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294B1 -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294B1
KR960014294B1 KR1019920027202A KR920027202A KR960014294B1 KR 960014294 B1 KR960014294 B1 KR 960014294B1 KR 1019920027202 A KR1019920027202 A KR 1019920027202A KR 920027202 A KR920027202 A KR 920027202A KR 960014294 B1 KR960014294 B1 KR 960014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ell
plate
adhesive tape
adsorp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603A (ko
Inventor
신영철
문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294B1/ko
Publication of KR94001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LCD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편광판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편광판 공급장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장치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장이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셀 11:편광판
12:편광판 기재 14:이면막
100:메가진부 200:접착테이프
300:분리판 400:흡착블럭
500:위치조정부 510:푸시레버
520:푸시판 700:부착부
710:부착롤러.
본 발명은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Liquid Crystal Display)은 유리사이에 액정물질이 위치하고 유리표면에는 편광판을 붙여 이루어진다. 이는 제1도와 같이 액정셀(10)에 편광판(11)을 붙여 제조된다. 이경우 편광판(11)은 제2도와 같이 기재(12), 보호막(13), 접착층(15), 이면막(14)으로 이루어지고, 이면막(14)을 벗겨 액정셀(10)에 부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조시에는 작업자가 이면막(14)을 벗겨 액정셀(10)에 접착층(15)으로 접착토록 하고 있으나, 수공에 의한 작업에 의하여 작업에 따른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셀(10)이 유리로 되어있어 유리파티클이 접착층(15)에 함께 붙을 경우 이는 곧 불량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편광판을 테이프에 붙여 이동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이면막을 자동분리시켜 액정셀에 편광판기재를 붙여 자동조립이 가능케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편광판을 적재하며 왕복운동하는 메가진부와; 메가진부 우측에서 일정공간을 두고 이동되며 메가진부의 왕복운동시마다 편광판을 부착하여 이동시키는 접착테이프와; 편광판의 이면막만 접착테이프에 붙여 편광판기재와 이면막을 분리시키는 분리판과; 분리판 부위에서 분리된 편광판기재를 흡착하는 흡착블럭과; 흡착블럭에 흡착된 편광판기재를 정위치로 조정하도록 푸시레버 및 푸시판을 포함하는 위치조정부와; 흡착블럭 하부위치에서 실 접착위치로 왕복운동하는 셀받침대와; 흡착블럭을 고정하며 일정 각도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편광판기재를 셀에 부착시키는 부착 롤러를 포함하는 부착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제3도 내지 6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편광판(11)을 적재하며 왕복운동하는 메가진부(100)와; 메가진부(100) 우측에서 일정공간(α)을 두고 이동되며 메가진부(100)의 왕복 운동시마다 편광판(11)을 부착하여 이동시키는 접착테이프(200)와; 편광판(11)의 이면막(14)만 접착테이프(200)에 붙여 편광판기재(12)와 이면막(14)을 분리시키는 분리판(300)과; 분리판(300) 부위에서 분리된 편광판기재(12)를 흡착하는 흡착블럭(400)과; 흡착블럭(400)에 흡착된 편광판기재(12)를 정위치로 조정하도록 푸시레버(510) 및 푸시판(520)을 포함하는 위치조정부(500)와; 흡착블럭(400) 하부위치에서 셀(10) 접착위치로 왕복운동하는 셀받침대(600)와; 흡착블럭(400)을 고정하며 일정각도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편광판기재(12)를 셀(10)에 부착시키는 부착롤러(710)를 포함하는 부착부(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가진부(100)는 편광판(11)을 적재보관하며 우측이 개방된 메가진(110)과, 메가진(110)을 왕복운동케 하는 실린더(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테이프(200)는 접착테이프 홀더(210)에 끼워져서 롤러(211,212,213,214,215)를 거쳐 접착테이프 홀더(220)로 순환되며, 롤러(212,213) 사이에 분리판(300)을 지나도록 구성되며, 분리판(300) 선단부 하부에는 편광판기재(1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노즐(310)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조정부(500)는 왕복실린더(511)에 의해 필요시 스프링(512)의 복원력 이상의 힘을 받아 레버(513) 및 회전전달축(514)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푸시레버(510)와; 전후실린더(522)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푸시판(5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700)는 부착롤러(710)를 유착시키고 흡착블럭(400)과 상하 이동블럭(720)에 유착되는 고정판(730)과, 상하 이동블럭(7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실린더(7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할 때에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메가진부(100)의 메가진(110)에 편광판(11)을 적재하고, 접착테이프롤러(210)에 롤상의 접착테이프(200)를 고정시켜 접착테이프 홀더(220)까지 롤러(211~215)를 거쳐 연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접착테이프(2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하게되고, 메가진부(100)가 실린더(120)에 의하여 제3도에서 α만큼 이동하였다 복귀한다. 이렇게 이동한 경우 메가진(110) 우측면이 개방되어 있어 접착테이프(200)가 편광판(11)을 접착시키므로, 실린더(120)가 복귀시에는 메가진(110)의 편광판(11)이 1매 공급된다. 즉, 실린더(120)가 1회 왕복시마다 편광판(11)이 1매씩 공급된다. 이렇게하여 편광판(11)이 분리판(300)까지 이송되어 접착테이프(200)가 방향을 바꾸게될때 편광판(11)은 어느정도 강성이 있는데다 이면막(14)이 접착테이프(200)와 붙어있게 되므로, 이면막(14)만 접착테이프(200)에 붙어 롤러(213)를 통과하고, 편광판(11)은 보호막(13), 기재(12) 및 접착층(15) 상태로 제5도 및 제6도에 보인 흡착블럭(400)에 흡착된다. 이때 에어노즐(310)에 의하여 공기를 밑에서 붙어주면 편광판기재(12)의 분리가 쉽게된다. 일단 흡착이 되면 위치조정후(500)에 의하여 편광판기재(12)가 정위치된다. 이는 푸시레버(510)가 제5도의 접선위치에서 왕복실린더(511) 및 스프링(512)작동에 의하여 실선위치로 오게되고, 푸시판(520)도 전후실린더(522)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어 편광판기재(12)를 정위치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액정셀(10)이 셀받침대(600)에 공급되면 상하실린더(740)에 의하여 상하 이동블럭(720)을 아래로 밀어주고, 이에 따라 고정판(730)이 아래로 밀림에 따라 부착롤러(710)가 편광판기재(12)를 셀(10)로 눌러준다. 이상태에서 셀받침대(600)가 제6도 좌측으로 이동되면 편광판기재(12)와 셀(10)이 밀착고정되어 액정조립이 완료된다. 완료된 액정은 셀받침대(600)가 이점쇄선 위치로 이동될때 흡착지그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액정판(11)으 이면막(14)을 접착테이프(200)와 분리판(300)방식에 의하여 신속정확하게 편광판기재(12)를 액정셀 공급위치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된 편광판기재(12)는 바로 부착부(700)에 의하여 부착시키므로 파티클에 따른 오염의 우려가 없고,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Claims (2)

  1. 편광판(11)을 적재하며 왕복운동하는 메가진부(100)와; 메가진부(100) 우측에서 일정공간(α)을 두고 이동되며 메가진부(100)의 왕복운동시마다 편광판(11)을 부착하여 이동시키는 접착테이프(200)와; 편광판(11)의 이면막(14)만 접착테이프(200)에 붙여 편광판기재(12)와 이면막(14)을 분리시키는 분리판(300)과; 분리판(300) 부위에서 분리된 편광판기재(12)를 흡착하는 흡착블럭(400)과; 흡착블럭(400)에 흡착된 편광판기재(12)를 정위치로 조정하도록 푸시레버(510) 및 푸시판(520)을 포함하는 위치조정부(500)와; 흡착블럭(400) 하부위치에서 셀(10) 접착위치로 왕복운동하는 셀받침대(600)와; 흡착블럭(400)을 고정하며 일정각도 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편광판기재(12)를 셀(10)에 부착시키는 부착롤러(710)를 포함하는 부착부(7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판(300) 선단부 하부에는 에너노즐(31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KR1019920027202A 1992-12-31 1992-12-31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KR960014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02A KR960014294B1 (ko) 1992-12-31 1992-12-31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202A KR960014294B1 (ko) 1992-12-31 1992-12-31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03A KR940015603A (ko) 1994-07-21
KR960014294B1 true KR960014294B1 (ko) 1996-10-15

Family

ID=1934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202A KR960014294B1 (ko) 1992-12-31 1992-12-31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944B1 (ko) * 2004-08-07 2006-05-17 유원테크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광학필름의 자동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798B1 (ko) * 1996-05-30 2003-11-0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셀의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0513653B1 (ko) * 1998-08-24 2005-11-2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편광판 부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944B1 (ko) * 2004-08-07 2006-05-17 유원테크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광학필름의 자동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03A (ko) 199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496B1 (ko) 테이프 첩부 장치, 마운트 장치 및 마운트 방법
KR960014294B1 (ko) 편광판 자동공급 장치
KR200412942Y1 (ko) 백라이팅 장치의 반사 테입 부착 장치
CN113320976B (zh) 夹具、移运装置及应用该夹具的生产方法
JPH08217320A (ja) 粘着テープ貼付装置
KR200400671Y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제조장치의 프리즘시트보호필름 자동 제거장치
JP4331839B2 (ja) テープ貼付装置及びテープ貼付方法
KR10209201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JP3886266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acf貼着装置
JP2004086075A (ja) 光学シートの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367705B1 (ko) 필름 자동 포장기 및 그 포장방법
JP2528266B2 (ja) 軟質帯状材の定寸供給方法及び定寸供給装置
KR101589286B1 (ko) 아크 플레이트 장치를 포함한 필름 부착 시스템
CN215041124U (zh) 贴附装置
TWI822379B (zh) 貼合方法及設備
CN217019269U (zh) 装配装置
JPH03101934A (ja) フィルム張付装置
CN218699267U (zh) 晶圆裂片圆切机构
KR100314269B1 (ko) 액정 셀의 패드 세정 장치
CN219929178U (zh) 一种加工设备
JP2004271785A (ja) 液晶パネルへの偏光板貼り付け装置および偏光板貼り付け方法
JPH0815693A (ja) 光学フィルムの貼付ユニットおよび連続貼付装置
JPS6030754Y2 (ja) 密着焼付装置
JPH0478460B2 (ko)
JPH09199543A (ja) チップの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