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651B1 -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651B1
KR960013651B1 KR1019940007634A KR19940007634A KR960013651B1 KR 960013651 B1 KR960013651 B1 KR 960013651B1 KR 1019940007634 A KR1019940007634 A KR 1019940007634A KR 19940007634 A KR19940007634 A KR 19940007634A KR 960013651 B1 KR960013651 B1 KR 96001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interfering
valu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52A (ko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651B1/ko
Priority to US08/371,393 priority patent/US5696559A/en
Priority to EP95300553A priority patent/EP0677951A3/en
Publication of KR95003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6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 H03D3/008Compensating DC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6Circuitry for reinsertion of dc and slowly varying components of signal; Circuitry for preservation of black or whit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HDTV 수신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DC 보정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비간섭 DC 검출기의 구성도.
제4도는 필드동기데이타의 패턴도.
제5도는 제2도의 간섭 DC 검출기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튜너 2,6 : 국부발진기
3 : SAW 필터 4 : 비간섭 DC 스위치
5 : IF 증폭기 7 : 동기 검출기
8,9 : 저역필터 10,11 : 감산기
12,13 : ADC 14 : DC 보정장치
15 : FPLL 16 : 데이타 세그먼트 동기검출기
17 : 데이타필드 동기검출기 7a,7c : 혼합기
14b,14c,24,25 : DAC 14a,20 : 비간섭 DC 검출기
21 : 간섭 DC 검출기 22,23 : 멀티플렉서
26 : 선택부 27 : D/A 변환부
30,31,42,43,47 : 적분기 32,33,44,45,48 : 분할기
40 : 디멀티플렉서 41 : ROM
46 : I축의 DC값 계산기 49 : 수신단레벨계산부
50 : Q축의 DC값 계산부
본 발명은 HDTV 수신기에 있어서, 혼합기(Mixer), 기저대역 증폭기(Base Band Amplifier), 및 ADC(Analog/Digital Converter)에서 발생될 수 있는 DC(Direct Current)를 보정하는 DC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혼합기, 기저대역증폭기, 및 ADC를 통해 기저대역신호로 변조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DC가 발생되는데, 이를 보정해주어야만 정확한 필터링을 통해 원래의 신호로 복원될 수 있으므로, HDTV 수신기에서 DC 보정장치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HDTV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HDTV 수신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튜너(1), 국부발진기(2,6),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3), 비간섭 DC 스위치(4), IF 증폭기(5), 동기검출기(7), 저역필터(8,9) 감산기(10,11), ADC(12,13), DC 보정장치(14), FPLL(Frequency Phase Locked Loop)(15),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검출기(Data Segment Sync Detector)(16), 및 데이터 필드동기검출기(17)로 구성된다.
동기검출기(7)는 혼합기(7a,7c)와 위상변환기(7b)로 구성되고, DC 보정장치(14)는 DAC(Digital/Analog Converter)(14b,14c)와 비간섭 DC 검출기(14a)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HDTV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입력되는 채널튜닝신호와 지연 AGC(Delayed Auto Gain Control)신호에 따라 튜너(1)에서 원하는 채널이 선택되고 이득이 조절된 후 튜너(1) 내부의 1차 국부발진기(도면에 도시안함)에 의해 920MHz 대역으로 1차 복조되고, 2차 국부발진기(2)에 의해 2차 복조되어 44MHz 대역의 2차 중간주파수로 변환된다.
튜너(1)에서 44MHz의 2차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는 VSB(Vestigial Side Band) 파형으로 필터링하는 SAW 필터(3) 통해 VSB 필터링되고 비간섭 DC 스위치(4)를 통해 IF(Intermediate Frequency) 증폭기(5)로 입력된다.
여기서 비간섭 DC 스위치(4)는 DC를 보정하는 경우에는 오프(OFF)되고, 나머지 DC를 보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상 온(ON)된다.
비간섭 스위치(4)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IF 증폭기(5)에서 AGC 신호의 제어를 받아 증폭되고, 동기검출기(7)에서 I채널 신호와 Q채널 신호로 나뉘어 3차 국부발진기(6)에 따라 3차 복조되어 기저대역신호가 된다.
즉, IF 증폭기(5)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I채널 신호는 혼합기(7a)에서 위상변환기(7b)와 3차 국부발진기(6)에 따라 90° 위상이 변환되고 3차 복조되고, IF 증폭기(5)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Q채널 신호는 혼합기(7c)에서 3차 국부발진기(6)에 의해 3차 복조된다.
동기검출기(7)의 혼합기(7a)에서 출력되는 I채널 신호는 지역필터(8)에서 6MHz 신호만 통과되는 6MHz 대역필터링되고, 감산기(10)에서 DC 보정장치(14)로부터 출력되는 DC 보정값이 감산된 후 ADC(12)에서 샘플링 주파수인 10.76MHz의 클럭으로 A/D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로 된다.
또한 동기검출기(7)의 혼합기(7c)에서 출력되는 Q채널 신호는 지역필터(9)에서 6MHz 신호만 통과되는 6MHz 대역필터링되고, 감산기(11)에서 DC 보정장치(14)로부터 출력되는 DC 보정값이 감산된 후 ADC(13)에서 샘플링 주파수인 10.76MHz의 클럭으로 A/D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로 된다.
ADC(12,1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는 다시 FPLL(15)에서 신호중의 파일럿을 이용하여 주파수와 위상의 차이를 찾아내어 2차 국부발진기(2)를 구동시켜 주파수와 위상을 록킹(Locking)시킨다.
또한 ADC(12,1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는 DC 보정장치에 입력되어 DC 보정에 이용된다.
즉, ADC(12,13)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비간섭 DC 검출기(14a)에서 비간섭 DC 신호에 따라 DC가 검출된다.
DC 보정장치의 세부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C를 검출하려면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가 하이레벨(High Level) 상태가 되어 비간섭 DC 스위치(4)가 오프되고 비간섭 DC 검출기(14a)가 동작된다.
비간섭 DC 검출기(14a)가 동작하면 ADC(12,13)로부터 출력되는 I채널 및 Q채널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을 만들어낸다.
비간섭 DC 검출기(14a)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은 DAC(14a,14c)에서 각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감산기(10,11)로 입력되는 DC 보정값이 된다.
VBS 신호는 I채널 신호만을 사용하므로, ADC(12)에서 출력되는 신호만이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검출기(16)에 입력되어 NTSC의 수평동기신호에 해당하는 세그먼트 동기가 추출되고 데이터필드 동기검출기(17)에서 NTSC의 수직동기신호에 해당하는 필드동기신호가 추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DC 보정장치는 IF단의 스위치(4)를 오프시켜 IF신호의 입력을 차단시킨 비간섭 상태에서 동작하는 비간섭 DC 검출기(14a)에 의해서만 DC를 조정하므로, TV를 처음 켤때나 채널을 바꿀때만 한번씩 DC를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DC를 보정하는 DC 오프셋(offset)값은 온도나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DC 보정장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DC 오프셀 값에 따라 DC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I채널에서 데이터를 잘못 판단하거나 Q채널에서 위상록킹시 위상의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필드동기데이타를 이용하여 매필드 또는 매프레임마다 변화되는 DC 오프셀 값에 따라 DC를 보정해주기 위한 DC보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되는 IF 신호를 차단시키는 비간섭 상태에서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는 비간섭 DC 검출수단,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매필드마다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는 간섭 DC 검출수단, 상기 비간섭 DC 검출수단과 간섭 DC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DC값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DC값을 D/A(Digital/Analog) 변환하는 D/A 변환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DC 보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DC 보정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간섭 DC 검출기(20), 간섭 DC 검출기(21), 선택부(26), 및 D/A 변환부(27)로 구성된다.
비간섭 DC 검출기(20)는 입력되는 IF 신호를 차단시키는 비간섭 상태에서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한다.
간섭 DC 검출기(21)는 데이터 필드등기검출기(3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매필드 또는 매프레임마다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한다.
선택부(26)는 I축의 DC값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22)와 Q축의 DC값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23)로 구성되어 비간섭 DC 검출기(20)와 간섭 DC 검출기(21)로부터 출력되는 I축 및 Q축의 DC값을 각각 선택하여 출력한다.
D/A 변환부(27)는 2개의 DAC(24,25)로 구성되어 선택부(26)로부터 출력되는 I축 및 Q축의 DC값을 각각 D/A 변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DC 보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혼합기, 기저대역증폭기, 및 ADC를 통해 기저대역신호로 변조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상태에서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가 하이레벨상태가 되면 비간섭 DC 검출기(20)가 동작하여 입력되는 IF 신호가 차단되는 비간섭 상태에서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가 검출되어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이 만들어져 멀티플렉서(23,22)로 출력된다.
이때 선택부(26)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멀티플렉서(23,22)가 각각 비간섭 DC 검출기(20)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멀티플렉서(23)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은 DAC(24)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I채널 감산기로 출력되는 DC 보정에 이용된다.
또한 멀티플렉서(22)로부터 출력되는 Q축의 DC값(DC(Q))은 DAC(25)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Q채널 감산기로 출력되어 DC 보정에 이용된다.
DC값 보정후 감산기에서 출력되는 I채널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와 데이터 필드동기가 추출되면, 데이터 필드동기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 또는 데이터 프레임 동기신호는 간섭 DC 검출기(21)에 입력되어 매필드 또는 매프레임마다 한번씩 DC값이 검출된다.
여기서, 매필드마다 DC값을 검출하려면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동작하고, 매프레임마다 DC값을 검출하려면 데이터 프레임동기신호에 따라 동작해야 한다.
즉, 데이터 필드동기신호 또는 데이터 프레임동기신호가 입력되면 간섭 DC 검출기(21)가 동작하여 입력되는 IF 신호가 차단되지 않는 간섭상태에서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가 검출되어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이 만들어져 멀티플렉서(23,22)로 출력된다.
이때 선택부(26)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멀티플렉서(23,22)가 각각 간섭 DC 검출기(21)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멀티플렉서(23)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은 DAC(24)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I채널 감산기로 출력되어 DC 보정에 이용된다.
또한 멀티플렉서(22)로부터 출력되는 Q축의 DC값(DC(Q))은 DAC(25)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Q채널 감산기로 출력되어 DC 보정에 이용된다.
다시말해서, 처음 RV를 켰을때나 채널변경시에는 비간섭 DC 검출기(20)에서 출력되는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이 멀티플렉서(23,22)를 통해 출력되고, 데이터 필드동기신호가 잡인 다음에는 매필드 또는 매프레임마다 한번씩 간섭 DC 검출기(21)에서 I축의 DC값(DC(I))과 Q축의 DC값(DC(Q))이 검출되어 멀티플렉서(23,22)를 통해 출력된다.
제3도는 제2도의 비간섭 DC 검출기(20)의 세부구성도이다.
비간섭 DC 검출기(2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간섭 DC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심볼갯수(M) 만큼의 I채널 및 Q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각각 적분하는 적분기(30,31)와 적분기(30,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심볼갯수(M)로 나누어주는 분할기(32,33)로 구성된다.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가 하이레벨상태가 되면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는 적분기(30)에서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에 해당하는 심볼갯수(M) 만큼 SNR(Signal to Noise Ratio)를 높이기 위해 적분되고 분할기(32)에서 다시 심볼갯수(M)로 나뉘어져 I축의 DC값(DC(I))으로 DAC(24)로 출력된다.
또는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가 하이레벨상태가 되면 입력되는 Q채널의 디지털 신호는 적분기(31)에서 비간섭 DC 신호의 펄스에 해당하는 심볼갯수(M) 만큼 SNR을 높이기 위해 적분되고 분할기(33)에서 다시 심볼갯수(M)로 나뉘어져 Q축의 DC값(DC(Q))으로 DAC(25)로 출력된다.
제4도는 필드동기데이타의 패턴도이고, 제5도는 제2도의 간섭 DC 검출기(21)의 세부구성도이다.
필드동기데이타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처음 4개의 심볼(symbol)에 데이터 세그먼트 동기 패턴인'1001'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가상 랜덤 시퀸스(Pseudo Random Sequence)인 PN 511, PN 63, PN 63, PN 63이 존재하고 그 다음에 2, 4, 8, 16레벨의 기준레벨인 2/4/8/16레벨 ID가 존재하고, 그 다음에 리저브드(Rererved) 영역이 존재한다.
여기서 필드동기데이타는 마지막 심볼레벨을 제외하고는 모두 2레벨로 되어 있다.
간섭 DC 검출기(21)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는 알려져 있는 PN 시퀸스로 1의 개수와 0의 개수가 같은 짝수개의 데이터이다.
여기서 PN 511의 511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짝수개를 만들기 위해 511개중 첫 번째 또는 마지막 데이터를 제외하여 510개로 만들든지 또는 PN 511의 바로 앞 하나의 데이터 또는 바로 뒤 하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512개로 만들 수 있다.
계산상 2의 지수배의 갯수가 편리하므로 512개로 하면 PN 511의 바로 뒤 하나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I'의 갯수와 '0'의 갯수가 같은 512개를 만든다.
이때 512개의 데이터가 '1'의 개수와 '0'의 개수가 같지 않은 경우 PN 511, PN 63, PN 63, PN 63 총 700개의 데이터중 연속되는 512개의 데이터를 선택할 때 '1'의 개수와 '0'의 개수가 같도록 데이터를 선택하면 되고 이것이 어려울때는 256개, 또는 128개, 또는 64개만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필드동기데이타의 패턴을 이용한 간섭 DC 검출기(21)의 구성 및 동작을 제5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간섭 DC 검출기(21)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ROM(41), 수신단레벨계산부(49), I축의 DC값 계산기(46) 및 Q축의 DC값 계산부(50)로 구성된다.
ROM(41)은 512개의 필드동기데이타를 저장한다.
수신단레벨부(49)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ROM(41)에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의 수신단레벨 즉, 송신된 '1', '0'레벨을 계산하는 것으로, 디멀티플렉서(40), 적분기(42,43), 및 분할기(44,45)로 구성된다.
디멀티플렉서(40)는 ROM(41)에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에 따라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레벨에 따라 '1'레벨 또는 '0'레벨로 나누어 출력한다.
적분기(42)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디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1'레벨신호를 총 심볼갯수의 반(N/2) 만큼 적분하고, 적분기(43)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디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0'레벨신호를 총 심볼갯수의 반(N/2) 만큼 적분한다.
분할기(44)는 적분기(42)로부터 출력되는 적분된 신호를 총 심볼갯수의 반(N/2)으로 나누고, 분할기(45)는 적분기(43)로부터 출력되는 적분된 신호를 총 심볼갯수의 반 (N/2)으로 나누어 I축의 DC값 계산기(46)로 출력한다.
I축의 DC값 계산기(46)는 수신단레벨계산부(49)의 분할기(44,45)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단레벨을 이용하여 I축의 DC값을 계산한다.
Q축의 DC값 계산부(50)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Q축의 DC값을 계산하는 것으로, 적분기(47)와 분할기(48)로 구성된다.
적분기(47)는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Q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총 심볼갯수(N) 만큼 적분하고, 분할기(48)는 적분기(47)로부터 출력되는 적분된 신호를 총 심볼갯수(N)로 나누어 Q축의 DC값(DC(Q))을 출력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간섭 DC 검출기(2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드동기데이타의 전송레벨인 2레벨중 '1'을 +5의 크기로 하고 '0'을 -5의 크기로 하여 필드동기데이타를 전송했을 때 파일럿(Pilot)이 1.25만큼 더 해진다.
따라서 송신단에서 '1'을 전송했을 때 I채널의 디지털 신호인 ADC에서 출력되는 수신단의 레벨을 V1, '0'을 전송했을 때 ADC에서 출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인 수신단의 레벨을 V0라고 하면,
가 된다.
여기서 A는 증폭율이 되며 DC값(DC)는
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필드동기신호가 입력되면 ROM(41)은 저장된 512개의 필드동기데이타를 디멀티플렉서(40)로 출력하고, 적분기(42,43,47)는 각각 동작을 시작한다.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는 디멀티플렉서(40)에서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에 따라 디멀티플렉싱되어 각각 적분기(42,43)로 출력된다.
즉,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는 전송된 데이터가 '1'레벨인지 '0'레벨인지 판단하여 전송된 데이터가 '1'레벨을 전송한 것이면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적분기(42)로 출력하도록 디멀티플렉서(40)를 제어하고, 전송된 데이터가 '0'레벨을 전송한 것이면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적분기(43)로 출력하도록 디멀티플렉서(40)를 제어한다.
디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1'레벨을 전송한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적분기(42)에서 총 심볼갯수의 반(N/2) 만큼 적분되고 분할기(44)에서 다시 총 심볼갯수의 반(N/2)으로 나뉘어 송신단에서 '1'레벨을 전송한 경우의 수신단레벨(V1)로 되어 I축의 DC값 계산기(46)로 출력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0'레벨을 전송한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적분기(43)에서 총 심볼갯수의 반(N/2) 만큼 적분되고 분산기(45)에서 다시 총 심볼갯수의 반(N/2)으로 나뉘어 송신단에서 '0'레벨을 전송한 경우의 수신단레벨(V0)로 되어 I축의 DC값 계산기(46)로 출력된다.
분산기(44,45)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단레벨(V1,V0)은 위의 식 3에 따라 I축의 DC값 계산기(46)에서 계산되어 I축의 DC값(DC(I))이 출력된다. 즉,
DC=(5/2)V0-(3/2)V1
에 따라 I축의 DC값(DC(I))이 I축의 DC값 계산기(46)에서 계산되어 DAC(24)로 출력된다.
VSB 특성상 Q채널에서는 파일럿이 없고 '1'의 개수와 '0'의 개수가 같다면 데이터의 평균이 '0'이 된다.
따라서 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심볼갯수(N) 만큼 더해서 나누면 Q축의 DC값(DC(Q))을 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필드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적분기(47)가 동작하여 Q채널의 디지털 신호는 적분기(47)에서 심볼갯수(N) 만큼 적분되고 분할기(48)에서 심볼갯수(N) 만큼 나뉘어져 Q축의 DC값(DC(Q))을 DAC(25)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한 512개의 데이터를 취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IF단의 스위치를 오프시키지 않고도 필드동기데이타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하는 DC 오프셀 값을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입력되는 IF 신호를 차단시키는 비간섭 상태에서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는 비간섭 DC 검출수단(20),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매필드마다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는 간섭 DC 검출수단(21), 상기 비간섭 DC 검출수단(20)과 간섭 DC 검출수단(21)으로부터 출력되는 DC값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수단(26) 및 상기 선택수단(26)으로부터 출력되는 DC값을 D/A(Digital/Anaiog) 변환하는 D/A 변환수단(2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기의 DC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DC 검출수단(21)은 데이터 프레임동기신호에 따라 매프레임마다 입력되는 I채널과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DC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26)은 상기 비간섭 DC 검출수단(20)과 간섭 DC 검출수단(21)으로부터 출력되는 Q축의 DC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멀티플렉서(22), 및 상기 비간섭 DC 검출수단(20)과 간섭 DC 검출수단(21)으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2멀티플렉서(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A 변환수단(27)은 상기 선택수단(26)으로부터 출력되는 I축의 DC값을 D/A 변환하는 제1DAC(24) 및 상기 선택수단(26)로부터 출력되는 Q축의 DC값을 D/A 변환하는 제2DAC(25)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간섭 DC 검출수단(20)과 비간섭 상태를 나타내는 비간섭 DC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I채널 및 Q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심볼갯수(N) 만큼 각각 적분하는 제1 및 제2적분기(30,31), 및 상기 제1 및 제2적분기(30,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심볼갯수로 각각 나누는 제1 및 제2분할기(32,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DC 검출수단(29)은 필드동기데이타가 저장된 저장수단(41), 상기 저장수단(41)에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를 이용하여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의 수신단의 레벨을 계산하는 수신단레벨계산수단(49), 상기 수신단레벨계산수단(49)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I축의 DC값을 계산하는 I축의 DC값 계산수단(46), 및 상기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Q채널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Q축의 DC값을 계산하는 Q축의 DC값 계산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레벨계산수단(49)은 상기 저장수단(41)에 저장된 필드동기데이타 따라 입력되는 I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1' 및 '0'레벨로 나누어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40), 상기 데이터 필드동기 신호에 따라 디멀티플렉서(40)로부터 출력되는 '1' 및 '0'레벨신호를 심볼갯수의 반(N/2) 만큼 각각 적분하는 제1 및 제2 적분기(42,43) 및 상기 제1 및 제2 적분기(42,4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심볼갯수의 반(N/2)으로 각각 나누는 제1 및 제2분할기(44,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41)은 ROM(Reed Only Memory)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Q축의 DC값 계산수단(50)은 상기 데이터 필드동기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Q채널의 디지털 신호를 심볼갯수(N) 만큼 적분하는 적분기(47), 및 상기 적분기(4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심볼갯수(N)로 나누는 분할기(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DTV 수신기의 DC 보정장치.
KR1019940007634A 1994-04-12 1994-04-12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KR96001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634A KR960013651B1 (ko) 1994-04-12 1994-04-12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US08/371,393 US5696559A (en) 1994-04-12 1995-01-11 Device for correcting DC of HDTV
EP95300553A EP0677951A3 (en) 1994-04-12 1995-01-30 Device for compensating for DC errors in a high-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634A KR960013651B1 (ko) 1994-04-12 1994-04-12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52A KR950030652A (ko) 1995-11-24
KR960013651B1 true KR960013651B1 (ko) 1996-10-10

Family

ID=1938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634A KR960013651B1 (ko) 1994-04-12 1994-04-12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96559A (ko)
EP (1) EP0677951A3 (ko)
KR (1) KR960013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233B1 (en) * 1997-10-02 2002-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GB9723052D0 (en) 1997-10-31 1998-01-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High definition television vsb receiver
US6606359B1 (en) * 2000-07-26 2003-08-12 Motorola, Inc Area-optimum rapid acquisition cellular multi-protocol digital DC offset correction scheme
JP2003134380A (ja) * 2001-10-22 2003-05-09 Elmo Co Ltd パンチルトカメラ用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延長ユニット
US6515610B1 (en) 2001-11-19 2003-02-04 Cirrus Logic, Inc. Analog-to-digital conversion for multiple voltage signals in an integrated circuit
US7468760B2 (en) * 2005-03-31 2008-12-23 Mstar Semiconductor, Inc.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level clamping control
CN109861703B (zh) * 2017-11-30 2020-09-1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设备及无线局域网信号接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458A (en) * 1979-05-31 1981-02-10 Digital Communications Corporation Baseband DC offset detector and control circuit for DC coupled digital demodulator
JPH01296746A (ja) * 1988-05-24 1989-11-30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の受信装置
JP3047927B2 (ja) * 1991-04-09 2000-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クランプ回路
US5175626A (en) * 1991-07-25 1992-12-29 Rca Thomson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providing a clock signal for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a channel 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52A (ko) 1995-11-24
EP0677951A2 (en) 1995-10-18
US5696559A (en) 1997-12-09
EP0677951A3 (en) 1996-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963B (fi) Digitalt agc-arrangemang.
JP3619387B2 (ja) 計測用受信器
KR0161806B1 (ko) 고품위 텔레비젼용 대역 통과 위상 트랙커를 구비한 디지탈 잔류 측파대 검출기
KR100274290B1 (ko) 텔레비젼 신호 동조용 텔레비젼 수신기
US6118499A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er
EP0813345A2 (en) Digital demodulator and method therefor
JP3604709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
MXPA05010519A (es) Aparato de recuperacion de portadora y de la temporizacion de simbolo utilizable con un receptor de banda lateral residual y metodo de recuperacion de las mismas.
KR100296661B1 (ko) 직각진폭변조(qam)텔레비전신호용반송파복원프로세서
CZ186094A3 (en) Device for automatic gain control for a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er
US7042965B2 (en) Judgment level setting method and data receiver
JPH1065990A (ja) 自動利得調節回路及びその方法
US20110019783A1 (e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960013651B1 (ko) 에이치디티브이(hdtv) 수신기의 디씨(dc)보정장치
EP0677923B1 (en) Demodulating system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KR100189370B1 (ko) 직각 위상 편이 복조기의 자동 이득 제어장치
US5175626A (en) Apparatus providing a clock signal for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in response to a channel change
US5793250A (en) Phase demodulator selectively using a first or a second detector
KR19990072647A (ko) 개별적인변환기들에의해공급되는잔류측파대및직각진폭변조최종중간주파수신호들을동기화시키는직각진폭변조/잔류측파대디지털텔레비젼수신기
US5644606A (en) Receiver with two synchronization loops
US7480350B2 (en) Carrier recovery apparatus and broadcasting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290857B1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클럭 복원장치
KR100459760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신장치의자동이득제어회로및방법
US6389082B1 (en) Receiver
KR0153604B1 (ko) 수신장치의 주파수 및 위상 자동 조절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