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554B1 -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554B1
KR960012554B1 KR1019880011039A KR880011039A KR960012554B1 KR 960012554 B1 KR960012554 B1 KR 960012554B1 KR 1019880011039 A KR1019880011039 A KR 1019880011039A KR 880011039 A KR880011039 A KR 880011039A KR 960012554 B1 KR960012554 B1 KR 96001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exible
fabric
filter
fil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429A (ko
Inventor
왈러스 존슨 토드
크리스 브리주엘라 코라존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도날드 밀러 셀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9000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7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05Methods of making fil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26Bag coup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는 제 1 단계에서 직물스트립으로 랩핑되어 튜브를 형성하는 원통형 맨드렐의 단면도.
제2도는 제 1 도에서 사용한 직물스트립의 구멍과 이들의 배열 및 다른 직물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튜브의 중심부를 부분 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기 위해 제 3 도의 튜브와 함께 사용되는 다공성 슬리이브의 사시도.
제5도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가요성 필터백의 중심부를 부분절단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가압하에서 여과되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한편 필터백이 강체필터 바스켓내에 또는 그 위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가요성 필터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요성 필터백을 사용하는 액체여과장치는 적어도 1925년 이후로 공지되어 왔다. Tafara의 미합중국 특허 제4,545,833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필터백은 세로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폐쇄단부를 횡단하는 이음매로 꿰매어져 있다. 바느질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한 누출로 인하여 미여과액이 통과하게 됨으로써, 여액이 오염된다. 백의 개방단부는 백을 여과장치에 밀봉시키는 얇은 금속링둘레에 내향하여 주름져 있다. 세로방향 이음매는 백이 고리에 밀착되는 것을 저해하기 때문에 부가의 누출부위를 제공한다.
바늘구멍의 누출에 대한 Tafara의 해소방안은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필터백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폐쇄단부를 횡단하는 용융이음매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세로방향의 용융이음매는 필터백의 표면과 동일평면상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꿰메어진 이음매에서 직면하였던 금속링에서의 누출도 방지하여야 한다. Tafara의 백이 가질 수 있는 결점중에는 용융이음매의 완전밀봉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는 점이 있다. 또한, 용융이음매는 백의 가요성을 감소시킨다.
세로방향으로 꿰메어진 가요성 액체여과백과 단이음매는 1985년 7월 2일자로 공개된 영국 특허 출원 제 GB 2,168,906A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Gravley의 미합중국 특허 제3,937,621호 및 Schmidt, Jr.의 미합중국 특허 제4,247,394호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필터백을 제공하며, 이것의 필터부재는 이음매가 없음은 물론 종래의 누출문제와 전술한 Tafara 필터백의 결점들을 해소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의 백을 제조하는 경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가요성 필터백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
열가소성 섬유의 가요성 여과직물을 구비하고, 이 직물은 그 자체가 다수의 회선(convolution ; 꼬임)을 가지도록 권취되어 튜브를 형성하고, 튜브의 일단부는 구조링의 둘레에 내향하여 주름져 있어서 커프를 형성하고, 튜브의 다른 단부는 소세지 케이싱방식으로 장합되어 밀봉되며, 가요성, 유체투과성 슬리이브를 구비하고, 이것은 상기 커프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슬리이브의 일단부에 의해 상기 튜브의 외표면을 커버하며, 슬리이브와 튜브가 함께 상기 링에서만 개방된 가요성 필터백을 형성하도록 슬리이브의 다른 단부를 튜브의 밀봉단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미세공극경이 필요한 경우, 가요성 여과직물은 취련 미세섬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련 폴리프로필렌 미세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것은 경제적이고, 여과성이 탁월하며, 통상의 실온에서 가압하에 용융될 수 있기 때문에 튜브의 밀폐(밀봉)단부에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비교적 큰 공극경이 필요한 경우에 바람직한 가요성 여과직물은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펠트와 같은 코오스섬유이다. 극히 미세한 공극경을 얻기 위해서, 여과직물은 멤브레인 물질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가요성 필터백은 필터백의 개방단부로 흐르는 유체를 여과하여 필터백을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시키도록 고압필터용기의 강체원통형 필터 바스켓에 끼워맞출 수 있다. 링에서의 기계적 밀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구조링은 금속과 같이 강성인 것이 바람직하나, 우수한 밀봉을 위한 압축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가지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으로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구조링은 고무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중합체로 할 수 있다. 고무 또는 열가소성링은 신규한 필터백의 여과성직물로 용융 가능하여 백의 개방 단부가 가압 필터용기에 기계적으로 밀봉될 경우 링에서의 누출방지를 보장할 수 있다.
가요성 필터백은 다수의 개구부, 예를 들면, 구멍을 구비한 가요성 여과직물의 긴스트립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립은 이송물질의 스트립과 함께 원통형 맨드렐상에 회선상으로 권취된후 무공가요성 여과직물의 하나 이상의 회선상에 권취된다. 형성된 튜브의 일단부를 맨드렐로부터 제거한후, 구조링둘레에 내향하도록 주름을 잡아서 다른 단부가 밀봉된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할 수 있다. 방사상으로 외향되어 있는 백의 개방 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여과직물의 각 회선에서의 총 개구면적이 외향회선의 개구면적보다 크도록 여과직물을 권취한다.
이송물질 스트립의 각 중간층은 인접상류 여과층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미여과유체를 상기 층에 의해 여과된 유체와 혼합하고, 이 혼합유체를 여과직물의 다음 하류회선의 내표면에 가능한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물질과 더불어 개구부의 효과는 수집된 오염물질을 여과물질의 각종 회선을 통해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필터백의 유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을 가압필터용기 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튜브의 외표면을 커버하는 슬리이브의 적어도 일부는 강성강화직물이어야 한다. 또한, 슬리이브의 일부는 튜브의 내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부분은 이송물질내에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입자를 유체로부터 여거하나 극히 작은입자는 여거하지 않도록 선택된 공극률을 가진다. 이러한 크기의 입자가 이송물질층에 공존하고 있다면, 이것은 여과직물회선내의 바로 아래 개구부에서 발생하므로 이 개구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우수한 결과는 슬리이브의 내표면부가 이송물질과 동일한 물질인 경우에 실현되었다.
슬리이브의 내표면부와 외표면부가 다른 경우, 이들은 링에 인접한 여과직물 튜브의 내표면상에 위치해야 하는 원주 이음매에서 함께 꿰멜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된 가요성 필터백은 고압필터용기의 강성원통형 바스켓내에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필터백의 개방단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여과한후 필터백을 통해 방사상으로 외향시킨다.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는 제 1 단계에서, 튜브(10)는 열가소성섬유의 제 1 가요성 여과직물(12)와 가요성 유체투과성 비여과이송물질(14)를 함께 원통형 맨드렐(16)상에 랩핑시킨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가요성 여과직물(18)로 오버랩핑 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제 1 여과직물(12)의 전연부(19)는 맨드렐에 인접배치되며, 이송물질(14)의 전연부(20)은 제 1 여과직물의 전연부(19)뒤에 단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물질(14)는 제 1 여과직물(12)보다 다소 좁다. 전연부(19)에서 시작되어 맨드렐(16)의 대략 한 원주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제 1 여과직물(12)의 길이(22)는 균일크기의 복수의 원형구멍(22a)을 구비하야 성형된다. 맨드렐(16) 원주의 약 1 내지 2배 정도의 제 2 길이(24)는 균일크기의 복수의 원형구멍(24a)을 구비하여 성형되며, 각각의 면적은 구멍(22a)보다 작고, 원주의 약 2 내지 3배 정도의 제 3 길이(24)보다는 크며, 제 1 여과직물은 원형구멍(26a)를 구비하여 성형되며, 각각의 면적은 구멍(24a)보다 작다. 제 2 여과직물(18)은 이러한 구멍들로부터 유리되어 있으며 다수의 회선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진다. 제 2 여과직물(18)의 세로방향 테두리(27)은 제 1 여과직물(12)의 당해 세로방향 테두리(28)을 지나 옵셋되어 있다.
맨드렐(16)으로부터 튜브(10)을 제거한후, 강성의 얇은 금속링(31)을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여과직물(18)의 옵셋된 세로방향 테두리(27)의 내측이나 제 1 여과직물의 내측이 아닌 튜브에 끼워맞추고, 옵셋된 세로방향 테두리(27)의 회선을 커프(32)가 형성되도록 링(31)주변에 내향되도록 주름을 잡는다(제 5 도 참조). 제 1 여과직물(12)와 이송층(14)은 짧아서 링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커프형성시에 링에서 주름을 잡을 수 없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슬리이브(34)는 원주형 이음매(36), 강성의 강화직물커버(38) 및 예비여과직물(40)을 결합시킴으로써 성형되며, 이들 각각은 여과대상유체의 흐름에 대해 약간의 내성을 가진다. 커버(38)과 예비여과직물(40)은 꿰메어진 세로방향 이음매(42)를 가진다. 예비여과직물(40)에 의해 형성된 슬리이브 부위의 직경은 원주형이음매(36)이 링(31)에 인접한 튜브의 내측에 당접할때까지 튜브(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정도이다. 강화직물커버(38)의 대직경은 그 자유단이 튜브의 링자유단과 대략 당접할때까지 튜브(10)을 풀오버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렇게한후, 커버와 튜브의 자유단을 소세지 캐이싱방식으로 모은후 가압하여 여과직물(12) 및 (18)의 열가소성섬유를 용융시킴으로써 시일(45)를 성형한다. 예비여과직물(40)과 이송물질(14)의 회선은 시일에서의 주름 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단부가 시일(45)에 약간 못미친다.
강화섬유커버(38)이 열가소성 섬유로 성형되는 경우, 이들은 제1 및 제 2 여과직물(12) 및 (18)과 함게 용융되어 시일(45)의 일부를 형성한다. 금속클램프(46)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45)를 보호하여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48)을 형성한다. 클램프(46)은 고압의 유체여과시에 용융섬유의 탈라미네이트화를 방지한다.
사용시, 가요성 필터백(48)은 가압여과용기(도시하지 않음)의 강성여과 바스켓에 끼워맞추어지며 그 링단부가 클램프되어 링(31)내의 오리피스를 통해 유체를 수용한다. 유체의 일부는 제 1 여과직물(12)의 제1 또는 최내각회선(22)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구멍(22a)를 통과한다. 이러한 부분이 이송직물(14)의 바로아래 회선을 통해 통과하여 당접된후, 이러한 유체당접부의 일부는 여과직물의 무공 제 2 회선(24)에 의해 여과되지 않고 구멍(24a)를 통과한다. 결국, 모든 유체는 제 2 여과직물(18)의 하측회선에 의해 여과된다.
본 발명의 가요성 여과백이 n개 회선의 유공 제 1 여과직물을 포함하는 경우, 100/(n+1)%의 미여과유체가 각 회선의 상기 직물과 제 2 여과직물의 최내각회선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개회선의 유공가요성 여과직물을 사용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으며, 상기 직물 각각은 인접한 상측 회선의 구멍보다 작은 구멍을 구비하여 성형되었고,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멍을 가지지 않은 가요성 여과직물의 10-15개 회선을 사용하였다. 무공여과직물의 다수의 회선은 하나이상의 무공회선의 테두리 주위의 누출에 의해 여과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여과직물(12)의 구멍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다른 형상의 슬릿 또는 개구부도 유용하다.
전술한 여과백을 고압여과바스켓에 삽입하도록 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가요성 여과백은 여과바스켓에 끼워 맞추어서 유체를 원주형으로 수용한후 여과된 유체를 링 단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방법에 있어서, 여과직물은 측로 개구부로부터 유리되어 있는 제 1 회선과 점증적으로 큰 측로개구부를 구비한 연속회선을 가지도록 권취할 수 있다.
슬리이브(34)의 예비여과직물(40)은 유체로부터 이송층에 존재할 수 있는 거의 대부분의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공극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공극률은 상당히 작은 입자는 여거하지 아니하여 유체통과에 대한 다소의 저항성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슬리이브의 내부가 상기의 예비여과를 행하지 않는 공극률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작용은 여과직물 최상부 회선위의 이송물질(14)의 한 회선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실시예 1
하기의 물질들을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여과직물
기본중량 약 20g/m2, 두께 약 0.04cm, 경도 약 5%, 및 등가의 공극경 약 5㎛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취련-미세섬유(BMF)를 Wente, Van A.의 초미세 열가소성 섬유, Industria Engineering Chemistry, Vol. 48, pp. 1342-1346 및 Wente, Van A.등의 초미세 유기섬유의 제조, 1954년 5월 25일자 공개된 Naval Research Laboratories의 보고서 제4364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등가의 공극경은 Micron Rating and Efficiency라는 표제의 3M공보 제70-0701-2170-S호, Product Bulletin #1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이송물질 및 예비여과직물
Fibretex 150, 기본중량 150g/m2, 평균섬유입경 약 2-3데니어 및 경도 약 13%인 James River Corp., Greenville, S.C.의 제품인 침상의 점성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웨브.
슬리이브의 커버
Celestra, 기본중량 약 34g/m2, 두께 약 0.025cm, 등가의 공극경 약 20㎛, 및 경도 약 15%를 가지는 James River Corp.제품인 스펀본드, 핀본드 폴리프로필렌 직물.
여과직물(약 424cm×94cm)에 구멍을 뚫어서 10.2cm 삼각형중심마다 일련의 구멍패턴을 형성시켰다. 각 패턴에서 구멍의 크기는 스트립의 일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감에 따라 감소한다. 각 패턴의 전연 구멍의 중심은 상기 패턴의 다음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5.1cm, 횡방향으로 5.1cm 옵셋되어 있다. 전연부의 중심에서 다음 구멍까지의 각 패턴의 길이는 구멍의 직경과 함께 표 I 에 기록한다.
[표 I]
Figure kpo00001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은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물질(14)(424cm×61cm)의 스트립을 평탄면상에 놓은후,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유공여과직물(424×94cm)를 투명물질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유공여과직물의 트리밍된 세로방향 테두리(28)이 이송물질(14)의 당해 테두리를 지나 5cm 연장되도록 하여 성형하였다. 여과직물의 전연부(19)는 이송물질의 전연부(20)을 지나 약 2.5cm 연장되어 있다. 이어서, 이들은 유공여과직물(12)의 전연부(19)가 시작하는 13.65cm직경(42.9cm의 원주)의 원통형 맨드렐을 랩핑한다. 무공 제 2 여과직물(18)의 스트립(1080cm×102cm)은 평탄면상에 놓고, 그 위에는 무공여과직물의 전연이 이송물질(14)의 후연과 5cm만큼 중첩되도록 놓았다. 무공여과직물의 세로방향 테두리(27)은 유공여과직물(12)의 트리밍된 테두리(28)을 지나서 약 13cm 연장시켰다. 이어서 무공여과직물의 스트립은 이미 랩핑된 구조물을 랩핑하였으며, 맨드렐로부터 얻어진 튜브(10)을 제거하였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강철링(31)(직경 18cm, 횡단 직경 0.25cm)을 튜브(10)의 단부에 약 7.6cm 끼워맞추고, 무공여과직물(18)의 연장회선은 상기 링둘레에서 내향하도록 주름잡아서 커프(32)를 형성하였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34)는 그 커버부(38)의 직경이 대략 19.5cm 및 길이가 100cm가 되고 그 예비여과직물부(40)의 직경이 대략 14cm 및 길이가 60cm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이음매는 폴리프로필렌 드레드로 제조하였다. 슬리이브의 예비여과직물부(40)을 튜브(10)에 삽입하여 그 원주이음매가 링(31)에 인접한 튜브내측에 당접하도록 하였다. 커버부(38)은 링(31)둘레에서 주름을 잡아서 튜브(10)의 외측에 풀오버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튜브의 링 자유단에서 예비여과직물(40) 또는 이송물질(14)를 제외하고 커버(38)와 여과물질(12) 및 (18)의 단부를 약 1.6cm 직경의 압축다이에 삽입하였다. 주위온도에서 600 내지 1000바의 압력을 다이에 인가함으로써 여과직물과 슬리이브의 단부를 용융하여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필터백(48)을 제조하였다. 시일(45)는 길이가 약 2.5cm이었고, 시일 이상의 물질은 트리밍제거하였다. 시일의 연속성은 Oetiker Co.(Livingston, N.Y.) 제품인 #198R 금속 클램프 46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하였다. 최종백(48)은 길이가 약 81cm이었다.
가요성 필터백(48)의 성능은 고압필터용기내에서 물의 공격흐름으로부터 제어된 입자상의 슬러리를 제거하여 추정하였다. 가압여과용기는 Filtration Systems Corp.(West Babylon, NY) 제품으로서, 가요성 필터백에 의해 액체를 여과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기이다. 입자상의 슬러리는 2.6g/l 농도의 AC Fine Air Cleaner Test Dust(A.C. Spark Plug Division, General Motors Corp., Flint, MI)의 현탁액이며, 약 7.5l/분의 속도로 시험필터백상측의 공격흐름에 혼합하였다. 공격흐름은 94l/분의 유속으로 유지되는 약 450l의 재순환류로 구성되었다. 필터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여액을 수용탱크에 보내고, 이것으로부터 재순환시켰다. 필터백의 압력강하를 측정하고, 계의 압력이 2000밀리바가 되었을때 시험을 종료하였으며, 이때의 부하는 450g인 것으로 계측되었다.
필적할만한 효율과 크기를 가진 시판 가요성 필터백에 대하여 유사한 시험을 한 결과, 상기 시험조건하에서 부하용량이 100g 미만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제어유속이 10gal/분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3M Product Bulletin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효율을 측정하였다. 7개의 시험백에 대한 평균결과는 표 II에 기록한다.
실시예 2
구멍을 뚫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여과직물로부터 본 발명의 제 2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였다.
이 여과직물(약 910cm×100cm)의 스트립은 17.5cm 직경의 맨드렐 주위에 랩핑하여 20회선의 튜브를 제조하였다. 튜브를 맨드렐로부터 제거한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얇은 스테인레스 강철링을 튜브(10)의 일단부에 약 7.6cm 끼워맞추고, 여과직물의 연장부를 링둘레레 내향하도록 주름잡아서 커프를 성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커버물질 조각으로 직경이 약 19.5cm이고 길이가 220cm인 슬리이브를 성형하였다. 슬리이브를 튜브에 삽입하여 이것이 튜브의 링-포함단부를 지나 약 110cm 연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의 연장부가 튜브의 링-자유단부에 도달할때까지 링을 풀오버하도록 하였다. 다이를 사용하여 튜브와 슬리이브의 밀봉된 링-자유단부에 600-1000바의 압력을 인가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칫수를 가지는 가요성 필터백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하였을때, 그 효율은 표 II에 기록한 바와 같았다.
[표 II]
Figure kpo00002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터백 전체가 동일한 공극경을 가지는 여과물질을 사용하였으나, 하층의 공극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여과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요성 필터백에 있어서, 가요성 여과직물을 미합중국 특허 제3,971,373호(Braun)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백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하여 작용하는 입자부하 미세섬유시이트로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또는 오일 스케빈저, 탈색제, 염소화제 또는 촉매와 같은 물질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물질과 결합한 가요성 여과직물의 회선으로 구성되는 백은 여과작용과 더불어 상기 물질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Claims (17)

  1. 가요성 여과직물이 그 자체가 다수의 회선을 가지도록 권취되어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의 일단부가 구조팅에 고정되어 개방드로우트를 형성하며, 상기 튜브의 링자유단부가 함께 밀봉되어 이음매가 없은 여과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링에서만 개방되어 있는 가요성 필터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하에 유체를 여과하는데 유용한 가요성 필터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직물이 링둘레에 내향하도록 주름잡혀서 커프를 형성하고, 가요성, 유체 투과성 슬리이브가 상기 튜브의 외표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상기 커프둘레에 연장되는 가요성 필터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가 열가소성 섬유로 성형되고 그 자유단부가 상기 튜브의 링자유단부에서 가요성 여과직물과 함께 밀봉되는 가요성 필터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직물의 적어도 하나의 회선이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각 개구부의 크기는 여과하고자하는 유체중의 오염물질보다 크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선이 하측에 있는 여과직물의 회선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리되어 상기 유체의 일부가 여과직물에 의해 여과되기전에 상기 하측 회선에 도달할 수 있도록 된 가요성 필터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직물의 복수의 회선이 각각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각 개구부를 포함 회선의 개구부의 총면적이 상기 여과직물의 상측회선중 어느 하나에 있는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가요성 필터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직물의 인접 개구부 포함 회선이 가요성, 비여과성, 유체투과성 이송물질에 의해 분리되는 가요성 필터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가 이송물질중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입자를 유체로부터 유거함과 아울러 극히 작은 입자는 여거하지 않는 공극률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터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의 외부 및 내부가 링에 인접한 여과직물 튜브의 내표면에 위치한 원주형 이음매에서 결합되는 가요성 필터백.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밀봉단부가 소세지 캐이싱방식으로 모아져서 밀봉되는 가요성 필터백.
  10. 제 9 항에 있어서, 여과직물의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가요성 필터백.
  11. 제10항에 있어서, 여과직물의 열가소성 섬유가 취련미세섬유인 가요성 필터백.
  12. 하기의 단계로 1) 내지 7)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 1) 원통형 맨드렐상에 용융성 섬유의 가요성 여과직물의 다수의 회선을 랩핑하여 튜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2) 맨드렐로부터 튜브를 제거하는 단계, 3) 튜브의 일단부에 구조링을 끼워맞추는 단계, 4) 상기 튜브의 상기 일단부를 링둘레에 내향하도록 주름잡아서 커프를 형성시키는 단계, 5) 대략 튜브의 직경 및 튜브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가요성, 유체투과성 슬리이브를 형성시키는 단계, 6) 상기 튜브의 외표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튜브의 링단부 둘레에 연장되도록 튜브둘레에 슬리이브를 끼워맞추는 단계, 및 7) 상기 슬리이브와 튜브의 자유단부를 압착하여 튜브의 섬유를 밀봉함과 아울러 상기 슬리이브의 단부를 튜브의 밀봉 단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이음매가 없는 여과부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링에서만 개방되어 있는 대략 원통형의 백을 형성시키는 단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가 용융성 섬유로 형성되고, 단계 7)이 슬리이브의 섬유를 여과직물의 섬유와 함께 용융하는 단계인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직물의 섬유가 취련미세섬유인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튜브의 원주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진 여과직물의 일부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시키되, 각 개구부의 크기는 여과하고자 하는 유체중의 오염물질보다 크게하여, 튜브의 원주와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진 여과직물의 다른 일부는 상기 개구구부로부터 유지시키고, 단계 1)에서 상기 여과직물은 각 개구부포함 회선이 각 개구부 유리 회선의 상측에 있도록 랩핑시키는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가요성, 유체투과성, 비여과성 이송물질이 여과직물과 회선상으로 권취되어 여과직물의 인접 개구부 포함 회선을 분리하는 한편 단계 4)에서 형성된 주름과 단계 7)에서 압착된 튜브의 자유단부를 짧게 종단시키는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물질의 길이가 여과직물의 개구부 포함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가요성 필터백의 제조방법.
KR1019880011039A 1987-08-31 1988-08-30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KR960012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441 1987-08-31
US07/095,441 US4877526A (en) 1987-08-31 1987-08-31 Flexible filter bag and method of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29A KR890003429A (ko) 1989-04-14
KR960012554B1 true KR960012554B1 (ko) 1996-09-23

Family

ID=2225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039A KR960012554B1 (ko) 1987-08-31 1988-08-30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77526A (ko)
EP (1) EP0308098B1 (ko)
JP (1) JP2562185B2 (ko)
KR (1) KR960012554B1 (ko)
AU (1) AU605617B2 (ko)
BR (1) BR8804427A (ko)
CA (1) CA1315711C (ko)
DE (1) DE3874847T2 (ko)
ES (1) ES203530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125A (en) * 1986-06-05 1991-10-01 Willinger Bros., Inc. Filter cartridge
FR2677267B1 (fr) * 1991-06-04 1994-07-08 Lucas France Filtre pour liquide assurant un degazage permanent.
US5417855A (en) * 1994-02-15 1995-05-23 Isp Investments Inc. Filter bag subassembly
DE9413754U1 (de) * 1994-08-26 1994-12-01 Held Gmbh Ansaugfilter für eine Teichpumpe
FR2754465B1 (fr) * 1996-10-16 1999-01-08 Filtration Poche filtrante a haute capacite de retention
US5755962A (en) * 1996-11-26 1998-05-26 Isp Investments Inc. Filter bag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6511598B2 (en) 1997-09-02 2003-01-28 Moshe Gershenson Concentrically arranged filter element assembly
US6036735A (en) * 1998-03-17 2000-03-14 Jps Converter And Industrial Fabrics Corporation Finish for glass fiber fabric
AU760872B2 (en) 1998-10-05 2003-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and method of filtering a fluid
US20030006186A1 (en) * 1998-10-05 2003-01-09 Pulek John L. Spiral wound depth filter
WO2003066473A1 (fr) * 2002-02-04 2003-08-14 Manchiu Li Sac de conservation sous vide
US6872309B2 (en) 2002-10-04 2005-03-29 Hayward Filtration, Llc Filter bag assembly
SI1415699T1 (en) * 2002-12-06 2004-12-31 Eurofilters N.V. Filter medium for a vacuum cleaner bag
US6875346B2 (en) * 2002-12-26 2005-04-05 Diane N. Fox Filter
AU2004273852A1 (en) * 2003-09-12 2005-03-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collapsible dual filter element
US20060108277A1 (en) * 2004-11-19 2006-05-25 Fall Brian L Circumferentially pleat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7288189B2 (en) * 2005-02-11 2007-10-30 Bonifer Jeffery P Multi-faceted intake filter for an aquarium
TWI387478B (zh) * 2005-08-31 2013-03-01 Eaton Corp 流體過濾器
US8545658B2 (en) * 2005-11-09 2013-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filter sleeves having circumferential pleats for use in a bag-type filter assembly
EP1992400A1 (en) * 2007-05-18 2008-11-19 Vlaamse Instelling Voor Technologisch Onderzoek (Vito) Membrane bag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11507686A (ja) 2007-12-21 2011-03-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ィルター装置
WO2009135529A1 (en) * 2008-05-07 2009-11-12 Agfa-Gevaert Membrane bags with seamless membrane substance, uses thereof, filtration units therewith and manufacturing processes.
US10414671B2 (en) 2014-04-10 2019-09-17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Filter assembly with locking cover
US11911720B2 (en) 2014-04-10 2024-02-27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Fluid purification device
USD742997S1 (en) 2014-04-10 2015-11-10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Water purification media device
US9737855B2 (en) * 2014-06-17 2017-08-22 W. L. Gore & Associates, Inc. Filtration article containing a filtration material containing fibrous layers having different lengths
US11148082B2 (en) 2015-04-10 2021-10-19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Fluid purification device
USD849886S1 (en) 2017-08-28 2019-05-28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Water purification device
US11154800B2 (en) 2015-04-10 2021-10-26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Fluid purification device
USD907742S1 (en) 2018-03-07 2021-01-1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Water purification media device
DE102018108986A1 (de) * 2018-04-16 2019-10-17 FAUDI Aviation GmbH Filterelement, Koaleszenzabscheid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USD958928S1 (en) 2018-11-01 2022-07-26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Water purification media device
CN113197729B (zh) * 2021-04-30 2022-08-30 重庆市九龙坡区中西医结合医院 车载医用担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85246A (en) * 1923-01-29 1926-05-18 Hoy Ole Filter
US2364069A (en) * 1943-08-27 1944-12-05 Eureka Vacuum Cleaner Co Vacuum cleaner bag
DE966984C (de) * 1951-10-25 1957-09-26 Bosch Gmbh Robert Fluessigkeitsfilter aus spiralig gewickelten Filterstoffstreifen
US3006480A (en) * 1958-09-19 1961-10-31 Luber Finer Inc Gathered sock oil filter
US3037637A (en) * 1960-04-26 1962-06-05 Mine Safety Appliances Co Spiral roll filter unit
US3457707A (en) * 1965-03-30 1969-07-29 Studley Paper Co Vacuum cleaner filter bag
US3419151A (en) * 1966-11-15 1968-12-31 American Felt Co Strainer bag construction
FR1530641A (fr) * 1967-05-19 1968-06-28 Prat Daniel S A Appareil de contact gaz-liquide pour la filtration des microbrouillards
US3774769A (en) * 1971-11-22 1973-11-27 Gaf Corp Liquid filter pressurized apparatus
US4039448A (en) * 1974-10-25 1977-08-02 Kenji Etani Filter with an open-cell elastomeric foam
US3937621A (en) * 1974-11-25 1976-02-10 Phillips Petroleum Company Filter bag cuff
DE2608618C3 (de) * 1976-03-02 1980-10-30 Wilhelm Koepp Zellkautschuk, 5100 Aachen Filterkerze für die Aufbereitung von Trink- und Brauchwassern
US4398931A (en) * 1982-05-19 1983-08-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eramic fabric filter
US4600512A (en) * 1982-12-08 1986-07-1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module
US4545833A (en) * 1984-03-08 1985-10-08 Tafara Peter T Method of making a filter bag assembly
US4543113A (en) * 1984-08-10 1985-09-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iform minimum-permeability woven fabric, filter, and process therefor
JPS6287712U (ko) * 1985-08-15 1987-06-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5617B2 (en) 1991-01-17
US4877526A (en) 1989-10-31
DE3874847D1 (de) 1992-10-29
JP2562185B2 (ja) 1996-12-11
CA1315711C (en) 1993-04-06
AU2099488A (en) 1989-03-02
EP0308098B1 (en) 1992-09-23
JPS6470118A (en) 1989-03-15
ES2035305T3 (es) 1993-04-16
KR890003429A (ko) 1989-04-14
BR8804427A (pt) 1989-03-28
EP0308098A1 (en) 1989-03-22
DE3874847T2 (de) 199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554B1 (ko) 가요성 필터백 및 그 제조방법
AU606448B2 (en) Flexible filter element employing filtering sheets formed with bypass openings
EP0335571B1 (en) Spiral wrapped fluid treatment element
US8075720B2 (en) Circumferentially pleated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232595A (en) Deep bed filter, method of manufacture of a filter layer and a filter module
US7438812B2 (en)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US5358638A (en) Multiple layer filter bag including abrasion-resistant material
US4479874A (en) Convoluted plural layer filter assembly
US3394815A (en) Tubular filter elements
JPH0639222A (ja) ポリエステルバッグフィルター
CN106232977A (zh) 水分离装置的聚结元件和水分离装置
TR201815906T4 (tr) Baski fi̇ltresi̇ni̇n fi̇ltreleme elemani i̇çi̇n bağlanti elemani ve bağlanti elemanini i̇çeren baski fi̇ltresi̇.
JP2001513432A (ja) 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ケースを有するフィルタ要素
CA1180287A (en) Polymer filter cartridge of glass fibers coated with fluoroethylene polym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5156661A (en) Bag filter with thermoplastic tape-sealed sewn seam
US4247394A (en) Filter element and method of use
KR100455597B1 (ko) 필터
JP593742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2013248562A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US20220193585A1 (en) Filter element, filter media, and methods of making same
BRPI0619115A2 (pt) elemento de filtro
GB2244938A (en) Filter element
JPH05285319A (ja) 水処理材
JPS62262708A (ja) 微孔性濾過膜に使用する支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