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092B1 -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092B1
KR960013092B1 KR1019910007763A KR910007763A KR960013092B1 KR 960013092 B1 KR960013092 B1 KR 960013092B1 KR 1019910007763 A KR1019910007763 A KR 1019910007763A KR 910007763 A KR910007763 A KR 910007763A KR 960013092 B1 KR960013092 B1 KR 96001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ailure
position correction
circuit
car
loa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427A (ko
Inventor
강효동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3092B1/ko
Publication of KR92002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제 1 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의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처리 타이밍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전시 위치 보정방식을 보인 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별 위치 보정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펄스계수회로14 : 정전감시회로
15 : 중앙연산처리장치16 : 롬
17 : 시램18 : 운전제어회로
19 : 부하신호 변환회로19-1 : 부하신호 라인
20 : 시스템 데이타 버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주행도중 정전이 되었을때 슬립(SLIP)에 의한 절대위치 편차를 보정해 주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제어기술이 증대됨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주행속도와 위치, 방향등을 모터축에 직결시킨 로터리 엔코더(ROTARY ENCODER)에서 출력되는 펄스로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즉,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위치에 관련하여 과거에 검출 용으로 사용되어 왔던 층 콘트롤러(FLOOR CONTROLLER)가 상기 로터러 엔코더를 이용함에 따라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내용과 같이 정전시 슬립에 의한 위치편차 때문에 절대위치를 알 수 있는 층수용 위치 센서를 사용하여 복전시 구출운전에 의해 절대 위치 보정에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위치센서없이 또한 구출운전을 행하지 않고 복전시 절대위치 편차를 곧바로 보정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개을 수송하는 카(CAR)(1)의 상부에 루프(ROPE)(9)를 연결하여 시이브(SHEEVE)(2) 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루프(9)가 상하로 움직여 카(1)가 연동되도록 루프(9)를 장착하고, 상기 시이브(2)와 같은 축에 모터(3)와 로터리 엔코더(4)를 직렬로 연결시켜 상기 모터(3)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시이브(2), 루프(9), 카(1)로 전달되어 상기 카(1)가 움직이는 동시에 상기 로터리 엔코더(4)가 회전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에 따른 펄스출력이 펄스입력라인(8)을 통해 펄스계수회로(13)에서 연산한 후 데이터라인(10-1)을 통해 펄스정보를 운전제어부(11)에 입력되게 하며, 상기 카(1)상부에 설치된 마그네트(MAGNET)(5)에 의해 승강로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6-1~6-n)의 카위치 신호가 신호입력라인(7-1~7-n)을 각기 통해 층수 신호 입력회로(12)에서 수집하여 그 정보를 데이타 라인(10-2)을 통해 상기 운전 제어부(11)에 입력되게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 주행지령에 의해 모터(2)가 회전함에 따라 카(1)가 상하운행을 행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로터리 엔코더(4)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펄스신호에 의해 펄스계수회로(13)에서 연산된 펄스수로 운전제어부(11)에서는 주행중 카(1)의 주행방향과 위치 및 속도를 연산하여 데이타로 계속 보관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정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 주행도중 정전이 되었다고 하면, 정전발생시 보관된 카(1)의 위치값과, 브레이크(BRAKE) 구속 후 시이브(2)는 정지하게 되지만, 상기 카(1)의 주행속도에 의해 루프(9)가 상기 시이브(2)로 미끄러져 상기 카(1)가 주행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되어 절대위치 편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복전이 되었을때 정전시 보관된 상기 카(1)의 위치 정보는 실제위치와 상이하기 때문에 구출운전에 의해 상기 카(1)를 움직여 상기 카(1) 상부에 취부된 마그네트(5)가 최기층 층수 신호용 근접 스위치(6-x)에 도달하게 되면 층수 신호 입력회로(12)를 통해 해당층 정보(x층)가 상기 운전제어부(11)에 입력되면 상기 카(1)를 정지시키게 한다.
이때, 상기 운전제어부(11)는 입력된 층수(x층)에 대응하는 카(1)의 위치값을 보정하여 이 값을 운행정보로 하여 이 시점부터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는 정전후 복전이 되었을때 반드시 구출운전(저속)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에 갇힌 승객에게 불안감을 오래 주게되고 서비스 효율의 저하가 초래되고, 카 상부의 마이크로와 승강로 상의 층수신호용 근접스위치를 각 층 정지위치에 맞도록 설치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많은 동시에 마그네트와 스위치를 각 층마다 설치해야되는 원가상승과 설치공수 상승의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전후 복전이 되었을때 카 절대 위치의 보정을 위해 구출운전을 행해야 하는 것을 그 구출운전을 행하지 않고 복전시 절대위치 편차를 곧바로 보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을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승객을 수송하는 카(1) 상부에 루프(9)를 연결하고, 기계실에 위치한 시이브(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루프(9)가 상하로 움직여 상기 카(1)가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시이브(2)에 루프(9)를 장착하고, 상기 시이브(2)와 같은 축에 모터(3)와 로터리 엔코더(4)를 직렬로 연결하여 상기 모터(3)가 회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시이브(2), 로프(9), 카(1)로 전달되어 상기 카(1)가 상하로 움직이는 동시에 상기 로터리 엔코더(4)가 회전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로터리 엔코더(4)의 회전에 따른 펄스출력이 펄스입력 라인(8)을 통해 운전제어회로(18)에 연결되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제어회로(18)에서는 상기 로터리 엔코더(4)의 펄스출력을 펄스계수회로(13)에 연결하고, 중앙연산처리장치(15)와 모든 운전제어 프로그램이 상주하고 있는 메모리 소자 롬(16)과 상기 운전제어에 필요한 데이타를 항상 쓰기 및 읽기 할 수 있는 전하 메모리(CHARGED MEMORY)소자 시램(CRAM)(17)과, 정전을 감시하여 정전처리 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정전감시회로(14)와, 상기 카(1) 하부에서 발생되는 부하 검출신호를 부하신호 라인(19-1)을 통해 입력되는 부하신호 변환회로(19)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여기서 상기 펄스 계수회로(13), 정전 감시회로(14), 중앙연산처리장치(15), 롬(16), 시램(17), 부하신호 변환회로(19)는 시스템 데이타 버스(20)로 각각 연결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전처리 타이밍도와 복전시 위치보정처리 흐름도 및 방향별 위치보정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지령에 의해 모터(3)가 회전하게 되면 손차적으로 시이브(2), 루프(9), 카(1)로 전달되어 이 카(1)로 전달되어 이 카(1)가 상하주행을 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모터(3)에 직렬로 연결된 로터리 엔코더(4)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터리 엔코더(4)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펄스는 상기 운전제어회로(18)의 펄스계수회로(13)에서는 입력되고, 그 펄스계수회로(13)는 입력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1)의 주행방향, 주행거리, 주행속도를 연산하여 전원이 오프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않는 시램(17)에 계속 데이타를 써넣어 두어 엘리베이터 운행정보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부하신호 변환회로(19)는 상기 카(1) 하부에서 발생되어 부하신호 라인(19-1)을 통해 입력되는 부하신호를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램(17)에 부하 데이타를 계속 서넣어 두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주행방향, 주행거리, 주행속도, 부하를 항상 상기 시램(17)의 어떤 특정번지에 계속 서넣어 두어 주행도중 정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복전후 상기 상기 데이타를 읽어와서 현재 카(1)위치를 보정하는데 쓰이게 된다.
즉, 정전감시회로(14)는 엘리베이터 주행도중 정전이 되는 것을 감시하여 정전처리 요구신호를 시스템 데이타 버스(20)를 통해 중앙연산처리장치(C15)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제 3 도의 정전처리 타이밍도와 같이 정상전압 공급중일때 전압은, VP점을 유지하는 중에 정전이 발생하면 전압레벨이 떨어져 VF점 수준에 도달했을때 정전처리 요구신호(I1)가 발생하게 된다(VD점 전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능이 마비되는 점을 나타낸다).
상기 정전처리 요구신호(I1)에 의해 중앙연산처리장치(1)는 현재 수행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상기에 상술한 운행정보(주행방향,속도,위치,부하)를 상기 시램(17)의 특정번지에 보관한 후 시스템 다운 레벨(SYSTEM DOWN LEVEL)(I2)에 도달하게 된다(전원 오프후에도 상기 시램(17)의 내용은 지워지지 않음).
그리고, 전원이 오프되고 나면 브레이크는 구속되어 상기 시이브(2)는 회전하지 않지만 실제로 상기 카(1)는 그 당시의 주행방향, 속도, 부하에 따라 상기 루프(91)가 상기 시이브(2)를 주행방향으로 더 움직이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복전이 되었을 때에는 정전순간 보관된 카 위치 정보를 실제 카위치와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복전이 되고 나면 프로그램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복전시 위치 보정처리 루틴을 수행하게 한다.
즉, 정전시 저장시킨 운행 데이타인 정전시 카위치(Pold), 정전시속도(Sold), 정전시 부하(Lold), 정전시 주행방향(Dold)을 읽어 이 정전시 주행방향(Dold)이 업(up)되었으며,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롬(16)에 기억되어 미리 계산에 의해 산정된 방향별 위치 보정표에 의해 이전의 운행 데이타(Sold, Lold)에 대응하는 위치보정값(P)을 TU(S, L)표에서 읽어 오고, 상기 시램(17)에 저장된 정전시 위치값(Pold)에 상기 TU(S, L) 표에서 읽은 위치보정값(P)을 더하여 보정된 새로운 위치값(Pnew)을 만들며, 그 보정된 새로운 위치값(Pnew)을 새로운 카위치로 정하여 위치보정 루틴에서 나오는 한편, 상기 정전시 주행방향(Dold)이 다운(Down)이었으면 운행 데이타(Sold,Lold)에 대응하는 위치보정값(P)을 TD(Sold,Lold)표에서 읽은 후 상기 시램(17)에 저장된 정전시 위치값(Pold)에서 상기 Td(S, L)표에서 읽은 위치보정값(P)을 뺀 보정된 새로운 위치값(Pnew)을 새로운 카 위치로 정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보정된 카 위치값으로 구출운전없이도 곧바로 운행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정전에 의한 절대치의 편차를 복전시에 위치보정을 하도록 하는 것은 설명하였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제 2 도의 정지 감시회로(14) 부분을 비상정치 감시회로로 대치하여, 엘리베이터가 주행중에 비상사태로 인하여 비상정지를 했을 경우에도 비상정치 처리 요구신호를 발생시켜 상술한 바와같이 운행정보(주행방향,속도,위치,부하)를 상기 시램(17)의 특정번지에 저장시켜 비상사태가 해제되는 시점에 상기 실시예의 제 4 도 및 제 5 도와 같은 방법으로 카 위치 보정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정점감시회로와 비정상정지 감시회로를 병행하여 쓰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정전후 복전이 되었을때 제 5 도의 방향별 위치보정표에 의해 현재 카 위차를 보정하여 실제위치를 정보로 사용하여 곧바로 고속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므로 갇힌 승객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서비스 효율을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 위치 보정을 행하므로써 카상부의 마이크로와 승강로상의각 층 근접 스위치가 필요없게 되어 상기 스위치 및 층수신호 입력회로를 없애므로 설치 조정공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승객을 수송하는 카(1)가 루프(9)를 통해 직렬접속된 시이브(2) 및 모터(3)에 의해 로터리 엔코더(4)에 연결되고, 그 로터리 엔코더(4)는 펄스입력 라인(8)을 통해 운전제어회로(18)에 연결되게 구성된 엔코더 위치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엔코더(4)로부터의 발생된 펄스를 계수하는 펄스계수회로(13)와, 정전을 감시하여 정전처리 요구신호를 발생시키는 정전감시회로(14)와, 복전시 위치보정을 하기 위한 위치보정 데이타를 저장하는 롬(16)과, 정전시 당시의 데이타를 저장하는 상기 카(1)에서 발생되는 부하신호를 부하신호 라인(9-1)을 통해 변환하는 부하신호 변환회로(19)와 상기 펄스계수회로(13)와 정전감시회로(14) 및 롬(16)과 시램(17) 및 부하신호 변환회로(19)의 실행을 시스템 데이타 버스(20)를 통해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15)를 포함시킨 운전제어회로(18)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감시회로(14)에 비상정지 감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3. 정전시 저장시킨 데이타를 읽은 후 정전시 주행방향이 없으면 미리 설정된 방향별 가변변수에 의해 이전의 운행 데이타에 대응하는 위치보정값을 선택하고, 이 위치보정값과 정전시 위치값을 연산하여 보정된 새로운 위치값으로 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KR1019910007763A 1991-05-14 1991-05-14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KR96001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763A KR960013092B1 (ko) 1991-05-14 1991-05-14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7763A KR960013092B1 (ko) 1991-05-14 1991-05-14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427A KR920021427A (ko) 1992-12-18
KR960013092B1 true KR960013092B1 (ko) 1996-09-30

Family

ID=1931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7763A KR960013092B1 (ko) 1991-05-14 1991-05-14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3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07B1 (ko) * 2001-02-23 2003-10-08 (주)이엠티인터내셔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기위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검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427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290A (en) Alternating current motor control system with emergency control responsive to failure of power supply
KR100202709B1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비상 운전 방법 및 장치
JP3168104B2 (ja) エレベータまたはホイストのケージの減速および停止指令を制御し自動補正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EP2918536B1 (en) Condition monitoring of vertical transport equipment
EP2517997A1 (en) Managing an encoder malfunction in an elevator drive system
JP6533548B2 (ja) 乗客コンベア
JP3144640B2 (ja) 巻上げ用モータの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542296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330272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960013092B1 (ko) 엘리베이터 위치 보정장치 및 방식
KR100186378B1 (ko) 엘리베이터의 동기위치 보정장치
JPS63178788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CN2520065Y (zh) 滚筒式混匀取料机纠偏控制装置
JP2006206196A (ja) エレベーターの改修工法
JP264501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351953B2 (ko)
JP2001212778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
KR950005364B1 (ko) 엘리베이터의 구출운전 제어방법
JP3097550B2 (ja) 紡機のリフティング制御方法及びリフティング装置
JPS6186380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223710B2 (ko)
JP2918071B2 (ja) エレベータの改善方法
EP0798407B1 (en) Lifting control method and lifting device of spinning machine
JPH069393U (ja) モータ制御装置
JP3454598B2 (ja) インバータ駆動誘導電動機の停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