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601Y1 -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9601Y1 KR960009601Y1 KR2019940029532U KR19940029532U KR960009601Y1 KR 960009601 Y1 KR960009601 Y1 KR 960009601Y1 KR 2019940029532 U KR2019940029532 U KR 2019940029532U KR 19940029532 U KR19940029532 U KR 19940029532U KR 960009601 Y1 KR960009601 Y1 KR 9600096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m
- box
- gear
- lubricant
-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01H7/20—Lubric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24—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 D01H1/242—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driven by toothed wheel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워엄박스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누출방지 컵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워엄박스 2 : 워엄기어
3 : 워엄 4 : 공간부
5 : 워엄축 6 : 누출방지컵
7 : 윤활제저장실 8 : 키이
9, 9' : 칼라 10 : 슬리이브
10', 10 : 베어링 11 : 오링
12, 12 ' : 베어링집 13 : 오일시일
14 : 플랜지 15 : 구동박스
16 : 벽체 17 : 횡축
18 : 기어 19 : 기어박스
20 : 풀리 21 : 보빈
22 : 스핀들 23 : 앤드레스벨트
24 : 피이드로울러
본 고안은 연사기의 구동장치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워엄기어와 워엄의 맞물림으로 감속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앤드레스벨트를 구동시켜 보빈에 권취된 실을 연사하기 위하여 스핀들을 구동함에 있어 워엄박스에 설치된 워엄과 워엄기어 치합전동시 마찰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급유된 윤활제의 누출을 방지코자 상부는 워엄과 워엄축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누출방지 컵을 끼움하고 저부는 베어링과 맞닿게 함으로서 윤활제의 누출방지와 베어링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도록 한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는 워엄과 워엄기어 차합전동시 워엄을 구동하기 위한 워엄축의 지지를 위하여 워엄박스 상,하에 단순히 베어링만을 결합하고 상기 베어링의 일측 하부에 오일시일이 내삽된 플랜지만을 체결하여 된 구조로서 이는 베어링의 내륜 및 오일시일의 내륜이 워엄축과 접속하여 회전하므로 마멸에 의한 틈이 발생되어 윤활유가 쉽게 흘러내리고 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제93-12708호의 웜박스 오일누출 방지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워엄축이 결합된 워엄박스의 하부 베어링집 상,하에 오링과 오일시일이 결삽된 부싱과 이중 오일시일이 내삽된 플랜지를 각각 결합한 구조로서 이 또한 각 오일시일이 워엄축과 마찰회전됨으로서 마모에 의한 누출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1057호에 기술된 연사기의 웜 기어통 윤활유 유출 방지구조에서는 웜축 지지구를 길게 형성하여 워엄과 연접시키되 이들사이에 윤활유 유출방지편을 협삽, 고정하여 워엄과 워엄기어 치합전동시 치형에 묻은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유출 방지편에 떨어져 풀리로 누출이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나, 웜기어통의 저부에서 베어링집의 돌출턱 높이까지 윤활유가 주입되었을 때만 누출이 되지 않고 상기 베어링집 높이를 넘어 주유가 되면 베어링집 내경과 부싱의 외륜 사이 틈이나 윤활유 유출방지편과 부싱의 상단부 틈으로 스며들게 되어 누출 형상이 발생됨으로 유량계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확인하면서 주유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으며 또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량 보다 적게 윤활유를 주유하면 워엄과 워엄기어 치합전동시 마찰되어 기어 파손 및 마모의 원인이 되는 한편 마멸에 의해 떨어지는 금속가루가 주입된 윤활유와 섞여 베어링에 스며듦으로서 베어링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종래구조에서 누출된 윤활유는 워엄축에 결합된 풀리에 흘러내리고 상기 풀리에 의해 회전하는 앤드레스벨트에 묻어 공회전 내지 윤활유가 보빈에 감긴 실에 튀어 오염되는 한편 작업능률 저하와 연사불량의 주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 베어링에 밀착되면서 워엄에 형성된 공간부에 들어가도록 누출방지컵을 형성함으로서 워엄과 워엄기어 치합전동시 마찰열을 방지학기 위한 윤활재 공급을 보다 원활히 하고 워엄축을 타고 풀리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주목적으로서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워엄박스(1) 일측에 워엄기어(2)가 축설된 것에 있어 공간부(4)가 형성된 워엄(3)을 워엄축(5)과 키이(8) 박음하여 고정하되 워엄축(5)에는 칼라(9)가 끼움되고 슬리이브(10) 일측이 공간부(4)에 삽입되도록 끼움되어 하부베어링(10 ' )과 밀착되고, 워엄(3)의 공간부(4)에 삽입되도록 누출방지컵(6) 결합되며 상기 누출방지컴(6)저부내면에는 윤활제저장실(7)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워엄(3)과 누출방지컵(6)이 결합된 워엄축(5)을 오링(11)이 결삽된 워엄박스(1)의 하부 베어링집(12)으로 끼움하여 하부 베어링(10 ' )으로 지지되게 하고 그 저부에는 오일시일(13)이 내삽된 플랜지(14)가 보울팅으로 취부되며, 워엄축(5)의 상부에는 워엄(3)과 밀착되게 칼라(9 ' )가 축삽되면서 베어링집(12 ' )의 상부 베어링(10 )과 끼움되어 워엄(3)과 워엄기어(2)가 치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상부베어링 고정 와셔와 보울트, (26)은 윤활유, (27)은 실, (28)은 유량계, (29)는 드레인밸브, (30)은 연사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워엄박스(1)의 전체적인 작용은 본원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2708호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동박스(15) 일측 벽체(16)에 워엄박스(1)를 설치한 다음 워엄기어(2)와 결합된 횡축(17)에 기어(18)를 축삽하여 기어박스(19)의 각 기어와 치합전동되도록 한 다음 워엄축(5)의 저부에는 풀리(20)를 축삽하여 보빈(21)이 안착된 각 스핀들(22)을 구동시키기 위한 앤드레스벨트(23)를 연결하였다. 기어박스(19) 전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은 워엄기어(2)는 워엄(3)과 치합전동되어 동 결합된 워엄축(5)이 회전하고 풀리(20)를 구동시킴으로 앤드레스벨트(23)와 밀착된 각 스핀들(22)이 동시 회전하면서 보빈(21)에 권취된 실을 연사하여 피이드로울러(24)를 거쳐 상부의 실린더(미도시)에 연사된 실을 감아주게 되는 것이다.
워엄박스(1)에 형성된 워엄(3)과 워엄기어(2)가 치합전동시 주유된 윤활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살펴보면; 워엄박스(1)내에 윤활제를 워엄기어(2)의 중심까지 잠기도록 채운 다음 구동시키면 워엄박스(1)에 주입된 윤활제가 워엄기어(2)에 묻어 회전하면서 동 치합된 워엄(3)에 묻혀 마찰열을 방지하면서 치합전동되고 동결합된 워엄축(5)이 회전하여 풀리(20)와 앤드레스벨트(23)를 전동시키게 된다. 이때 워엄(3)과 워엄기어(2)에 묻은 윤활제 일부는 윤활작용을 하고 기어치합시 맞물림에 의해 흘러내리는 잔류 윤활제는 주유된 윤활제는 주유된 윤활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워엄(3)의 공간부(4)에 삽입된 슬리이브(10)와 누출방지컵(6)에 의해 상단부를 타고 넘지 못함으로 워엄축(5)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떨어지는 윤활제는 누출방지컵(6) 외연을 타고 흘러내려 워엄박스(1)내에 다시 모이게 되며, 하부 베어링집(12)에 내삽된 누출방지컵(6)은 오링(11)에 의해 압삽 밀폐되어 주유된 윤활제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 하부 베어링(10 ' )자체에 함유된 윤활제가 다 소모될 경우 수명을 연장시키기위하여 누출방지컵(6)의 내면에 현성된 윤활제 저장실(7)에 주입된 오일 또는 그리이스가 서서히 하부 베어링(10 ' )에 스며들도록 하여 하부 베어링(10 ' )의 원활한 회전운동이 되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워엄(3)과 워엄기어(2) 치합전동시 원활한 회전운동이 되고 마찰열을 방지하기 위한 윤활제가 워엄기어(2)의 중심 또는 외경의 2/3이상으로 많은 량이 주입되므로 종래처럼 하부 베어링집(12) 높이 또는 워엄기어의 외경 1/3만큼 주입되도록 일일이 유량계를 확인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주입되는 윤활제의 량보다 워엄(3)의 공간부(4)에 삽입되는 누출방지컵(6)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므로 워엄축(5)을 타고 윤활재가 흘러내리지 못하고 하부 베어링집(12)에 삽설된 누출방지컵(6)은 오링(11)에 의해 압삽 밀폐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마모에 의한 누출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을로서 앤드레스벨트에 윤활제가 묻어 오염되고 공회전하는 폐단을 해소함으로서 연사되는 제품(실)의 품질이 고급화되면서 연사 불량율을 줄이는 한편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 워엄축(5)에 워엄(3)이 축삽되어, 상,하부에 베어링으로서 지지되고 상기 워엄(3)과 워엄기어(2)가 치합된 연사기의 워엄박스(1)에 있어서; 워엄기어(2) 중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공간부(4)가 형성된 워엄(3)을 워엄축(5)에 축삽하되 공간부(4)에 슬리이브(10)와 윤활제저장실(7)이 내면에 형성된 누출방지컵(6)을 순차적으로 결합하고 동 누출방지컵(6) 저부에 압삽된 오링(11)에 의해 하부 베어링집(12)에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의 워엄박스의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9532U KR960009601Y1 (ko) | 1994-11-05 | 1994-11-05 |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29532U KR960009601Y1 (ko) | 1994-11-05 | 1994-11-05 |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7606U KR960017606U (ko) | 1996-06-17 |
KR960009601Y1 true KR960009601Y1 (ko) | 1996-10-23 |
Family
ID=1939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29532U KR960009601Y1 (ko) | 1994-11-05 | 1994-11-05 |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9601Y1 (ko) |
-
1994
- 1994-11-05 KR KR2019940029532U patent/KR960009601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17606U (ko) | 1996-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2442A (en) | Lubricating mechanism for a rotary machine | |
KR960009601Y1 (ko) | 연사기의 워엄박스 윤활제 누출방지 구조 | |
JPH04279711A (ja) | スリンガ潤滑法及びその装置 | |
CN108612839B (zh) | 整体式双分流齿轮传动的润滑装置 | |
KR950006821Y1 (ko) | 연사기용 워엄기어통에 있어서 윤활유 유출방지구조 | |
CN213061313U (zh) | 一种缝纫机旋梭供油机构 | |
KR200191329Y1 (ko) | 믹서 분쇄기용 나이프 고정대의 씰링구조 | |
CN210830190U (zh) | 一种带有润滑轴承系统的破碎机轴承座 | |
CN208268367U (zh) | 一种齿轮箱多重密封结构 | |
US2582525A (en) | Shaft seal | |
CN207634616U (zh) | 一种卫生级搅拌专用减速传动机构 | |
CN216879515U (zh) | 一种自动加注润滑脂的圆锥破碎机水平轴总成 | |
CN218207684U (zh) | 一种传动齿轮 | |
KR100229653B1 (ko) | 세탁기의 클러치 | |
JP2005188729A (ja) | 油浴潤滑式伝動装置の軸封部構造 | |
CN219133324U (zh) | 一种多功能螺旋脱水机 | |
CN218509982U (zh) | 一种自润滑挖掘机轴套 | |
CN217926059U (zh) | 一种发动机的水泵结构 | |
CN220204436U (zh) | 一种设有防漏油结构的滚动轴承 | |
CN220540141U (zh) | 一种组合式鼓形齿式联轴器 | |
CN221879638U (zh) | 一种曲轴上带阻油装置的活塞式压缩机 | |
CN218494039U (zh) | 一种罩极电机的耐磨轴套结构 | |
CN212225805U (zh) | 轴承自润滑装置 | |
CN220354447U (zh) | 轴承组件及传动机构 | |
KR960009216Y1 (ko) | 세탁기 기어 메카니즘의 메탈 베어링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