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764B1 - 머리핀 - Google Patents

머리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764B1
KR100239764B1 KR1019980002578A KR19980002578A KR100239764B1 KR 100239764 B1 KR100239764 B1 KR 100239764B1 KR 1019980002578 A KR1019980002578 A KR 1019980002578A KR 19980002578 A KR19980002578 A KR 19980002578A KR 100239764 B1 KR100239764 B1 KR 10023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locking
hair
hair pressing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548A (ko
Inventor
마사히로 야수다
Original Assignee
마사히로 야수다
가부시키가이샤 야수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히로 야수다, 가부시키가이샤 야수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사히로 야수다
Priority to KR101998000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7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6Curle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8/006Interchangeable ornaments attached to hair 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45D8/008Orna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ed to small strands of hair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걸림해제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머리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식편의 일단부에, 모발누름편을 원추형 접합시킨다. 그리고 모발누름편의 선단부에, 장식편의 타단부에 설치한 걸림편과 모발누름편의 유단부에 설치한 걸림부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을 설치한다. 걸림해제수단으로서,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모발누름편으로부터 연장해서 설치되고, 걸림상태에 있어서 걸림편의 선단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과 동시에, 걸림편측으로의 누르는 조작에 의해, 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에 대한 걸림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편을 이용한다.

Description

머리핀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해서 모발을 2부재 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머리핀, 주로 장식을 겸한 모발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머리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머리핀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45-3321호 공보, 동50-47698호 공보, 동50-154195호 공보, 동57-55403호 공보, 동61-174504호 공보 등에 나타내듯이, 위면에 장식편을 고정 장착한 띠형상의 기판과, 양끝이 상기한 기판에 접하여 걸려진 바깥쪽 만곡형상의 띠형상의 스프링판과, 그 바깥쪽에 위치해서 기단측이 기판의 한쪽 끝에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연결편에 원추형 접합되고, 또한 유단측의 걸림부가 기판의 다른쪽 끝에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걸림편에 걸림과 해제가 자유자재하게 이루어진 띠형상의 모발누름편으로 구성된 것이 널리 알려지고 있다.
그렇게 하여, 이러한 머리핀은, 모발누름편과 스프링판과의 사이에 모발을 끼워,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걸림부를 기판의 걸림편에 걸리도록 해서 모발을 고정시킨다. 또한 걸림편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작동편을 양측에서 누름으로써 상기한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머리핀에 있어서는, 상기한 걸림해제조작은, 장식편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작동편을 그 양측에서 누름으로써 행한다. 따라서, 실제로 이것을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한 조작을 행할 경우, 장식편의 아래 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지 않으면 안되고,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대형의 장식편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그 주변테두리에서 작동편까지의 간격이 커지는 것에 의해, 그 해제조작은 더욱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미국특허 제4,919,155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발누름편의 기판측에의 누름조작에 의해, 양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에 이동시켜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부재를 장착한 머리핀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관한 머리핀은,
일단부에 한쌍의 브래킷을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한쌍의 작동편을 갖는 기판과,
일단부에서 상기한 브래킷에 회전운동하게 부착되어지고, 타단부에 걸림부를 갖는 모발누름편을 구비하고,
상기한 걸림부는 중앙덴틱트부와 그 양측에 한쌍의 아치형 브릿지부를 갖는 것이고,
또, 중앙덴틱트부와 아치형 브릿지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해제조작시에 서로 포개어 맞춘 상태의 걸림편의 수직부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멍부를 중앙에 갖는 링을 갖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해제부재로서의 링을 장착시킨 머리핀에 있어서는, 이것을 머리부에 실제로 장착한 상태에서 떼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모발누름편의 유단측을 머리부측에 누른 후, 누른 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완료한다.
이 머리핀에 의하면, 기존제품과 같이, 장식편의 아래면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작동편을 조작한다라고 하는 걸림해제조작을, 장식편의 일단부를 누른다라는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대형의 장식편을 갖춘 머리핀이어도, 그 해제조작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머리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갖는 것이었다.
즉, 상술한 대로, 걸림해제부재로서의 링은, 걸림해제조작시에, 그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부에, 한쌍의 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긴 상태로 강제적으로 끼워넣는 것이다. 따라서, 링은 걸림편을 강제로 끼워넣을 때에 지름방향외측에 향해서 작용하는 힘에 견딜 수 있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 아니면 안된다.
또한, 링의 구멍부 내주면에, 걸림편이 강한 외향의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접하게 되므로, 링자체가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 또, 걸림편을 순조롭게 끼워넣기 위해서, 큰 마찰력을 발생하는 것과 같은 것은 안된다. 따라서, 이러한 링은, 상술한 모든 요청을 만족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튼튼한 것이며, 또한 구멍부 내주면이 마찰력을 발생하기 어려운 표면성상으로 마무리한 것인 것 등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그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링은, 상술한 대로, 모발누름편의 유단측에 형성된 중앙의 띠형상부와 측쪽의 띠형상부와의 사이에 자유자재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링이 탈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중앙의 띠형상부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평행한 한쌍의 안내돌출편을 설치함과 함께, 링의 외주면에 대응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안내홈에 안내돌출편을 끼워합치는 등의 연구를 요한다.
그러나, 이러한 링탈락방지구조는, 링 및 모발누름편 양쪽의 구조를 복잡화하는 것이고, 이들의 제조작업을 번거롭게 함과 함께, 모발누름편에 대한 링의 부착작업을 번거롭게 하며, 나아가서는 제조비용을 올릴 우려가 있었다.
또, 걸림해제조작을 행할 때마다, 서로 겹쳐서 배치된 한쌍의 걸림편의 외측가장자리부가 링의 구멍부 내주면에 접하게 되므로, 걸림편에 설치된 걸림갈고리가 마모해 버리고, 내구성이 뒤떨어진다라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걸림해제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그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더구나 내구성이 우수한 머리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부에 서로 겹져진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걸림편을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원추형 접합편을 갖는 장식편과,
기단부가 상기한 원추형 접합편에 접합되는 한편, 선단부에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에 걸림해제가 가능하게 걸리는,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걸림부를 갖는 모발누름편과,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선단부에, 상기한 걸림편의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을 갖추고,
상기한 걸림해제수단은, 상기한 한쌍의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한 모발누름편에서 연장해서 설치되고,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편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상기한 걸림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편으로 이루어진 머리핀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걸림해제편으로서, 적어도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접하게 되는 부분의 단면이 대략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이용해도 좋다.
걸림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상기한 모발누름편은, 그 선단부에 상기한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모발누름편으로서 그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스토퍼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연결편의 선단부에 계단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모발누름편이 상기한 장식편에 대한 소정각도 벌어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가 상기한 계단부에 접하게 되어 그 이상의 닫힘방향으로의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이 그 자신이 갖는 탄성력에 의해서 열림방향으로 부세되어 이루어진 것을 이용해도 좋다.
걸림해제를 쉽게 하는 목적으로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은, 그 선단부에 상기한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걸림해제편은,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편에 접하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조작단부를 포함하는 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한 걸림부가 상기한 걸림편으로부터 걸림해제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걸림해제편이 상기한 조작단부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비용을 절감할 목적으로, 상기한 걸림편과 상기한 원추형 접합편이 서로 분리되고, 각각 따로따로 상기한 장식편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머리핀을 구성하는 장식편과 모발누름편을 분리상태로 해서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걸림상태에 있어서의 머리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걸림해제상태에 있어서의 머리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걸림조작도중을 나타낸 걸림부 부근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5는, 걸림상태를 나타내는 걸림부 부근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6은, 걸림해제조작도중을 나타낸 걸림부 부근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7은, 걸림해제상태에 있어서의 걸림부 부근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10-10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상태에서 모발누름편이 열림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 8 내지 도 10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11-11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장식편 2 : 걸림쇠
2d : 걸림편 3 : 원추형 접합편
3e : 계단부 4 : 모발누름편
4a : 걸림부 4c : 조작단부
5 : 걸림해제편 12 : 스토퍼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머리핀은, 장식편(1)과, 그 이면측의 일단부에 부착되어진 걸림쇠(2)와, 동일의 타단부에 부착된 원추형 접합쇠(3)와, 상기한 원추형 접합쇠(3)에 기단부측이 원추형 접합된 모발누름편(4)을 구비하고, 상기한 모발누름편(4)에는 걸림해제편(5)이 장착된 것이다.
상기한 장식편(1)은, 도 1에 나타내듯이, 띠판형상으로 성형된 경질합성수지 일체성형품이다.
상기한 장식편(1)의 이면의 일단부(1a)에는 상기한 걸림쇠(2)가 직접 부착되어져 있고, 동일의 타단부(lb)에는 상기한 원추형 접합쇠(3)가 직접 부착되어져 있다. 상기한 걸림쇠(2) 및 원추형 접합쇠(3)는, 모두 금속판을 성형한, 서로 분리독립해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양 쇠를 분리독립하여 형성하여, 각각 따로따로 장식편(1)에 고정 장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장식편(1)의 대략 전체길이에 따라 연장한 긴 기판대신에, 장식편을 기판에 겸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료비용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품과 같은 걸림쇠 및 원추형 접합쇠의 쌍방을 갖춘 긴 기판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양 쇠(2),(3)는, 각각 상기한 장식편(1)에 따라 접하게 되는 기반부(2a),(3a)에 설치된 타출(打出)구멍(2b),(3b)에 있어서 상기한 장식편(1)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쇠(2)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상기한 기반부(2a)의 양측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해서 설치된 한쌍의 다리부(2c),(2c)와, 이들 다리부에서 각각 연장해서 설치되어 서로 겹친 형상으로 배치된 L자상의 한쌍의 걸림편(2d),(2d)을 갖는다. 양 걸림편(2d),(2d)은, 그 수직부(2e),(2e)가 끝까지 서로 겹친 상태로, 보통때는 양 다리부(2c),(2c)의 벌어짐에 대응해서 아래쪽에 향해서 약간 바깥쪽으로 벌린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걸림펀(2d)은, 그 선단이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선단가장자리에 걸림갈고리부(2f),(2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원추형 접합쇠(3)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상기한 기반부(3a)의 양측가장자리에서 각각 아래쪽으로 연장해서 설치된 한쌍의 다리부(3c)를 갖는다. 각 다리부(3c)의 선단부에는 축구멍(3d)이 뚫려져 있음과 동시에, 선단테두리의 장식편 중앙부측에 계단부(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모발누름편(4)은, 도 1에 나타내듯이, 길이방향의 중간부가 윗쪽으로 약간 만곡한 띠판모양의 탄성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모발누름편(4)은, 그 좌단부에, 길이방향에 따라서 옆으로 긴 ㄷ자모양의 홈이 파여져 있고, 그 양측의 평행한 측띠형상부가 걸림부(4a),(4a)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그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분이 걸림해제편(5)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각 걸림부(4a)의 양측가장자리에는 윗쪽으로 세워진 모양의 측가장자리부(4b)가 일체적으로 연장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측가장자리부(4b)는, 걸림부(4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양 걸림부(4a),(4a)의 선단부끝까지를 연결하는 부분은 조작단부(4c)를 구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듯이, 상기한 양 걸림부(4a),(4a)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굴곡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단부(4c)는, 상기한 걸림부(4a)를 상기한 걸림편(2d)에 걸리는 걸림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상기한 걸림해제편(5)은, 나중에 상술하듯이, 상기한 양 걸림편(2d),(2d)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걸림부(4a),(4a)에 대한 상기한 걸림편(2d),(2d)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걸림해제편(5)은, 상기한홈부분을, 예를 들면 프레스성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도 1 및 도 3에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듯이, 보통은, 기단부, 즉 우단부에서 아래쪽으로 굴곡된 후 윗쪽으로 굴곡되고, 유단부, 즉 좌단부가 상기한 양 걸림부(4a),(4a)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유단부측은 서로 바주보는 측면벽(5a),(5a)과 그들을 연접(連接)하는 저면벽(5b)으로 횡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띄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해제편(5)은 강도가 요구됨으로써, 그 선단부에 상기한 측면벽(5a),(5a)과 저면벽(5b)을 연접하는 단면벽(5c)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모발누름편(4)은, 그 우단부에, 폭방향 양측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소돌기편(6),(6)을 가짐과 함께 상기한 소돌기편으로부터 길이방향 중앙부 근처에 소정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한쌍의 스토퍼(12),(12)를 갖는다.
또, 상기한 모발누름편(4)에는, 그 중간부 우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에 따른 긴 구멍(4d)이 뚫려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모발누름편(4)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우단부를 원추형 접합쇠(3)의 다리부(3c),(3c) 사이에 배치해서, 상기한 우단부의 소돌기편(6),(6)을 다리부(3c),(3c)에 형성된 대응하는 축구멍(3d),(3d)에 끼워 합치는 것에 의해, 원추형 접합쇠(3), 나아가서는 장식편(1)에 대하여 회전운동자유롭게 부착되어져 있다. 이 원추형 접합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4)을 닫힘작동시켜, 도 3에 도시하듯이, 걸림부(4a),(4a)가 걸림쇠(2)의 걸림편(2d),(2d)과 소정간격을 둔 이간상태로 되었을 때에, 모발누름편(4)의 우단부의 밑부분에 연장한 스토퍼(12),(12)가 원추형 접합쇠(3)의 계단부(3e),(3e)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모발누름편(4)의 닫힘작동을 규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머리핀에 있어서는, 모발누름편(4)은 그 우단부측을 지점으로서 개폐되고, 장식편(1)과 모발누름편(4)과의 사이에 모발을 끼워고정하는 것이다.
이하, 이 머리핀의 걸림 및 걸림해제조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모발누름편(4)을 닫힘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술하였듯이 그 도중에 상기한 스토퍼(12),(12)가 원추형 접합쇠(3)의 계단부(3e),(3e)에 접촉한다.
그러나 모발누름편(4)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그 탄성반발력에 저항해서 모발누름편(4)의 유단측을 더욱 장식편(1)측에 누르면, 모발누름편(4)은, 그 걸림부(4a),(4a)가 걸림쇠(2)의 걸림편(2d),(2d)의 선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휘어진다. 이 모발누름편(4)의 닫힘작동은, 조작단부(4c)를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시 그 상태에서 모발누름편(4)의 유단측, 즉 조작단부(4c)를 장식편(1)측에 누르면,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모발누름편(4)의 걸림부(4a),(4a)가, 그 안쪽테두리를 걸림편(2)을 구성하는 수직부(2e),(2e)의 선단활형상부에 유도되어 상기한 수직부(2e),(2e)의 기단부측에 유도된다. 이것에 의해서 수직부(2e),(2e)는 그 중합도(重合度)를 점차로 깊게 해간다.
그리고, 상기한 걸림부(4a),(4a)가 걸림갈고리부(2f),(2f)를 통과한 시점에서,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양 걸림편(2d),(2d)이 탄성복원력으로 서로 바깥쪽을 향해서 벌려지고, 상기한 걸림갈고리부(2f),(2f)에 걸림부(4a),(4a)가 걸리게 된다. 이 걸림상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걸림해제편(5)은, 도 2,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듯이, 걸림편(2d),(2d)의 선단부에 맞붙은 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조작단부(4c)를 포함하는 면에서 외측, 즉 도면에서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걸림상태는, 걸림편(2d),(2d)의 수직부(2e),(2e)의 중합도를 깊게 하는 것에 의해 해제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우선, 모발누름편(4)의 걸림해제편(5)을 장식편(1)측에 근접이동시킨다. 이 조작은, 걸림해제편(5)과 장식편(1)을 손가락으로 따는 것에 의해서도 가능하지만, 머리핀을 머리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식편(1)을 머리부측에 누름으로써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걸림상태에 있어서는, 이미 말하였듯이 걸림해제편(5)은 조작단부(4c)를 포함하는 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해제편(5)을 장식편(1)측에 근접이동시키면, 횡단면 ㄷ자형의 걸림해제편(5)이 양 걸림편(2d),(2d)의 선단활형상부에 유도되어 걸림편(2d),(2d)의 수직부(2e),(2e)의 중합도를 깊게하여, 도 6 및 도 10에 나타내듯이, 양 걸림편(2d),(2d)을 끼워 넣고, 걸림편(2d),(2d)의 걸림갈고리부(2f),(2f)가 걸림부(4a),(4a)로부터 걸림해제된다.
이어서, 상기한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모발누름편(4)은, 그 자신이 가지는 탄성반발력에 의해, 장식편(1)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해서,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걸림갈고리부(2f),(2f)가 걸림편(2d),(2d)으로부터 빠져나간 걸림해제상태가 된다. 또, 모발누름편(4)을 열림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도 7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걸림해제편(5)은 걸림편(2d),(2d)으로부터 떨어져 완전한 걸림해제상태가 된다.
또, 종래품과 같이, 걸림쇠(2)에 걸림편(2d),(2d)의 중합도를 조작하는 조작편을 설치해 두고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걸림해제할 수가 있도록 해두어도 좋다.
상술한 대로, 본 발명에 관한 머리핀은, 일단부에 서로 겹쳐진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걸림편을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원추형 접합편을 갖는 장식편과, 기단부가 상기한 원추형 접합편에 원추형 접합되는 한편, 선단부에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에 걸림해제가능하게 걸리게 되는,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걸림부를 갖는 모발누름편과,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선단부에, 상기한 걸림편의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을 갖추고, 상기한 걸림해제수단은, 상기한 한쌍의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한 모발누름편으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편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상기한 걸림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 머리핀을 실제로 장착한 상태에서 떼기 위해서는, 장식편의 일단부측을 머리부측에 누른 뒤, 그 누름조작을 해제한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걸림 및 걸림해제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걸림해제편으로서, 적어도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맞붙은 부분의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면, 구성부품점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게다가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제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발누름편으로서, 그 선단부에 상기한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갖는 것을 채용하면, 걸림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발누름편의 기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한 스토퍼를 설치하는 한편, 연결편의 선단부에 계단부를 형성하여, 모발누름편이 장식편에 대해서 소정각도 벌려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가 상기한 계단부에 맞붙어 그 이상의 닫힘방향으로의 모발누름편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걸림상태에 있어서 모발누름편이 그 자신이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열림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는 것으로 하면, 걸림해제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목적으로 장식편과 모발누름편과의 사이에 별도로 스프링판 등을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고, 나아가서는 부품점수를 감소시켜,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발누름편의 선단부에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설치함과 함께, 걸림해제편으로서, 걸림상태에 있어서 걸림편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조작단부를 포함하는 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걸림해제상태에 있어서 조작단부를 포함하는 면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걸림조작 및 걸림해제조작을 장식편의 일단부측의 머리부측으로의 누름, 누름해제라는 조작만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제6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걸림편과 원추형 접합편을 서로 분리하여, 각각 따로따로 장식편에 고정장착하는 것에 의해, 종래품과 같은 장식편의 이면측에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고정장착한 긴 기판을 없앨 수 있고, 모발누름편을 기판에 겸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재료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6)

  1. 일단부에 서로 겹쳐진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걸림편을 가짐과 함께, 타단부에 원추형 접합편을 갖는 장식편과,
    기단부가 상기한 원추형 접합편에 원추형 접합되는 한편, 선단부에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에 걸림해제가능하게 걸리는,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걸림부를 갖는 모발누름편과,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선단부에, 상기한 걸림편의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을 갖추고,
    상기한 걸림해제수단은, 상기한 한쌍의 걸림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한 모발누름편에서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대향배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걸림편측으로의 누름조작에 의해, 상기한 한쌍의 걸림편을 서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걸림부에 대한 상기한 걸림편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걸림해제편으로 이루어진 머리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해제편으로서, 적어도 상기한 걸림편의 선단부에 맞붙는 부분의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머리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은, 그 선단부에 상기한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 머리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의 기단부에 측방향 연장형상의 스토퍼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한 연결편의 선단부에 계단부가 형성되고,
    상기한 모발누름편이 장식편에 대해서 소정각도 벌려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스토퍼가 상기한 계단부에 맞붙게 되고 그 이상의 닫힘방향으로의 모발누름편의 회전운동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걸림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이 그 자신이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서 열림방향으로 부세되는 머리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발누름편은, 그 선단부에 장식편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굴곡된 조작단부를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걸림해제편은, 상기한 걸림상태에 있어서 걸림편에 맞붙게 됨으로써 상기한 조작단부를 포함하는 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한 걸림부가 상기한 걸림편으로부터 걸림해제된 걸림해제상태에서 조작단부를 포함하는 면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머리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림편과 원추형 접합편이 서로 분리되고, 각각 따로따로 상기한 장식편에 고정장착되는 머리핀.
KR1019980002578A 1998-01-30 1998-01-30 머리핀 KR10023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578A KR100239764B1 (ko) 1998-01-30 1998-01-30 머리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578A KR100239764B1 (ko) 1998-01-30 1998-01-30 머리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548A KR19990066548A (ko) 1999-08-16
KR100239764B1 true KR100239764B1 (ko) 2000-01-15

Family

ID=1953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578A KR100239764B1 (ko) 1998-01-30 1998-01-30 머리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0B1 (ko) * 2002-11-08 2004-12-29 정 부 박 머리핀
KR101053018B1 (ko) * 2009-06-20 2011-07-29 박준도 머리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548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5155A (en) Retaining apparatus
JP4227741B2 (ja) クリップ
KR100464603B1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920000301B1 (ko) 머리핀
KR20070114039A (ko) 2피스 클립
JP3860539B2 (ja) 2つの構成部分を取り外し可能に結合するための保持ばね
US6634066B2 (en) Upper stopper device for slide fastener
EP0042594A1 (en) Ornamental attachment for slide fastener sliders
KR960010613B1 (ko) 모발계지 장식구
KR910007985B1 (ko) 머 리 핀
US6668432B2 (en) Belt guide for clothing articles
KR100239764B1 (ko) 머리핀
JP4838457B2 (ja) 時計バンド用留め具
GB1600805A (en) Hook and ring clasp
US5355899A (en) Arched hairclip
KR840000533Y1 (ko) 버클(혁대를 죄는 쇠 buckle)
KR100269000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0174658B1 (ko) 헤어클립
KR200337620Y1 (ko) 탄성지지구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도어락
KR910005457Y1 (ko) 버클
CN216907060U (zh) 一种开闭件
US2852825A (en) Clip
JP3430307B2 (ja) ズボン等のウェストサイズのアジャスター
JP3337963B2 (ja) 髪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