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755B1 - 음극 전착 페인트 - Google Patents

음극 전착 페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755B1
KR960014755B1 KR1019930006196A KR930006196A KR960014755B1 KR 960014755 B1 KR960014755 B1 KR 960014755B1 KR 1019930006196 A KR1019930006196 A KR 1019930006196A KR 930006196 A KR930006196 A KR 930006196A KR 960014755 B1 KR960014755 B1 KR 960014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amine
resin
electrodeposition paint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745A (ko
Inventor
모또이 다니모또
다쓰오 요시다
겐시로오 도비나가
유지 도요다
Original Assignee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47781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47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이 히로시 filed Critical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73Mixture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07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with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5/44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tes or 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88Cathodic pa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01Electrodepositable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음극 전착 페인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음극 전착(電着) 페인트(cathodic electrodeposition paint)에 관한 것이다. 전착 페인트 특히 기판에 적용된 그것의 습필름이 주위환경으로부터 산란된 유적(oil droplet)로 더렵혀질 때 유적은 주위 페인트 필름을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베이킹(baking)후 조차도 필름내에 많은 크레이터-같은 오목명을 생기게 한다.
페인트 제조물 속에 고령토를 삽입하여 안료농도를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비교적 고분자량 그리하여 고점도 수준을 가지는 전색제 수지를 이용하여 베이킹 단계 동안 페인트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이 공지된 방법들은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대한 감수성을 완전하게 감소시키려고 할 때 결과적인 경화필름의 평활도와 오버코팅(overcoating)에의 그것의 부착이 손상되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필름 평활도 및 오버코팅에의 부착 따위의 페인트의 다른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거의 감수성이 없는 전착 페인트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서, 하기의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가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대한 감수성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음극 전착 페인트에 첨가되었다.
상기의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는 단량체 성분이 (a) 적어도 50℃의 유리전이온도(Tg)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t-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b) 40보다 더 큰 히드록실수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및 (c) 0.5 내지 2.5mmol/g의 옥시란 고리함량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옥시란 고리-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1,000 내지 20,000의 평균분자량 수를 가지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2차 아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그 다음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를 그대로 또는 중화산을 포함하는 수성 매체에서 절반이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후 에멀션화시킨다.
그렇게 제조된 에멀션을 전체 조성물의 전 수지함량의 1중량%와 30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5중량%와 20중량% 사이의 배율로 음극 페인트에 첨가한다. 전수지 함량의 밸런스는 바람직하게는 아민-개질된 에폭시 수지 및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구성된다.
상기의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를 삽입함으로써, 음극 전착 페이트는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거의 감수성이 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인트가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경화 필름 및 그 위에 적용되는 오버코팅에의 충분한 부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이전에 기술한 것처럼 페인트내의 안료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착 페인트의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를 감소시키는 것은 공지되었고 상업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결과적인 경화필름의 평활도의 감소를 일으킨다.
본 출원인은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대한 음극 전착 페인트의 감수성을 단량체 성분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50℃ 이상의 Tg를 가지는 양이온성 아크릴 공중합체를 페인트 제조물에 첨가함으로써 필름 평활도를 손상하지 않고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공중합체의 용해도 변수(SP)가 t-부틸(메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에, 음극 전착 페이트에 대한 t-부틸(메트) 아크릴레이트의 충분한 함량을 갖는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의 첨가는 필름위에 적용되는 오버코팅에의 결과적인 필름의 부착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의 SP 수준의 감소는 그것의 단량체 성분에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를 40보다 더 큰 히드록실수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로 삽입시킴으로써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출발 아크릴 공중합체가 2차 아민과의 많은 반응부위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그것의 단량체 성분은 옥시란 고리-함유 단량체를 5 내지 2.5mmol/g의 옥시란 고리함량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로 포함하여야 한다.
따라서 출발 아크릴 공중합체의 단량체 성분은 (a) 적어도 50℃의 Tg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t-부틸(메티) 아크릴레이트, (b) 40보다 더 큰 히드록실수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2-히드록시에틸(메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프로락톤 글리콜(메트) 아크릴레이트(예컨대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 의해 판매되는 PLACCEL FM-1)따위의 히드록실기- 포함 단량체, (c) 0.5 내지 2.5mmol/g 사이의 옥시란 고리함량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글리시딜(메트) 아크릴레이트 따위의 옥시란 고리-포항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메틸(메트)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 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 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메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트) 아크릴아미드, 비닐아세테이트 등의 단량체(a), (b) 및 (c)와 다른 단량체를 포함한다.
그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 중합기술 따위의 통상적인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1,000 내지 20,000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의 평균분자량 수에 도달될 때까지 중합시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는 출발 아크릴 공중합체를 2차 아민과 반응시켜서 옥시란 고리를 이차 아민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이차 아민으로 이용가능한 실례에는 N,N-디에틸아민, N,N-디부틸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이 포함된다.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가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교차결합될 수 있도록 이차 아미노기 뿐만 아니라 히드록실 또는 케티민화 일차 아미노기를 가지는 것이 이차 아민에 대해 바람직하다.
한편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는 절반이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함으로써 자가 교차결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또는 디페닐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따위의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차단제와 반응하여 두 이소시아네이트기중 하나가 차단된다. 사용가능한 차단제는 잘 공지되어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2-에틸헥산올, 에틸렌 글리콘 모노알킬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 락탐, 옥심 등을 포함한다.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 몰당 적어도 1몰의 절반이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된다.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그것의 절반-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첨가 생성물을 그 다음에는 적어도 30% 중화를 이루는 양의 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또는 락트산 따위의 중화산을 포함하는 수성매체에서 에멀션화시킨다.
공중합체의 Tg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그것의 에멀션화는 비교적 높은 온도를 요구할 것이다. 필요하다면 공지된 에멀션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그것의 절반-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 첨가 생성물은 일차적인 전색제 수지로서가 아니고 보조적인 수지 또는 첨가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음극 전착 페인트는 일차적인 전색제 수지로서 다른 양이온성 필름-형성 수지를 포함하여야 한다.
음극 전착 페인트에 사용가능한 다양한 필름-형성 수지가 공지되었다. 이 수지들은 일반적으로 3차원 네트원크 속에 다수의 교차결합부위 및 아미노기 따위의 양 전하를 띠는 친수성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보조적인 수지는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교차결합되기 때문에, 일차적인 전색제 수지는 똑같은 경화기작을 갖는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그것의 실례는 일본특허공고(Kokoku) 제4978/1979호 및 제34186/1981호에서 개시된 아민-개질된 에폭시 수지, 일본특허 출원공개(Kokai) 제15449/1979호 및 제115476/1980호에서 개시된 아민-개질된 폴리우레탄수지, 및 일본특허공고 제60516/1989호에 개시된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음극 전착 페인트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수지 및 교차 결합제는 코팅 공업에서 잘 공지되었고 본 발명의 부분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의 세부를 더욱 설명하는 것은 불필요할 것이다.
일차적인 전색제 수지 및 교차결합제는 또한 적어도 30% 중화를 이루는데 충분한 양의 인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또는 락트산 따위의 산을 포함하는 수성매체내에서 분산된다. 수성매체는 물 또는 에틸셀로솔베(ethylcellosolve), 프로필 셀로솔베(propylcellosolve) 부틸셀로솔베(butylcellosolve),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디아세톤 알코올, 4-메톡시-4-메틸펜탄온-2 또는 메틸에틸케톤 따위의 물-혼화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이다. 톨루엔, 크실렌, 메틸 이소부틸케톤 또는 2-에틸헥산올 따위의 적은 비율의 물-불혼화성 용매가 수성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보조적인 수지는 페인트의 전 수지함량의 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음극 페인트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음극 페인트는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산화 제2철, 침전된 황산바륨, 실리카, 카올린, 침전된 탄산칼슘, 알루미늄 포스포몰리브데이트, 스트론튬 크롬산염, 염기성 납 규산염 또는 납 크롬산염 따위의 안료, 및 계면활성제와 UV흡수제 따위의 다른 통상적인 첨가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 전착 페인트는 대개 15~20%의 불휘발성 함량으로 조정되고 강철 기판 바람직하게는 인산 아연 또는 크롬산 아연으로 처리된 표면위에 15-35℃의 바스 온도(bath temperature)에서 100-400볼트의 DC 전압에서 10-5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20-40미크론의 건조 필름 두께로 전기적으로 적용되고, 및 그 다음에는 100-200℃, 바람직하게는 140-180℃의 온도에서 10-30분 동안 베이킹된다.
결과적인 경화 필름은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가 없고 그 위에 계속해서 적용되는 오버코팅에의 강한 부착을 나타낼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더욱 기술되는데 여기서 다른 표시가 없으면 모든 퍼센트 및 부는 중량기준이다.
[제조실시예 1]
안료 페이스트
단계 1 :
환류응축기, 교반기 및 드립 깔때기로 장치된 플라스크를 1320부의 2-에틸헥산올-절반 차단된 TDI 및 87.2부의 N,N-디메틸에탄올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여기에 75% 락트산 수용액 117.6부 및 부틸셀로솔베 39.2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65℃에서 반응하게 하였다. 85%의 고체 함량을 가지는 쿼터나이징 제(quarternizing agent)를 얻는다.
단계 2 :
환류응축기, 교반기 및 질소관으로 장치된 유사한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710부의 EPON 829(Shell Chemical Company에 의하여 판매되는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에폭시 등가물 829) 및 289.6부의 폴리카프로락톤 디올(Union Carbide Corporation에 의하여 판매되는 TONE 0200, M.W. 약 543)을 교반하면서 질소가스 피막에서 1시간 동안 150-160℃에서 반응하게 하고 그 다음 120℃으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406.4부의 2-에틸헥산올-절반 차단된 TDI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110-120℃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혼합물을 567.6부의 부틸셀로솔베로 희석하고 85-90℃으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71.2부의 탈이온수 및 단계 1의 쿼터나이징 제496.3부를 첨가하고 산 값(acid number) 1에 도달할 때까지 교반하면서 80-85℃에서 반응시켰다. 8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전색제 수지를 얻었다.
단계 3 :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에서 단계 2의 전색제 수지 429부, 부틸셀로솔베 101부 및 탈이온수 470부를 완전하게 혼합하였다. 여기에 78.3부의 카본블랙, 619.6부의 카올린, 85.6부의 납 규산염, 71.4부의 산화디부틸린 및 225.1부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모래 분쇄기로 옮겨서 10미크론 보다 더 작은 입자크기로 분산시키고, 그 다음에는 탈이온수로 희석하여 전체 고체함량 54.7% 수지함량 14.2% 및 안료함량 40.5%가 되게 하였다.
[제조실시예 2]
교차결합제
별도의 반응기를 사용하여 291부의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2,4- 및 2,6- 이성질체의 80 : 20 비율의 혼합물)(TDI)를 외부적으로 냉각시키는 동안 38℃에서 교반하면서 질소 피막하에서 0.5시간 동안 218부의 2-에틸헥산올과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75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0.08부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IR 분광계로 확인했을 때 본질적으로 모든 이소시아나토 작용기가 사라질 때까지 혼합물을 121℃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 생성물을 249부의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로 희석하여 70%의 비휘발성 함량을 가지는 차단된 TDI 용액을 얻었다.
[제조실시예 3]
일처적 양이온성 필름-형성수지
970부의 EPIKOTE 1001(Yuka Shell Epoxy Company에 의해 판매되는 에폭시 수지, 에폭시 등가물 485) 및 265부의 폴리카프로락톤 디올(Union Carbide Corporation에 의해 TONE 0200의 이름으로 판매됨, M.W. 약 543)을 적당한 반응기에 놓고 질소가스 피막에서 10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에 0.46부의 디메틸벤질아민을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130℃에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켰다.
여기에 110부의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MIBK중의 디에틸렌 트리아민 메틸이소부틸케티민의 73% 용액 39.8부, 및 100부의 MIBK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70℃로 냉각시켰다. 53.1부의 디에틸아민을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3시간 동안 120℃에서 가열하여 87%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수지를 얻었다.
[제조실시예 4]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
환류응축기, 교반기 및 드립깔때기로 장치된 플라스크를 60부의 부틸셀로솔베로 충전하고 13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64.1부의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8.6부의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15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3.2부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AIBN)의 혼합물을 세시간에 걸쳐 적가하고, 그 다음 혼합물을 부가적인 30분간 130℃에서 반응시켰다.
부틸셀로솔베 8부 및 AIBN 0.2부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가한 후에, 혼합물을 130℃에서 부가적인 1시간 동안 반응시켜 58%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수지는 평균분자량수가 5,000 Tg가 66.8℃, SP값이 10.2 및 히드록실수가 53.0이었다.
냉각 후에 수지용액을 2시간 동안 120℃에서 7.5부의 N-메틸에탄올아민과 반응시켰다. 결과적인 아민-개질된 수지용액을 2.1부의 빙초산으로 중화시키고 나서 356.2부의 탈이온수로 에멀션화시켰다.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이 제조되었다.
[제조실시예 5]
제조실시예 4와 유사하게 72.7부의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15.0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서 Tg가 84.1℃이고 히드록실수가 53.0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를 N-메틸에탄올아민과 반응시키고, 빙초산으로 중화시키고, 탈이온수로 에멀션화시켜서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얻었다.
[제조실시예 6]
제조실시예 4와 유사하게 59.1부의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3.6부의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15.0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서 Tg가 72.2℃이고 히드록시수가 106.0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를 제조실시예 4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7(비교용)]
제조실시예 4와 유사하게 72.7부의 스티렌, 12.3부의 2-히드록시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5.0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서 Tg가 79.6℃ 그리고 히드록실수가 53.0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를 제조실시예 4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8(비교용)]
제조실시예 4와 유사하게 72.7부의 n-부틸아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15.0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서 Tg가 -35.3℃이고 히드록실수가 53.0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를 제조실시예 4에서와 같이 처리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9(비교용)]
제조실시예 4와 유사하게 72.7부의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PLACCEL FM-1, 및 15.0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서 Tg가 73.1℃이고 히드록실수가 28.3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공중합체를 제조실시예 5에서 같이 처리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에멀션을 제조하였다.
[제조실시예 10]
단계 1 :
제조실시예 4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플라스크를 222부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35.6부의 MIBK로 충전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내부 온도를 70-80℃에서 유지하면서 0.2부의 산화 디부틸주석 그 다음 98부의 푸르푸릴 알코올을 적가하였다.
그 다음에는 혼합물을 1시간 동안 70℃에서 반응시켜서 90%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절반이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용액을 얻었다.
단계 2 :
제조실시예 4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별도의 플라스크를 60부의 크실렌으로 충전하고 13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59.1부의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5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3.6부의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3.2부의 AIBN의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3시간 동안 130℃에서 반응시켰다.
8부의 크실렌중의 0.5부의 ABIN을 20분 동안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1시간 동안 130℃에서 다시 반응시켜 58%의 고체함량을 가지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수지는 평균 분자량수가 5,000이고, Tg가 72.2℃이고, SP가 10.7이고, 히드록실수가 106.0이었다. 냉각후 7.5부의 N-메틸에탄올아민을 수지용액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120℃에서 반응시켜 아민-개질된 아크릴수지를 얻었다.
단계 3 :
단계 2에서 생성된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용액에 단계1에서 생성된 절반 차단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용액 35.6부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부를 첨가하였다. 어떤 이소시아나토기의 흡광도 생성물의 IR 분광측정법에 의해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혼합물을 60-70℃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생성물은 17.8부의 부틸셀로솔베로 희석하여 60%의 고체함량을 갖도록 하고, 2.1부의 빙초산으로 중화하고, 462.8부의 탈이온수에 에멀션화시켜 아민-개질된 아크릴 공중합체 및 절반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 생성물의 에멀션을 얻었다.
[제조실시예 11]
환류응축기, 교반기 및 드립깔때기로 장치된 플라스크를 60부의 부틸셀로솔베로 충전하고 130℃로 가열하였다.
여기에 59.1의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15부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2.3부의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3.6부의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3.2부의 AIBN의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적가하고, 그 다음 30분 동안 130℃에서 반응시켰다. 부틸셀로솔베 8부 중의 AIBN 0.5부를 20분에 걸쳐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1시간 동안 130℃에서 다시 반응시켜 58%의 고체함량을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이 수지는 평균 분자량 수가 5,000, Tg가 72.2℃, SP가 10.7 및 히드록실수가 106.0이었다.
냉각후에 7.5부의 N-메틸에탄올아민을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120℃에서 반응시켜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를 얻었다. 이 수지를 다시 냉각시키고 제조실시예 2에서 제조된 교차결합제 65.8부와 완전히 혼합하였다. 2.1부의 빙초산을 첨가한 후 수지-교차결합제 혼합물을 523부의 탈이온수에 에멀션화시켜 교차결합제를 포함하는 아크릴 에멀션을 얻었다. 고체함량은 20%이었다.
[실시예 1]
제조실시예 2에서 생성된 교차결합제 310부, 제조실시예 4에서 생성된 양이온성 필름-형성 수지용액 576부 및 에틸렌글리콜 모노헥실에테르 71부를 완전히 혼합하고, 빙초산 12.3부로 중화시키고, 점차적으로 705.5부의 탈이온수로 희석하였다.
이 액체를 제조실시예 4에서 생성된 아크릴 에멀션 266부 및 제조실시예 1에서 생성된 안료 페이스트 347.8부와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이 혼합물을 탈이온수 2652부로 희석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갖는 음극 전착 페인트를 얻었다.
[실시예 2-5]
제조실시예 4의 아크릴 에멀션을 각기 제조실시예5, 6, 10 및 11의 아크릴 에멀션중 하나에 의하여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제조실시예 4의 아크릴 에멀션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실시예 1의 안료 페이스트의 양을 313부로 변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다.
[비교실시예 2-4]
제조실시예 4의 아크릴 에멀션을 각기 제조실시예 7-9의 아크릴 에멀션중 하나에 의하여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평가
실시예1-5 및 비교실시예1-4의 페인트를 인산아연-처리한 냉간압연한 강철판을 음극으로서 페인트 바스속에 담가서 3분 동안 200볼트에서 DC 전류를 지나게 함으로써 각각 인산아연-처리한 냉간압연한 강철판상에 적용하였다. 결과적인 페인트 필름을 물로 세척하고 20분 동안 180℃에서 베이킹하여 필름 두께가 20미크론이 되게 하였다.
평가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
1. 오버코팅 부착 :
알키드 페인트를 건조 필름 두께가 35미크론이 되도록 살포하고 30분 동안 140℃에서 베이킹함으로써 전착 페인트 필름을 알키드 오버코팅 페인트로 겉칠을 하였다. 그 다음 오버코팅 필름을 JIS K5400-1975 6.15에 따라서 각각 크기가 1mm×1mm인 100그리드 단편으로 긁어냈다.
그 다음 압력 민감한 부착 테이프를 그리드에 적용하여 재빨리 벗겨냈다. 전착 페인트 필름상에 남아있는 그리드 단편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평가가 행하여졌다.
2. 유적-야기되는 크레이터에 대한 감수성 :
상기 조건을 이용하여, 각 음극 페인트를 유적으로서 프레스-클리닝 오일 30ppm을 첨가한 후에 70mm×150mm 크기의 냉간압연한 강철판상에 코팅하였다. 경화 페인트 필름상에 유적에 의해 생긴 크레이터의 수를 시각적으로 계수하고 하기의 표에 의해 판단하였다.
○ : 1-2; △ : 3-10; × : >10
3. 표면 평활도 :
최종적인 페인트 필름을 기복 및 다른 불규칙함에 대해 시각적으로 조사하였다.

Claims (7)

  1. 일차적인 양이온성 필름-형성 수지의 수성분산물 및 수성에멀션의 형태로 보조적인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의 전체 조성물의 전수지 함량의 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에서, 상기의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가 단량체 성분이 적어도 (a) 적어도 50℃의 유리전이온도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t-부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b) 40보다 더 큰 히드록실수를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히드록실기-포함 단량체, 및 (c) 0.5 내지 2.5mmol/g의 옥시란 고리함량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비율의 옥시란 고리-포함 단량체를 포함하는 1,000 내지 20,000의 평균 분자량 수를 가지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이차아민의 반응 생성물인 음극 전착 페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아민-개질된 아크릴 수지가 추가로 절반 차단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수지함량의 밸런스가 아민-개질된 에폭시 수지 및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차 페인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함량의 밸런스가 아민-개질된 에폭시 수지 및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t-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비율이 상기의 단량체 성분의 50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이차아민이 이차 알칸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의 상기 단량체 성분이 t-부틸 에스테르와 다른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아미드,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전착 페인트.
KR1019930006196A 1992-04-04 1993-04-14 음극 전착 페인트 KR960014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20110 1992-04-04
JP4120110A JPH05287223A (ja) 1992-04-14 1992-04-14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745A KR930021745A (ko) 1993-11-22
KR960014755B1 true KR960014755B1 (ko) 1996-10-19

Family

ID=1477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196A KR960014755B1 (ko) 1992-04-04 1993-04-14 음극 전착 페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60839A (ko)
EP (1) EP0566096B1 (ko)
JP (1) JPH05287223A (ko)
KR (1) KR960014755B1 (ko)
DE (1) DE69300316T2 (ko)
TW (1) TW226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371B2 (ja) * 1998-06-25 2008-05-21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US6531541B1 (en) * 2000-05-19 2003-03-11 Ppg Industries Ohio, Inc. Coating compositions, coated substrates and methods for inhibiting sound transmission through a substrate
JP2006342303A (ja) * 2005-06-10 2006-12-21 Nippon Paint Co Ltd カチオン電着塗料用ハジキ防止剤およびこれを含む塗料組成物
US7956144B2 (en) * 2006-02-03 2011-06-07 Ppg Industries Ohio, Inc. Acrylic resin for use in fluorocarbon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8945365B2 (en) 2012-07-13 2015-02-03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s exhibiting resistance to cratering
US9834634B2 (en) 2014-02-27 2017-12-05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Acrylic resins and powder coating compositions and powder coated substrates including the same
CN108822688A (zh) * 2018-06-28 2018-11-16 李金磊 一种抗油污薄膜及其制备方法
CN114207059B (zh) * 2019-08-15 2023-11-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双组分聚氨酯组合物
CN115536775B (zh) * 2022-10-28 2023-07-21 江西高杰新材料有限公司 一种丙烯酸树脂共聚物、环保阴极电泳涂料和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5028A (en) * 1980-09-22 1982-06-15 Scm Corporation Cathodic electro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base-functional graft polymers having epoxy resin backbones, and substrates coated therewith
DE3628121A1 (de) * 1986-08-19 1988-03-03 Herberts Gmbh Fremdvernetzende bindemittelkombination fuer mit wasser verduennbare lacke, kathodisch abscheidbares elektrotauchlackueberzugsmittel und dessen verwendung
US5185065A (en) * 1991-08-01 1993-02-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coring cathod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6096B1 (en) 1995-08-02
KR930021745A (ko) 1993-11-22
US5360839A (en) 1994-11-01
DE69300316T2 (de) 1996-04-25
DE69300316D1 (de) 1995-09-07
JPH05287223A (ja) 1993-11-02
TW226397B (ko) 1994-07-11
EP0566096A1 (en) 199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9106A (en) Method of electrodepositing quaternary sulfonium group-containing resins
AU769209B2 (en) Carbamate functional resin having a cationic salting site
US4686249A (en) Heat-hardenable binder mixture of amino resin and hydroxy epoxides
US4557976A (en) Heat-hardenable binder mixture
US6054033A (en) Cathodic electrodeposition paint
CA1107442A (en) Quaternary ammonium salt group-containing resins for cationic electrodeposition
US6136895A (en) Cation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KR960014755B1 (ko) 음극 전착 페인트
JP3593621B2 (ja) 複層塗膜形成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5555569B2 (ja) 硬化電着塗膜および多層塗膜の形成方法
EP0629225A1 (en) Additives for electr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s
US5254631A (en) Cationically electrodepositable finely divided gelled polymers having a core-sheath structure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DE4332014A1 (de) Elektrotauchlacke und Verfahren zum Lackieren elektrisch leitfähiger Substrate
JP2002201410A (ja) 二層分離型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4823402B2 (ja)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3494724B2 (ja) 環状カーボネート架橋性塗装組成物を用いる陰極電着塗装法
KR20110031149A (ko) 전기코트 조성물 및 방법
JP4035836B2 (ja) 艶消し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4736144B2 (ja) 高耐食性高耐候性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H10110124A (ja) 耐ハジキ性に優れている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2002201408A (ja) 水性塗料用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水性塗料組成物
JP2000281943A (ja) 高耐候性電着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JP3447821B2 (ja)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H10204337A (ja)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2008239989A (ja) 高耐食性高耐候性電着塗料のハジキ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