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908B1 -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908B1
KR960013908B1 KR1019950701218A KR19957001218A KR960013908B1 KR 960013908 B1 KR960013908 B1 KR 960013908B1 KR 1019950701218 A KR1019950701218 A KR 1019950701218A KR 19957001218 A KR19957001218 A KR 19957001218A KR 960013908 B1 KR960013908 B1 KR 96001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overlap
pressing
displacemen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마사 노사카
Original Assignee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오노 고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오노 고타로 filed Critical 닛폰 마이야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본 출원인의 제안에 의한 특허 공개 86-23301호의 경편기에 있어서의 가이드바의 구동제어장치는 소위 게이지피스를 사용한 서밍기구에 의해 변위량의 합계를 설정해서 가이드바의 언더랩량으로 변환하는 형식의 통핑 SG바 구동장치에 있어서 서밍기구에 연접하는 캠부재와 연결된 쇼크(shock)레버의 지점축을 변위시키고 오버팹동작을 일으키기 위한 캠기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캠을 연속회전시킴으로써 오버랩모션을 매 코스 실행시키고 있다. 현재는 채용하고 있지 않지만 본문중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계적 혹은 전기의 수단에 의해 캠의 구동, 비구동을 코스마다 선택함으로써 오버랩의 선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병렬되는 다수의 가이드바 마다, 즉 현재는 70장 이상이나 되는 바에 대해 70열 이상의 캠축마다 각각 독립된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간적인 면 및 기구의 복잡한 점으로 인해 실시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가이드바의 변위량을 설정하는 서밍기구의 전달기둥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게이지피스와, 일제히 누름동작을 실행하는 누름부재에 의한 간단한 기구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고 누름 구동력을 전체부의 가이드바에 대응하는 전달기둥에 대해 일괄해서 또는 선택적으로 부여 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간략화, 소형화,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경편기의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련된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는 가이드바의 변위량을 설정하는 서밍기구를 구비한 경편기에 있어서, 서밍기구에 있어서 전달기둥의 이동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는 고정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전달기둥의 변위를 제어하는 유동부재와,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의 일단면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게이지 피스와, 맞닿는 게이지피스를 통해 상기 유동부재를 누르는 누름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시키고 상기 유동부재를 통해 전달기둥을 누르거나 혹은 유동부재를 통한 전달기둥으로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전달기둥에 오버랩변위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게이지피스의 작용 및 부작용에 의해 오버랩변위를 선택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에서는 서밍기구에 의해 설정된 변위량으로 가이드의 언더랩이 실행된다. 그리고 여러장의 가이드바에 대해 선택수단의 지령에 따라 오버랩이 필요한 가이드바만의 게이지피스를 선택하고 유동부재에 대해 맞닿는 작용상태로 함으로써 구동수단에 의해 일제히 구동되는 누름 부재의 압력이 선택된 게이지피스 각각에만 작용하고, 상기 게이지피스가 맞닿는 유동 부재를 통해 서밍기구의 전달기둥을 누름으로써 혹은 유동부재를 통한 전달기둥으로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이들의 전달기둥에 필요한 오버랩 변위가 부여되게 된다.
또한, 오버랩이 필요없는 가이드바에 대해서는 게이지피스가 선택되지 않고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구동수단에 의한 누름부재의 압력이 유동부재 및 전달기둥에는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오버랩 변위는 부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밍기구의 변위량의 설정과, 상기 게이지피스의 작용 및 작용하지 않음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편물이 가능해 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장치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제1도는 한 실시예장치의 측면도로서 1은 서밍기구이고, 가이드바(2)에 대해 로드(3), 쇼크레버(4) 및 캠부재(5)를 통해 상부 서밍기구(1A)와 하부 서밍기구(1B)2개로 나뉘어져 작용가능하게 구성된다.
6은 서밍기구(1A)에 작용하는 전달기둥이고 7은 서밍기구(1B)에 작용하는 전달기둥이다.
서밍기구(1A)에는 배수(倍數) 게이지피스(8)가 상부의 쟈카드(jacquard)헤드(10)를 통해 실(11)에 의해 전달기둥(6)과 후술하는 유동부재(21)와의 사이에 상하운동이 선택 가능하도록 매달아 설치되어 있고 서밍기구(1B)에는 매수 게이지피스(9)가 상기 자카드헤드(10)를 통해 실(11)에 의해 전달기둥(7)과 후술하는 유동부재(22)와의 사이에 상하운동이 선택 가능하도록 매달아 설치되어 있다.
쇼크레버(4)는 고정축(12)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캠부재(5)와 지지축핀(13)으로 연결되어 있고 캠(14)의 회전에 의해 캠레버(15)를 통해 연결기둥(16)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이 부여된다.
전달기둥(6,7)은 서밍기구(1A,1B)내의 슬라이딩 궤도(17A,17B)를 각각 좌우(도면의 좌우)로 슬라이등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끝에는 캠롤러(18)가 장착되고 캠부재(5)의 캠면(20)과 스프링 등의 누름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항상 압력을 받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배수 게이지피스(8,9)에 의해 설정되는 변위량이 전달기둥(6,7) 및 쇼크레버(4)를 통해 가이드바(2)의 언더랩량으로 변환되어 부여된다. 21은 서밍기구(1A)내에 있어서 슬라이딩 궤도(17A)의 외측방향 즉 캠부재(5)와는 반대측의 전달기둥(6)의 연장상에서 상기 전달기둥(6)과 대향해 상기 전달기둥(6)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이다. 22는 서밍기구(1B)내에 있어서 슬라이딩 궤도(17B)의 외측방향, 즉 캠부재(5)와는 반대측의 전달기둥(70)의 연장상에서 전달기둥(7)과 대향해서 상기 전달기둥(7)의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가능하게 설치된 유동부재이다. 이들의 유동부재(21,22)를 슬라이딩 궤도(17A,17B)내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가능하게 설치되어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23은 유동부재(21)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걸어맞춰지는 고정부이고 서밍기구(1)의 기지틀에 고정된다. 24는 유동부재(22)의 적어도 일부가 맞닿아 걸어맞춰지는 고정부이고 고정부(23)와 마찬가지로 기구틀에 고정 부착된다. 유동부재(21,22)는 고정부(23,2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전달기둥(6,7)의 변위를 규제한다.
25,26은 게이지피스이고 서밍기구(1A,1B)의 유동부재(21,22) 한쪽, 즉 전달기둥(6,7)과의 대향측과는 반대측에 선택적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수단인 쟈카드헤드(10)에서 상하운동가능하게 매달아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경편기의 게이지에 대응해서 단차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27,28은 누름부재로서의 누름체이고 누름체(27)는 유동부재(21)에 맞닿는 게이지피스(25)에 대해 접촉, 분리자유롭게, 즉 누름자유롭게 슬라이딩 궤도(17A)의 연장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누름체(28)는 슬라이딩 부재(22)에 맞닿는 게이지피스(26)에 대해 접촉 분리자유롭게, 즉 자유롭게 눌러 슬라이딩 궤도(17B)의 연장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누름체(27)는 고정축(29)에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벨 크랭크(bell crank)(31)와 연결기둥(3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벨 크랭크(31)에는 편무리의 구동주축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캠(32)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가 캠레버(33)에서 로드(34)를 통해 전달된다. 누름체(28)는 고정축(35)에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벨 크랭크(36)와 연결기둥(37)을 통행 연결되어 있고, 벨 크랭크(36)에는 주축과 동기해서 회전하는 캠(38)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가 캠레버(39)에서 로드(40)를 통해 전달된다.
이상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 장치의 개략구성이지만 다음으로 구체적으로 오버랩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작용상태에 대해 제2도에서 제10도까지의 작동설명도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제3도는 가이드바(2)의 누르는 방향(쇼크레버(4)에 의해 눌러지는 방향)에서의 오버랩변위(도면상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변위)를 일으키는 경우의 작용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전달기둥(7)측이 서밍기구(1B)에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다(도시생략). 여기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밍기구(1A)측의 게이지피스(25)가 낙하하고, 누름체(27)가 캠(32)의 작용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언더랩용의 배수 게이지피스(8)의 필요분도 낙하하고, 또한 전달기둥(6)이 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해서 언더랩동작을 실행한다. 이 경우, 유동부재(21)가 전달기둥(6)에 눌리고 도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부(23)에 맞닿아 걸어 맞춰짐으로써 전달기둥(6)의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다음으로 누름체(27)가 제3도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운동하고 게이지피스(25)를 유동부재(21)와의 사이에 끼운 채로 유동부재(21)를 누르고 전달기둥(6)을 누름으로써, 결과적으로 쇼크레버(4)가 도면 좌측으로 회전운동해서 오버랩변위를 일으키고 그 변위를 로드(3)를 통해 가이드바(2)에 전달하게 된다.
제4도, 제5도는 오버랩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있어서 게이지피스(25)는 선택, 낙하시키지 않고 위쪽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언더랩 완료후 누름체(27)는 제5도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일정한 변위량으로 변위하지만 게이지피스(25)에는 맞닿지 않게 되어 전달기둥(6)에 오버랩 변위를 부여하기까지의 작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유동부재(21)도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제6도~제8도는 가이드바(2)의 당기는 방향(쇼크레버(4)에 의해 당기는 방향)에서의 오버랩변위(도면상에서 좌에서 우측으로의 변위)를 행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서밍기구(1A)측에 있어서는 전달기둥(6)이 작용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제6도의 위치에서 선택된 게이지피스(26)가 낙하하고, 또한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누름체(28)는 오버랩의 기점 위치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시저멩서 오버랩은 이루어지지 않고 언더랩용의 배수 게이지피스(9)의 필요분이 낙하해서 언더랩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제8도와 같이 누름체(28)가 캠(38)의 움직임으로 오버랩 종점의 위치까지 화살표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쇼크레버(4)가 도면우측으로 회전운동되고 결과적으로 가이드바(2)에 도면의 좌측방향에서 오측방향으로의 오버랩의 변위가 부여된다.
상기한 변위방향의 경우에 있어서 오버랩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 제9도, 제10도이다. 제9도에 있어서, 게이지피스(26)는 선택, 낙하되지 않고 위쪽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누름체(28)가 편물기의 게이지에 대응하는 피치, 즉 제7도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지만(제10도), 게이지피스(26)에는 작용되지 않고 이후 고정부(24)와 유동부재(22)에 맞닿아 걸어맞춰짐으로써 전달기둥(6,7)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배수 게이지피스(9)의 선택낙하에 의한 언더랩의 변위가 이루어질 뿐으로 오버랩변위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바(12)에 대해 임의의 편물코스에 있어서 오버랩의 선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낙하판 편성에 있어서 가이드바에 상기한 구성을 적용시키면 여러 가지 변화된 편물모양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병렬하는 각 가이드바(2)에 대해 각각 유동부재(21,22)에 맞닿는 게이지피스(25,26)가 각각 한쌍씩 설치되고, 일체적으로 누름동작을 실시하는 누름체(27,28)에 의해 각각 마다의 유동부재(21,22)를 통해 일제히 변위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1도는 서밍기구의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달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의 상부 서밍기구(1A)와 하부 서밍기구(1B)의 구동기구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부 서밍기구(1A)의 구동부에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125는 오버랩용 게이지피스, 154는 게이지피스(125)에 대한 누름부재인 레버이다.
레버(154)는 구정 지지축(155)에 유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단부(도면에서 하단부)의 한측 끝에 설치된 캠롤러(160)가 캠축(150)에 끼워붙인 구동캠(151)에 맞닿고 다른축 끝에 설치된 누름롤러(161)가 게이지피스(125)가 하강했을 때에 그 단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서밍기구(1B)의 구동부에 대해서는 오버랩용 게이지피스(125)에 대한 누름부재로서의 레버(156)가 고정 지지축(157)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단부에서 캠축(152)에 끼워붙인 구동캠(153)에 맞닿는 압력롤러(1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서밍기구(1A)에 있어서는 주축과 동기해서 회전구동되는 구동축(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타이밍벨트(164)를 통해 캠축(150)상의 폴리(162)에 회전이 전달되고 캠축(150)과 함께 구동캠(151)이 회전한다. 구동캠(151)에는 둘레방향으로 오버랩 타이밍 부분이 높게 되어 1게이지만큼 변위(오버랩의 양)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캠(151)에 맞닿는 캠롤러(160)에 의해 레버(154)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그 작용으로 누름롤러(161)에 의해 게이지피스(125)를 통해 유동부재(21)에 오버랩의 변위량을 전달한다.
또한, 하부 서밍기구(1b)에 있어서는 타이밍벨트(154)를 통해 캠축(152)상의 폴리(163)에 회전이 전달되고 캠축(152)에 의해 구동캠(153)이 회전하지만 이 구동캠(153)은 상기 구동캠(151)과는 대향위치에 있는 대응하는 오버랩의 타이밍 부분이 상기와는 역으로 1게이지분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맞닿는 캠롤러(158)를 통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레버(157)가 좌우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게이지피스(126)를 통해 누르고 있는 유동부재(22)가 오버랩의 종점위치로 이동하고 그 결과 쇼크레버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가이드바에 도면의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의 오버랩 변위가 부여된다.
이와 같이 유동부재(21,22)에 대해 선택적으로 맞닿는 게이지피스(125,126)를 통해 누르믐 누름부재로서의 캠에 의해 구동되는 레버(154,157)를 이용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작용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게이지피스(125,126)의 작용 및 미작용에 의해 오버랩에 필요한 변위량을 전달기둥(6,7)을 통해 쇼크레버에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예에 비교해서 누름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간단해지고 상기한 실시예에 비해 더욱 구조가 간단화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동부재(21,22)에 대해 게이지피스(25,26) 혹은 (125,126)을 선택적으로 맞닿도록 작용시키는 선택수단으로서 쟈카드헤드(10)를 이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선택수단으로서는 예를들면 게이지헤드(10)를 솔레노이드를 이용해서 선택적으로 맞닿게 작용시키는 등 게이지피스를 선택적으로 유동부재에 맞닿게 작용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밍기구를 이용한 경편기의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선택수단으로서 언더랩과 같이 적당한 선택수단의 명령에 의거 작동되는 게이지피스를 이용하고 이 게이지피스를 통해 일제히 구동되는 누름부재에 의해 전달기둥에 대해 선택적으로 오버랩변위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도록 구성르로 했기 때문에 선택장치가 간략화되고 장치의 소형화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서밍기구에 의한 다양한 편물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경편기의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 중에서도 특히 경편기의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 중에서도 특히 게이지피스를 사용한 것에 있어서 선택 오버랩 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장채의 개략을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가이드바의 누르는 방향에 따른 오버랩의 준비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3도는 가이드바의 누르는 방향에 따른 오버랩의 작용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4도는 가이드바의 누르는 방향에 따른 비오버랩의 준비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5도는 가이드바의 누르는 방향에 따른 비오버랩의 작용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6도는 가이드바의 당기는 방향에 따른 오버랩의 준비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7도는 가이드바의 당기는 방향에 따른 오버랩의 개시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8도는 가이드바의 당기는 방향에 따른 오버랩의 준비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9도는 가이드바의 당기는 방향에 따른 비오버랩의 준비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10도는 가이드바의 누르는 방향에 따른 비오버랩의 작용위치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서밍기구의 측면도이다.

Claims (1)

  1. 가이드바의 변위량을 설정하는 서밍기구를 구비한 경편기에 있어서, 서밍기구에 대해 전달기둥의 이동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는 고정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전달기둥의 변위를 규제하는 유동부재; 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유동부재의 일단면에 선택적으로 맞닿는 게이지 피스; 상기 맞닿는 게이지피스를 통해 상기 유동부재를 누르는 누름부재로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를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시키고 상기 유동부재를 통한 전달기둥을 누르거나 혹은 유동부재를 통한 전달기둥으로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전달기둥에 오버랩변위를 일으킴과 동시에 게이지피스의 작용, 미작용에 의해 오버랩변위를 선택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KR1019950701218A 1993-07-27 1994-07-26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KR960013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5354 1993-07-27
JP4535493 1993-07-27
PCT/JP1994/001232 WO1995004179A1 (fr) 1993-07-27 1994-07-26 Appareil de regulation de l'entrainement de barres a passettes, equipe d'un mecanisme de deplacement selectif en chevauch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08B1 true KR960013908B1 (ko) 1996-10-10

Family

ID=127169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218A KR950703679A (ko) 1993-07-27 1994-07-26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
KR1019950701218A KR960013908B1 (ko) 1993-07-27 1994-07-26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218A KR950703679A (ko) 1993-07-27 1994-07-26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802407B2 (ko)
KR (2) KR950703679A (ko)
CN (1) CN1112792A (ko)
WO (1) WO1995004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1754B4 (de) * 2007-07-07 2009-04-23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6928C2 (de) * 1979-07-04 1982-07-08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6053 Obertshausen "Mustergetriebe für Kettenwirkmaschinen o.dgl.
JPS5795358A (en) * 1980-12-05 1982-06-14 Nippon Mayer Kk Drive control apparatus of yarn guide shuttle in warp knitting machine
US4458508A (en) * 1982-04-14 1984-07-10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Arrangement for control of the displacement movement of a guide bar in a warp knitting machine or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92A (zh) 1995-11-29
JP2802407B2 (ja) 1998-09-24
WO1995004179A1 (fr) 1995-02-09
KR950703679A (ko) 199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353B1 (ko) 낙하판 바아를 구비한 경편기
KR960013908B1 (ko) 선택오버랩기구를 구비한 가이드바 구동 제어장치
US5063755A (en) Fabric presser for V-bed flat knitting machine
JPS61146851A (ja) 特にくつ下編み用の下げカムの作動設定装置を有する丸編み機
US6145349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Jacquard selection in a textile machine
EP0434631B1 (en) Control device for "plunger needles" in crochet galloon machines
US4414826A (en) Summation drive for controlling shogging in a warp knitting machine
KR102544766B1 (ko) 원형 편직기 및 원형 편직기의 바늘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US5212968A (en) Presser controller of a carriage in a flat knitting machine
US4074641A (en) Sewing machine
JP2002275745A (ja) 靴下や他の物品の編み機のためのニードル作動装置
US3628354A (en) Means for controlling guide bars in warp knitting machines
US3901050A (en) Automatic knitting machine
EP0328976B1 (en) Needle selec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
US3447344A (en) Warp knitting machine
US5060488A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controlling stitch-pressing and stitch-retaining means in an automatic straight knitting machine
US4139028A (en) Device for the selective actuation of the needle selection members in needles looms
JPS5847497B2 (ja) 横編機における度目の変換装置
US2093858A (en) Racking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SU13319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бавки в зальных игл на круглочулочном автомате
GB1588149A (en) Memory device for use in a jacquard mechanism
RU2031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игольницы вязальной машины
CN102234874B (zh) 针织机的提花驱动装置
EP3748051A1 (en) Rectilinear combing machine
US360999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narrowed knitwear on flat-bed knitting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