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98B1 -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Google Patents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10798B1 KR960010798B1 KR1019940006080A KR19940006080A KR960010798B1 KR 960010798 B1 KR960010798 B1 KR 960010798B1 KR 1019940006080 A KR1019940006080 A KR 1019940006080A KR 19940006080 A KR19940006080 A KR 19940006080A KR 960010798 B1 KR960010798 B1 KR 960010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lever
- operator
- closing
- opening degre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Lift Valve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단면측면도.
제2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3도는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의 요부평면도.
제4도는 그릴의 개략 설명도.
제5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설명도.
제6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설명도.
제7도는 조작자와 스로틀밸브의 작동설명도.
제8도는 조작자의 변위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2 : 연료가스제어기구(유량제어장치)
3 : 조작기구 4 : 제1스로틀밸브
5 : 제2스로틀밸브 6 : 제1조작레버
7 : 제2조작레버 8 : 선택기구
B1 : 제1버너 B2 : 제2버너
BP : 상화 파일럿버너 60 : 제1링크기구
70 : 제2링크기구 G : 그릴실
F1,F2 : 레버(조작자)탄지기구
본 발명은 유량제어장치의 조작수단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가스기기의 연료가스유로에, 버너의 화력조정을 위하여, 가스유량을 최대(강한 연소)에서 최소(약한 연소)까지 증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가스의 공급을 정지(소화)할 수 있는 스로틀밸브를 포함하는 유량제어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유량제어장치는, 상기 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강한 연소)에서 최소 열림도(약한 연소)를 경유하여 밸브닫음(소화)에 이르도록 작동시키기 위하여, 조작레버등의 조작자를 포함하는 조작수단에 의하여 조작된다.
상기 조작자는, 스로틀밸브의 최대 열림도위치에서 최소 열림도위치까지는 소정의 조작력을 부여하여 소망의 화력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소정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조작자의 최소 열림도위치에서 연소정지위치로의 조작은, 안정연소를 확보하기 위해 양 단만을 유효정지위치로 설정하고, 도중에 정지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조작자 탄지기구가 부설된다. 상기 조작자 탄지기구로서는, 조작자와 맞물려서 회동하는 회동편, 및 일단을 상기 조작편에 걸고, 타단을 상기 회동편의 외측부에 걸어서 팽팽하게 설치한 스프링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조작자 탄지기구를 사용할 경우, 스프링 하중이 최소 열림도위치측과 연소정지위치측의 어느쪽에도 작용하지 않는 사점(dead point)이 중간에 발생한다. 이 시점에서는 조작자가 스프링으로부터의 탄지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력의 부여를 중지하면 조작자가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
종래의 조작자 탄지기구는,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 위치와 상기 사점위치사이에서의 관계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점위치에서 조작자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스로틀밸브의 열림도가 설정된 최소 열림도보다 작기 때문에, 분출되는 가스량이 극히 적어지게 되어 연소를 유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실화상태로 되고, 또 실화상태에서 가스가 방출되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자 탄지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조작자가 사점에서 정지된 경우에, 필히 스로틀밸브를 밸브닫음상태로 하여 가스방출의 위험등이 없는 유량제어장치의 조작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는, 유체공급로에 설치되며, 최대 밸브 열림도에서 밸브닫음까지 사이의 밸브 열림도를 변위할 수 있는 스로틀 밸브와, 상기 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에서 최소 열림도를 경유하여 밸브 닫음까지 작동시키는 조작자와, 상기 조작자와 맞물려서 회동가는 회동편, 및 일단을 상기 조작자에 걸고, 타단을 상기 회동편의 외측부에 걸어서 팽팽하게 설치된 스프링으로 된 조작자 탄지기구를 구비한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밸브의 최소 열림도위치에서 밸브닫음까지의 조작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최초에는 상기 스프링의 최소 밸브 열림도위치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히는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여 변위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조작자와 상기 회동편이 맞물리는 점과 일치하는 사점에서 중립이 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사점을 통과한 후에는 조작자가 연소정지위치에 설정될때까지는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연소정지위치측으로 탄지되며, 상기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위치를 상기 사점보다 최소 열림도 위치측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는,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위치를 상기 사점위치보다 최소 열림도측에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자에 의한 연소정지위치로의 조작자에, 사점통과전 혹은 사점통과후에 조작자에서 손을 뗀 경우,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하여 조작자는 최소 열림도위치 혹은 연소정지위치로 이동하고, 이때 스로틀밸브는 최소 열림도 혹은 밸브닫음상태로 되기 때문에, 최소 연소를 계속하거나 혹은 소화상태로 된다. 또 사점위치에서 조작력을 해제하여 조작자가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하더라도, 이때의 스로틀밸브는 밸브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하다. 또 역방향의 조작의 경우에도, 사점에서는 스로틀밸브가 밸브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최소 열림도이하로 닫혀지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가 사용된 그릴버너의 화력조정장치(1)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실(G)의 양측 하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화 버너(제1버너 ; B1), 그릴실(G)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화 버너(제2버너 ; B2) 및 그릴실(G)의 내부에 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부착되며 제1버너(B1)와 제2버너(B2)로 불꽃을 이동시키는 연속불꽃구멍이 형성된 상화(常火) 파일럿버너(BP)를 구비한다. 화력조정장치(1)는 밸브보디(10)의 내외에 설치된 연소가스의 유량제어장치(2)와, 조작부가 곤로의 전면에 설치되며 유량제어장치(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구(3)로 이루어지며, 제1버너(B1), 제2버너(B2) 및 상화 파일럿버너(BP)의 점화, 소화 및 화력조절을 한다.
유량제어장치(2)는 가스공급로(11)의 상류측에 설치된 안전밸브(21), 메인밸브(22) 및 거버너(23)를 가진다. 거버너(23)의 하류측 가스공급로(11)는 제1버너(B1)로의 제1분기로(12), 제2버너(B2)로의 제2분기로(13) 및 상화 파일럿버너(BP)로의 분기로(14)로 분기되어 있다. 상화 파일럿버너(BP)에는 점화장치로서의 스파커(16)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제1분기로(12) 및 제2분기로(13)에는, 각각 가스유량을 최대화력(밸브 열림도 최대)에서 최소화력(밸브 열림도 최소)으로 점차 변화시킴과 아울러 연소를 정지(밸브닫음)시킬 수 있는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보디(10)는 상류측 블록(1A)과 하류측 블록(1B)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며, 상류측 블록(1A)에는 안전밸브(21), 메인밸브(22) 및 거버너(23)가 설치되고, 하류측 블록(1B)에는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기구(3)는 상기 안전밸브(21) 및 메인밸브(22)를 개폐시키며, 스파커(16)에 방전불꽃을 발생시키는 스위치를 겸한 점화·소화버튼(15)과, 제1스로틀밸브(4)를 작동시켜 제1버너(B1)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레버(조작자;6)와, 제2스로틀밸브(5)를 작동시켜 제2버너(B2)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레버(조작자;7)를 가진다. 제1레버(6)와 제1스로틀밸브(4)사이에는 제1링크기구(60)가 설치되며, 제2레버(7)와 제2스로틀밸브(5)사이에는 제2링크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제1레버(6)와 제2레버(7)는 상하 병렬로 설치되며, 각각 좌우로 변위할 수 있으며, 모두 우단위치가 연소정지, 중간위치가 약한연소, 좌단위치가 강한 연소로 되어 있다.
제1레버(6)와 제2레버(7)는, 이들 2개의 조작레버가 동시에 연소정지위치(우단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저지하는 선택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져서 병렬로 형성된 밸브구멍(40,50)과, 이들 밸브구멍(40,50)에 상단이 돌출되며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끼워넣어진 니들밸브체(41,51)로 이루어진다.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에는, 제1링크기구(60) 및 제2링크기구(70)의 회전동작을 니들밸브체(41,51)의 직선동작으로 변환시키는 캠기구(C1,C2)가 설치되어 있다.
캠기구(C1,C2)는, 니들밸브체(41,51)의 돌출된 상단에서 각각 배향(背向)되게 반지름방향으로 돌출설치된 걸림대(42,52)와 걸림대(42,52)가 끼워져서 미끄럼동작하는 캠슬릿(43,53)으로 이루어진다. 캠슬릿(43,53)은, 바닥부가 없는 상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판부가 하류측 블록(1B)의 상단면을 덮도록 체결된 커버판(4A)의 전후측판(44,54)에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5도~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구멍(40,50)은 상류측에 큰 지름으로 된 제1밸브구멍(45,55)과, 하류측에 작은 지름으로 된 제2밸브구멍(46,56)을 가진다.
니들 밸브체(41,51)에는, 상류측에 상기 제1밸브구멍(45,55)을 개폐하는 큰 지름으로 된 O링이 끼워진 제1밸브체(47,57)와, 하류측에 제2밸브구멍(46,56)을 개폐하는 작은 지름으로 된 제2밸브체(48,58)와, 내부에 상기 제2밸브체(48,58)를 우회하여 각각 O링의 하류측 외측둘레와 제2밸브체(48,58)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오리피스(49,59)가 형성되어 있다.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는, 최소 밸브 열림도가 되는 제1레버(6) 및 제2레버(7)의 중간위치(약한 연소)애서 소정의 거리만큼 제1레버(6) 및 제2레버(7)를 우측으로 조작하여 니들밸브체(41,51)를 하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밸브를 닫고(소화), 또 제1레버(6) 및 제2레버(7)를 미소한 소정의 거리만큼 더 우측으로 조작하여 니들밸브체(41,51)를 하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약 1mm) 밸브의 닫음을 확실하게 한다.
즉,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밸브체(41,51)는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의 입구에 맞닿는 상태에서 밸브를 닫으며, O링이 제1밸브구멍(45,55)내에 끼워넣어진 (약 1mm)상태까지 변위한다.
제1링크기구(60) 및 제2링크기구(70)는 상류측 블록(1A)의 전단면에 체결된 대략 직사각형 틀형상의 브래킷(6A)과, 그 상판부(6B)의 중심에 형성된 제1지지점(P1)과, 상기 커버판(4A)의 상판(4B)의 중심에 형성된 제2지지점(P2)을 가진다.
제1레버(6)(제3도참조) 및 제2레버(7)(제2도 참조)는, 그 중간부가 상판부(6B)의 하면 및 상면에 미끄럼 접촉함과 동시에 제1지지점(P1)에 축지지되며, 그 전단부(61,71)가 조작부가 되고, 그 후단에 핀(62,72)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2지지점(P2)에는 V자형 링크레버(63) 및 시소형 링크레버(73)가 모두 상기 커버판(4A)의 상판(4B)의 상면에 겹쳐져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각 링크레버(63,73)의 일단(전단)에는 상기 핀(62,72)과 맞물리는 슬릿(64,74)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하측으로 수직이 되도록 구부러짐과 동시에 상기 걸림대(45,52)와 맞물리는 슬릿(65,75)이 형성되어 있다.
제1래버(6)의 하면 및 제2레버(7)의 상면에는, 제1레버(6) 및 제2레버(7)가 중간위치(약한연소)와 우측위치(소화)사이에서 왕복조작될 때, 제1레버(6) 및 제2레버(7)를 일측의 위치로 탄지하기 위한 레버(조작자)탄지기구(F1) 및 레버(조작자) 탄지기구(F2)가 부설되어 있다.
레버 탄지기구(F1) 및 레버탄지기구(F2)는, 제1레버(6)의 하면에 미끄럼접촉하는 회동편(67) 및 제2레버(7)의 상면에 미끄럼접촉하는 회동편(77)을 구비한다. 회동편(67) 및 회동편(77)은, 브래킷(6A)의 상판부(6B)에서 앞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분(6C)의 하측(6D) 및 상측(6E)에 형성한 회동죈 지지점(66) 및 회동편 지지점(7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제1지지점(P1)과 회동편 지지점(66) 및 회동편 지지점(76) 중간의 제1레버(6)의 하면 및 제2레버(7)의 상면에는, 맞물림 핀(P6) 및 맞물림 핀(P7)이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회동편(67,77)의 내측단에는 맞물림 오목부(Q6,Q7)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편(67,77)의 외측단과 브래킷(6A)의 상판부(6B)의 중간부 하면 및 상판부(6B)의 중간부 상면에 돌출설치된 핀(68) 및 핀(78)사이에는 코일스프링(69) 및 코일스프링(79)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선택기구(8)는, 브래킷(6A)의 상판부(6B)에서 연장된 연장부분(6C)의 선단 중앙에서 상측으로 구부린 절곡부(6F)에 형성된 지지축(81)과, 중심측부가 상기 지지축(8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사분원판(四分員板; 82)과, 절곡부(6F)의 레버측단부에 형성한 사분원판(82)의 회전저지부(83)로 이루어진다.
선택기구(8)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레버(6)가 우단위치(소화)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사분원판(82)의 일측 가장자리(84)가 제1레버(6)와 맞닿고, 사분원파(82)의 타측 가장자리(85)가 제2레버(7)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분원판(82)은 제1레버(6)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어 고정되며, 제2레버(7)는 우단위치(소화)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반대로, 제2레버(7)가 우단위치(소화)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사분원판(82)의 상기 타측 가장자리(85)가 제2레버(7)의 측면과 맞닿고, 상기 일측 가장자리(84)가 제1레버(6)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레버(6)는 우단 위치(소화)로의 변위가 저지된다. 이 결과, 제1레버(6) 또는 제3레버(7)중 어느 일측만이 소화위치에 설정된다는 택일(擇一)이 이루어진다.
유량제어장치(2) 및 조작기구(3)의 작동을 설명한다.
점화 소화버튼(15)을 누르면, 메인밸브(22) 및 안전밸브(21)가 열려 상화 파일럿버너(BP)에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동시에 스파커(16)에 의한 불꽃에 의하여 점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1레버(6) 및 제2레버(7)중, 우단위치(소화) 이외의 위치에 레버가 설정되어 있는 제1버너(B1) 및/또는 제2버너(B2)가 불꽃이동에 의하여 점화된다. 이 점화조작후, 제1레버(6) 및/또는 제2레버(7)를 소정의 위치로 설정하면, 제1링크기기(60) 및/또는 제2링크기구(70)를 통하여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작동되어, 제1버너(B1) 및/또는 제2버너(B2)는 가열조리의 목적에 따른 소망의 화력으로 연소한다.
화력조정조작에 있어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좌단위치(강한 연소)에서 우측으로 변위시키면, 니들밸브체(41,51)의 제2밸브체(48,58)가 우선 제2밸브구멍(46,56)을 막는다. 이 위치가 중간위치(약한 연소)이며, 오리피스(49,59)만의 밸브 열림도가 된다(제6도 참조)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밸브체(47,57)의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의 입구에 맞닿아서 밸브를 닫는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의 설정위치는, 레버 탄지기구(E1) 및 레버 탄지기구(E2)가 사점이 되는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의 설정위치보다 상기 중간위치(약한 연소)측으로 치우쳐져 있다.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중간위치(약한 연소)에서 우단위치(소화)까지 우측으로 변위시켜서 소화조작할 경우에 있어서, 사점까지는 레버 탄지기구(F1) 또는 레버 탄지기구(F2)의 중간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기 때문에 조작력은 비교적 적다. 그리고,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의 입구에 맞닿았을때에는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의 입구에 끼워넣어질때의 O링의 변형에 따른 저항과 레버 탄지기구(F1) 또는 레버 탄지기구(F2)에 의한 탄지에 저항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력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의 임구에 끼워넣어진 후에는, 미끄럼동작에 의한 마찰저항은 있으나 O링의 변형에 비해 작은 중간정도가 된다.
제1레버(6) 및 제2레버(7)에 부여되는 스프링의 탄지력은 사점에서 멀어질수록 커진다. 이 결과, 사점통과전 혹은 사점통과후에 제1레버(6) 및 제2레버(7)에서 손을 뗀 경우,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하여 제1레버(6) 및 제2레버(7)는 중간위치(약한 연소) 혹은 우단위치(소화)로 이동하고, 이때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는 최소 열림도 혹은 밸브닫음상태로 되기 때문에, 최소연소를 계속하거나 혹은 소화상태로된다. 사정에서, 제1레버(6) 및 제2레버(7)에서 손을 떼어 조작력을 해제하므로써 제1레버(6) 및 제2레버(7)가 그 위치에서 정지된다하더라도, 이때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밸브를 닫은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안정하다. 또 역방향의 조작의 경우에도, 사전에서는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5)가 밸브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최소 열림도이하로 닫혀지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을 연소정지시킬 때에는,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을 우단위치에 설정한다. 이 조작에 의하여 니들밸브체(41,51)는, 제1밸브체(47,57)의 O링이 제1밸브구멍(45,55)을 막는다. 따라서, 연료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일측이 소화된다.
제1버너(B1) 또는 제2버너(B2)중 어느 일측이 소화위치(우단위치)로 설정되면, 선택기구(8)의 사분원판(82)이 회동하여, 사분원판(82)의 일측 가장자리(84,85)가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일측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고, 타측 가장자리(84,85)가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타측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이 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중 어느 타측이 소화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저지한다.
레버 탄지기구(F1,F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를 좌단위치(강한 연소)애서 우측으로 변위시켜 중간위치(약한 연소)에 이를때까지는, 회동편(67,77)의 내측단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Q6,Q7)와 제1레버(6) 및 제2레버(7)에 돌출설치한 맞물림 핀(P6,P7)이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를 중간위치(약한 연소)에서 우측으로 변위시켜 우단위치(소화)에 이를때까지는, 맞물림 오목부(Q6,Q7)와 핀(P6,P7)이 서로 맞물리고, 회동편(67,77)은 스프링(69,79)을 신장시키면서(스프링 하중에 저항하면서) 회동하고, 제1지지점(P1)과 회동편 지지점(66,76)과 맞물림 핀(P6,P7)이 일직선으로 되는 사점을 통과한 후에는 스프링(69,79)을 줄이면서(스프링 하중에 탄지되어) 회동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의 중간위치에서 우단위치까지 움직일 경우의 조작력은, 사점까지는 스프링(69,79)을 신장시키면서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여 변위시키기 때문에 크고, 사점에서는 스프링 하중에 영향을 받지 않는 중립이 된다. 사점을 통과한 후에는 스프링(69,79)의 스프링하중에 의하여 탄지되면서 변위하기 때문에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는 자동적으로 우단위치로 변위한다.
즉,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는, 중간위치에서 우단위치까지의 변위에서는, 사점통과전 및 사점통과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탄지되기 때문에 조작력을 해제하더라도 중간위치 또는 우단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 반대로 우단위치에서 중간위치까지 변위시킬 때에도, 사점통과전 및 사점통과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탄지되므로 일측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가 중간위치와 우단위치 사이에서 정지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사점에서는 레버 탄지기구가 중립상태로 되므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스프링력에 의한 탄지가 없기 때문에, 조작력을 해제하여 조작자가 사점에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때에는 필히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가 밸브닫음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최소 열림도이하의 열림도상태로 되어 실화되고 또 실화상태에서 가스가 방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조작기구는 가스기기이외의 유량제어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우단위치에서 중간위치까지 변위시킬 때에도, 사점통과전 및 사점통과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탄지되므로 일측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제1레버(6) 또는 제2레버(7)가 중간위치와 우단위치 사이에서 정지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사점에서는 레버 탄지기구가 중립상태로 되므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스프링력에 의한 탄지가 없기 때문에, 조작력을 해제하여 조작자가 사점에 정지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때에는 필히 제1스로틀밸브(4) 및 제2스로틀밸브가 밸브닫음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된 최소 열림도이하의 열림도상태로 되어 실화되고 또 실화상태에서 가스가 방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조작기구는 가스기기이외의 유량제어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 유체공급로에 설치되며, 최대 밸브 열림도에서 밸브닫음까지 사이의 밸브 열림도를 변위할 수 있는 스로틀밸브와, 상기 스로틀밸브를 최대 열림도에서 최소 여림도를 경유하여 밸브닫음까지 작동시키는 조작자와, 상기 조작자와 맞물려서 회동하는 회동편, 및 일단을 상기 조작에 걸고, 타단을 상기 회동편의 외측부에 걸어서 팽팽하게 설치된 스프링으로 된 조작자 탄지기구를 구비한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밸브의 최소 열림도위치에서 밸브닫음까지의 조작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는, 최초에는 상기 스프링의 최소 밸브 열림도위치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스프링 하중에 저항하여 변위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조작자와 상기 회동편이 맞물리는 점과 일치하는 사점에서 중립이 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사점을 통과한 후에는 조작자가 연소정지위치에 설정될때까지는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하중에 의하여 연소정지위치측으로 탄지되고, 상기 스로틀밸브의 밸브닫음위치를 상기 사점보다 최소 열림도위치측애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밸브는, 최소 밸브 열림도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밸브체를 변위시킴에 의하여 밸브닫음을 개시하고, 소정의 거리 만큼 밸브체를 더 변위시킴에 의하여 밸브닫음을 완료하는 니들밸브이고, 상기 조작자는 조작레버이며, 링크기구를 통하여 상기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밸브는 제1밸브구멍 및 제2밸브구멍을 갖는 밸브구멍을 가지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밸브구멍을 개폐하는 O링이 끼워진 제1밸브체 및 상기 제2밸브구멍을 개폐하는 제2밸브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제2밸브체를 우회하여 각각 O링의 하류측 외측둘레와 제2밸브체의 하류측을 연결하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닫음의 개시는 상기 O링이 상기 제1밸브구멍의 입구에 맞닿은 상태이고, 상기 밸브닫음의 완료는 상기 O링이 상기 제1밸브구멍내에 끼워넣어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66407 | 1993-03-25 | ||
JP5066407A JP2614692B2 (ja) | 1993-03-25 | 1993-03-25 | 流量制御装置の操作機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998A KR940021998A (ko) | 1994-10-19 |
KR960010798B1 true KR960010798B1 (ko) | 1996-08-08 |
Family
ID=1331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6080A KR960010798B1 (ko) | 1993-03-25 | 1994-03-25 |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614692B2 (ko) |
KR (1) | KR9600107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96124B2 (ja) * | 2018-10-04 | 2022-07-05 | リンナイ株式会社 | 電動式ガス弁装置 |
JP7096127B2 (ja) * | 2018-10-11 | 2022-07-05 | リンナイ株式会社 | 電動式ガス弁装置 |
-
1993
- 1993-03-25 JP JP5066407A patent/JP261469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3-25 KR KR1019940006080A patent/KR9600107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614692B2 (ja) | 1997-05-28 |
JPH06272857A (ja) | 1994-09-27 |
KR940021998A (ko) | 1994-1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10798B1 (ko) | 유량제어장치의 조작기구 | |
KR960010795B1 (ko) | 곤로용 그릴 | |
KR960010799B1 (ko) | 가스기기의 화력조정장치 | |
KR890005964Y1 (ko) | 가스 히터의 가스 공급 조절장치 | |
JPH06331130A (ja) | ガス機器の火力調整装置 | |
JP2001029241A (ja) | ガスこんろの焼物用グリル | |
JPS6324357Y2 (ko) | ||
JPS6119319Y2 (ko) | ||
JPH0451737Y2 (ko) | ||
JPH0357371B2 (ko) | ||
JPH0330704Y2 (ko) | ||
KR200369446Y1 (ko) | 가스레인지용 안전밸브 | |
JP3650233B2 (ja) | ガス機器 | |
JP3127189B2 (ja) | ガスコンロの器具栓 | |
JPS59221516A (ja) | ガスコンロ | |
JP3073441B2 (ja) | ガバナ弁を備えたガス機器 | |
KR0127096B1 (ko) | 그릴장치 | |
JPS5842883A (ja) | ガス器具の燃焼量調節装置 | |
JPH0237214A (ja) | ガスコック | |
JPS6358018A (ja) | テーブルコンロのレバー式ガス制御装置 | |
KR900000927Y1 (ko) | 가스기구의 누름버튼식 조작장치 | |
KR0115562Y1 (ko) | 가스 곤로의 온도 센사 작동장치 | |
KR900001682Y1 (ko) | 안전가스레인지 | |
KR0135474B1 (ko) | 가스 오븐 레인지의 점화 제어 방법 | |
KR200231783Y1 (ko) |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