지용성 비타민류, 한방생약성분류, 생체활성 성분류같은 각종 피부활성 미용성분들의 미세다중 소구체가 다량함유되기 때문에, 피부에의 도포시 생체와의 친화성이 높으며 적용 부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각종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방출함에 따라 피부활성미용 성분의 피부침투력과 지속력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산화티타늄이나 카오린 또는 탈크를 초기 분산매체로 사용하고 다시 제거함으로써 향료나 오일류가 부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중수증에 함유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의 미세다중 소구체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다중소수체화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조성물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을 재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의 원료는 1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하였다.
먼저, 성분 1~3번까지의 원료를 20~80℃에서 균일혼합 용해시킨 후, 성분 4~6번까지의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그 혼합액을 상기한 성분 1~3번까지의 원료 용해액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다음에 상기한 균일 분산된 내용물을 상온에서 3~24시간 정지시킨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만을 취아혀 미세여과기인 규조토여과기를 통과시키면 상등액에 잔류하는 탈크 내지는 오일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투명한 상태의 여과액을 얻는다. 다음 이 여과액에 미리 용해된 성분 7~10까지의 원료를 첨가 혼합하고, 8~48시간 숙성시킨 후, 안정화하여 본 발명의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조성물을 얻는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의 원료는 표 2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하였다.
먼저, 성분 1~3번까지의 원료를 20~80℃에서 균일혼합 용해시킨 후, 성분 4~6번까지의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그 혼합액을 상기한 성분 1-3번까지의 원료 용해액에 첨가하여 균일 분산시켰다.
다음에 상기한 균일 분산된 내용물을 대기 온도에서 3-24시간 정치시킨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 침전물은 버리고, 상등액만을 취하여 미세여과기인 규조토여과기를 통과시키면 상등액에 잔류하는 탈크 내지는 오일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투명한 상태의 여과액을 얻는다. 다음 이 여과액에 미리 용해된 성분 7~10까지의 원료를 첨가혼합하고, 8~48시간 숙성시킨 후, 안정화하여 본 발명의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조성물을 얻는다.
[비교예 1]
이 비교예에서 제조되는 종래 화장수 조성물의 원료는 표 3에 기재된 바에 따라 사용하였다.
먼저, 성분 1~4번까지의 원료와 5번 원료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그 용해액에 성분 6~9번까지의 원료를 투입하여 균일용해 분산시킨후 8~48시간 숙성한 후 안정화시켜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 조성물과 종래의 화장수 조성물내에 함유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의 미세다중 소구체가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 측정기구 : 멜번(MALVERN) 입자측정기(Particle Sizer)(3600E형)
- 검체 : 샘플 A[(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6개월 경과된 제품)) 샘플 B(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화장수 조성물(6개월 경과된 제품)]
- 실험방법 : 입자크기의 초음파탱크(Ultrasonic Tank)내에 샘플 A와 샘플 B를 각각 채운 다음 펌프를 가동시킨 후 화면에 나타나는 재료를 비교조사하고, 이를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하였다.
- 실험결과 : 샘플 A :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장수내에 미세다중 소구체의 본래 입자크기인 35~150nm(0.035~0.15㎛) 범위에 대부분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샘플 B :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화장수내 미세다중소구체의 입자크기가 5000nm(5㎛) 이상에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 조성물(샘플 A)과 비교예에서 제조된 종래 화장수 조성물(샘플 B)에 대하여 화장품 안정도 시험기준에 따라 경시변화에 다른 제품의 안정도를 검사하고, 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수 조성물에서는 화장수에 포함된 미세다중 소구체의 입자크기가 35~150nm범위에 존재하여 안정하게 보존되어 그 내부에 포함된 피부활성미용 성분의 누출이 없으나 종래 화장수 조성물에서는 미세다중 소구체의 입자크기가 5000nm이상에서 존재하여 처방중 에탄올이나 계면활성제등과 반응하여 엉김 및 침전현상을 일으킴에 따라 피부활성 미용성분의 고유성질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난용성이 향료의 분산 또는 가용화를 위하여 분산매체로 이산화티타늄, 카올린 및 탈크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을 전체조성물의 0.1~40.0중량% 첨가 혼합한 후, 상온에서 정치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그 여과액을 미세다중 소구체화된 피부활성 미용성분 0.1~60.0중량%와 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930005449A 1993-03-04 1993-03-31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KR960014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69283 1993-03-04
JP5069283A JP2916736B2 (ja) 1993-03-04 1993-03-04 種子消毒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034A KR940021034A (ko) 1994-10-17
KR960014784B1 true KR960014784B1 (ko) 1996-10-19

Family

ID=133981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449A KR960014784B1 (ko) 1993-03-04 1993-03-31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KR1019940004354A KR100313586B1 (ko) 1993-03-04 1994-03-03 살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54A KR100313586B1 (ko) 1993-03-04 1994-03-03 살균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500437A (ko)
EP (1) EP0613619B1 (ko)
JP (1) JP2916736B2 (ko)
KR (2) KR960014784B1 (ko)
CN (1) CN1067847C (ko)
AT (1) ATE174759T1 (ko)
AU (1) AU672273B2 (ko)
BR (1) BR9400812A (ko)
CA (1) CA2116830C (ko)
DE (1) DE69415365D1 (ko)
ES (1) ES2129611T3 (ko)
MY (1) MY110196A (ko)
PH (1) PH30127A (ko)
TW (1) TW2615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7946B2 (en) 1998-11-09 2003-07-22 Transpharma Ltd. Electronic car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6148232A (en) 1998-11-09 2000-11-14 Elecsys Ltd.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6611706B2 (en) 1998-11-09 2003-08-26 Transpharma Ltd. Monopolar and bipolar current application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US6708060B1 (en) 1998-11-09 2004-03-16 Transpharma Ltd. Handhel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AU2003226605A1 (en) * 2002-04-19 2003-11-03 Transpharma Medical Ltd. Handheld transdermal drug delivery and analyte extraction
JP4558339B2 (ja) * 2004-01-29 2010-10-06 北興化学工業株式会社 種籾粉衣用農薬固形製剤
US8606366B2 (en) 2009-02-18 2013-12-10 Syneron Medical Ltd. Skin treatment apparatus for personal use and method for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0572A (ja) * 1984-06-08 1985-12-23 Ube Ind Ltd イミダゾ−ル誘導体および農園芸用殺菌剤
US4705800A (en) * 1985-06-21 1987-11-10 Ciba-Geigy Corporation Difluorbenzodioxyl cyanopyrrole microbicidal compositions
DE4114447A1 (de) * 1991-05-03 1992-11-05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220A (zh) 1994-11-02
JP2916736B2 (ja) 1999-07-05
JPH06256112A (ja) 1994-09-13
BR9400812A (pt) 1994-11-29
KR940020913A (ko) 1994-10-17
AU5753894A (en) 1994-09-08
DE69415365D1 (de) 1999-02-04
EP0613619A1 (en) 1994-09-07
PH30127A (en) 1996-12-27
KR100313586B1 (ko) 2002-11-29
ATE174759T1 (de) 1999-01-15
TW261514B (ko) 1995-11-01
MY110196A (en) 1998-02-28
CN1067847C (zh) 2001-07-04
AU672273B2 (en) 1996-09-26
CA2116830C (en) 2005-02-08
CA2116830A1 (en) 1994-09-05
EP0613619B1 (en) 1998-12-23
ES2129611T3 (es) 1999-06-16
KR940021034A (ko) 1994-10-17
US5500437A (en) 1996-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4053B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mikroemulsion
DE69821346T2 (de) Partikelförmiger gelträger für topisch applizierte aktive substanzen
WO1992006701A1 (en) Preparation of concentrated fluid symphytum extracts, therapeutic forms and methods of use
EP1140008A1 (d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lecithinhaltige gele oder niedrigviskose, lecithinhaltige o/w-mikroemulsionen
JPH0532363B2 (ko)
JPH0940524A (ja) 水反応性活性剤を含むシリコーン組成物
DE69917858T2 (de) Verwendung eines Silicongummis zur Stabilisierung von Ascorbinsäure und neu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Komponenten enthalten
US5993857A (en) Cosmetic skin cleanser based on natural active substances
KR960014784B1 (ko) 피부활성미용 성분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방법
JP4049216B2 (ja) 液晶構造を有する製剤
DE69800168T3 (de) Emulsion, die Ascorbinsaüre enthält, und ihre Verwendungen in der Kosmetik und Dermatologie
JPH08283303A (ja) 高級脂肪酸デキストリンからなる乳化剤、これ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および化粧料
JPH0533926B2 (ko)
CN107233222B (zh) 一种具有液晶结构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US5290570A (en) Lotions containing liquid-loaded powder
US5567419A (en) Stabilize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monoacyl phosphatide and a saponin
JPH0782131A (ja) ヒアルロニダーゼ活性阻害剤及び水中油型クリーム基剤
NZ199153A (en) Cosmetic moisturiser composition
DE60120652T2 (de) Emulsion enthaltend siliconöl- und co-lösungsmittelsystem enhaltend fettlösliche kosmetische wirkstoffe und daraus hergestelleten kosmetischen zubereitungen
EP0375082A2 (en) Cosmetic composition
JP3597520B2 (ja) 皮膚外用剤
KR0133836B1 (ko) 베타글루칸의 미세소구체를 함유하는 다중유화타입의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JPH0620531B2 (ja) 乳化組成物
KR100737391B1 (ko)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JP2504064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