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242B1 -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242B1
KR960011242B1 KR1019940005274A KR19940005274A KR960011242B1 KR 960011242 B1 KR960011242 B1 KR 960011242B1 KR 1019940005274 A KR1019940005274 A KR 1019940005274A KR 19940005274 A KR19940005274 A KR 19940005274A KR 960011242 B1 KR960011242 B1 KR 960011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pepper
powder
grinding
tub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552A (ko
Inventor
장인락
Original Assignee
장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락 filed Critical 장인락
Priority to KR101994000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242B1/ko
Publication of KR95002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easoning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2 : 가공장치 동체
3,30 : 소형모타 3',30' : 모타축
4 : 나선형스크류우 5 : 안내관
6 : 이송부 7 :형 투입구
8 : 이송실 9 : 나선형이송스크류우
9' : 삽입부 10,10' : 베어링
11,11' : 패킹 12 : 벨트풀리
13 : 벨트 14 : 모타
15,15' : 회전판 16,16' : 고정핀
17 : 장공 17' : 큰구멍
18' : 로울러 19 : 원호상의 돌부
20 : 압축이송실 21 : 분쇄동체
22 : 고정판 23 : 분쇄관
24 : 고무판 25 : 철관
26 : 틈 27 : 간격유지용링
28 : 배출부 29 : 배출구
31 : 나선축
본 발명은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장치를 구성할 때, 호퍼와 이송스크류우, 분쇄실 및 배출구로 구성하여 잘건조된 붉은고추를 호퍼에 투입시켰을 때, 붉은고추가 이송스크류우에 의해 분쇄실로 강제 압송되도록 하되, 분쇄실 입구가 매우좁게 되도록 형성하여 붉은고추가 분쇄실로 진입될 때 비교적 작은 입자로 분쇄되면서 들어가도록 하고, 또 일단 분쇄실로 진입된 입자들은 분쇄실을 구성하는 원통케이스 내주면과 마찰구동토록된 회전판의 분쇄요동로울러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가공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말고추가루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공장치 동체내부에는 방음 및 방진재를 충진시킴으로써 고추를 분쇄가공할 때 발생하게 되는 소음을 최소화시켰으며, 구동할때 발생하는 진동 또한 최대한 흡수하여 비교적 조용하게 분쇄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춧가루 가공장치는 통상, 서로 마찰회전하는 두개의 분쇄 로울러를 설치하여, 이 분쇄로울러 사이로 잘건조된 고추를 강제로 투입공급시켜 고춧가루를 가공하도록 된 구조인데, 이는 가공장치에 투입된 고추가 한번통과로 곱게 가공되지 못하호 불규칙하면서도 큰 입자로 가공되는 구성이기에 고운 고춧가루를 얻으려면 여러차례 반복가공하여야만 하였던 것이다. 다시말하면, 잘건조된 고추라 하더라도 두개의 분쇄로울러 사이를 통과할때 압착, 파쇄되는 것이기에 단 한반가공으로 미세하면서 균일한 입자의 고춧가루를 얻을 수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가공장치에서는 일단 한번가공된 고춧가루를 다시 재가공하고, 또 3차가공, 4차가공을 거쳐야 비로소 어느정도 미세한 분말고추가루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고춧가루를 가공하는데 따른 시간이 과다하게 들고, 또 전력소모가 극심하며 매우소음이 많이나기 때문에 고춧가루 가공시 스트레스, 피로등을 가중시키는등 많은 폐단이 따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고춧가루 가공장치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가공장치 구성을 호퍼와 이송스크류우가 설치되는 이송실, 그리고 분쇄요동로울러를 설치한 2개의 회전판이 내설되는 분쇄실과 분쇄된 고추가루를 인출하는 배출구로 구성하여 잘건조된 고추를 호퍼에 공급시키면 이송스크류우가 고추를 분쇄실 방향으로 강제압송시켜주고, 강제압송된 고추가 분쇄실로 들어갈때는 이송스크류우 끝단부에서 강제압축분쇄되면서, 방사상으로 분쇄된 상태로 들어가며, 이때 고추는 비교적 작은크기의 입자로 분쇄되면서 분쇄실로 공급되어 회전판 및 분쇄요동로울러가 분쇄실을 구성하는 원통형케이스에 마찰구동할때 더욱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분말고추가루 가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가공장치 동체내부의 빈공간에 방음·방진제를 충진시킴으로써 가공장치 동작시에 요동이나 떨림현상이 최소화되게 하였고, 동시에 가공중 발생하는 소음이 극소화되도록 하여 비교적 조용한 가운데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은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가공장치 동체(2)의 일측 상부에 안착고정된 호퍼인데, 이는 내부에 소형모타(3)를 지지간(36)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고, 모타축(3')단부에는 고추가압공급용 나선형스크류우(4)를 축설하며, 호퍼(1)의 배출구에 안내관(5)을 고정설치하되, 이 안내관(5)은 동체(2)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6은 이송부인데, 이는 상부일측에형 투입구(7)를 고정설치하고, 내부에는 이송실(8)을 형성하며, 이 내부에 나선형이송스크류우(9)를 베어링(10)(10') 및 패킹(11)(11')을 이용하여 축설하되, 상기 나선형이송스크류우(9)는 앞부분에 삽입부(9')를 형성하고, 후미에는 밸트풀리(12)를 축설하여 밸트(13)로써 모타(14)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한 것이다.
15 및 15'는 나선형이송스크류우(9)의 삽입부(9')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회전판인데, 상기 회전판(15)은 외측면 주연부 상측에 두개의 고정핀(16)(16')을 고정시켜 장공(17)을 가지면서 양측면이 삭설된 로울러(18)와 고정핀 직경보다 더 큰 구멍(17')을 가진 로울러(18')을 삽입설치하고, 내측면의 타측에는 두개의 고정핀(16)(16')을 고정시켜 장공(17)을 가지면서 양측면이 삭설된 로울러(18)와 고정핀 직경보다 더 큰구멍(17')을 가진 로울러(18')을 삽입설치하며, 회전판(15')는 모든 구성이 상기와 동일하되, 이는 외측면 중앙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호상의 돌부(19)를 다수형성하여 중앙부에 압축이송실(20)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21은 분쇄동체인데, 이는 일측부에 고정판(22)을 나사조립되도록 구성하고, 내부에는 스테인레스로 된 분쇄관(23)과 진동 및 소음흡수와 완충을 위한 고무관(24) 그리고 상기 고무관(24) 외주연에 철관(25)을 조립형성하였으며, 분쇄솬(23) 내부에는 전술한 회전판(15)(15')이 삽입되어 이송스크류우(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되, 회전판(15)(15')의 주연부와 분쇄관(23)의 내주벽면을 약간의 틈(26)이 형성되게 하여 분쇄되 고추가루가 틈(26)을 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두개의 회전판(15)와 (15')사이에는 간격유지용링(27)을 설치하였다. 또 분쇄동체(21) 내벽의 축공 주연부에는 고정돌부(19')를 원호상으로 형성하여, 회전판(15')에 형성된 원호상의 돌부(19)와 약간의 틈(35)이 형성되게 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호퍼(1)의 안내관(5)과 이송부(6)의 투입구(7) 사이에는 서로 연결구성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조립시켰는데, 이는 분쇄동체(21)와 이송부(6)의 진동 및 소음이 호퍼(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8은 배출부인데, 이는 하부에 배출구(29)를 형성하고, 외측벽면에 소형모타(30)를 설치하여, 모타축(30')에 나선형으로 철사를 감아 형성시켜서 된 뭉침방지용 나선축(31)을 축설하였다.
미설명부호 32는 방음 및 방진재이고, 33은 호퍼재치부이며, 34는 로울러(18)(18') 내경에 삽이되어 있는 우레탄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춧가루 가공장치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호퍼(1)에 잘건조된 다량의 붉은고추를 투입시키면, 호퍼 자체의 형상에 의해서도 붉은고추가 자연낙하되지만 소형모타(3)에 의해 회전하는 고추가압공급용 나선형 스크류우(4)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된 붉은고추가 하강되어 이송부(6)에 설치된형 투입구(7)로 공급되어 진다.
또 상기 투입구(7)로 공급되어진 붉은고추는 나선형이송스크류우(9)의 회전에 의해 압축이송실(20)로 이송압축되며, 이때 압축과 동시에 파쇄되여 비교적 큰 입자로 분쇄되고, 이상태에서 압축이송실(20)이 회전판(15')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우(9)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기에 원심력등이 비교적 큰 입자로 분쇄된 고춧가루에 작용하여, 압축이송실(20)을 형성하는 원호상의 돌부(19)와 분쇄동체(21) 내부에 형성된 고정돌부(19')사이에 형성된 공간(35')과 틈(35)을 통하여 분쇄관(23)으로 이송되어지면서 보다 작은 입자의 고춧가루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분쇄관(23)으로 이송된 고추가루는 3단계로 가공되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먼저 제1단계는 분쇄관(23)의 내부우측, 즉 회전판(15')의 우측에서 로울러(18)(18')에 의해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고, 분쇄된 고추가루는 회전판(15')과 분쇄관(23)의 틈(26)을 통하여 분쇄관(23)의 중앙부로 이송된다. 이어서 분쇄관(23) 중앙부로 이송된 고춧가루는 다시 회전판(5)의 내측면과 회전판(15')의 내측면에 축설된 로울러(18)(18')에 의해 또한번 분쇄되고, 분쇄된 고춧가루는 더욱 미세하게 되면서, 분쇄관(23) 좌측으로 이송되며, 이곳에서 3단계로 다시 또한번 분쇄되면서 배출구(29)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매우 중요한점은 하나의 분쇄관(23) 내부에 회전판(15)(15')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됨으로써 결국 3개의 분쇄실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점과, 로울러(18)과 (18')에 고정된 (16)(16')직경보다 더욱 큰 장공(17)과 큰구멍(17')을 가졌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회전판(15)(15')으로 인하여 3개의 분쇄실을 형성하였다고 하는점은 각각의 분쇄실을 통과할때마다 분쇄가 이루어지는 상태임과 동시에 분쇄된 고추가루가 분쇄관을 빠른속도를 통과되지 못하게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게됨으로 더욱 곱고 미세한 분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로울러(18)은 장공(17)이 고정핀(16)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로울러(18)가 자체회전되면서 고춧가루를 두들겨 파쇄하는 작용을 하게되며, 로울러(18') 또한 고춧가루를 두들기는 작용을 하되, 이 로울러(18')의 작용이 로울러(18)의 작용보다 더욱 빠른속도로 고추가루를 두들기는 상태로 되어 고추가루를 미세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춧가루분쇄효과가 더욱 좋아지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15)(15') 자체가 빠른속도로 회전하고, 또 로울러(18)(18') 자체도 회전판(15)(15')에 의해 공전하면서 자체회 전하여 분쇄관(23) 내벽면에 작용할 때 요동하게 되므로 분쇄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며, 동시에 회전판(15)(15')회전시 바람이 발생됨으로 분쇄된 고춧가루는 자연히 분쇄관(23) 내주면으로 날아가서 틈(26)을 통하여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쇄된 고추가루는 배출구(29)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양이 많아지면 간혹 배출구(29)가 막히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소형모타(3)로서 뭉침방지용 나선축(31)을 회전시켜 배출구(29)가 막히는 일이 없게 하도록 되어 있고, 가공장치 동체(2) 내부에 방음 및 방진재(32)를 충진시켰기에 분쇄관(23)과 다수의 로울러(18)(18')가 작용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되는 것이다.
또 소음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분쇄관(23) 외주면에 고무관(24)을 삽입 설치하였기 때문에 분쇄관(23)에서 발생한 진동과 소음을 고무판(24)이 흡수 및 감소하되, 이때의 여진이 철관(25)까지 전달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고, 또 호퍼(1) 하부에 연결된 안내관(5)와 이송부(6)의형 투입구(7)가 서로 연결설치되지 않도록 구성하였기에 동체(2) 내부의 진동과 소움이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된 붉은고추를 분말화시키는 장치로서, 압축이송실(20)과 원호상의 돌부(19) 및 고정돌부(19') 사이에 형성된 공간(35') 및 틈(25), 그리고 분쇄관(23) 내부에 설치되어 분쇄관(23) 내주벽면과 작용하는 회전판(15)(15') 및 로울러(18)(18')에 의해, 여러단계의 분쇄과정을 거치는 효과로 되기 때문에 자연히 미세한 분말고추가루의 가공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1회 가공으로 완벽한 가공이 이루어져 시간, 인력, 전기등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가공장치 동체(2) 내부에 분쇄동체(21)와 이송부(6)를 설치하고, 동체(2) 상부에 호퍼(1)를 설치하는데, 상기 분쇄동체(21)는 내부에 스테인레스로 된 분쇄관(23)과 고무관(24), 철관(25)을 순차적으로 외삽시켜 구성하고, 일측에 고정판(22)을 나사조립시키며, 분쇄동체(21) 내측벽 중앙부에 고정돌부(19')을 환설하고, 이송부(6)는 상부일측에형 투입구(7)를 고정설치하고, 내부에는 이송실(8)을 형성하여 이송실(8)에 나선형이송스류우(9)가 삽입축설되게 하며, 상기 나선형스크류우(9)의 선단부에 형성한 삽입부(9')에 로울러(18)(18')를 내외측에 유설시킨 회전판(15)(15')을 간격유지용링(27)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끔 한 후 축설하고, 회전판(15') 외측면에 원호상의 돌부(19)를 형성시켜 이 내측이 압축이송실(20)로 되게하면서 고정돌부(19')와 원호상의 돌부(19) 사이에 공간(35') 및 틈(35)이 형성되게 하며, 동체(2) 외측부에 배출구(29)를 가진 배출부(28)를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쇄관(23)의 내경과 회전판(15)(15') 외경 사이에 틈(26)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호퍼(1) 내부에 지지간(36)을 이용하여 소형모타(3)를 고정설치하고, 모타측(3') 단부에 고추가압 공급용 나선형스크류우(4)를 축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배출부(28) 외측벽면에 소형모타(30)를 설치하고, 모타축(30')에 나선형으로 철사를 감아 형성시켜서 된 뭉침방지용 나선축(31)을 축설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호퍼(1)에 연결설치되는 안애관(5) 하단과 이송부(6) 상부 일측에 형성된형 투입구(7) 상단 사이가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15)(15')의 내·외측면 주연끝단에 고정핀(16)(16')을 축설하고, 이곳에 로울러(18) 및 (18')를 삽입설치하되, 상기 로울러(18)는 양측면을 삭설하고 중앙부는 장공(17)을 형성하며, 로울러(18')는 원형 그대로 형성되되 고정핀 직경보다 더 큰구멍(1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가공장치 동체(2) 내부에 방음·방진재를 충진시켜 작동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시켜줌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KR1019940005274A 1994-03-15 1994-03-15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KR960011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274A KR960011242B1 (ko) 1994-03-15 1994-03-15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274A KR960011242B1 (ko) 1994-03-15 1994-03-15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52A KR950026552A (ko) 1995-10-16
KR960011242B1 true KR960011242B1 (ko) 1996-08-21

Family

ID=1937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274A KR960011242B1 (ko) 1994-03-15 1994-03-15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2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52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5526B1 (en) Mechanical grinding apparatus
CN211051581U (zh) 圆锥破碎机
JP2680738B2 (ja) 回転ケージ内に分離手段を有する攪拌ミル
CN108855470A (zh) 锂离子电池负极材料造粒筛选一体化装置
CN114247502B (zh) 一种废弃物处理装置
KR100886581B1 (ko) 미분된 미립 물질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2303554A (ja) スクリュー式破砕供給装置
KR960011242B1 (ko) 고추장 제조용 분말고추가루 가공장치
CN211134052U (zh) 一种磨粉机的给料装置
JPH0775675B2 (ja) コンクリート用砕砂製造装置
US4347986A (en) Self-attritioning pulverizer
EP4056275A1 (en) Horizontal type grain hulling device
CN210386099U (zh) 一种粉碎和风机同轴的自动粉粹机
JPH09136037A (ja) クラッシャにおける破砕歯装置
KR100209320B1 (ko) 분쇄기
KR200419213Y1 (ko) 뭉쳐진 고춧가루 분해 처리기
CN217368712U (zh) 蜂王浆干块磨粉处理装置
CN209362578U (zh) 一种粉碎设备
US3429349A (en) Pull-through hammer mill
CN218796238U (zh) 一种玉米粉加工用研磨装置
KR200219282Y1 (ko) 곡물 분쇄장치
KR200181276Y1 (ko) 식품 분말가루의 이송장치
CN214021319U (zh) 一种湿式物料微细加工胶体磨装置
CN211537931U (zh) 一种鱼苗开口饲料生产用超微粉碎机
KR940004230B1 (ko) 고추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