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99B1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10799B1 KR960010799B1 KR1019940007406A KR19940007406A KR960010799B1 KR 960010799 B1 KR960010799 B1 KR 960010799B1 KR 1019940007406 A KR1019940007406 A KR 1019940007406A KR 19940007406 A KR19940007406 A KR 19940007406A KR 960010799 B1 KR960010799 B1 KR 960010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burner
- throttle valve
- lever
- branch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단면측면도.
제2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3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4도는 그릴의 개략 설명도.
제5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성명도.
제6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설명도.
제7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 설명도.
제8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9도는 조작자의 조작 위치와 스로틀밸브의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2 : 연료가스제어기구
3 : 조작수단 4 : 제1스로틀밸브
5 : 제2스로틀밸브 6 : 제1조작레버(조작자)
7 : 제2조작레버(조작자) 8 : 택일(擇一)기구
B1 : 제1버너(하화버너) B2 : 제2버너(상화버너)
BP : 상화 파일럿버너 12 : 제1분기로
13 : 제2분기로 60 : 제1링크기구
70 : 제2링크기구 G : 그릴실
본 발명은 동일한 피가열물을 2개의 버너로 동시적으로 가열하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릴의 상화(上火)버너 및 하화(下火)버너, 가스곤로의 버너등, 동일한 피가열물을 동시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2개의 버너를, 각각의 버너에 독자적으로 부설된 점화, 소화수단 및 화력조정수단에 의하여 조작하는 가스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기기는 점화, 소화등의 조작이 번거롭기 때문에, 일본국 특허 공개 평 2-33516호 공보에 점화, 소화용 조작자(조작편)를 공통으로 한 2개의 버너와 각 버너의 화력을 조정하는 2개의 조작자를 구비하여, 2개의 버너를 강약의 범위에서 변경가능하게 한 가스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또, 상화버너와 하화버너를 구비하고, 1개의 조작자로 하화버너의 화력을 강·약의 2단으로 절환함과 아울러, 상화버너를 강·약·정지의 3단으로 절환하는 가스곤로용 그릴도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는 결정된 일측의 버너를 소화하고 타측의 버너만으로 사용하는 것밖에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일측의 버너측만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또 후자에 있어서도 하화버너를 소화하고 상화버너만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두 충분한 자유로운 가열조리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버너로 동일한 피가열물을 동시적으로 가열하는 가스기기에 있어서, 조작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조리의 자유도가 높은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는, 상호 불꽃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버너 및 제2버너와, 점화장치와, 가스분기로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분기로 및 상기 제2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분기로와, 상기 제1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 열림도가 가변(可變)임과 아울러 밸브닫음이 가능한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2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열림도가 가변임과 아울러 밸브닫음이 가능한 제2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에서 최소 열림도 및 밸브닫음위치로 작동시키는 제1조작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조작자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전달기구 및 제2전달기구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중 어느 일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닫음위치에 설정하였을 때, 타측의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위치로의 투입을 저지하는 택일기구로 이루어진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택일기구에, 당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중 어느 일측을 밸브닫음위치로 투입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밸브닫음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타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열림위치로 변위시키는 절환기구를 더 채용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서는 2개의 조작자로 2개의 스로틀밸브의 열림도를 최대 열림도에서 밸브닫음까지 조절하는 구성에 있어서, 일측의 조작자로 일측의 스로틀밸브를 닫았을 때, 타측의 조작자가 타측의 스로틀밸브를 닫는 것을 저지하는 택일기구를 가지며, 특허청구 범위 제2항의 발명에서는 어느 일측을 밸브닫음위치로 투입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밸브닫음위치에 설정하여 있는 타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열림위치로 변위시키는 절환기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 점화장치가 점화위치에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작자에 의하여 2개의 스로틀밸브가 모두 밸브닫음위치로 설정되어 2개의 버너가 양측 모두 소화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이다.
b) 상화(常火)파일럿버너를 설치하거나 또는 2개의 버너를 근접하게 설치하는 등에 의하여, 일측의 버너를 소화하고서 다시 점화할 때, 타측의 버너로부터 불꽃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점화조작이 필요없게 되어 조작성이 우수해진다.
c) 2개의 버너를 택일적으로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조리의 자유도가 높다. 또, 특히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절환기구에서는, 한번의 조작에 의하여 일축의 버너를 소화하고 타측의 버너를 점화시킬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가스곤로에 있어서의 그릴버너의 화력조정장치(1)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실(G)의 양측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1버너(하화버너 ; B1), 그릴실(G)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제2버너(상화버너 ; B2) 및 그릴실(G)의 내부에 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부착되며 제1버너(B1)와 제2버너(B2)에 점화함과 아울러 상호 불꽃을 이동시키는 연속 불꽃구멍이 형성된 상화파일럿버너(BP)를 구비한다.
화력조정장치(1)는 밸브보디(10)의 내외에 설치된 연소가스제어기구(2)와, 조작부가 곤로의 전면에 설치되며 연료가스제어기구(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3)으로 이루어지며, 제1버너(B1), 제2버너(B2) 및 상화파일럿버너(BP)의 점화, 소화 및 화력조절을 한다.
연료가스제어기구(2)는 가스공급로(11)의 상류측에 설치된 안전밸브(21), 메인밸브(22) 및 거버너(23)를 가진다. 거버너(23)의 하류측 가스공급로(11)는 제1버너(B1)로의 제1분기로(12), 제2버너(B2)로의 제2분기로(13) 및 상화파일럿버너(BP)로의 분기로(14)로 분기되어 있다. 상화파일럿버너(BP)에는 점화장치로서의 스파커(16)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로(12) 및 제2분기로(13)에는, 각각 가스유량을 최대화력(밸브열림도 최대)에서 최소화력(밸브열림도 최소)으로 점화 변화시킴과 아울러 연소를 정지(밸브닫음)시킬 수 있는 제1스로틀밸브(4) 및 제 2스로틀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보디(10)는 상류측 블록(1A)과 하류측 블록(1B)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며, 상류측 블록(1A)에는 안전밸브(21), 메인밸브(22) 및 거버너(23)가 설치되고, 하류측 블록(1B)에는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수단(3)을 상기 안전밸브(21) 및 메인밸브(22)를 개폐시키며, 스파커(16)에 방전불을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겸한 점화·소화장치(15)와, 제1스로틀밸브(4)를 작동시켜 제1버너(B1)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레버(조작자 ; 6)와, 제2스로틀밸브(5)를 작동시켜 제2버너(B2)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레버(조작자 ; 7)를 가진다. 제1레버(6)와 제1스로틀밸브(4)사이에는 제1링크기구(60)가 설치되며, 제2레버(7)와 제2스로틀밸브(5)사이에는 제2링크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레버(6)와 제2레버(7)는 상하 병렬로 설치되며, 각각 제1지지점(P1)을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변위할 수 있으며, 모두 우단위치가 연소정지, 중간위치가 약한 연소, 좌단위치가 강한 연소로 되어 있다.
제1레버 (6)와 제2레버 (7)에는, 이들 2개의 조작레버가 동시에 연소정지위치(우단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저지하는 택일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져서 병렬로 형성된 밸브구멍(40,50), 이들 밸브구멍(40,50)에 상단이 돌출되며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끼워넣어진 니들밸브체(41,51) 및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에 설치되며 제1링크기구(60) 및 제2링크기구(70)의 회전동작을 니들밸브체(41,51)의 직선동작을 변환시키는 캠기구(C1,C2)로 이루어져 있다.
캠기구(C1,C2)는, 니들밸브체(41,51)의 돌출된 상단에서 각각 배향(背向)되게 반지름방향으로 돌출설치된 걸림대(42,52)와, 걸림대(42,52)가 끼워져서 미끄럼동작하는 캠슬릿(43,53)으로 이루어진다. 캠슬릿(43,53)은, 바닥부가 없는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판부가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을 덮도록 체결된 기판(4A)의 전후측판(44,54)에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5도~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구멍(40,50)은 상류측에 큰 지름으로 된 제1밸브구멍(45,55)과, 하류측에 작은 지름으로 된 제2밸브구멍(46,56)을 가진다.
니들밸브체(41,51)에는, 상류측에 상기 제1밸브구멍(45,55)을 개폐하는 큰 지름으로 된 O링이 끼워진 제1밸브체(47,57)와, 하류측에 제2밸브구멍(46,56)을 개폐하는 작은 지름으로 된 제2밸브체(48,58)와, 내부에 상기 제2밸브체(48,58)를 우회하여 각각 O링의 하류측 외측둘레와 제2밸브체(48,58)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오리피스(49,59)가 형성되어 있다.
제1링크기구(60) 및 제2링크기구(70)는 상류측 블록(1A)의 전단면에 체결된 대략 직사각형 틀형상의 브래킷(6A)과, 그 상판부(6B)의 중심에 형성된 제1지지점 (P1)과, 상기 커버판(4A)의 상판(4B)의 중심에 형성된 제2지지점(P2)을 가진다.
제1레버(6)(제3도참조) 및 제2레버(7)(제2도 참조)는, 그 중간부가 상판부(6B)의 하면 및 상면에 미끄럼접촉함과 동시에 제1지지점(P1)에 축지지되며, 그 전단부(61,71)가 조작부가 되고, 그 후단에 핀(62,72)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점(P2)에는 V자형 링크레버(63) 및 시소형 링크레버(73)가 모두 상기 커버판(4A)의 상판(4B)의 상면에 겹쳐져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각 링크레버(63,73)의 일단(전단)에는 상기 핀(62,72)와 맞물리는 슬릿(64.74)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하측으로 수직이 되도록 구부러짐과 동시에 상기 걸림대(42,52)와 맞물리는 슬릿(65,75)이 형성되어 있다.
제1레버(6)의 하면 및 제2레버(7)의 상면에는, 제1레버(6) 및 제2레버(7)가 중간위치(약한 연소)와 우측 위치(소화)사이에서 왕복조작될 때, 제1레버(6) 및 제2레버(7)를 일측의 위치로 탄지하기 위한 레버 탄지기구(F1) 및 레버탄지기구(F2)가 부설되어 있다.
레버탄지기구(F1) 및 레버탄지기구(F2)는, 브래킷(6A)의 상판부(6B)에서 앞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분(6C)의 하측(6D) 및 상측(6E)에 형성한 회동편 지지점(66) 및 회동편 지지점(76)과, 상기 회동편 지지점(6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제1레버(6)의 하면에 미끄럼접촉하는 회동편(67) 및 회동편 지지점(7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제2레버(7)의 하면에 미끄럼접촉하는 회동편(77)을 구비한다.
제1지지점(P1)과 회동편 지지점(66) 및 회동편 지지점(76) 중간의 제1레버(6)의 하면 및 제2레버(7)의 상면에는, 맞물림 핀(P6) 및 맞물림 핀(P7)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회동편(67,77)의 내측단에는 맞물림 오목부(Q6,Q7)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편(67,77)의 외측단과 브래킷(6A)의 상판부(6B)의 중간부 하면 및 상판부(6B)의 중간부 상면에 돌출설치된 핀(68) 및 핀(78) 사이에는 스프링(69) 및 스프링(79)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택일기구(8)는, 브래킷(6A)의 상판부(6B)에서 연장된 연장부분(6C)의 선단 중앙에서 상측으로 구부린 절곡부(6F)에 형성된 지지축(81)과, 중심측부가 상기 지지축(8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사분원판형상(四分圓板形狀)의 연동자(82)와, 절곡부(6F)의 레버측 단부에 형성한 연동자(82)의 회전 저지부(83)로 이루어진다.
택일기구(8)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버(6)가 우단위치(소화)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연동자(82)의 일측 가장자리(84)가 제1레버(6)의 측면과 맞닿고, 연동자(82)의 타측 가장자리(85)가 제2레버(7)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연동자(82)는 제1레버(6)에 의하여 회전이 지지되어 고정되며, 제2레버(7)는 우단위치(소화)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반대로, 제2레버(7)가 우단위치(소화)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연동자(82)의 상기 타측 가장자리(85)가 제2레버(7)의 측면과 맞닿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84)가 제1레버(6)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레버(6)는 우단위치(소화)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이 결과,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만이 소화위치에 설정된다는 택일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 가스제어기구(2) 및 조작수단(3)의 작동을 설명한다.
점화·소화장치(15)를 누르면, 메인밸브(22) 및 안전밸브(21)가 열려 상화파일럿버너(BP)에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동시에 스파커(16)에 의한 불꽃에 의하여 점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1레버(6) 및 제2레버(7)중, 우단위치(소화)이외의 위치에 레버가 설정되어 있는 제1버너(B1) 및/또는 제2버너(B2)가 불꽃이동에 의하여 점화된다. 이 점화조작후, 제1레버(6) 및/또는 제2레버(7)를 소정의 위치로 설정하면, 제1링크기구(60) 및/또는 제2링크기구(70)를 통하여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작동되어, 제1버너(B1) 및/또는 제2버너(B2)는 가열조리의 목적에 따른 소망의 화력으로 연소한다.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을 연소정시킬 때에는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우단위치로 설정한다.
화력조정조작에 있어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좌단위치(강한 연소)에서 우측으로 변위시키면, 니들밸브체(41,51)의 제2밸체(48,58)가 우선 제2밸브구멍(46,56)을 막는다. 이 위치가 중간위치(약한 연소)이며, 오리피스(49,59)만의 밸브열림도가 된다(제6도 참조).
제1버너(B1) 도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을 연소정시킬 때에는,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우단위치에 설정한다. 이 조작에 의하여 니들밸브체(41,51)는, 제1밸브체(47,57)의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을 막는다. 따라서, 연료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이 소화된다.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이 연소정지위치(최대 우단위치)로 설정되면, 택일기구(8)의 연동자(82)가 회동하여, 연동자(82)의 일측 가장자리(84,85)가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고, 타측 가장자리(84,85)가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타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타측이 소화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지지한다.
레버탄지기구(F1,F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를 좌단위치(강한 연소)에서 우측으로 변위시켜 중간위치(약한연소)에 이를 때까지는, 회동편(67,77)의 내측단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Q6,Q7)와 제1레버(6) 및 제2레버(7)에 돌출 설치한 맞물림 핀(P6,P7)이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를 중간위치(약한연소)에서 우측으로 변위시켜 우단위치(소화)에 이를때까지는, 맞물림 오목부(Q6,Q7)와 맞물림 핀(P6,P7)이 서로 맞물리고, 회동펴(67,77)은 스프링(69,79)을 신장시키면서 회동하고, 제1지지점(P1)과 회동편 지지점(66,76)과 맞물림 핀(P6,P7)이 일직선으로 되는 사점(dead point)을 통과한 후에는 스프링(69,79)을 줄이면서 회동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의 중간위치에서 우단위치까지 움직일 경우의 조작력은, 사점까지는 스프링(69,79)을 신장시키면서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기 때문에 크고, 사점에서는, 스프링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 중립이 된다. 사점을 통과한 후에는 스프링(69,79)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탄지되면서 변위하기 때문에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는 자동적으로 우단위치로 이동한다.
즉,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는, 중간위치에서 우단위치까지의 변위에서는, 사점통과전 및 사점통과 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탄지되기 때문에 조작력을 해제하더라도 중간위치 또는 우단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 반대로 우단위치에서 중간위치까지 변위시킬 때에도, 사점통과전 및 사점통과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탄지되므로 일측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가 중간위치와 우단위치 사이에서 정지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8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절환기구(9)를 나타낸다. 절환기구(9)는 지지축(8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반원판형상(半圓板形狀)의 연동자(93)를 채용하고 있다. 연동자(93)는, 제1레버(6)와 제2레버(7)에 의하여 상하 2개의 버너(B1,B2)가 동시에 연소정지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이들 2개의 레버중 어느 일측의 레버를 연소정지위치로 하여 일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닫음위치로 투입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이미 연소정지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타측의 레버를 중간위치측으로 변위시켜서 타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열림위치(최소 밸브열림도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작용한다. 즉,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버(6) 및 제2레버(7)중 어느 일측, 예를 들면 제2레버(7)가 연소정지위치(a)에 설정되어 반원판상의 연동자(93)의 제2가장자리(92)와 약 45°로 접촉되어 있을 때, 제1스로틀밸브(4)의 최소 밸브열림위치(중간위치, 약한연소)에 설정된 타측의 제1레버(6)는 제1가장자리(91)와 약 45°로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레버(6)의 밸브열림위치에서 밸브닫음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미 밸브닫음위치(연소정지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타측의 제2레버(7)가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연동자(93)의 제2가장자리(92)에 의하여 45°방향으로의 분력(分力)에 탄지되어 밸브열림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1레버(6)를 회동시켜서 각도 α{연소정지위치(a)와 사점(b)의 각도, 제9도 참조}만큼 회전시켰을 때, 제2레버(7)는 사점(b)위치에 도달하며, 그후 스프링(79)의 반전작용에 의하여 최소 밸브열림도위치(중간위치)까지 변위되어 제2스로틀밸브(5)가 열려짐으로써 상화버너(B2)는 상화파일럿버너(BP)에 의하여 재점화된다. 따라서 이 조작 도중에 순간적으로 쌍방의 버너(B1,B2)가 약한 연소상태로 된다.
제1레버(6)를 더 회동시켜서 개폐밸브동작위치(c)에 도달하면, 제1스로틀밸브(4)가 닫혀짐으로써 하화버너(B1)가 소화되고, 그리고 사정(b)을 넘는 화전조작에 의하여 스프링(69)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연소정지위치(a)에 설정됨으로써 하화버너(B1)가 소화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하화버너(B1) 및 상화버너(B2)가 모두 소화상태로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 β{최소 밸브 열림도위치(e)와 개폐밸브동작위치(c)의 각도}와 상기 각도 α와의 관계를 『βα』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1레버(6)의 조작도중에 있어서 제1스로틀밸브(4)가 닫혀지는 것보다 빠르게 제2스로틀밸브(5)가 열려짐으로써, 순간적으로 쌍방의 밸브를 열어서 쌍방의 버너(B1,B2)가 약한 연소로 된다.
또한, 상화파일럿버너(BP)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βα』로 설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제2스로틀밸브(5)가 열려지는 것 보다 빠르게 제1스로틀밸브(4)가 닫혀짐으로써, 순간적으로 쌍방의 스로틀밸브(4,5)가 닫혀서 쌍방의 버너(B1,B2)가 소화된다. 그러나, 그후 곧 제2레버(7)가 사점(b)을 넘어서 스프링(79)의 반전작용에 의하여 스로틀밸브(5)가 열림으로써 상화파일럿버너(BP)에 의하여 재점화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레버(6) 및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의 레버가 연소정지위치에 있고 타측의 레버가 최소 밸브열림위치에 있을 때, 쌍방의 레버가 연동자(93)의 가장자리(91,92)에 접촉하도록 스프링(69,79)에 의한 반전작용의 스트로크를 설정하였으나, 상기 스트로크를 다소 크게 설정하여, 레버(6,7)가 최소밸브열림도위치와 연소정지위치에 있을때, 가장자리(91,92)사이에 약간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설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각도(β)와 각도(α)의 관계는 『β-클리어런스α』 또는 『β-클리어런스α』로 설정한다.
또한, 하화버너(B1) 및 상화버너(B2)의 절환에 대한 터닝 포인트는 상기 사점(b)이지만, 사용자에게 절환율 인시기시키기 위하여,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가 사점위치를 통과하도록 조작된 때, 노크음, 조작력의 순간적증가, 레버의 조작레벨의 변경등의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레버(6)와 제2레버(7)가 동시에 연소정지위치(우단위치)측으로 조작되었을 때는, 연동자(9)의 일측의 가장자리(91) 및 타측의 가장자리(92)에 의하여 쌍방의 레버(6,7)가 사점(b)보다 좌측의 위치에서 또한 개폐밸브동작 위치(c)보다 좌측의 동시조작의 정지위치(d)에서 회동조작이 저지됨으로써, 쌍방의 버너(B1,B2) 모두가 소화되는 일이 없이 약한연소를 계속한다. 그후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69,79)에 의한 반전작용에 의하여 쌍방의 레버(6,7)도 중간위치(약한 연소)로 복귀한다.
상기 동시조작의 정지위치(d)는, 상화파일럿버너(BP)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동작위치(c)보다 사점(b)측에 설정하여, 쌍방의 레버(6,7)가 회동이 저지되었을 때, 쌍방의 버너(B1, B2) 모두가 소화되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69,79)의 반전작용에 의하여 쌍방의 스로틀밸브(4,5)가 최소 밸브열림도가 되는 중간위치로 복귀되고, 상화파일럿버너(BP)에 의하여 재점화되어 약한 연소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작용은 제1도~제7도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있어서도 같다.
본 발명의 화력조정장치(1)는, 구이용 그릴이외의 가스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택일기구(8) 또는 절환기구(9)의 구성 및 장착위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Claims (3)
- 상호 불꽃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버너 및 제2버너와, 점화장치와, 가스분기로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분기로 및 상기 제2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분기로와, 상기 제1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열림도가 가변(可變)임과 아울러 밸브 닫음이 가능한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2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열림도가 가변임과 아울러 밸브닫음이 가능한 제2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에서 최소 열림도 및 밸브닫음위치로 작동시키는 제1조작자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조작자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전달기구 및 제2전달기구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중 어느 일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닫음위치에 설정하였을때, 타측의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위치로의 투입을 저지하는 택일기구로 된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상호 불꽃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버너 및 제2버너와, 점화장치와, 가스분기로에서 분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분기로 및 상기 제2버너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분기로와, 상기 제1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열림도가 가변임과 아울러 밸브닫음이 가능한 제1스로틀밸브와, 상기 제2분기로에 설치되며, 밸브열림도가 가변임과 아울러 밸브닫음이 가능한 제2스로틀밸브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에서 최소 열림도 및 밸브닫음위치로 작동시키는 제1조작자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조작자 및 제2조작자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와의 사이에 설치된 제1전달기구 및 제2전달기구와, 상기 제1스로틀밸브 및 제2스로틀밸브중 어느 일측을 밸브닫음위치로 투입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밸브닫음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타측의 스로틀밸브를 밸브열림위치로 변위시키는 절환기구로 된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일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너와 제2버너는 그릴의 하화버너와 상화버너임과 아울러, 불꽃이동을 하는 상화파일럿버너를 구비하며,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상화파일럿버너에 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197131 | 1993-08-09 | ||
JP5197131A JP2637037B2 (ja) | 1993-03-24 | 1993-08-09 | ガス機器の火力調整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6322A KR950006322A (ko) | 1995-03-20 |
KR960010799B1 true KR960010799B1 (ko) | 1996-08-08 |
Family
ID=1636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7406A KR960010799B1 (ko) | 1993-08-09 | 1994-04-08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10799B1 (ko) |
-
1994
- 1994-04-08 KR KR1019940007406A patent/KR9600107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6322A (ko) | 1995-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10799B1 (ko)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
KR960010798B1 (ko) |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
KR960010795B1 (ko) | 곤로용 그릴 | |
JP2637037B2 (ja) | ガス機器の火力調整装置 | |
JP3813094B2 (ja) | ガス器具 | |
JP2001029241A (ja) | ガスこんろの焼物用グリル | |
KR890005964Y1 (ko) | 가스 히터의 가스 공급 조절장치 | |
JP2017044430A (ja) | 加熱調理器 | |
JPS6324357Y2 (ko) | ||
JPH0451737Y2 (ko) | ||
KR200390619Y1 (ko) | 자동점화밸브가 부착된 가스렌지오븐 | |
JP3128470B2 (ja) | ガス機器の燃焼調整装置 | |
US1943490A (en) | Safety gas burner control | |
KR0127096B1 (ko) | 그릴장치 | |
JPH0233516A (ja) | ガス器具の火力調節装置 | |
JPH042847B2 (ko) | ||
KR200390620Y1 (ko) | 자동점화밸브가 부착된 가스그리들/오븐 | |
JPH0357371B2 (ko) | ||
KR20180031388A (ko) | 전자식 밸브 조립체 및 이를 적용한 조리기기 | |
KR900001682Y1 (ko) | 안전가스레인지 | |
JPS6119319Y2 (ko) | ||
JPS6358018A (ja) | テーブルコンロのレバー式ガス制御装置 | |
JPH0621688B2 (ja) | ガスコック | |
JP3073441B2 (ja) | ガバナ弁を備えたガス機器 | |
KR200339291Y1 (ko) | 타임머가 장치된 가스버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