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605B1 -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605B1
KR960012605B1 KR1019930010618A KR930010618A KR960012605B1 KR 960012605 B1 KR960012605 B1 KR 960012605B1 KR 1019930010618 A KR1019930010618 A KR 1019930010618A KR 930010618 A KR930010618 A KR 930010618A KR 960012605 B1 KR960012605 B1 KR 96001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output
color
composit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503A (ko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605B1/ko
Priority to US08/258,001 priority patent/US5491522A/en
Publication of KR95000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6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제1도는 종래의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라인 콤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5도는 일반적인 NTSC 방식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데이타 배열패턴을 보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수평방향 휘도신호 검출부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수직방향 휘도신호 검출부의 구성르 보인 상세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 발생부의 처리과정을 보인 도면.
제9도의 (가)-(다)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 발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상세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
60 : 칼라신호 검출부70 : 지연기
80 : 감산기90 : 제어신호 발생부
100 : 멀티플렉서YOUT: 휘도신호
CV : 합성 영상신호YPH: 휘도신호
YPV: 휘도신호COUT: 칼라신호
YBZH: 휘도신호CS11,CS12 : 제어신호
본 발명은 휘도신호에 칼라신호가 간삽(interleave)된 직교변조(guadrature modulated)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분리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휘도/칼라 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신호에서 발생되는 크로스 루미넌스(cross luminance)현상과 대각선 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영상에서 발생되는 크로스 칼라(cross color)현상을 억제하고, 휘도신호의 해상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방송방식은 제한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휘도신호에 칼라신호를 간삽시킨 후 송신하고, 이를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가 수신하여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가 수신된 합성 영상신호에서 휘도신호 칼라신호를 불완전하게 분리할 경우에는 각종 도트(dot) 방해와 같은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칼라신호의 퍼짐 및 무지개 무늬의 발생등과 같은 크로스 칼라현상이 발생하고, 휘도신호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등의 화질 저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의 불완전한 분리로 인하여 발생되는 화질 저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NTSC 방식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칼라신호를 매라인 및 칼라 부반송파(subcarrier)의 4배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할 경우에 2샘플마다 칼라신호의 위상이 180°반전되는 특성을 이용하는 라인 콤필터나 대역통과필터를 구성하여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를 분리하고, 휘도신호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케스케이드(cascade)형태로 연결하여 칼라신호를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제1도 내지 제3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CV)인 지연되지 않은 신호(V11)를 라인 메모리인 1샘플 지연기(11)(12)로 지연시켜 2샘플기간 지연된 신호(V12)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이를 다시 1샘플 지연기(13)(14)로 지연시켜 4샘플기간 지연된 신호(V13)를 발생시키고, 지연되지 않은 신호(V11) 및 4샘플기간 지연된 신호(V13)를 1/2 증폭기(15)(16)로 각기 증폭시켜 V11/2 및 V13/2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감산기(17)로 2샘플기간 지연된 신호(V12)에서 증폭기(15)(16)의 출력신호를 감산한 후 1/2 증폭기(18)로 증폭하여 칼라신호(C)인 V12/2-(V11+V13)/4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감산기(19)로 2샘플기간 지연된 신호(V12)에서 칼라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인 V12/2+(V11+V13)/4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수평변화를 갖는 영상신호일 경우에 도트 크롤링(dot crawling)과 같은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과 칼라신호의 퍼짐이 발생하고, 휘도신호의 해상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종래의 라인 콤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 영상신호(CV)인 지연되지 않은 신호(V21)를 1H(여기서, H는 수평동기신호의 주기임) 지연기(21)(22)로 순차 지연시켜 1H 지연신호(V22) 및 2H 지연신호(V23)를 발생시키고, 지연되지 않은 신호(V21) 및 2H 지연신호(V23)를 1/2 증폭기(23)(24)로 각기 증폭시킨 후 감산기(25)로 1H 지연신호(V22)에서 1/2 증폭기(23)(24)의 출력신호를 감산하고, 1/2 증폭기(26)로 증폭하여 칼라신호(C)인 V22/2-(V21+V23)/4를 발생시키고, 감산기(27)로 1H 지연신호(V22)에서 칼라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인 V22/2+(V21+V23)/4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 종래의 기술은 상술한 대역통과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보다 휘도신호의 해상도가 약간은 개선되나 여전히 해상도가 낮고, 수직으로 변화를 갖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행잉 도트(hanging dot)와 같은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3도는 종래의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이용한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보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 영상신호(CV)가 대역통과필터(31) 및 라인 콤필터(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하여 칼라신호(C)를 검출하고, 합성 영상신호(CV)를 지연기(33)로 지연시켜 칼라신호(C)와 동기를 일치시킨 후 감산기(34)로 지연기(33)의 출력신호에서 칼라신호(C)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술한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각기 이용하는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에 비하여 휘도신호의 해상도가 매우 개선되고, 크로스 칼라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도트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4,864,389호에서는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와 이 합성 영상신호의 1라인 및 2라인 지연신호를 대역통과필터로 필터링하여 칼라신호를 검출하고,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의 칼라신호에 1라인 지연된 합성 영상신호의 칼라신호를 더한 값의 크기와 1라인 및 2라인 지연된 합성 영상신호의 칼라신호를 더한 값의 크기를 비교하며, 비교결과 절대값의 크기가 작은 성분의 값을 이용하여 1H 라인 콤필터를 필터링 및 칼라신호를 구하며, 휘도신호는 지연시켜 동기가 일치된 합성 영상신호에서 칼라신호를 감산하여 구하며, 이때 절대값의 크기가 설정된 일정 드레시홀드 레벨보다 작을 경우에는 2H 라인 콤필터로 필터링하여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를 구하고 있으나,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영상신호일 경우에 도트 크롤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크로스 칼라현상 및 크로스 루미넌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게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를 정확히 분리하는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제4도 내지 제10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 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H)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와, 합성 영상신호(CV)가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V)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와, 합성 영상신호(CV)에서 칼라신호(COUT)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칼라신호 검출부(60)와, 합성 영상신호(CV)를 지연시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와 동기시키는 지연기(70)와, 상기 지연기(70)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BZH)를 출력하는 감산기(80)와, 합성 영상신호(CV)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화를 검출하며, 제어신호(CS11,CS12)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9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신호(CS11,CS12)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및 감산기(80)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0)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는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CV)에서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및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가 각기 휘도신호(YPH)(YPV)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이때 합성 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경우에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가 휘도신호(YPH)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게 되고,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가 휘도신호(YPV)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게 된다.
칼라신호 검출부(60)는 상기의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케스케이드 접속하여 칼라신호(COUT)를 검출하고, 지연기(70)에서 지연된 합성 영상신호(CV)에서 칼라신호(COUT)를 감산기(80)로 감산하여 휘도신호(VBZH)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합성 영상신호(CV)에 대해서는 약간의 도트 패턴이 발생하게 되나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변화가 적은 합성 영상신호(CV)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하게 휘도신호(YBZH) 및 칼라신호(COUT)를 분리하여 출력 즉, 휘도신호의 해상도 감소가 적고, 크로스 칼라현상이 발생확률이 매우 적다.
그리고 제어신호 발생부(90)는 합성 영상신호(CV)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변화량을 판단하고, 판단한 변화량에 따라 제어신호(CS11,CS12)를 발생하여 멀티플렉서(100)를 제어 즉, 합성 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는 변화가 없고, 수직방향으로 변화가 있을 경우에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가 검출한 휘도신호(YP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 출력하고, 수평방향으로는 변화가 있고, 수직방향으로는 변화가 없을 경우에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가 검출한 휘도신호(YPV)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 출력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변화가 있거나 모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감산기(80)가 출력하는 휘도신호(YBZ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 출력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5도 내지 제10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일반적인 NTSC 방식 칼라 텔레비젼의 합성 영상신호를 4fsc(여기서, fsc는 칼라 부반송파의 주파수로서 약 3.58MHz임) 또는 910fH(여기서, fH는 수평 주파수인 스캔라인 주파수로서 약 15750Hz임)로 샘플링할 경우에 나타나는 2차원 데이타의 배열패턴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색신호(I 또는 Q)의 위상이 수평방향으로는 2샘플마다 반전되고, 수직방향으로 매라인마다 반전되는 것으로 이러한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데이타의 배열패턴에 따라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및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는 특정 합성 영상신호와, 이 합성 영상신호를 기준으로 각기 2샘플기간 및 1라인 떨어져 있는 합성 영상신호를 함께 처리하여 휘도신호(YPH)(YPV)를 검출한다.
즉,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는 합성 영상신호(A2)와, 이 합성 영상신호(A2)에 대하여 2샘플기간 떨어져 있는 합성 영상신호(A1)(A2)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신호(A2)에 대한 휘도신호(YPH)를 검출하고,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는 합성 영상신호(A2)와, 이 합성 영상신호(A2)에 대하여 1라인 떨어져 있는 합성 영상신호(A4)(A5)를 이용하여 합성 영상신호(A2)에 대한 휘도신호(YPV)를 검출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 영상신호(CV)를 순차적으로 2샘플기산씩 지연시키는 2샘플 지연기(401)(402)와, 상기 2샘플 지연기(401)의 출력신호(A2)와 합성 영상신호(CV) 및 2샘플 지연기(402)의 출력신호(A3)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403)(404)와, 상기 2샘플 지연기(401)의 출력신호(A2)와 합성 영상신호(CV) 및 2샘플 지연기(402)의 출력신호(A3)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405)(406)와, 상기 최소값 검출부(403)(404)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407)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405)(406)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408)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407) 및 최소값 검출부(40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409)와, 상기 합산기(409)의 출력신호를 1/2배 증폭하여 휘도신호(YPH)로 출력하는 증폭기(410)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는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CV)는 2샘플 지연기(401)(40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2샘플기간씩 지연되어 출력된다. 즉, 2샘플 지연기(401)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A2)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 2샘플 지연기(402)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A2)는 2샘플기간 앞서게 되고, 현재 입력되는 합성 영상신호(A1)는 2샘플기간 늦게 된다.
2샘플 지연기(402)에서 출력되는 합성 영상신호(A2)는 합성 영상신호(A1)(A3)와 함께 최소값 검출부(403)(404)에 각기 입력되어 크기가 작은 신호가 선택 출력됨과 아울러 최대값 검출부(405)(406)에 입력되어 크기가 큰 신호가 선택 출력되고, 최소값 검출부(403)(403)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큰 신호는 최대값 검출부(407)에서 선택 출력되며, 최대값 검출부(405)(406)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작은 신호는 최소값 검출부(408)에서 선택 출력되며, 이와같이 최대값 검출부(407) 및 최소값 검출부(408)에서 선택 출력되는 신호는 합산기(409)에서 합산되고, 1/2증폭기(410)에서 1/2배 증폭되어 다음의 식(I)과 같이 휘도신호(YPH)가 출력되는 것으로 합성 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가 없을 경우에 휘도신호(YPH)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다.
YPH={MAX(MIN(A1,A2),MIN(A2,A3))+MIN(MAX(A1,A2),MAX(A2,A3))}/2 … ( I )
여기서, MAX(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큰 값을 나타내고,
MIN(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작은 값을 나타낸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 영상신호(CV)를 순차적으로 1라인기간씩 지연시키는 1라인 지연기(501)(502)와, 상기 1라인 지연기(501)의 출력신호(A2)와 지연되지 않은 합성 영상신호(A4) 및 1라인 지연기(502)의 출력신호(A5)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 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3)(504)와, 상기 1라인 지연기(501)의 출력신호(A2)와 지연되지 않은 합성영상신호(A4) 및 1라인 지연기(502)의 출력신호(A5)의 크기를 각각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3)(504)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505)(506)와, 상기 최소값 검출부(503)(504)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507)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505)(506)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8)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507) 및 최소값 검출부(50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509)와, 상기 합산기(509)의 출력신호를 1/2배 증폭하여 휘도신호(YPV)로 출력하는 증폭기(510)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는 입력되는 합성영상신호(CV)는 1라인 지연기(501)(50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1라인 기간씩 지연되어 출력된다. 즉, 1라인 지연기(501)에서 출력되는 합성영상신호(A2)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 1라인 지연기(502)에서 출력되는 합성영상신호(A5)는 1라인 기간 앞서게 되고, 현재 입력되는 합성영상신호(A4)는 1라인기간 늦게 된다.
1라인 지연기(501)에서 출력되는 합성영상신호(A2)는 합성영상신호(A4)(A5)와 함께 최대값 검출부(503,504,508), 최대값 검출부(505-507), 합산기(509) 및 1/2 증폭기(510)에서 상기의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와 같이 처리되어 다음의 식(II)와 같이 휘도신호(YPV)가 출력되는 것으로 합성영상신호(CV)가 수직방향으로 변화가 없을 경우에 휘도신호(YPV)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다.
YPV={MAX(MIN(A4,A2),MIN(A2,A5))+MIN(MAX(A4,A2),MAX(A2,A5))}/2 …… (II)
제8도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처리과정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신호 발생부(90)는 수평변화가 적을 경우에 수평성분의 합성영상신호(A1,A2,A3)에 대한 최대값(HMAX)-최소값(HMIN)의 크기와 (PHMIN-PHMAX)=(MIN(MAX(A1,A2), MAX(A2,A3)-MAX(MIN(A1.A2), MIN(A2,A3))) }의 크기가 비슷하고, 수직 변화가 적을 경우에는 수직성분의 합성영상신호(A4,A2,A5)에 대한 최대값(VMAX)-최소값(VMIN)의 크기가 (PVMIN-PVMAX)={MIN(MAX(A4,A2), MAX(A2,A5)-MAX(MIN(A4,A2), MIN(A2,A5))}의 크기가 비슷하다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다음의 식(III)을 만족할 경우에는 제어신호(CS11)를 고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의 휘도신호(YP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하고, 다음의 식(IV)를 만족할 경우에는 제어신호(CS12)를 고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의 출력신호(YPV)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하며, 식(III) 및 (IV)를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신호(CS11,CS12)를 모두 저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감산기(80)의 휘도신호(YBZ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된다.
K·Hdiff<Vdiff and Hdiff<TH1 and Vdiff>TH2 …………………(III)
K·Hdiff<Vdiff and Hdiff<TH1 and Hdiff>TH2 …………………(IV)
여기서, K는 일정상수로서 K>1이고,
Hdiff는
(HMAX-HMIN)-(PHMIN-PHMAX)={(MAX(A1,A2,A3)-MIN(A1,A2,A3)}-(MIN(MAX(A1,A2),MAX(A2,A3))-MAX(MIN(A1,A2),MIN(A2,A3))}
이며, Vdiff는
(VMAX-VMIN)(PVMIN-PVMAX)={(MAX(A4,A2,A5)-MIN(A4,A2,A5)}-{MIN((MAX(A4,A2),MAX(A2,A5))-MAX(MIN(A4,A2),MIN(A2,A5))}
이며, TH1 및 TH2는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값이다.
제9도의 (가)-(다)는 본 발명의 제어신호 발생부(90)의 동작을 예로들어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제9도의 (가)에 도시된 파형도는 합성영상신호(V1,V2,V3)의 휘도성분이 각기 100,50 및 200이고, 칼라신호의 레벨은 10인 경우로서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게 되는것으로 합성영상신호(V2)에는 Hdiff는 0이고, Vdiff는 100이 된다.
그러므로 제어신호 발생부(90)에는 제어신호(CS11)를 고전위로 출력하고 제어신호(CS12)를 저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의 휘도신호(YP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한다.
제9도의 (나)에 도시된 파형도는 합성영상신호(V1,V2,V3)의 휘도성분이 특정위치(S)에서 50에서 100으로 변화하고, 칼라신호의 레벨은 10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로서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는 것으로 합성영상신호(V2)에 대한 Hdiff는 50이고, Vdiff는 0이다.
그러므로 제어신호 발생부(90)는 특정지점(S)을 포함하는 영역(T)에서는 제어신호(CS12)를 고전위로 출력하고 제어신호(CS11)를 저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의 출력신호(YPV)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하고, 영역(T)이외에는 Hdiff 및 Vdiff가 모두 0이므로 제어신호(CS11,CS12)를 모두 저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감산기 휘도신호(YBZ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한다.
제9도의 (다)는 합성영상신호(V1,V2,V3)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변화를 갖지 않는 경우로서 Hdiff 및 Vdiff가 모두 0이므로 제어신호(CS11,CS12)를 모두 저전위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00)가 감산기(90)의 휘도신호(YBZH)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칼라신호 검출부(60), 지연기(70), 감산기(80), 제어신호 발생부(90) 및 멀티플렉서(100)의 각각의 부위를 독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통되는 부위를 서로 공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10도의 상세도는 합성영상신호(CV)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0)가 4fsc로 샘플링하여 휘도신호(YOUT) 및 칼라신호(COUT)를 분리출력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한편, 제11도는 본 발명은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영상신호(CV)에서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및 감산기(80)의 출력신호를 각기 감산하여 칼라신호(CPH)(CPV)(CBZH)를 출력하는 감산기(120,130,140)와,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산기(120,130,140)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칼라신호(COUT)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50)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휘도신호와 마찬가지로 칼라신호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게 되는 것으로 합성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을 경우에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가 정확히 검출하는 휘도신호(YPH)를 감산기(120)가 합성영상신호(CV)에서 감산하여 칼라신호(CPH)를 정확히 검출하게 되고,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고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가 정확히 검출하는 휘도신호(YPV)를 감산기(130)가 합성영상신호(CV)에서 감산하여 칼라신호(CPV)를 정확히 검출하게 되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는 감산기(140)가 합성영상신호(CV)에서 감산기(80)의 휘도신호(YBZH)를 감산하여 칼라신호(CBZH)를 정확히 검출하게 되며, 이와같은 감산기(120,130,140)가 검출하는 칼라신호(CPH,CPV,CBZH)는 합성영상신호(CV)의 수평 및 수직방향 변화를 검출하는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신호(CS11,CS12)에 따라 멀티플렉서(150)에서 선택되어 칼라신호(COUT)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합성영상신호의 방향에 따른 수개의 휘도신호와 칼라신호를 검출하고, 합성영상신호의 각각의 방향의 변화정도에 따라 수개의 휘도신호 및 칼라신호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크로스 루미넌스 및 크로스 칼라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해상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합성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H)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와, 합성영상신호(CV)가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V)가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와, 합성영상신호(CV)에서 칼라신호(COUT)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칼라신호 검출부(60)와, 합성영상신호(CV)를 지연시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와 동기시키는 지연기(70)와, 상기 지연기(70)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BZH)를 출력하는 감산기(80)와, 합성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화를 검출하며, 제어신호(CS11,CS12)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9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신호(CS11,CS12)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및 감산기(80)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는, 다음의 식(I)과 같이 휘도신호(YPH)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YPH={MAX(MIN(A1,A2),MIN(A2,A3))+MIN(MAX(A1,A2),MAX(A2,A3))}/2 … ( I )
    여기서, MAX(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큰 값을 나타내고, MIN(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작은 값을 나타낸다. A1,A2,A3는 합성영상신호로서 A2를 기준으로 하여 A1은 2샘플 기간 늦고, A3는 2샘플 기간 빠른 신호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는, 합성영상신호(CV)를 순차적으로 2샘플 기간씩 지연시키는 2샘플 지연기(401)(402)와, 상기 2샘플 지연기(401)의 출력신호(A2)와 합성영상신호(CV) 및 2샘플 지연기(402)의 출력신호(A3)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403)(404)와, 상기 2샘플 지연기(401)의 출력신호(A2)와 합성영상신호(CV) 및 2샘플 지연기(402)의 출력신호(A3)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405),(406)와, 상기 최소값 검출부(403),(404)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407)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405),(406)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408)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407) 및 최소값 검출부(40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검출부(408)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407) 및 최소값 검출부(40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409)와, 상기 합산기(409)의 출력신호를 1/2배 증폭하여 휘도신호(YPH)로 출력하는 증폭기(4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는, 다음의 식(II)과 같이 휘도신호(YPV)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YPV={MAX(MIN(A4,A2),MIN(A2,A5)+MIN(MAX(A4,A2),MAX(A2,A5))}/2 …… (II)
    여기서, MAX(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큰 값을 나나태고, MIN( , )는 두 값중에서 크기가 작은 값을 나타낸다. A4,A2,A5는 합성영상신호로서 A2를 기준으로 하여 A4는 1라인 기간 늦고, A5는 1라인 기간 빠른 신호이다.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는, 합성영상신호(CV)를 순차적으로 1라인 기간씩 지연시키는 1라인 지연기(501)(502)와, 상기 1라인 지연기(501)의 출력신호(A2)와 지연되지 않은 합성영상신호(A4) 및 1라인 지연기(502)의 출력신호(A5)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3)(504)와, 상기 1라인 지연기(501)의 출력선호(A2)와 지연되지 않은 합성영상신호(A4) 및 1라인 지연기(502)의 출력신호(A5)의 크기를 각기 비교하여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3)(504)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505)(506)와, 상기 최소값 검출부(503)(504)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대값 검출부(507)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550)(506)의 출력신호중에서 크기가 작은 신호를 선택출력하는 최소값 검출부(508)와, 상기 최대값 검출부(507) 및 최소값 검출부(508)의 출력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509)와, 상기 합산기(509)의 출력신호를 1/2배 증폭하여 휘도신호(YPV)로 출력하는 증폭기(5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칼라신호 검출부(60)는 대역통과필터 및 라인 콤필터를 케스케이드 접속하여 칼라신호(COUT)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신호 발생부(90)는 다음의 식(III)을 만족할 경우에 멀티플렉서(100)가 휘도신호(YPH)를 선택하고, 다음의 식(IV)를 만족할 경우에 휘도신호(YPV)를 선택하며, 식(III) 및 (IV)를 모두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휘도신호(YBZH)를 선택하게 제어신호(CS11,CS12)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K·Hdiff<Vdiff and Hdiff<TH1 and Vdiff>TH2 …………………(III)
    K·Hdiff<Vdiff and Hdiff<TH1 and Hdiff>TH2 …………………(IV)
    여기서, K는 일정상수로서 K>1이고, Hdiff는
    (VMAX-VMIN)(PVMIN-PVMAX)={(MAX(A4,A2,A5)-MIN(A4,A2,A3)}-{MIN((MAX(A4,A2),MAX(A2,A5))-MAX(MIN(A4,A2),MIN(A2,A5))}
    이며, Vdiff는
    (VMAX-VMIN)(PVMIN-PVMAX)={(MAX(A4,A2,A5)-MIN(A4,A2,A5)}-{MIN((MAX(A4,A2),MAX(A2,A5))-MAX(MIN(A4,A2),MIN(A2,A5))}
    이며, TH1 및 TH2는 미리 설정된 드레시홀드 값이다. MAX( , )는 값중에서 크기가 큰 값을 나타내고, MIN( , )는 값중에서 크기가 작은 값을 나타낸다.
  8. 합성영상신호(CV)가 수평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H)를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와, 합성영상신호(CV)가 수직방향으로 변화를 갖지 않을 경우에 휘도신호(YPV)가 정확히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직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와, 합성영상신호(CV)에서 칼라신호(COUT)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칼라신호 검출부(60)와, 합성영상신호(CV)를 지연시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와 동기시키는 지연기(70)와, 상기 지연기(70)의 출력신호에서 상기 칼라신호 검출부(60)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휘도신호(YBZH)를 출력하는 감산기(80)와, 합성영상신호(CV)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변화를 검출하며, 제어신호(CS11,CS12)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9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신호(CS11,CS12)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40), 수평방향 비선형 휘도신호 검출부(50) 및 감산기(80)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휘도신호(YOUT)로 선택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0)와, 합성영상신호(CV)에서 수평방향 비동기 휘도신호 검출부(40), 수직방향 비동기 휘도신호 검출부(50) 및 감산기(80)의 출력신호를 각기 감산하여 칼라신호(CPH)(CPV)(CBZH)를 출력하는 감산기 (120,130,140)와, 제어신호 발생부(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감산기(120,130,140)의 출력신호중에서 하나를 칼라신호(COUT)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KR1019930010618A 1993-06-11 1993-06-11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KR960012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618A KR960012605B1 (ko) 1993-06-11 1993-06-11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US08/258,001 US5491522A (en) 1993-06-11 1994-06-10 Luminance and color signal iso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618A KR960012605B1 (ko) 1993-06-11 1993-06-11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03A KR950002503A (ko) 1995-01-04
KR960012605B1 true KR960012605B1 (ko) 1996-09-23

Family

ID=1935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618A KR960012605B1 (ko) 1993-06-11 1993-06-11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91522A (ko)
KR (1) KR960012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5971A (en) * 1996-10-18 1999-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multiple types of data in single images
KR100435710B1 (ko) * 1996-12-28 2004-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모터회전속도제어시스템
US6219094B1 (en) * 1999-04-16 2001-04-17 Tektronix, Inc. Non-linear filter for extracting luminance component from a composite video signal
US7012651B2 (en) * 2001-02-22 2006-03-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40179141A1 (en) * 2003-03-10 2004-09-16 Topper Robert J.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ducing cross-color distortion in a composite video signal decoder
CN103559163B (zh) * 2013-11-11 2016-03-09 上海航天测控通信研究所 一种可配置多种功能模块的信号隔离调理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883A (ja) * 1981-09-21 1983-03-25 Sony Corp 分離フイルタ
JPS6471288A (en) * 1987-09-10 1989-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Luminance signal and chrominance signal separation filter corresponding to picture correlation
JPH0193284A (ja) * 1987-10-02 1989-04-12 Fujitsu Ltd 適応型y/c分離回路
JP2523374B2 (ja) * 1989-06-13 1996-08-0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適応型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2566342B2 (ja) * 1989-12-08 1996-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JP2878776B2 (ja) * 1990-04-11 1999-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503A (ko) 1995-01-04
US5491522A (en) 199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318A (en) Motion adaptive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ng filter
US4703342A (en) Luminance/chrominance separating apparatus
KR0129548B1 (ko) 영상신호 처리 회로
KR910006860B1 (ko)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의 복합신호 분리회로
US4789890A (en) Judgement circuit and adaptive filter incorporating the same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JPH025353B2 (ko)
KR960012605B1 (ko)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합성 영상신호의 2차원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US4775888A (en) Motion detector for chrominance signal in TV receiver
GB2271907A (en) Adaptive chrominance signal separating apparatus
US4736252A (en) Motion detector for chrominance signal in TV receiver
US4862252A (en) Y/C separator circuit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conditioned on an ac luminance component
KR950012838B1 (ko) 직교변조형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US4994923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improvement of picture quality
KR19980030424A (ko) 콤 필터
KR20050090005A (ko) 복합 비디오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색차 신호를 분리하기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JP2536675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KR950004026B1 (ko) 직교 변조된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스펙트럼 분포 적응형 휘도/칼라신호 분리장치
JPH0338991A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KR960005487B1 (ko) 티브이의 휘도및 색신호 분리회로
JP3003177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KR960005209B1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라인 코움 필터
KR970007851B1 (ko) 적응 슈도우메디안 필터를 이용한 휘도/색신호 분리장치
KR100251536B1 (ko) 수직 해상도가 보정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휘도 및 색 신호 분리 회로
JPH062382Y2 (ja) 適応型輪郭強調y/c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