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97B1 -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97B1
KR960010897B1 KR1019930015213A KR930015213A KR960010897B1 KR 960010897 B1 KR960010897 B1 KR 960010897B1 KR 1019930015213 A KR1019930015213 A KR 1019930015213A KR 930015213 A KR930015213 A KR 930015213A KR 960010897 B1 KR960010897 B1 KR 960010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2o
specific surface
zeolite
type
surfa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66A (ko
Inventor
성재석
김태환
정만규
이민수
오승호
한종수
Original Assignee
코스모산업주식회사
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모산업주식회사, 박태영 filed Critical 코스모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97B1/ko
Publication of KR95000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제1도는 세공부피에 대한 세공크기를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공기 중의 산소, 질소 및 아르곤 가스의 분리농축에 사용되어지는 A형의 제올라이트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올라이트 A형의 일반식은 1.0±0.2 M*O:Al₂O₃:2±0.2 SiO₂*H₂O(M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카리토금속인 K, Na 및 Ca이며, n은 금 속의 원자가이고, y는 3-6의 값을 갖는다)이다. A형의 경우 양이온의 치환에 따라 K는 3A형, Na는 4A형, Ca는 5A형이라 칭하며 치환된 금속에 따라 세공의 크기도 변하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공기 중의 산소, 질소 및 아르곤 가스 분리 농축, 천연가스 건조, 냉동냉장기용 냉매건조, 석유화학제품 건조용 등으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가장 중요한 물성은 높은 비표면적과 세공의 균일성이다. 즉 세공이 일정할수록 분리가스의 순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표면적이 클수록 많은 양의 공기를 분리 농축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 흡착제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국특허 공고 제87-608호, 미국특허 제3,009,776, 3,112,176호 등에서는 점토를 제올라이트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내마모성 성형체를 제조하나 강도면에서는 우수한 반면 비표면적 및 세공 분포가 일정하지 않아 공기분리용 및 석유화학 분야의 크래킹 및 건조제용으로 적용이 곤란하다.
유럽특허 제13,417호에서는 입도를 일정하고 작게하기 위하여 반응물질을 공급하는 이중 유체관을 도입하였고, 유럽특허 제17,013호에서는 벤츄리관을 도입 반응기 내로 다분사시켜 5초 이상의 반응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다분사의 경우 매우 긴 관이 필요하며, 반응겔이 도관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랑스특허 제3,379,479호에서는 혼합시간이 6-7분간인 뒤집혀진 Y형 관에 의한 혼합을 제안하였으나, 극소 혼합 또는 그대 혼합, 산업설비 및 용액혼합에 드는 비용상에서 불합리한 점이 많으며, 겔화시간이 길다는 것 등이 단점이다. 상기한 제조방법들에 의해 제조된 제올라이트의 경우 비표면적(20-50m²/g)이 작고 세공(3-15Å)의 균일성이 없으므로 흡착제로는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큰 비표면적과 균일한 세공을 가진 A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몰비가 Na₂O/Al₂O₃=0.8-3.2, H₂O/Na₂O=10-20을 갖는 알루민산소다와 Na₂O/SiO₂=0.25-0.52, H₂O/Na₂O=6.5-15의 몰비를 갖는 규산소다를 1.8 내지 2.2:1의 비율로 사용하고,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기체 흡착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비표면적과 세공의 균일성이 향상된 A형 제올라이트가 얻어 짐을 밝혀 내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 합성에 사용되는 원재료인 규산소다 조성의 적절한 몰비는 Na₂O/SiO₂=0.52, H₂O/NaO=6.5-15이며, 알루민산소다 조성의 적절한 몰비는 Na₂O/Al₂O₃=0.8-3.2, H₂O/Na₂O=10-20이다.
규산소다는 고형 규산소다를 물과 함께 고온(150-175℃), 고압(7-8kg/cm²)에서 녹인 액상 규산소다를 사용하며, 알루민산소오다의 경우 수산화 알루미늄에 가성소다를 가하고 가열(90-130℃)하여 용해시켜 사용하거나, 알루미늄금속 펠렛(0.5-0.7g)을 가성소다에 물과 함께 반응시켜 알루민산 소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올라이트 합성시 결정구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큰 비표면적과 일정세공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사용가능한 첨가제로서는 티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칼슘산화물 및 활성화된 알루미늄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로 사용 가능한 것들 중에 티탄늄옥사이드는 고가이므로 경제적으로 불리하며, 마그네슘 옥사이드 및 칼슘옥사이드는 불안정하여 사용상 어려움이 있고, 활성화된 알루늄산화물은 경제적인 면이나 안정성적인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첨가제이다.
첨가제 첨가량은 제조 제올라이트 중량대비 0.1-10% 내외가 가장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다. 10중량% 이상 첨가시 효과가 비슷하여 제올라이트 대비 0.5-5중량%가 첨가제 첨가 효율면에서 가장 적당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오라이트 흡착제의 물성은 평균 입도가 2-3.3마이크론이며, 3.3마이크론 이하가 60중량%, 10마이크론 이하가 98 내지 100중량%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며, 비표면적이 600m²/g 이상이며 좁은(1-3Å) 범위의 세공 분포를 갖는다. A형의 경우 양이온의 치환에 따라 K인 경우는 3A형, Na인 경우는 4A형, Ca는 5A형이라 칭하며 치환된 금 속의 종류에 따라 세공의 크기도 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올라이트는 공기분리, 농축, 천연가스 건조, 액화포화 탄화수소건조, 유기용제의 건저, 천연가스 중 CO₂제거 및 냉매가 R-22, R-12, R-115 및 신냉매 R-134a를 적용한 냉동 냉장용 기기의 냉매 건조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알루미늄금속 펠렛 27g에 50중량% NaOH 153g과 물 123g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가열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20℃로 냉각하여 알루민산소다 용액을 제조하고, Na₂O가 14.134중량, SiO₂가 39.0중량%인 규산소다 용액 154ml을 20℃로 냉각하여 반응용액을 준비하였다.
위에서 준비한 알루민산소다 용액에 활성화된 알루미나 산화물 1.8g을 가하고 저어주어 완전 현탁시킨후 규산소다 용액을 10분에 걸쳐 일정 속도로 투입하였다.
투입이 완료되면 증류수를 가하여 총부피를 570ml로 하고 1.17℃/min의 속도로 90℃까지 승온시키고 90℃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때 용액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150rpm 속도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을 pH 10이 될 때까지 세척하고 상온에서 40g의 CaCl₂가 포함된 200g 용액과 이온 교환시켜 4A형에서 5A형으로 전환시켜 5A형 제올라이트분자체를 제조한 후 여과 세척하고 건조한 뒤 560℃에서 4시간 동안 활성화하여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알루미늄금속 펠렛 27g에 50중량% NaOH 162.6g을 가하고 증류수 100g을 첨가하면서 알루미늄금속을 용해시킨 후, 가열 후 냉각(20℃)하여 알루민산소다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활성화된 알루미늄 산화물 1.75g을 가하고 현탁시킨 다음, Na₂O 함량이 17.1중량%, SiO₂가 39.0중량%인 규산소다(20℃) 용액 154ml을 10분간 걸쳐 투입하고 증류수로 최종부피를 590ml로 조절하였다.
반응온도는 90℃까지 2℃/min의 속도로 승온시키고 90℃에서 1.5시간 동안 유지시켜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시의 교반속도는 150rpm으로 고정하였다. 반응완결 후 pH 10까지 세척 후 40g의 KCl이 포함된 200g의 수용액과 이온교환시켜 4A형 3A형으로 전환시키고 여과건조한 후 560℃에서 5시간 활성화하여 3A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61%의 Al₂O₃함량을 갖는 수산화알루미늄 85.62g을 30중량%의 가성소다용액 162g에 현탁시키고 물 150g을 넣은 후 105℃에서 가열시켜 알루민산소다 용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1), 2)와 같은 절차로 각각 5A형 및 5A형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제조된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비표면적과 세공의 균일도는 아래의 표 1) 및 제1도와 같다.
* 분석가스 ; 질소, 온도; 77.0K

Claims (1)

  1. 알루민산소다와 규산소다를 사용하여 제올라이트 흡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몰비가 Na₂O/Al₂O₃=0.8-3.2, H₂O/Na₂O=10-20을 갖는 알루민산소다와 Na₂O/SiO₂=0.25-0.52, H₂O/Na₂O=6.5-15 의 몰비를 갖는 규산소다를 1.8-2.2:1의 중량비로 사용하고 첨가제로 활성화된 알루미나, 티탄옥사이드,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 중 선택된 1종을 0.1-1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제조방법.
KR1019930015213A 1993-08-05 1993-08-05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KR960010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213A KR960010897B1 (ko) 1993-08-05 1993-08-05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213A KR960010897B1 (ko) 1993-08-05 1993-08-05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66A KR950005366A (ko) 1995-03-20
KR960010897B1 true KR960010897B1 (ko) 1996-08-13

Family

ID=1936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213A KR960010897B1 (ko) 1993-08-05 1993-08-05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19B1 (ko) * 2006-03-31 2008-04-18 김수용 합성흡착제 제조방법
KR20220133609A (ko) * 2021-03-25 2022-10-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2170B1 (en) * 2001-02-13 2002-08-1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Argon/oxygen selective X-zeolite
KR100864130B1 (ko) * 2008-02-15 2008-10-16 조진욱 기능성 합성 세라믹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19B1 (ko) * 2006-03-31 2008-04-18 김수용 합성흡착제 제조방법
KR20220133609A (ko) * 2021-03-25 2022-10-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를 위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66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4882B2 (en) Aluminosilicates
US3310373A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line aluminosilicates
CA1269088A (en) Zeolite having a paulingite-like structure (ecr-18)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US3343913A (en) Table iv
KR960010897B1 (ko) 비표면적이 향상된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US5013536A (en) ECR-18, method of its preparation, and uses for sorption and separation
US2847280A (en) Production of selective mineral sorbents
US3898319A (en) Process for preparing zeolite Y
US5474753A (en) Preparation of crystalline 4A zeolites
US4144194A (en) Zeolite promoted hydrocarbon conversion catalysts
CN112573536A (zh) 一种纳米p型沸石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3433588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4 angstrom unit zeolites
US3767771A (en) Preparation of faujasite type zeolites
KR100274118B1 (ko) 석탄비산재로부터 에이형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WO1999021797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zeolites from raw materials containing alkali alumino hydro-silicates
US3032391A (en) Production of calcium borates
KR960010078B1 (ko) 미립의 x형 제올라이트 흡착제 제조방법
JP4123546B2 (ja) ゼオライトou−1およびその合成方法
CN1078179C (zh) 一种细晶粒a型沸石的制备方法
US5549881A (en) Process for preparing a seeded high-silica zeolite having the faujasite topology
JP3678790B2 (ja) フォージャサイト型ゼオライトの製造方法
JP6866004B1 (ja) 高純度人工ゼオライトの工業的大量生産に関する製造方法
US5455020A (en) Gallium silicate having 12-ring pores (ECR-34)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KR100831758B1 (ko) 4a형 제올라이트의 제조방법
JPH05815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