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13B1 - 모발계지 장식구 - Google Patents

모발계지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13B1
KR960010613B1 KR1019930016018A KR930016018A KR960010613B1 KR 960010613 B1 KR960010613 B1 KR 960010613B1 KR 1019930016018 A KR1019930016018 A KR 1019930016018A KR 930016018 A KR930016018 A KR 930016018A KR 960010613 B1 KR960010613 B1 KR 96001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ubstrate
portions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512A (ko
Inventor
마사히로 야스다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야스다코오퍼레이션
마사히로 야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야스다코오퍼레이션, 마사히로 야스다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야스다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94000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발계지 장식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발계지 장식구의 계지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이다.
제2도는 장식편 부착용 기판, 스프링판, 개폐판을 분리한 상태로 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서의 3-3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4도의 (a),(b),(c)는 잠금상태의 해제과정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3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제5도의 (a),(b),(c)는 잠금상태의 해제과정을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1도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모발을 2개의 부재 사이에서 협지하는 모발계지 장식구로서, 주로 장식을 겸한 모발계지용으로 사용되는 모발계지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모발계지 장식구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45-3321호 공보, 실개소 50-47698호 공보, 실개소 50-154195호 공보, 실개소 57-55403호 공보, 실개소 61-174504호 공보 등에 표시되어 있듯이, 상면에 장식편을 부착한 띠형상의 기판과, 양 끝이 그 기판에 맞닿아서 계지된 하방으로 만곡되는 띠 형상의 스프링판과, 그 하방에 위치하여 기단측이 기판의 한쪽 끝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에 피봇팅상태로 고정되고, 또, 자유단측의 계지부가 기판의 다른쪽 끝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한쌍의 계지편에 계탈자재하게 된 띠형상의 개폐판으로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모발계지 장식구는, 개폐판과 스프링판 사이에 모발을 끼우고, 그 개폐판의 계지부를 기판의 계지편으로 계지하므로써, 모발을 계지한다. 또, 계지편에 일체로 형성된 작동편을 양쪽으로부터 압압하므로써, 상기한 계지상태가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모발계지 장식구에서는, 상기한 계지해제조작은 장식편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작동편을 그 양쪽에서 압압하므로써 실시된다. 따라서, 실제로 이것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상기한 조작을 실시할 경우, 장식편의 하면에 손가락을 넣어서 찾아야 하므로 힘드는 일이었다. 특히 대형의 장식편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그 둘레가장자리로부터 작동편까지의 간격이 커지므로 그 해제조작은 더욱 더 힘드는 일이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출원공고공보인 실공평 4-38404호에서, 개폐판의 기판측으로의 압압조작에 의해 양 계지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계지상태를 해제시키는 계지해제부재를 부착한 모발계지 장식구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의한 모발계지 장식구는, 장식편 부착용 기판의 한쪽 끝에 한쌍의 계지편이, 겹친 현상으로 하여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기판의 타단측에 기단부가 피봇상태로 고정되고, 또, 상기한 계지편에 계지 및 해제가 자유자재인 상태로 계지되는 계지부가 유단측(遊端側)에 있는 띠형상의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한 개폐판의 유단측에 형성된 하향팽출형상의 중앙의 띠형상부와 그 양쪽에 형성된 계지부를 구성하는 상향팽출형상의 측면 띠형상부와의 사이에서, 중앙부에 상기한 계지편을 서로 끌어당긴 상태로 삽입하는 상기한 계지부의 계지편 삽입간극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내경의 계지편 삽입구멍이 있는 링(RING)이 상하이동이 자유자재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계지해제부재로서의 링을 구비한 모발계지 장식구에 있어서는, 이 모발계지 장식구를 모발에 실제로 착용한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장식편의 유단측을 머리쪽으로 압압한 후에, 그 압압상태를 해제하므로써 완료된다. 이 모발계지 장식구에 의하면, 종래의 제품과 같이, 장식편의 하면에 손가락을 넣어서 작동편을 찾아서 조작한다고 하는 계지해제조작을, 장식편의 일단부를 압압한다고 하는 극히 간단한 조작으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큰 장식편을 구비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 해제조작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모발계지 장식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계지해제부재로서의 링은, 계지해제 조작시에 그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부분에 한쌍의 계지편을 끌어당긴 상태로 강제적으로 끼워넣는 것이다. 따라서, 링은, 계지편이 강제 삽입될 때에 직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라야 한다.
또, 링의 구멍부분 내주면에서, 계지편이 강력한 외향의 힘이 부여된 상태로 미끄럼접촉하므로, 링 자체가 내마모성에도 우수한 것이라야 한다. 또, 계지편을 원활하게 끼워넣기 위하여, 큰 마찰력이 발생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링은 상기한 어떠한 조건이라도 만족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튼튼한 것이고, 또, 구멍부분 내주면을 마찰력이 잘 발생되지 않는 형상으로 표면을 마무리해야 하는 일 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그 제조비용이 약간 상승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한 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판의 유단측에 형성된 중앙띠형상부와 측띠형상부 사이에서 상하이동이 자유자재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링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중앙띠형상부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평행한 한쌍의 안내돌편을 설치하는 동시에, 링의 외주면에 대응안내홈을 형성하고, 그 안내홈에 안내돌편을 끼워 맞추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링 탈락방지구조는, 링 및 개폐판 쌍방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것이므로, 그 제조작업을 까다롭게 하는 동시에, 개폐판에 대한 링의 조립작업을 까다롭게 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였다.
더구나, 계지해제조작을 할 때마다 겹쳐지는 상태로 배치된 한쌍의 계지편의 외측가장자리부가 링의 구멍부분 내주면에 미끄럼접촉되므로, 계지편에 설치된 계지클릭(click)부가 마모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계지해제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조립을 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한 모발계지 장식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모발계지 장식구는, 일단부에, 서로 겹쳐지는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계지편이 있는 기판과, 일단부가 상기한 기판의 타단부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 상기한 계지편에 계탈자재하게 계지되는 계지부가 있는 개폐판과, 상기한 기판과 상기한 개폐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한 계지편에 계지부가 계지된 계지상태에서, 상기한 개폐판을 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판과, 상기한 계지상태를 해제시키는 계지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계지해제수단은 상기한 계지상태로부터 개폐판의 타단부측과 기판의 일단부측이 접근되도록 조작했을 때에, 상기한 양 계지편을 당겨서 이동시켜서, 상기한 계지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계지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상기한 각 계지편의 기단부에 외방팽출형상으로 형성된 당접수단과, 상기한 계지해제상태로 된 후에도, 계속적으로 양 계지편의 인장상태를 유지시키는 계지편 인장유지수단과, 상기한 계지편의 인장상태로부터 상기한 개폐판이 개구방향으로 회동하여서 상기한 계지부가 상기한 계지편에 다시 계지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한 계지편 인장유지수단을 양 계지편 인장해제방향으로 부세하여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 및 장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예시하는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의 다른 어떠한 설계적 변경이라도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 5도에 표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도가 기재된 종이의 상단측을 상, 하단측을 하라고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발계지 장식구는, 기판(1)과, 그 상부에 부착된 장식편(2)과, 스프링판(3)과, 개폐판(4)을 구비하고, 또, 계지해제수단이 설치된 것이다.
기판(1)은, 그 상부에 장식편(2)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의 판재로 구성된다.
이 기판(1)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상방으로 약간 만곡된 띠판부(10)와, 그 일단부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하향으로 돌설된 대향하는 한쌍의 작동편(11)과, 그 타단부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하향으로 돌설된 대향하는 한쌍의 연결편(12,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양 작동편(11,11)은, 하방을 향하여 약간 개구한 상태로 되어있다. 또, 이들 작동편(11,11)의 기판 중앙쪽 가장자리에 L자형상의 계지편(13,13)이 안쪽을 향하여 연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계지편(13,13)은 그 수직부(13b,13b)가 서로 겹쳐진 상태이며, 평상시에는 양 작동편(11,11)의 개구에 대응하여 하방을 향하여 외방으로 개구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 계지편(13,13)은, 그 선단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외측 가장자리부에 계지클릭부(13a,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직부(13b,13b)의 기단 외측가장자리부에는, 외측팽출형상으로 구성된 계지해제용인 당접수단으로서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는 그 하단 가장자리 부분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각 연결판(12,12)은 선단부에 축구멍(12a,12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선단 가장자리의 기판 중앙측에 단(段)주(12b,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띠판부(10)는, 그 양측부에 하면측으로 팽출하는 길이방향을 따르는 리브(10b,10b)가 형성되어서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상기한 장식편(2)은, 상기한 기판(1)의 상면에 합성수지 성형물 등에 의하여 필요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설치된 것이다.
그 장식편(2)은, 기판(1)의 띠판부(10)의 양 끝부에 설치된 구멍(10c,10c)에 있어서 기판(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링판(3)은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하방으로 만곡된 가느다라한 띠형상의 탄성금속판이다.
그 스프링판(3)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그 양끝에 가늘고 길이가 긴 ㄷ자형상의 레그부(3a,3a)가 설치되고, 이 레그부(3a,3a)의 양끝 외측 가장자리의 기단부에 가까운 쪽 위치에 계지단부(3b,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판(3)은, 제1도에 표시하듯이 그 한쪽 레그부(3a,3a)가 상기한 연결편(12,12)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쪽 레그부(3a,3a)가 상기한 작동편(11,11)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계지단부(3b,3b)가 작동편(11,11) 및 연결편(12,12)에 각각 당접되므로써 길이방향의 소정이상의 이탈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판(3)은 기판(1)측을 따라 굴곡자재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판(3)을 기판(1)을 따라 굴곡자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그 양쪽을 기판(1)에 대하여 미끄럼이동이 자유자재인 상태로 설치하는 것 외에, 한쪽 끝부분만을 기판(1)에 대하여 미끄럼이동이 자유자재인 상태로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스프링판(3)에는 금속제의 탄성이 있는 복귀수단으로서의 띠판(14)이, 그 일단부를 상기한 레그부(3a,3a)의 기단연결부(3c)에 접합, 일체화되어서, 양 레그부(3a,3a)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그 띠판(14)은, 그 선단이 하방으로 굴곡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띠판(14)의 선단에는 중앙부에 계지편(13,13)을 끼워넣을 수 있는 크기의 장방형의 구멍(15a)이 있는, 계지편 인장지지수단으로서의 환형상 프레임(15)이 기판(1)에 대하여 대략 평행상태가 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환형상 프레임(15)의 구멍(15a) 내에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계지편(13,13)이 삽입, 배치되어 있다. 이 삽입, 배치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상 프레임(15)의 대향하는 한쌍의 계지편 인장편부(15a,15a)가 상기한 계지클릭부(13a,13a)와 상기한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 사이에 배설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환형상 프레임(15)의 선단부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당접편(15c)이 기판측을 따라 연장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개폐판(4)은,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이 상방으로 약간 만곡된 띠형상의 탄성금속판으로 구성된다.
그 개폐판(4)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그 좌측 끝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한 2줄의 절입이 형성되고, 그 중앙띠형상부(4a)가 하향으로 팽출성형되는 동시에, 그 양쪽의 평행한 측띠형상부(4b,4b)가 상향으로 팽출성형되어 있다. 이 측띠형상부(4b,4b)가 계지부를 구성한다. 우측 끝부(4c)는, 상방으로 비스듬이 굴곡되고, 그 폭방향의 양쪽 가장자리에 소돌편(小突片)(4d,4d)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3개의 장공(長孔)(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개폐판(4)은 제1도에 표시하듯이, 그 우측 끝부(4c)를 기판(1)의 연결편(12,12) 사이에 삽입하고, 그 우측 끝부(4c)의 소돌편(4d,4d)을 연결편(12,12)의 축구멍(12a,12a)에 끼워넣으므로써, 기판(1)에 대하여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추착상태에 있어서, 개폐판이 폐작동하여서 계지부(4b,4b)가 기판(1)의 계지편(13,13)과 소정의 간격을 둔 이간상태로 되었을 때에, 개폐판(4)의 우측 끝부(4c)의 접속부분 양측으로 연장되는 스토퍼부(4f,4f)가 연결편(12,12)의 단부(12b,12b)에 당접하여 그 이상의 개폐판(4)의 폐작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모발계지 장식구에 있어서 개폐판(4)은, 그 우측 끝부(4c)쪽을 지지점으로 하여 개폐되어, 스프링판(3)과 개폐판(4) 사이에 모발을 끼워넣는 것이다.
다음에, 이 모발계지 장식구의 계지작동 및 계지해제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폐판(4)을 폐작동시키면, 그 중간에 그 중앙부분이 상기한 스프링판(3)에 당접되고, 또, 상기한 스토퍼부(4f,4f)가 연결편(12,12)의 단부(12b,12b)에 당접된다.
그러나, 스프링판(3) 및 개폐판(4)은 모두 탄성이 있으므로, 이들의 탄성반발력에 대항하여 개폐판(4)의 유단측을 더욱 압압하므로써, 개폐판(4)은 그 계지부로서의 양쪽 띠형상부(4b,4b)가 기판(1)의 계지편(13,13)의 선단부에 당접할 때까지 굴곡된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개폐판(4)의 유단측을 압압하면, 개폐판(4)의 계지부를 구성하는 양측띠형상부(4b,4b)가, 그 내측 가장자리를 양 수직부(13b,13b)의 선단 원호 형상 가장자리부터 유도되어서 미끄럼접촉시키면서 그 수직부(13b,13b)의 기단측으로 유도된다. 그것에 따라 수직부(13b,13b)는 그 겹침정도를 점점 깊게 해 간다.
그리고, 상기한 계지부(4b,4b)가 계지클릭부(13a,13a)를 통과한 시점에서, 양 계지편(13,13)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 외향으로 개구하고, 그 계지클릭부(13a,13a)에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가 계지된다.
이 계지상태에 있어서도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환형상 프레임(15)의 대향하는 한쌍의 계지편 인장편부(15b,15b)가, 계지편(13,13)의 계지클릭부(13a,13a)와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한 양 계지편(13,13)의 양쪽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계지상태는 계지편(13,13)의 수직부(13b,13b)의 겹침정도를 깊게 하므로써 해제할 수 있는 것인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먼저, 개폐판(4)의 유단측을 기판(1)측으로 접근 이동시킨다.
즉, 상기한 접근이동조작에 의하여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가 환형상 프레임(15)의 계지편 인장편부(15b,15b)에 당접되고, 그 계지편 인장편부(15b,15b)의 내측 가장자리가 계지편(13,13)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에 당접된다. 즉, 계지부(4b,4b)가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에 계지편 인장편부(15b,15b)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당접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시 근접이동시키면, 계지편 인장편부(15b,15b)가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를 따라서 미끄럼접촉이동하므로써, 점차로 양 계지편(13,13)의 수직부(13b,13b)의 겹침정도가 깊게 되어서 제4도에 표시하듯이, 양 계지클릭부(13a,13a)가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로부터 이탈하여 계지해제상태로 된다. 이때 당접편(15c)은, 그 선단부가 기판(1)에 당접되어서 그 이상의 접근을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계지해제조작시에는 계지클릭부(13a,13a)에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 및 계지편 인장편부(15b,15b)의 어느 쪽도 미끄럼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계지클릭부(13a,13a)가 조기에 마모되어서 계지불량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가 당접수단으로서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에 간접적으로 당접되므로,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가 국부적으로 마모되어서 계지불량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이어서, 상기한 압압상태를 해제하면, 개폐판(4)의 유단측은 스프링판(3) 및 개폐판(4)의 스프링탄성력에 의한 반발작용에 의해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개구방향으로 회동하며, 계지클릭부(13a,13a)가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 계지해제상태로 된다.
이 계지해제상태에 있어서, 환형상 프레임(15)의 계지편 인장편부(15b,15b)는, 제4도(b) 및 제5도(b)에 표시하듯이, 계지편(13,13)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에 마찰력에 의하여 계지된 상태 그대로 있다.
그런데도, 개폐판(4)이 제4도(c) 및 제 5도(c)에 표시하듯이, 더욱 개구방향으로 회동하여서 그 개폐판(4)에 의한 스프링판(4)으로의 압압상태가 약해지고, 또는, 제5도(c)에 표시하듯이, 그 압압상태가 완전히 해제되면, 스프링판(3)이 하향팽출형상으로 복원되고, 그것에 따라서 그 스프링판(3)에 연설된 탄성띠판(14)이 하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의해서, 상기한 계지편 인장편부(15b,15b)는 계지편(13)의 계지클릭부(13a)측으로 이동하여서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와 계지클릭부(13a,13a) 사이로 복귀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지편(13,13)은, 그 수직부(13b,13b)가 바깥쪽으로 개구된 본래의 상태로 된다.
또, 상기한 방법 외에 종래의 제품과 같이, 양 작동편(11,11)을 손가락으로 끼워 집어서 접근시키므로써, 계지편(13,13)의 수직부(13b,13b)의 겹침정도를 깊게 하여서, 계지클릭부(13a,13a)의 계지부로서의 측띠형상부(4b,4b)에 대한 계지를 해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은 해제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작동편(11,11)에,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는 조작끝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설명으로도 명확하듯이, 기판(1)의 계지편(13,13)에 대한 개폐판(4)의 계지부(4B,4B) 계지상태를 해제시키는 계지해제수단은, 각 계지편(13,13)의 기단부에 외방팽출형상으로 형성된 당접수단으로서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와 양 계지편(13,13)을 삽입한 계지편 인장유지수단으로서의 환형상 프레임(15)과 그 환형상 프레임(15)을 스프링판(3)에 연결한 복귀수단으로서의 띠판(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계지해제수단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변형예로서 개폐판(4)의 계지부(4b,4b)가 계지편(13,13)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에 직접 맞닿게 하는 동시에, 계지편 인장유지수단으로서의 환형상 프레임(15) 대신에, 계지편(13,13)의 선단에 한쌍의 돌기 등을 형성하여 계지편(13,13)이 겹쳐진 상태가 된 시점에서 상기한 양 돌기를 삽입, 유지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단면 ㄷ자형상 등으로 형성된 계지편 인장부재를 개폐판(4)에 탄성띠판을 개재하여 연결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판(3)을 기판(1)측에 설치한 것을 표시했는데, 개폐판(4)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의한 모발계지 장식구는 이것을 실제로 장착한 상태로부터 해체하려면, 장식편의 한쪽 끝부를 머리부쪽으로 압압한 후에 그 압압조작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장식편의 하면측에 손가락을 넣어서 찾는다고 하는 힘든 해제조작을 피할수 있으며, 해제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대형 장식편을 장착한 것, 즉, 그 둘레가장자리에 개폐판의 유단부까지의 거리가 큰 것일지라도 해제조작을 어렵지않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제품에 약간의 설계변경을 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계지해제조작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여서 조립 및 제조를 손쉽게 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일단부에 서로 겹쳐진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계지편(13,13)이 있는 기판(1)과, 상기한 기판(1)에 설치된 장식편(2)과, 일단부가 상기한 기판(1)의 타단부에 회동자재하게 부착되고, 타단부에 상기한 양 계지편(13,13)에 계탈자재하게 계지되는 계지부(4b,4b)가 있는 개폐판(4)과, 상기한 기판(1)쪽에 양 끝부가 부착되는 동시에, 중간부가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만곡형성되고, 상기한 양 게지판(13,13)과 계지부(4b,4b)와의 게지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판(4)을 개구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판(3)과, 상기한 계지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계지해제수단을 구비한 모발계지 장식구에 있어서, 상기한 계지해제수단은, 상기한 각 계지편(13,13)의 기단외측 가장자리부에 외방팽출형상으로 형성된 당접수단으로서의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와, 상기한 외방팽출 가장자리부(13c,13c)와 양 계지편(13,13)의 선단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계지클릭부(13a,13a) 사이에 위치하며, 양 계지편(13,13)을 감싸듯이 배치된 계지편 인장유지수단으로서의 환형상 프레임(15)과, 상기한 환형상 프레임(15)과 스프링판(3)을 굴곡자재하게 연결하는 복귀수단으로서의 띠판(14)을 구비하고 있으며, 계지상태로부터 개폐판(4)의 타단부와 기판(1)의 일단부를 접근조작했을 때에 양 계지편(13,13)을 서로 인장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서 상기한 계지상태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한 접근조작이 해제되어서 상기한 개폐판(4)이 개구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한 계지부(4b,4b)가 계지편(13,13)으로부터 떨어져서 양자가 다시 계지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한 환형상 프레임(15)이 스프링판(3)에 연결된 띠판(14)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에 복귀하도록 되어서 양 계지편(13,13)의 인장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2. 제1항에 있어서, 각 계지편(13,13)은, 선단 외측 가장자리부에 계지클릭부(13a,13 a)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3. 제1항에 있어서, 각 계지편(13,13)은 선단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계지 장식구
  4. 제1항에 있어서, 계지부(4b,4b)는 양 계지편(13,13)을 강제로 삽입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띠형상 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판(3)은, 양 끝부가 기판(1)에 설치되고, 적어도 그 한쪽부가 기판(1)에 대하여 미끄럼이동이 자유자재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부분이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6. 제1항에 있어서, 당접수단(13c,13c)은, 그 선단측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7. 제1항에 있어서, 계지편 인장유지수단(15)은, 양 계지편(13,13)을 감싸듯이 배치된 환형상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8. 제1항에 있어서, 환형상 프레임(15)은, 그 선단부에 기판(1)으로 향하여 연장된 당접편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9. 제1항에 있어서, 복귀수단(14)은 띠형상 판재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계지편 인장유지수단(15)과, 기판측에 설치되고, 중앙부가 기판(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만곡형성된 스프링판(3)을 만곡자재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계지 장식구.
KR1019930016018A 1992-08-19 1993-08-18 모발계지 장식구 KR960010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20045A JP2556646B2 (ja) 1992-08-19 1992-08-19 髪止め具
JP92-220045 1992-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12A KR940003512A (ko) 1994-03-12
KR960010613B1 true KR960010613B1 (ko) 1996-08-06

Family

ID=1674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018A KR960010613B1 (ko) 1992-08-19 1993-08-18 모발계지 장식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45170A (ko)
JP (1) JP2556646B2 (ko)
KR (1) KR960010613B1 (ko)
DE (1) DE4327617C2 (ko)
FR (1) FR2694872B1 (ko)
GB (1) GB2270257B (ko)
HK (1) HK1575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998A (en) * 1995-08-08 1997-01-28 Kabushiki Kaisha Yasuda Corporation Hair clip
JP2837372B2 (ja) * 1995-08-08 1998-12-16 株式会社ヤスダコーポレーション 髪止め具
US5605166A (en) * 1995-11-13 1997-02-25 Chou; Kuo-Hua Hair clip
GB2311938A (en) * 1996-04-09 1997-10-15 Kuo Hua Chou Hair fastener
US5634480A (en) * 1996-09-01 1997-06-03 Lu; Chaio-Lan Structure of hair clip
US5787904A (en) * 1996-10-15 1998-08-04 Michaud; Susan M. Adjustable hair holder and method for retaining hair
EP0839470B1 (en) * 1996-11-05 2001-12-19 Kabushiki Kaisha Yasuda Corporation Hair clip
US5813418A (en) * 1996-11-08 1998-09-29 Pillars; Selina M. Hair clip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hair extensions
US6311700B1 (en) * 1996-11-19 2001-11-06 Stephen Yeh Stage-by-stage tightness-adjustable hair clip structure
JP3337963B2 (ja) * 1997-12-16 2002-10-28 株式会社ヤスダコーポレーション 髪止め具
US6378532B1 (en) * 2001-06-27 2002-04-30 Cha Chou Enterprise Co., Ltd. Hair clip structure
US7461661B2 (en) * 2005-01-12 2008-12-09 Goody Products, Inc. Hair clip with friction member
CN2872935Y (zh) * 2006-01-17 2007-02-28 周国华 改进的发夹结构
US10285482B2 (en) * 2016-03-07 2019-05-14 Sarah Locatelli Hair clip with flexible joining member
USD870066S1 (en) * 2017-11-27 2019-12-17 Urbanista AB Headphon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5932A (ko) * 1955-02-21
JPS453321Y1 (ko) * 1968-05-15 1970-02-14
GB1373518A (en) * 1971-12-28 1974-11-13 Lady Jayne Hair Products Ltd Hair clasp or barrette
JPS5047698A (ko) * 1973-08-27 1975-04-28
JPS50154195U (ko) * 1974-06-08 1975-12-20
JPS547632B2 (ko) * 1975-05-10 1979-04-09
JPS5755403U (ko) * 1980-09-18 1982-03-31
JPS5755403A (en) * 1980-09-18 1982-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Numerical controller
JPS61174504A (ja) * 1985-01-30 1986-08-06 Hitachi Ltd 双方向伝送用光モジユ−ル
JPH0440564Y2 (ko) * 1985-04-15 1992-09-24
JPS6476702A (en) * 1987-09-18 1989-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alftone screen for conductor pattern printing
JPH01232905A (ja) * 1988-03-11 1989-09-18 Masahiro Yasuda 髪止め具
FR2635653B1 (fr) * 1988-08-31 1990-11-09 Delsol Ets Barrette a cheveux
US5109878A (en) * 1991-06-11 1992-05-05 Kuo Hua Chou Hairclip
JPH0547698U (ja) * 1991-06-21 1993-06-25 東邦金属工業株式会社 可搬式ガスボン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12A (ko) 1994-03-12
GB9316148D0 (en) 1993-09-22
HK157596A (en) 1996-08-30
JP2556646B2 (ja) 1996-11-20
GB2270257A (en) 1994-03-09
GB2270257B (en) 1996-02-28
US5445170A (en) 1995-08-29
DE4327617C2 (de) 1996-09-12
DE4327617A1 (de) 1994-02-24
JPH0662918A (ja) 1994-03-08
FR2694872A1 (fr) 1994-02-25
FR2694872B1 (fr)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613B1 (ko) 모발계지 장식구
KR100464603B1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5441182A (en) Garment hanger with locking information clip
US6088888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of slide fastener
US20050204516A1 (en) Slide fastener
CA2324341C (en) Slider for a slide fastener
EP0995366B1 (en) Intermediate clasp for band type ornaments
US6634066B2 (en) Upper stopper device for slide fastener
JPH06124U (ja) 時計バンドの中留具
US4648161A (en) Jewelry clasp
KR910007985B1 (ko) 머 리 핀
JP4037495B2 (ja) 折り畳み式バックルの留め金具
US6668432B2 (en) Belt guide for clothing articles
EP1295542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4644611A (en) Snap hook
KR100214180B1 (ko) 지프 패스너
JP3337963B2 (ja) 髪止め具
KR100239764B1 (ko) 머리핀
KR890000111B1 (ko) 플라스틱제 버클
JP2529522B2 (ja) 髪止め具
KR200262419Y1 (ko) 머리핀
KR0174658B1 (ko) 헤어클립
JPH0625202Y2 (ja) 髪止め具
JPS5811347Y2 (ja) 安全剃刀
KR20030059924A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