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51Y1 - 취사 용기 - Google Patents

취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51Y1
KR960009351Y1 KR92012659U KR920012659U KR960009351Y1 KR 960009351 Y1 KR960009351 Y1 KR 960009351Y1 KR 92012659 U KR92012659 U KR 92012659U KR 920012659 U KR920012659 U KR 920012659U KR 960009351 Y1 KR960009351 Y1 KR 960009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metal body
container
cook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652U (ko
Inventor
도상오
윤석배
Original Assignee
도상오
윤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상오, 윤석배 filed Critical 도상오
Priority to KR92012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351Y1/ko
Publication of KR940002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취사용기
제1도는 종래 취사용기의 단면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사용기 세트의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사용기의 결합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돌용기부 12 : 금속체
15 : 뚜껑 20 : 요입륜
21 : 요홈부 22 : 단차부
23 : 내벽 24 : 바닥면
25 : 착지편 30 : 나사
31 : 손잡이
본 고안은 국, 찌개를 끓이거나 밥을 짓는데 다용되는 취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1차 가공한 석재의 취사용기체를 두고, 그 용기체 표면에 열전도가 양호한 금속재 솥을 피복하여 결착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취사시 내용물이 타거나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취사용품으로 자연석의 이용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돌후라이팬, 돌솥등과 같은 다각형태의 취사용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 예로 자연석을 이용한 취사용기로서, 본 출원인의 명의로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0-12646호가 공지된바 있다.
즉, 선출원 고안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자연석을 가공하여 취반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돌용기부(11)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는 열전도가 양호한 금속체(12)를 입히되, 돌용기부(11)의 저면부(13)를 외부로 노출시켜 구성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5는 뚜껑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체(12)와 돌용기부(11)간의 결착력을 위해 돌용기부(11)의 상단 외주연을 깎아 홈주부(14)를 형성하고, 이에 금속체(12)을 입혀 지지하도록 하므로서 금속체(12)와 돌용기부(11)간에 결합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는 열에 의한 금속의 열팽창 변화로 결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게될 뿐만 아니라, 금속과 맞닿는 돌용기부(11)의 외표면을 매그럽게 가공하여 금속체(12)를 도포하는 관계로 전체적으로 결합력이 뒤떨어지고, 또한 돌용기부(11)와 금속체(12)간의 상단부가 수평상태로 일치하는 구성에 의해 뚜껑의 안착상태가 용이하지 않을 분만 아니라 용기체 내부의 수증압력에 수시로 용기체로부터 뚜껑이 이탈될 염려가 있다.
또한 선출원 고안은 용기체 저면부(13)가 금속바닥면과 일치하는 관계로 사용시 약간의 충격을 주더라도 쉽게 돌이 끼지게 되어 수명도가 단축되는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석재로된 취사용기체의 외주면을 연마 가공하지 않은 돌조형성으로 단면적 증가에 따른 금속간의 결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취사용기체 외주면의 연마가공 생략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이고, 용기 상부에는 금속과 단차를 두어 수중압력에 관계없이 뚜껑안착 상태를 안정되게 하며, 아울러 용기 저면부에는 석재가 가열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금속층을 연장구성하여 단충지게 하므로서 석재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취사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사용기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사용기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취사용기는 석재를 가공한 돌용기부(11)의 전둘레에 주물금속을 융착시켜 금속체(12)로 중첩겹을 갖게 한 취사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용기부(11)와 금속체(12)가 접하는 돌용기부(11)의 외측방으로 다수의 요입륜(20)을 형성하고, 화구가 접하는 돌용기부(11)의 저면측으로 요홈부(21)를 형성하되, 그 주위로 금속체(12)를 연장하여 돌용기부(11)의 저부를 감싸도록 구성하고, 상기 돌용기부(11)의 상부로는 금속체(12)간에 단차부(22)를 형성하여 뚜껑(15)을 안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0은 나사이며, 15는 손잡이 이고, 23,24는 돌용기부(11)의 내벽 및 내부바닥이며, 25는 뚜껑(15)의 착지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공정으로 석재를 제2도 및 제3도와 같은 형태로서 취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웅덩이와, 이의 내벽(23)과 바닥(24)을 매끄럽게 연마처리하고, 저부로 화기의 체류시간을 지속케 하는 요홈부(21)를 가공처리하여 돌용기부(11)를 형성한다.
이때 돌용기부(11)의 내부와 저부만을 가공하고, 전둘레에 걸펴서는 개략적으로 가공처리해도 무방하나, 가급적이면 돌용기부(11)의 외부전둘레에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다수의 요입륜(20)을 불규칙적으로 처리하여 금속체(12)와 돌용기부(11)간에 견고한 접착고정력을 얻을 수가 있는데, 즉, 주물성형 공정에 의해 돌용기부(11)에 금속체(12)가 봉착될 경우 금속주물이 돌용기부(11)의 요입륜(20)측으로 스며들면서 굳어지게 되어 금속체(12)와 돌용기부(11)간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돌용기부(11)의 홈주부에 금속체(12)를 걸림하게 하여 지지하는 종래 구성보다 훨씬 우수한 접착고정력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돌용기부(11)의 요입륜(20)과 금속체(12)간에 긴밀한 접착고정에 의해 취사시 금속체(12)의 열팽창을 최대로 억제할 수 가 있어 제품유지의 안정도가 높아진다.
한편, 제3도에서와 같이 주물성형시 돌용기부(11)와 접하는금속체(12)의 상단을 돌용기부(11)의 상단보다 일정높이로 연장구성하여 금속체(12)와 돌용기부(11)간에 단차부(22)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부(22)구성과 대응하게 뚜껑(15) 제조시에도 그 하부로 착지편(25)을 형성케 하므로서 뚜껑 결합시 돌용기부(11)와 금속체(12)간에 안착상태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데, 이는 취사시 돌용기부(11)에서 생성되는 수중압력에 의해 본체로부터 뚜겅(15)의 이탈현상 방지와 그로 인한 열손실 방지의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돌용기부(11)와 금속체(12)가 접하는 저면으로 돌용기부(11)에 요홈부(21)를 구성하고, 그 요홈부(21) 주변으로 금속주물시 금속체(12)를 봉착케하여 금속체(12)의 바닥면만 가열기둥에 닿게 하므로서 접촉, 또는 충격에 의해 깨지기 쉬운 돌의 파손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돌용기부(11)의 요홈부(21) 구성에 의해 가열시 화기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동시에 그 주변으로 금속체(12)가 봉착되어 있으므로, 열이 돌용기부(11)의 상부로 신속하게 전도되어 가열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석재인 취사 용기체(돌용기부)의 외주면을 연마 가공하지 않은 돌조형성으로 주물성형에 따른 금속간의 결합고정력을 견고하게 하는 동시에 연마가공 생략에 따른 작업공소를 줄이고, 돌용기와 금속간에 단차부 구성에 의해 뚜껑 안착상태를 보다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돌용기 내부의 수증압력에 의한 뚜껑이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열손실을 줄일 수가 있으며 돌용기 저면부로 금속층을 봉착하는 구성에 의해 접촉 또는 충격에 의한 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열전도를 양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정) 석재를 가공한 저면에 요홈부(21)를 가지는 돌용기부(11)의 전둘레에 주물금속을 융착시켜 금속체(12)로 중첩겹을 갖게하되 저면부를 노출시킨 취사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용기부(11)와 금속체(12)가 접하는 돌용기부(11)의 외측방으로 다수의 요입륜(20)을 형성하고, 요홈부(21)의 둘레로 금속체(12)를 연장하여 돌용기부(11)의 저부를 감싸도록 구성하고, 상기 돌용기부(11)의 상부둘레는 금속체(12)보다 낮게한 단차부(22)를 형성하여 뚜껑(15)을 안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용기.
KR92012659U 1992-07-09 1992-07-09 취사 용기 KR960009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659U KR960009351Y1 (ko) 1992-07-09 1992-07-09 취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659U KR960009351Y1 (ko) 1992-07-09 1992-07-09 취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652U KR940002652U (ko) 1994-02-15
KR960009351Y1 true KR960009351Y1 (ko) 1996-10-21

Family

ID=19336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659U KR960009351Y1 (ko) 1992-07-09 1992-07-09 취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3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652U (ko) 199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4317C (en) Heat insulating cooking vessel
KR960009351Y1 (ko) 취사 용기
MXPA03002786A (es) Quemador de gas para aparato de coccion.
US4797521A (en) Microwave oven cookware pedestal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419514A (zh) 一种可自动控制的电加热汽锅
WO2004103132A1 (en) Handle of the pot-lid for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pot from overflowing
JPS628151Y2 (ko)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CN215304944U (zh) 一种可降低米饭糖分含量的蒸釜结构
CN218009306U (zh) 一种带蒸笼的锅
CN108019799B (zh) 凹形面板和电加热厨房器具
EP0846435B1 (en) A cooking pot for food
CN218484325U (zh) 微压硅胶锅盖
KR200226480Y1 (ko) 남비용 뚜껑
CN108006725B (zh) 凹形面板和电加热厨房器具
JP3229962U (ja) 本体底部を凹ませ、その凹み部にニクロム線又はタングステン線を貼り付け、更にその凹み部外側の平らな底部分にゴトク上で安定する様に凹みを付けた調理器に関するものである。
KR100378692B1 (ko) 취사용기 제조방법
CN209391679U (zh) 蒸笼及烹饪器具
KR20030074360A (ko) 취반기
CN208709356U (zh) 蒸笼、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CN108006724B (zh) 凹形面板和电加热厨房器具
CN209377348U (zh) 蒸笼及烹饪器具
JP2790041B2 (ja) 断熱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520100058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