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833B1 -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833B1
KR960011833B1 KR1019910019659A KR910019659A KR960011833B1 KR 960011833 B1 KR960011833 B1 KR 960011833B1 KR 1019910019659 A KR1019910019659 A KR 1019910019659A KR 910019659 A KR910019659 A KR 910019659A KR 960011833 B1 KR960011833 B1 KR 96001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telephone set
data line
line terminal
public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993A (ko
Inventor
브루노 앙드레
피쉬 쟈크
마르땡 쟝
보티에르 레미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죤디. 크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죤디. 크레인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01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베이스 카드에 부착된 커플러를 예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역 코드 검증 과정의 흐름도.
제4도는 발신 호출에 대한 처리의 흐름도.
제5도는 착신 호출에 대한 처리의 흐름도.
제6a 내지 6d도는 링 검출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7a 및 7b도는 로컬 급전 회로(219)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베이스 시스템 150 : 커플링 장치
200 : 오프-훅 릴레이 201 : 핸드 세트 I/O 릴레이
202, 203 : 팁-링 도선 214 : 다이얼-펄스 회로
217 : 다이얼-루프 회로 218, 225 : 트랜스포머
219 : 로컬 급전 회로 220, 213 : 전화기 세트 도선
222 : 전화기 세트 224 : 링 검출 회로
226 : 멀티플렉서
본 발명은 데이타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 단말 장치(Data Terminating Equipment : DTE)와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 간의 데이타 전송에 관한 것이다.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은 제1지역 데이타 단말 장치(DTE)로부터 원격지의 제2데이타 단말 장치로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데이타 전송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데이타 단말 장치를 전화망에 접속하려면, 특히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Date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 DCE)가 접속될 수 잇는 전화 교환망의 특성에 적합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커플러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또는 모뎀(modem)으로 공지된 장치가 요구된다.
데이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의 강력한 처리 및 사용을 허용하는 고도의 시스템 개발과 더불어, 로컬 전화기 세트(local telephone set)로부터 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통한 음성 전송을 허용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로컬 전화기 세트는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되었을 때만 동작하여 결과적으로 회선 단말 장치를 통해 지역 데이타 단말 장치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으므로, 종래의 공지된 커플러 회로는 이러한 가능성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로컬 전화기 세트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coupling)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 요건에 적합시키고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로컬 전화기 세트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기 위해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로컬 전화기 세트간의 완전한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면서 이들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커플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될 수 있으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접속된 데이타 단말 장치와 로컬 전화기 세트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로컬 전화기 세트와 퍼스털 컴퓨터 시스템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커플링 회로가 부착될 수 있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인터페이스 카드(DCE interface card)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로컬 전화기 세트와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간의 음성 메시지 전송을 허용하는 커플링 장치를 구비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워크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 및 로컬 전화기 세트에 대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이 커플링 장치는 상기 로컬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전화기의 마이크로폰 및 헤드폰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접속된 데이타 단말 장치로부터의 음성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데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러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박스(box)내에 존재하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적합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데이타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 및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며,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 전자 구성 요소(electronic components)를 구비하는 커플러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 커플러는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 음성 메시지가 데이타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기 세트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데이타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 및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더 포함하되, 이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는,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 전자 구성 요소를 구비하여,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음성 메시지가 전화기 세트로부터 데이타 단말 장치로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여 전화기 세트와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송신 및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커플링 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워크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커플러(coupler)(150)에 접속된 베이스 시스템(base system)(120)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공중 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대해 유일한 베이스 시스템(120)과는 반대로, 커플러(150)는 결정된 공중 전화 교환망에 특정되며, 결정된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데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러 회로(150)은 다중 도체 케이블(multiconductor cable)에 의해 베이스 시스템(12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박스 형태(form of box)를 갖는다. 베이스 시스템(120)은 특정 지역의 요건에 따라 전화 교환망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 및 수신하는 데이타 단말 장치로서 동작하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워크스테이션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카드(interface card)내에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카드 형태를 갖거나 혹은 자립형(stand-alone)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형태를 갖는 어떠한 형태의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도 관계됨에 주목해야 한다. 한가지 특정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스템(120)은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에 포함되며, 커플러 회로(150)는 이 휴대용 시스템에 접속된 박스이다. 커플러 회로(150)는, 특히,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국가 전화망의 전기적 요건에 대한 전기적 적합(electrical adaptation)을 제공한다. 베이스 시스템(120)은, 버스(161)를 통해 PROM 기억 장치(162), RAM 기억장치(163), 버스(130)를 통해 커플러(150)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입출력(input/output; I/O)블럭(165) 및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다른 I/O 장치(164)에 접속된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60)는 A/D 및 D/A 컨버터(171,181)와 대역 통과필터(pass-band filter)(172,182)를 통해 하이브리드(hybrid)(173,183)와 통신한다. 하이브리드(173,183)는 각각 데이타 통신 분야에 잘 알려진 2선/4선신(two-wires/four-wires)이다. 하이브리드(173,183)는 2선 세트(103-104,110-111)를 통해 커플러(150)와 통신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스템(120)내의 프로세서(160)는 I/O 회로(165)에 접속된 버스(130)를 통해 커플러(150)를 제어한다. 버스(130)는 다음과 같은 도선으로 구성된다.
도선 100 : 오프훅(off-hook)
도선 101 : 다이얼 펄스(dial pulse)
도선 104 : 다이얼 루프(dial loop)
도선 105-108 : 식별 도선들
도선 109 : 스위치 훅
도선 112 : 핸드셋 입출력(hand-set I/O)
이들 도선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된다. 베이스 시스템(120)은 또한 커플러(150)에 정전압(Vcc)과 접지 전위를 제공하며, 접지 전위는 특히,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컬 급전 회로(local feeder circuit)(219)용으로 사용된다. 커플러 회로(150)의 베이스 시스템(120)에 대한 접속은 다중 도체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플러그에 의해 이루어진다.
PROM 기억 장치(162)는 이후에 제3도 내지 제6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PROM(162)은 또한, 본 발명에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기 연결된 가능성이 있는 상이한 지역에 존재하는 상이한 전화망(telephone networks)을 특징짓는 파라미터(parameter)가 저장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 세트(a set of PSTN tables)를 포함한다. 이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은 특히 전화 라인상의 신호 주파수 범위에 관한 정보와, 특정 공중 전화 교환망을 특징짓는 상이한 신호음(singnalling tones)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PROM기억 장치내에 저장된 이들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은, 데이타 단말 장치(특히 데이타 단말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에 접속된 3.5인치 디스켓과 같은 임의의 저장 장치로부터 RAM 기억장치(163)내로 또한 로드(load)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15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커플러(150)는 고려된 공중 전화망의 '팁-링(tip-ring)' 도선에 접속되고, 이 '팁-링'도선은 프로세서(160)의 제어하에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한 베이스 시스템(120)의 접속을 수행하는 오프훅 릴레이(200)에 접속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팁-링' 도선은 스위치(200)의 두입력 도선(202,203)에 접속된다. 릴레이(200)는 다이얼 펄스(dial-pulse; DP)회로(214)에 접속된 제3입력 도선(205)과, '핸드셋(hand-set) IO'릴레이(201)의 입력 도선(211)에 접속된 도선(206)을 구비하며, 이 릴레이(201)는 제어 도선(112)을 통해 프로세서(160)에 의해 제어된다. 릴레이(200)는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에 연결된 또 다른 입력 도선(215)을 구비한다. 끝으로, 릴레이(200)는 릴레이(210)의 입력 도선(209)에 연결된 입력 도선(207)을 구비한다. 릴레이(201)는 로컬 급전 회로(local feeder voice circuit)(219)에 접속된 입력 도선(208,216)을 구비하며, 그의 동작에 관하여는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릴레이(201)의 입력도선(212,213)은 스위치 훅(SH) 검출 회로(221)를 통해 전화기 세트1(telephone-set1; Ts1) 도선(220)과, 전화기 세트 2(Ts2) 도선(213)에 제각기 접속된다. 릴레이(200)는 원격통신(telecommumication) 분야에서 잘 알려진 오프 훅(off-hook)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60)가 도선(100,112)을 저전위(low level)로 세트하면, 공중 전화 교환망의 '팁-링' 도선은 릴레이(200), 릴레이(201) 및 SH 검출 회로(221)를 통해 전화기 세트에 직접 접속된다. 사용자가 전화기를 핸드셋(hand-set)하면, 도선(220-213)에 전류가 흐르고, 이러한 전류의 흐름은 SH 검출 회로(221)(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토커플러(photocoupler)임)에 의해 검출되어 도선(109)을 통해 프로세서(160)로 전송된다.
프로세서(160)가 공중 전화 교환망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프로세서(160)는 도선(100,101)을 활성화시켜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을 릴레이(200) 및 다이얼-펄스 회로(214)를 통해 '팁-링' 도선에 접속시킨다. 다이얼-펄스 회로(214)는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10진 펄스 발생을 수행한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프로세서(160)는 일련의 단속 신호(break-makes signals)를 도선(101)를 통해 다이얼-펄스 회로(214)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전기 회로가 개방 및 폐쇄된다. 이들 단속 신호의 형태(cadence)는 고려된 특정 공중 전화 교환망에 크게 의존하며, 다수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접속을 허용하는 대응하는 파라미터는 앞서 언급된 테이블내에 저장됨에 유의해야 한다.
다이얼-루프 회로(dial-loop circuit)(217)은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에 병렬로 접속되어 프로세서가 도선(101)상에 단속 신호를 발생할 때 트랜스포머(218)의 단락 회로(short-circuit)를 제공한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다이얼-루프 회로(217)의 제어 입력단에 접속된 다이얼-루프 도선(104)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이얼-루프 회로(217)는 포토 릴레이 회로(photo relay circuit)이다. PROM 기억장치(162)내에 저장된 공중 전화 테이블은 다이얼-루프(217)가 트랜스포머(218) 2차 권선의 단락 회로를 수행하는 주기(perio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 주기는 고려된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을 특징짓는다.
임피던스 적합 회로(circuit for adapting the impedance)(223)는 트랜스포머(218)의 2차측 도선간에 병령로 접속된다. 이 회로는, 전화 라인으로부터 '알 수 있는(seen)'겉보기 임피던스(apparent impedance)를 고려된 공중 전화 교환망에 따라 소정의 결정된 값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트랜스포머(218)는 베이스 시스템과 전화 라인간의 전기적 절연을 성취하기 위하여, 종래의 커플러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의 트랜스포머이다. 도선(206,207)간에는 캐패시터(CI), 저항(RI) 및 링 검출 회로(ring indicate datector)(224)가 직렬연결되어 구성된 회로가 접속된다. 링 검출 회로(224)는 링 전압(ring voltage)을 검출하여 이에 따라 링 표시 도선(113)을 활성화시킨다. 링 표시 도선(113)의 활성화는 I/O 회로(165)(제1도 참조)를 통해 프로세서(160)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이 때 프로세서(160)는 도선(113)상에 나타난 링 표시 신호가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가 접속된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의 요건에 완전히 부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tests)를 실행한다. 이 테스트는 제5도는 착신 호출(incoming call)흐름도와 제6도의 링 검출 처리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릴레이(201)의 도선(208,216)의 로컬 급전 회로(219)를 통해 트랜스포머(225)의 2차 권선에 접속된다. 트랜스포머(225)는 도선(110,111)간에 접속된 1차 권선을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시스템과 전화기 세트간에 전기적 절연을 성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트랜스포머(225)를 생략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로컬 급전 회로(219)는 전화기 세트에 DC전류를 공급하여, 제어 프로세서가 도선(112)을 활성화시킨 경우 전화기 세트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로컬 급전 회로는 제7a도 및 제7b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커플러(150)는 또한 와이어드 8비트 식별 코드(wired 8-bits identification code)를 전달하는 8비트 버스(bus)(227)에 접속된 8개의 입력 도선을 갖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226)를 포함한다. 커플러(150)가 적합되는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을 특징짓는 이 식별 코드는 네개의 도선(105-108)을 통해 제어 프로세서(160)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226)는 다이얼-루프 도선(104)에 접속된 제어 도선을 갖는다. 프로세서(160)가 도선(104)을 활성화시키면, 멀티플렉서(226)는 식별 코드중 네개의 최대 유효 비트(most significant bits : MSB)를 도선(105-108)으로 전송한다. 역으로, 제어 프로세서가 도선(104)를 저 전위로 세트하면, 식별 코드중 최저 유효 비트(least significant bits : LSB)가 도선(105-108)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도선(105-108)의 일련의 두 판독 동작 후, 프로세서(160)는 커플러(150)의 식별 코드를 도출(device)해내고, 이에 따라 커플러가 접속될 수 있는 공중 전화 교환망의 형태가 도출된다.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초기화 단계(initialization step)에서 식별 코드가 프로세서(160)에 인식되면 프로세서는 베이스 시스템(120)에 부착된 특정 커플러에 대응하는 적절한 파라미터를 RAM 기억장치(163)에 로드한다.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커플러(150)는 가능한한 간단해야 하며 고려된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만을 포함해야 한다. 특히, 베이스 시스템(120)과 커플러(150)간의 인터페이스 버스(interface bus)(100-112)는 가능한한 간단해야 한다. 이것은 우선적으로 초기화 단계에서의 멀티플렉서(226) 제어와 다이얼-루프 회로(217)의 제어를 위해 동일한 도선(104)을 사용함으로써 성취된다. 커플러(150)의 식별 코드 판독 단계는 머신(machine)이 파워 온(power on)된 후 수행되는 초기화 기간에 발생하는 반면에, 다이얼-루프 회로(217)의 제어는 초기화 기간 이후에만 유효하므로, 두 제어 목적으로 동일한 도선(104)을 이용하여도 멀티플렉서(226)와 다이얼-루프 회로(217)의 동작은 서로 방해받지 않는다. 사실상 프로세서(160)가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통신하지 않는 한, 도선(100, 112)은 저 전위로 유지되어 전화기 세트(222)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식별 코드중 네개의 최대 유효 비트를 판독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도선(104)을 갖는, 프로세서(160)에 의한 초기화 기간동안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에 나타나는 단락 회로는 공중 전화 교환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베이스 시스템(120)과 커플러(150)간의 인터페이스의 간략화는 단지 네개의 도선(105-108)을 통해 8비트 코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플렉서(226)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제3도는 앞서 설명된 초기화 기간내에 포함되는 국가 코드 검증 단계(country code validation step)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301)에서, 머신이 파워-온되면,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내에 포함된 베이스 시스템(120)은, 특히 머신의 주요 특징에 대한 내부 테스트로 구성되는 파워-온 시퀀스(power-on sequence)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302)에서, 프로세서(160)는 I/O 회로(165)를 통해 도선(104)를 활성화 시켜 결국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에 단락 회로를 형성하게 하는 동시에, 식별 코드중 네개의 최대 유효 비트를 도선(105-108)으로 전송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218)는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단락 회로는 교환망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계(303)에서 프로세서(160)는 4개의 최대 유효 비트를 RAM 기억 장치(163)에 로드한다. 다음으로, 단계(304)에서, 프로세서(160)는 도선(104)을 비활성화시켜, 식별 코드중 4개의 최소 유효 비트가 도선(105-108)으로 전송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한 단락 회로를 억제한다. 이때 최소 유효 비트는 단계(305)에서 RAM(163)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단계(306)에서 프로세서(160)는, 멀티플렉서(226)로부터 판독된 완전 8비트 식별 코드를 PROM(162)내에 저장되어 이용가능하고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가 커플러(150)를 통해 접속될 가능성이 있는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제각기 대응하는 식별 코드의 목록(list of identification code)에 비교한다. 커플러(150)로부터 판독된 코드가 PROM(162)내의 저장된 리스트중 한 코드와 부합되지 않으면, 이때 프로세서(160)는 베이스 시스템(120)이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워-온 처리를 중지하고 도선(100-112)을 저 전위로 유지한다. 반면에, 커플러(150)로 판독된 코드가 인식된 경우에, 프로세서(160)는, 다이얼 톤(dial tone), 링(ring) 등과 같은 인식된 공중 전화 교환망의 특성 파라미터를 PROM(162)으로부터 RAM(163)내로 로드한다. 앞서의 설명에서 더욱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플러(150)가 적합되는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의 특정 파라미터는 특히 다이얼 톤 및 링 검출을 위한 테스트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4도는 발신 호출(out-going call) 처리를 예시한다. 이 처리는, 단계(401)에서, 부착된 데이타 단말 장치로부터의 요구(request) 또는, 베이스 시스템 카드(120)가 플러그(plug)되는 퍼스널 컴퓨터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초기화된다. 단계(402)에서, 프로세서(160)는 스위치 훅(SW hook) 도선(109)의 상태가 테스트한다. 스위치 훅 도선이 액티브(active)이고, 사용자가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전화기 세트(222)로 통신하고 있는 경우, 이 요구는 금지(abort)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통지된다. 반대의 경우에는, 공중 전화 교환망이 통신 세션(communication session)동안 이용 가능하며, 프로세서(160)는 오프훅 도선(100)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403)로 진행한다. 그라고 나서, 프로세서(160)는 단계(404)로 진행하여 도선(202,203)에 전화 라인상의 다이얼 톤이 나타나는 것을 기다린다. 이 다이얼 돈은 컨버터(171), 필터(172), 하이브리드(173)를 통해 프로세서(160)로 전송된다. 그러면, 프로세서(160)는 수신된 다이얼 톤의 주파수, 지속 기간(duration), 진폭(amplitude)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된 다이얼 톤에 대한 디지탈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일단 프로세서(160)에 의해 이러한 값들이 결정되면, 이들 값은, RAM(163)내의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내에, 커플러(150)의 식별후 적절한 파라미터 값으로 로드되어 저장된 값들과 비교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RAM(163)내로 로드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은 특정의 공정 전화 교환망에 대응하는 값들의 범위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경우, 프로세서(160)로 수신된 다이얼 톤은 406Hz와 474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60)는, 수신된 다이얼 톤이 접속된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의 요건과 완전히 부합하는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값이 상기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내에 저장된 특성 파라미터와 부합하지 않으면, 이것은 공중 전화 교환망이 고장 상태(failure state)인 경우 또는 사용자가 잘못된 커플러(150)(예를 들면,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용으로 설계되지 않는 커플러)를 플러그한 경우에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처리가 금지되고 도선(100-112)는 저전위로 유지되어, 베이스 시스템 카드(120)와 공중 전화 교환망 사이에 어떤 통신도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한다. 반대의 경우, 처리는 단계(405)로 진행하며, 프로세서(160)는 RAM(163)내에 저장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내로 10진 또는 DTMF 펄스중 어느 것이 요구되었는가를 판독한다. 10진 펄스가 요구된 경우, 프로세서(160)는 도선(101)을 연속적으로 활성화 비활성화시켜 적절한 단속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펄스 발생과 동시에, 프로세서(160)는 다이얼-루프 도선(104)을 활성화시켜 트랜스포머(218)의 2차 권선에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RAM(163)내에 저장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은, 고려된 공중 전화 교환망과 완전히 부합하는, 다이얼 펄스 도선(101)의 연속된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한정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반면에, DTMF 펄스가 요구된 경우, 이때 프로세서(160)는 단계(407)로 진행하여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해 도선(102, 103)상으로 적절한 톤을 발생하며, 이 적절한 톤은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의존하는 파라미터(주파수, 지속시간)에 따라 발생되며, 앞서 언급된 테이블내에 저장된다. 단계(408)에서, 프로세서(160)는 앞서 언급된 공중 전환 교환망 테이블내에 저장된 파라미터와 부합하는 특성을 갖는 응답 톤(answer tone)을 대기한다. 응답 톤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60)은 단계(409)로 진행하여 발신 호출의 설정 처리를 완료한다. 이 때부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베이스 시스템(120)은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원격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의 통신할 준비가 이루어진다.
제5도 및 제6도는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의 요건에 따라 링 신호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인 착신 호출(incoming call)처리를 예시한다. 링 검출 회로(224)의 입력단의 전화 라인상의 나타나는 링 신호는 제6a도와 관련하여 설명되며, Toff기간의 무신호(silence)에 의해 분리된, Ton기간 동안 나타나는 연속된 버스트(a succession of bursts)로 구성된다. 기본 사인파(elementary sinusoidal wave)가 제6b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링 검출 회로(224)는, 제6c도와 관련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DC 성분을 억제하는 제1기능을 갖는다. 링 검출 회로는 제6c도의 신호에 대한 전파 정류 동작(full-wave rectifying operation)을 수행하며,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류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이 신호는 공중 전화 교환망의 특성에 의존하는 임계 값(threshold value)과 비교된다. 이것은 특히, 링 검출 회로(224)의 구성, 더욱 일반적으로 여기에 포함된 전자 구성요소들의 구성이 커플러(150)가 접속되는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밀접하게 의존하며, 이 특정의 공중 전화 교환망은 버스(227)상에 연결된 식별 코드에 의해 한정됨을 보여준다. 반면에, 베이스 시스템은 모든 고려된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해 유일하다. 베이스 시스템 카드(120)는 PROM(162)내에 저장된 적절한 파라미터를 RAM(163)에 로드하므로써 적합되며, 이들 파라미터는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초기화 단계 동안 커플러(150)로부터 판독된 식별코드에 대응한다. 정류된 신호를 앞서 언급된 임계 값과 비교하게 되면 링 표시(R1) 도선(113)상에 제6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파 신호(squared wave signal)가 제공된다. 이 때 프로세서(160)는 제5도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방형파 신호를 분석하여 검출된 링 신호의 유효성(validity)을 결정한다. 신호의 분석은 먼저 단계(501)에서 링 표시 도선(113)상에 네가티브 천이(negative transition)가 발생했는가를 검출하기 위한 테스트로 시작한다. 네가티브 천이의 발생시(t0)에 프로세서(160)는 단계(502)에서 도선(113)상의 방형파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그 다음 네가티브 천이의 발생을 기다리며, 발생하면 시간(t1)에서 두 개의 첫번째 네가티브 천이간의 주기 T0=t1-t0를 측정한다. 이러한 주기 T를 측정하므로써, 프로세서(160)는 링 신호의 주파수 값을 산출하여 이를 제3도의 초기화 단계에서 로드되었던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내에 로드된 범위에 비교한다. 이러한 링 주파수 산출 결과가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접속된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응하는 테이블에서 허용된 최소 값과 최대 값 사이의 범위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단계(501)로 진행한다. 포함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단계(503)로 진행하여 시점(t1)으로부터 그 다음 포지티브 천이(positive transition)가 발생하는 시점(t2)을 분리하는 주기(T1)를 측정한다. 그리고 나서, 단계(503)에서 프로세서(160)는 이 측정된 주기(T1)가 RAM(163)내에 로드된 공중 전화 교환망 테이블에 저장된 값의 범위내에 포함되는가를 검사한다. 주기(T1)가 허용된 최소값(T1min)과 최대값(T1max)사이의 범위내에 포함되면, 프로세서(160)는 단계(5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링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처리는 단계(501)로 되돌아간다. 단계(504)에서, 프로세서(160)는 시점(t2)으로부터 그 다음 네가티브 천이가 발생하는 시점(t3)을 분리하는 주기(T2)의 측정을 수행하여 그 측정된 값을 검사한다. 이 측정된 값이 허용치(T2min, T2max)의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5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서(160)는 단계(501)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60)는 시점(t3)로부터 그 다음 네가티브 천이가 발생하는 시점(t4)을 분리하는 주기(T3)의 측정을 수행한다. 이 측정된 값(T3)이 허용치(T3min, T3max)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판정되면, 이때 처리는 단계(50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501)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값(T1, T2, T3)을 연속적으로 테스트하므로써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는 링 검출 회로(224)의 입력단에 나타날 수도 있는 노이즈에 대체로 무감하게 된다. 노이즈에 대한 면역성(immunity)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링 검출 회로(224)는 또한(제2도에 도시되지 않은) 슈미트 트리거(Schmidt trigger) 회로를 포함한다. 단계(506)에서, 프로세서(160)는 도선(113)상의 방형파 신호의 저 전위에 대응하는 주기의 연속적인 측정을 수행하여 제6a도에 도시된 무신호 주기(Toff)의 개시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도선(113)상의 신호가 저 전위로 유지되는 측정된 주기를 RAM(163)내의 테이블에 로드된 제2사전 결정된 임계치에 비교한다. 측정된 주기가 이 제2임계치와 동일하면, 프로세서(160)는 단계(507)에서 도선(100,101)을 활성화시키므로써 전화 라인의 점유를 수행한다. 이 제2임계치는 전화 라인의 점유가 링신호의 무신호에 대응하는 주기(Toff)의 대략 중간에서 수행될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전화 라인상에 에너지가 존재하는 주기(Ton) 동안 전화 라인을 점유하는 것은 커플러(150), 특히, 트랜스포머(218)에 큰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화 라인의 점유는 전화 라인상에 에너지가 존재하는 동안에는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에서, 도선(113)의 신호가 저 전위가 되는 주기를, 커플러의 식별 코드에 대응하며 제3도의 초기화 단계 동안에 로드된, RAM(163)내의 테이블에 저장된 제2임계치에 비교하므로써 성취된다. 프랑스에서는 두개의 연속적인 링이 대략 3초의 무신호 주기에 의해 분리되므로, RAM(163)내에 로드된 프랑스 공중 전화 교환망에 대응하는 제2임계치는 1초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150)는 전화기 세트(222)를 여러가지 상이한 모드(modes)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제1모드에서, 전화기 세트는 통상적인 것으로서 사용되어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한다. 제2모드에서, 커플러(150)는 전화기 세트(222)로부터의 음성을 베이스 시스템(120)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하며, 프로세서(160)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데이타 통신 세션을 수행한다. 이 제2모드에서 음성은 도선(202,203)을 통한 데이타 통신과 동시에 통신된다.
제1모드는 도선(100,112)을 비활성시키므로써 성취된다. 따라서, 전화기 세트(222)는 릴레이(200,201)를 통해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된다. 이 온-훅(on-hook)모드에서, 전화기 세트(222)는 사용자에 의해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음성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모드 또는 오프-훅(off-hook)모드는 도선(100, 101)을 활성화시키고 도선(112)을 비활성화시키므로써 성취된다. 이것은 도선(102,103)을, 트랜스포머(218), 임피던스 적합 회로(223), 다이얼-루프 회로(217), 다이얼-펄스 회로(214) 및 릴레이(200)를 통해 전화 교환망에 접속시킨다. D/A 컨버터(171)로 디지탈 데이타를 전송하므로써, 반대로 A/D 컨버터(171)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처리하므로써, 프로세서(160)는 원격 데이타 단말 장치와 데이타를 교환하거나, 원격 전화기 세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제3모드, 소위 음성 기록 지역 통신 모드에서, 전화기 세트(222)는 음성을 베이스 시스템 카드(120)로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이와 동시에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원격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사이에 가능한 데이타 통신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도선(112)을 활성화시켜, 릴레이(201)를 통해 전화기 세트를 로컬급전 회로(219) 미치 트랜스포머(225)에 접속시킨다. 로컬 급전 회전(219)는 전화기(222)에 연속적인 DC 전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대략 20mA의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전화기 세트(222)의 마이크로폰(microphone)은 릴레이(201), 로컬 급전 회로(219) 및 트랜스포머(225)를 통해 도선(110,111)에 전송되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선(110,111)상에 존재하는 아날로그 신호는 하이브리드 회로(183)로 전송된 뒤, 필터(182)에 의해 필터링(filtering)되어 A/D 컨버터(181)에 의해 디지탈 워드(digital words)로 변환된다. 그리고 나서, A/D 컨버터(181)의 출력단에 나타나는 디지탈 샘플(samples)은 버스(161)상으로 전송되어 프로세서(160)에 의한 더이상의 처리를 위해 RAM(613)에 저장된다. 역으로, 프로세서(160)는 RAM(163)에 위치된 데이타를 판독하여 이들을 버스(161)를 통해 D/A 컨버터(18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 신호는 필터(182) 에 의해 필터링되며, 하이브리드 회로(183)를 통해 도선(110,111)으로 전송된다. 도선(112)이 활성화되면, 음성 메시지(vocal message)는 릴레이(201)를 통해 전화기 세트(222)로 전송된다.
제4모드에서, 프로세서(160)는 앞서의 제2모드 동안에 RAM(163)에 저장되었던 데이타를 전송하며, 이 데이타는 원격 전화기 세트로 전송될 디지탈화된 음성 메시지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제4도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발신 호출을 초기화한다.
통신이 이루어지면, 프로세서(160)는 버스(161)를 통해 디지탈화된 음성 메세지를 D/A 컨버터(171)로 전송한다. 디지탈화된 메시지는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되어 필터(172)에 의해 필터링한 후 하이브리드 회로(173)로 전송된다. 도선(100,101)이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음성 메시지는 릴레이(200) 및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원격 전화기 세트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는 또한 착신 호출을 원격 전화기 세트로 경로배정(routing)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60)는, 음성 메시지가 릴레이(200)를 통해 트랜스포머(218)로 전송될 수 있도록 도선(100)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선(102, 103)에 나타나는 아날로그 신호는 하이브리드(173)로 전송된 후, 계속해서 필터(172) 및 A/D 컨버터(171)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환된 디지탈 샘플은 RAM(163)에 직접 저장된다. 음성 신호가 일단 완전히 저장되면, 프로세서(160)에 의한 통신의 종료 검출시에, 프로세서는 결정된 원격 전화기 세트와의 통신을 위해 발신 호출 처리를 개시한다 호출될 전화기 세트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퍼스널 컴퓨터용 인터페이스 카드로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가 사용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RAM(163)에 또한 저장되어 있는 식별 데이타(identification data)에 의해 식별된다. 결정된 전화기 세트와의 통신확립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일단 결정된 전화기 세트와의 통신이 확립되면, 프로세서(160)는 RAM 기억장치(163)로부터 D/A 컨버터(181), 필터(182) 및 하이브리드(183)로 디지탈화된 샘플을 언로드(unload)하여 아날로그 음성 메시지를 도선(102, 103)상으로 복귀시킨다. 프로세서(160)가 도선(100, 101)을 활성화시켰으므로, 아날로그 음성 메시지는 릴레이(200) 및 공중 전화기 교환망을 통해 원격 전화기 세트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는 원격 전화기 세트로부터 또 다른 원격 전화기 세트로의 전화 호축의 재경로 배정 장치(reroute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는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용 인터페이스 카드로서 사용된 경우에 커플러(150)를 전체적으로 체크하는 테스트 루틴(test routine)을 제공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팁-링 도선(202,203)을 도선(212,213)에 접속하므로써 외부 루프(external loop)가 수행된다. 일단 외부 루프가 확립되면, 프로세서(160)는 도선(100,101,112)을 활성화시킨다. 이에 의해, 로컬 급전 회로(219)는 임피던스 적합 회로(223)에 DC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160)는 D/A 컨버터(171), 필터(172) 및 하이브리드(173)를 통해 도선(102,103)에 테스트 패턴(test pattern)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이 테스트 패턴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가 임피던스 적합 회로(223), 다이얼-펄스 회로(214) 및 릴레이(200)를 통해 트랜스포머(218)로부터 팁-링 도선(202,203)으로 전송된다. 그후, 이 아날로그 신호는 릴레이(201), 로컬 급전 회로(219) 및 트랜스포머(225)를 통해 도선(110,111)으로 되전송된다. 그리고 나서, 이 아날로그 신호는 A/D 컨버터(181)에 의해 다시 다지탈 샘플로 변환되고, 대응하는 수신된 테스트 패턴이 RAM(163)에 저장된다. 그러면, 프로세서(160)는 자신이 전송한 테스트 패턴과 수신된 테스트 패턴을 비교하여 커플러(150)의 구성요소중 하나에 있을 수 있는 고장 여부를 결정하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용 인터페이스 카드로서 사용된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이러한 고장 상태를 보고한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로컬 급전 회로(219)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제7a도에 예시된 첫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 시스템(120)과 전화기 세트(222)간에 전기적인 절연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때 사용되며, PNP 트랜지스터(702) 에 기인한 전류원(current source)에 의해 제공되는 DC 전류가 도선(110,111)을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캐패시터(70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702)는, 일측단이 베이스 시스템(120)에 의해 공급되는 포지티브 전압원(positive voltage source)(Vcc)에 접속된 저항(703)의 타측단에 접속된 에미터(emitter)를 갖는다. 포지티브 전압원(Vcc)은 또한 제1다이오드(704)의 애노드(anode)에 접속되며, 제1다이오드(704)의 캐소드는, 트랜지스터(702)의 베이스 및 저항(706)의 일측단에 공통접속된 캐소드(cathode)를 갖는 제2다이오드(705)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저항(706)의 타측단은 AN2-B 도선(111)(트랜스포머(225)가 필요 없으므로)과 도선(216)에 접속된다. 캐패시터(701)의 일측단은 AN2-A 도선(110)에 접속되며, 타측단은 트랜지스터(702)의 컬렉터(collector) 및 도선(208)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702)는 도선(208,216)을 통해 전화기 세트(222)에 DC 전류를 공급하게 되며, DC 전류의 값은 저항(703)의 값에 밀접하게 좌우되며, R이 저항값일 때 대략 0.7volt/R가 된다.
베이스 시스템(및 이 베이스 시스템(120)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이 공중 전화 교환망 및 전화기 세트(222)로부터 절연되어야 하는 경우, 베이스 시스템(210)과 전화기 세트(222)간에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며, 트랜스포머(225) 및 로컬 급전 회로(219)가 요구된다. 이러한 로컬 급전 회로의 예가 제7b도에 도시되며, 발진 회로(oscillator circuit)를 이용한 DC/DC 컨버터와 제3트랜스포머(712)가 사용된다.
발진 회로는 당 분아에 숙련된 자라면 잘 알 수 있는 형태의 직접 회로(555)를 포함하며, 이 집적 회로(555)는 그 출력단(3)으로 방형파 신호를 제공한다. 이 방형파 신호는, 에미터가 접지되고,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측 한 도선에 컬렉터가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713)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이 트랜스포머 1차 권선의 다른 도선은 포지티브 공급 전압(Vcc)(12Volt)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712)의 2차 권선은, 다이오드(703)에 의해 정류되고, 캐패시터(711)에 의해 필터링되어, 앞서 설명된 트랜지스터(702)에 기초하여 DC 전류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AC 신호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집적 회로(555)는 그의 제1핀(pin)이 접지 전위에 연결되고, 제2 및 제6핀은 저항(716)의 일측단에 연결되되 저항(716)의 타측단은 포지티브 공급 전압(Vcc)에 연결되며, 제3핀은 저항(718)을 통해 트랜지스터(713)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트랜지스터(713)의 베이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며, 제4핀은 베이스 시스템 카드(120)의 제어하에 금지 제어 도선(inhibit control lead)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집적 회로(555)의 제5핀은 캐패시터(719)를 통해 접지 전위에 연결되고, 제7핀은 저항(717)를 통해 저항(716)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마지막으로, 제8핀은 포지티브 공급 전압에 연결된다.
캐패시터(714)은 트랜스포머(712) 1차 권선의 일측단과 접지 전위간에 연결된다. 집적 회로(555)의 제6핀과 제2핀은 또한 캐패시터(715)를 통해 전위에 연결된다. 포지티브 전압원(Vcc)과 접지 전위간에는 감결합(decoupling)을 목적으로 캐패시터(720)가 접속된다.
트랜스포머(225,712)는 요구된 전기적 절연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영국의 공중 전화 교환망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커플러의 경우에는 3KV의 절연이 요구된다.
이하에 첨부된 표는, 초기화 단계 동안에 RAM(163)에 저장되며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을 특징짓는 몇개의 파라미터를 더욱 상세히 예시한 것이다. 이 파라미터는 두개의 다른 예, 즉, 프랑스와 독일에 대한 것을 나타낸다.

Claims (17)

  1. 데이타 단말 장치(data terminal equipment)에 접속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data circuit terminal equipment)를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ched telephone netwok)과 로컬 전화기 세트(local telephone set)(222)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150)에 있어서, 상기 로컬 전화기 세트(222)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수단(circuit means)(219)과 ; 상기 로컬 전화기 세트(222)에 상기 회로 수단(219)를 상호접속하기 위한 제1스위칭 수단(first switching means)을 포함하되, 상기 제1스위칭은, 자신을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통해 상기 전화기 세트로부터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로 및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화기 세트로 음성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는 제1상태(first state)에 놓이게 하는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응답하는 커플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간을 전기적 절연(galvanic isolation)시키는 제1트랜스포머(first transformer)(218)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100,112)에 따라, 상기 전화기 세트(222)를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에 접속시키는 제2스위칭 수단(seccond switching means)(200)을 더 포함하여, 이에 의해 상기 전화기 세트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의 음성 메세지 교환용으로 사용되는 커플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원(voltage source)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원(current source)(702,703,704,705,706)을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화기 세트(222)간을 전기적 절연시키기 위한 제2트랜스포머(225)와,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전압원(Vcc)과 상기 전화기 세트(222)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에 공급하기 위한 DC/DC 컨버터(converter)를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발진 제어 신호(oscillating control signal)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압원(Vcc)이 공급되는 발진기(oscillator)와, 상기 발진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 수단(713)과, 상기 스위칭 수단(713)에 의해 구동되어 자신의 2차 권선으로 AC 전류를 제공하는 제3트랜스포모(712)와, DC 전압원을 제공하기 위한 정류 수단(rectifying means)(730)과, 상기 전화기 세트(222)에 DC 전류원을 제공하는 전류원(702,703,704,705)을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6. 데이타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 및 로컬 전화기 세트(222)에 접속시키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120)에 있어서,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 전자 구성요소(eletronic components)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에 위한 제1플러그(first plug)(202,203)와 상기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제2플러그(second plug)(213,220)를 구비하는 커플링 장치(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장치(150)는 상기 전화기 세트(222)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화기 세트(222)와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간에 음성 메시지가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고 하는 제1상태로 위치되는 제1릴레이 스위치(first relay switch)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을 전기적 절연시키는 제1트랜스포머(218)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100,112)에 따라 상기 전화기 세트(222)를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200,201)을 더 포함하여, 이에 의해 상기 전화기 세트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 음성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원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원(702,703,704,705,706)을 더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화기 세트(222)를 전기적 절연시키는 제2트랜스포머(225)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전압원(Vcc)과 상기 전화기 세트(222)간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0. 데이타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 및 로컬 전화기 세트(222)에 접속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120)에 있어서, 소정의 주어진 공중 전화 교환망의 전기적 요건에 부합하는 전자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제1플러그(202,203)와, 상기 로컬 전화기 세트(222)에 접속하기 위한 제2플러그(213,220)와, 상기 전화기 세트(222)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150)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수단(130)을 포함하므로써, 이에 의해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 상기 전화기 세트(222)간에 음성 메세지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간을 전기적 절연시키는 제1트랜스포머(218)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100,112)에 따라 상기 전화기 세트(222)를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200,201)을 더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전화기 세트가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 또는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와음성 메시지를 교환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원(702,703,704,705,706)을 더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는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상기 전화기 세트(222)간을 전기적 절연시키는 제2트랜스포머(225)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원에 접속되어, 상기 전압원(Vcc)과 상기 전화기 세트(222)간의 전기적 절연을 유지하면서 상기 전화기 세트와 D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4. 제6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에 포함되거나 플러그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인터페이스 카드(interface card)로 구성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15. 제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및 전화기 세트에 결합된 데이타 단말 장치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테이션(one or more station)을 상호접속하는 공중 전화 교환망을 갖는 통신 네트워크(communications network)에서,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한 스테이션간의 통신 및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통한 각 스테이션내의 상기 전화기 세트와 각 스테이션내의 데이타 단말 장치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커플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세트에 DC 전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회로 수단과 ; 상기 전화기 세트를 상기 제1회로 수단에 접속하여 음성 메시지가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접속된 데이타 단말 장치로 송신되고 상기 데이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상태 또는, 상기 전화기 세트를 상기 제1회로 수단으로부터 단속하는 제2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제1제어 신호를 응답하는 제1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 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시키는 제3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제2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제2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가 접속되는 상기 공중 전화 교환망을 표시하는 커플러 식별 번호(coupler identification number)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storage means)을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의 제어하에 상기 식별 번호를 상기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콘트롤러(controller)를 더 포함하는 커플링 장치.
KR1019910019659A 1990-12-05 1991-11-05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KR960011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0480204.8 1990-12-05
EP90480204A EP0489215B1 (en) 1990-12-05 1990-12-05 Coupling device to be connected to a DCE for the connection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having a local power supply circuit for allowing the use of the local telephone, DCE and workstation including the same
SG1996000243A SG42315A1 (en) 1990-12-05 1990-12-05 Coupling device to be connected to a DCE for the connection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having a local power supply circuit for allowing the use of the local
HK202496A HK202496A (en) 1990-12-05 1996-11-07 Coupling device to be connected to a DCE for the connection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having a local power supply circuit for allowing the use of the local telephone DCE and workstation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93A KR920013993A (ko) 1992-07-30
KR960011833B1 true KR960011833B1 (ko) 1996-08-30

Family

ID=2723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659A KR960011833B1 (ko) 1990-12-05 1991-11-05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39580A (ko)
EP (1) EP0489215B1 (ko)
JP (1) JP2565609B2 (ko)
KR (1) KR960011833B1 (ko)
CN (1) CN1025648C (ko)
CA (1) CA2055014C (ko)
DE (1) DE69026096T2 (ko)
HK (1) HK202496A (ko)
SG (1) SG423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9763B1 (en) * 1991-02-21 1997-04-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in a DCE allowing multiple operating configurations
DE4205241C2 (de) * 1992-02-21 1997-12-18 Itt Ind Gmbh Deutsche Potentialfreie Datenübertragungseinrichtung
MY110609A (en) * 1993-06-30 1998-08-29 Harris Corp Carbon microphone interface for a modem
EP0661862A1 (en) * 1993-12-15 1995-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upling device for allow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a DCE or computer to a PSTN telephone network including infra-red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sigma-delta coder
EP0693850A1 (en) * 1994-07-15 1996-01-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dependent telephone power supply
JP2986374B2 (ja) * 1994-07-25 1999-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呼出し信号検出装置
JP3274293B2 (ja) * 1994-10-13 2002-04-15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DE9417202U1 (de) * 1994-10-26 1995-02-16 Siemens Ag Strom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S5844979A (en) * 1995-02-16 1998-12-01 Global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switching system for voice and data
KR100193864B1 (ko) * 1996-03-28 1999-06-15 윤종용 키폰전화기에서 모뎀으로 절환방법 및 시스템
JP2000515568A (ja) * 1997-06-17 2000-11-21 モービル・オイル・コーポレーション 冷シール可能な結合性ポリマー
US6091806A (en) 1997-10-16 2000-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 programmable modem and method therefor
US8948374B2 (en) * 2007-03-27 2015-02-03 Verizon Virginia LL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ear bu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0658A1 (en) * 1979-08-31 1981-03-05 Electro Med Eng Pty Ltd Telephone line data isolator
US4799144A (en) * 1984-10-12 1989-01-17 Alcatel Usa, Corp. Multi-function communication board for expanding the versatility of a computer
US4791658A (en) * 1986-07-09 1988-12-13 Theodore Simon Integrated alarm and touch tone telephone system
US4987586A (en) * 1987-07-31 1991-01-2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dem-telephone interconnect
DE3786266T2 (de) * 1987-09-30 1993-12-02 Ibm 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r Datenverarbeitungseinrichtung an ein Telefonne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6096T2 (de) 1996-10-02
US5239580A (en) 1993-08-24
KR920013993A (ko) 1992-07-30
DE69026096D1 (de) 1996-04-25
CN1025648C (zh) 1994-08-10
CN1062060A (zh) 1992-06-17
HK202496A (en) 1996-11-15
SG42315A1 (en) 1997-08-15
JP2565609B2 (ja) 1996-12-18
EP0489215B1 (en) 1996-03-20
EP0489215A1 (en) 1992-06-10
JPH05122402A (ja) 1993-05-18
CA2055014C (en) 1995-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9684B1 (en) Method and circuitry for controlling voice mail, call logging and call blocking functions using a modem
US7089034B1 (en) Concurrent wireless/landline interface
KR960011833B1 (ko)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과 로컬 전화기 세트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
EP0689330A2 (en) Telephone apparatus for caller ID information
WO2000067452A1 (en) Computer network telephony adapter device
US6359972B1 (en) Line in use detection
KR960011832B1 (ko)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공중 전화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 및 그를 포함한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와 그 데이타 회선 단말 장치를 구비한 워크스테이션
JPH04233891A (ja) ボタン電話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66713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C feed control
US4685121A (en) Connecting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ans for a telephone station with peripheral apparatus
JP2615072B2 (ja) 自動車電話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KR900007707B1 (ko) 비상전화 시스템에서 비상전화기의 핸드셑 상태 검사방식
TW215139B (ko)
JP4079762B2 (ja) データ端末装置
JP3072430B2 (ja) 端末識別装置および端末識別方法
WO2000072568A9 (en) Computer - telephone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JP3832010B2 (ja) 宅内回線終端回路
US7181005B2 (en) Telephone interface circuit
KR19990024277A (ko) 아날로그 회선의 가입자 선로 및 가입자 회로 시험장치
JPH07154834A (ja) デジタルループ伝送システムの信号損失の自動調整用回路
JPH11234420A (ja) 端末網制御装置
EP1295458A1 (en) Test unit for use at a network interface device
JPH02305249A (ja) 電話装置
KR20000013889A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나로그 트렁크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