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807A -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807A
KR960012807A KR1019950032312A KR19950032312A KR960012807A KR 960012807 A KR960012807 A KR 960012807A KR 1019950032312 A KR1019950032312 A KR 1019950032312A KR 19950032312 A KR19950032312 A KR 19950032312A KR 960012807 A KR960012807 A KR 96001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es
field effect
bus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57736B1 (ko
Inventor
구니오 후루야
테루오 노로
도시유끼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우에야마 데쯔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컴퓨터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우에야마 데쯔오,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컴퓨터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6001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3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 H03K19/00307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for protection in bipolar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18Special modifications or use of the back gate voltage of a FET

Abstract

양방향 버스 드라이버/리시버를 설치하지 않고, 양방향성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구성한다.
m개의 버스, n개의 버스, 및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를 전환해서 접속하는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는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 제1전극이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되고, 제2전극이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의 지시 내용에 따라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고,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사용해서 복수의 장치를 접속한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양방형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불평형형 인터페이스에 적용한 도면.

Claims (15)

  1.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양방형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m개의 버스, n개의 버스, 및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를 전환해서 접속하는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갖고 있고,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는, 제1전극이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되고, 제2전극이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m×n개의 전계효과 트래지스터, 및 제어 전극의 전압에 따라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도통을 제어하여,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전극에 제1전위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중의 적어도 1개의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도통하고,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1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2버스를 접속하고, 상기 제어 전극에 제2전위가 설정되었을 때,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1개의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도통하고,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1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3버스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m개의 버스 및 상기 n개의 버스 중 어느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5.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m개의 버스, n개의 버스, 및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를 전환하여 접속하는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는,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 제1전극이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되고, 제2전극이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의 지시 내용에 따라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1버스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2버스가 접속된다는 것을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이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도통 상태로 하여 상기 제1버스와 상기 제2버스를 접속하며,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3버스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3버스가 접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이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도통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상기 제3버스와 상기 제4버스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어, 접속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m×n개의 드라이버, 및 상기 m×n개의 전계효가 트랜지스터의 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상기 제1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가 접속된다는 것을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이 지시하는 경우, 상기 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구동하기 위한 논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통하지 않는 제1전력 공급선을 더 갖고, 상기 제1전력 공급선은 한 단에서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의 제2전력 공급선에 접속되고, 다른 단에서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으로의 제3전력 공급선에 접속되며, 상기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1전력 공급선을 통해서 상기 종단 저항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텨페이스 전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한 단이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역류방지 다이오드를 통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가 상기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전력 공급선을 통해서 상기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m개의 버스 및 상기 n개의 버스 중 어느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11. m개의 버스, n개의 버스, 및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를 전환해서 접속하는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를 갖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는,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수단, 제1전극이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되고, 제2전극이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의 지시 내용에 따라 상기 m개의 버스와 상기 n개의 버스와의 접속 전환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 제어 수단은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대하여,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1버스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2버스가 접속된다는 것을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이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도통 상태로 하여, 상기 제1버스와 상기 제2버스를 접속하고,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1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m개의 버스 중 제3버스와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2전극에 접속되는 상기 n개의 버스 중 제3버스가 접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 전환 지시 수단이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도통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상기 제3버스와 상기 제4버스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제1장치, 및 상기 n개의 버스 중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제2장치를 더 갖고, 상기 전환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1장치와 상기 제2장치 간에 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제1장치는 전원, 상기 장치가 접속된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 및 상기 전환 장치에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 장치는 상기 m×n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통하지 않는 제1전력 공급선을 더 갖고, 상기 제2장치가 이 장치가 접속된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제1전력 공급선을 통해서 상기 종단 저항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전환 장치로의 전력 공급수단은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한 단이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역류방지 다이오드를 통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제2전력 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한 단이 상기 전원에 접속되어 상기 역류방지 다이오드를 통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2장치가 이 장치가 접속된 버스를 종단하는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을 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역류방지 다이오드 및 전력 공급선을 통해서 상기 종단 저항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장치는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m개의 버스 및 상기 n개의 버스 중 어느 하나의 버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32312A 1994-09-28 1995-09-28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KR0157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056A JPH0895909A (ja) 1994-09-28 1994-09-28 双方向バスインタフェース切替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94-233056 199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07A true KR960012807A (ko) 1996-04-20
KR0157736B1 KR0157736B1 (ko) 1998-11-16

Family

ID=16949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312A KR0157736B1 (ko) 1994-09-28 1995-09-28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95909A (ko)
KR (1) KR0157736B1 (ko)
CN (1) CN11283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75B1 (ko) * 2002-12-10 2005-04-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이불 청소용 브러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4779B4 (de) * 2000-10-02 2011-04-28 Fujitsu Ltd., Kawasaki Empfänger, Hybridschaltung, Ansteuerschaltung und Signalübertragungssystem zur bidirektionalen Signalübertragung zum gleichzeitigen Ausführen einer derartigen Signalübertragung in beiden Richt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75B1 (ko) * 2002-12-10 2005-04-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이불 청소용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95909A (ja) 1996-04-12
CN1128376A (zh) 1996-08-07
KR0157736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9836B1 (en) A guarded electronic circuit from reversal of its supply battery polarity
KR960701514A (ko) 출력 구동기(output driver)
KR940022279A (ko) 신호전송방법과 신호전송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정보처리시스템
KR970055023A (ko) 전기누전 방지장치 및 방법
KR890016759A (ko) 파워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구동회로
KR960030231A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전압 구동회로
KR970019071A (ko) 레벨 변환 회로(Level Converting Circuit)
KR970049302A (ko) 컴퓨터 주변기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970700956A (ko) 보호 스위치 및 차량의 전기 시스템(A protected switch)
KR940027249A (ko) 전원 접속 회로 및 전원선용 스위치 집적 회로(ic)
KR970063275A (ko) 반도체집적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회로장치
KR960007305A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960012807A (ko)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JPH11146558A (ja) バッテリー逆接続保護付きipd及びバッテリー逆接続保護付きipdを備えた駆動装置
ES2176610T3 (es) Sistema de comunicacion y codificacion para el control de actuadores electricos.
KR870008441A (ko) 파워 인터페이스 회로
KR870001522A (ko) 내부버스식 디지탈 제어장치
JP3347077B2 (ja) 電源切換制御システム
KR890012485A (ko) 전자기기의 접지회로장치
KR880700565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라인용 종단 접속 장치
GB2426395A (en) Gate driver circuit with under-voltage lockout
GB2539889A (en) Optocoupler driver circuit
JPH02295221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浮動駆動回路装置
JP2691595B2 (ja) インタフェース回路
KR19980020940U (ko)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