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360A - 취반기 - Google Patents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360A
KR20030074360A KR10-2003-0015103A KR20030015103A KR20030074360A KR 20030074360 A KR20030074360 A KR 20030074360A KR 20030015103 A KR20030015103 A KR 20030015103A KR 20030074360 A KR20030074360 A KR 2003007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rice
cooker
pa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시타고이치로
사노마사토
후지타도시히로
오야히로시
가코사오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반기 본체의 상면 개구부가 커버에 의해 덮어지고, 취반기 본체에 수납된 냄비는 유도 코일(4)에 의해서 가열된다. 냄비는 그 바닥부의 근방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내경이 변화되지 않는 대략 연직부를 갖고, 이 대략 연직부에서 냄비의 상단에 걸쳐 서서히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냄비내의 하층에 위치하는 쌀알의 흡수·팽창시의 냄비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팽창하는 힘이 억제되고, 외주부의 하층의 쌀알이 냄비의 내측을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쌀알은 외주부의 상층과 중심부의 상층과의 높이가 같은 상태로 흡수할 수 있어서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취반기{RICE COOKER}
본 발명은 취반기 본체에 수납한 냄비로 취반하는 취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취반기에 수납되는 냄비의 내측면은 냄비 바닥부로부터 반경 10mm보다 큰 곡면을 갖는 부분으로 이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취반 중의 쌀알이 냄비내의 물을 흡수(吸水)하여 팽창하는 과정에서, 각 쌀알은 그 부피의 증대에 따라 서로 응력을 미치고, 냄비 내에서 쌀알의 집합 전체는 상향 및 냄비 중심에서 외향으로 팽창한다.
이 때, 상술한 종래의 취반기의 냄비에서는 냄비 내외주부의 하층에 위치하는 쌀알이 냄비 내측을 미끄러져, 외주부 상층의 쌀알이 중심부의 쌀알보다 높게 가압 상승시켜진다. 이 현상은 냄비 내면으로의 불소 가공 등에 의해 냄비 내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것일수록 현저히 나타난다.
그 결과, 각 쌀알의 흡수에 따라 물이 감소하여 수면이 내려가면, 중심부 상층의 쌀알에 대해 외주부 상층의 쌀알은 흡수가 충분하지 않은 채로 취반되고, 쌀알 집합 전체에서 부분적으로 설익음이 일어난다.
취반기는 상면 개구부를 갖는 취반기 본체와, 상기 취반기 본체의 상기 상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취반기 본체에 수납되는 냄비와, 상기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냄비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근방에 설치된 내경이 변화하지 않는 연직부를 갖고, 상기 연직부에서 상단에 걸쳐서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면을 갖는다.
이 취반기에서는 냄비내의 하층에 위치하는 쌀알의 흡수 및 팽창시의 냄비의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팽창하는 힘이 억제되고, 외주부 하층의 쌀알이 냄비의 내측을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부 상층과 중심부 상층의 각각의 쌀알은 높이가 같은 상태로 흡수하기 때문에, 불균일 없이 취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단면도,
도 2a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에 물과 쌀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2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취반을 개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 2c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하층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d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하층의 팽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e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상층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f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상층의 팽창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g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흡수(吸水)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의 냄비에 물과 쌀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3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흡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에 물과 쌀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4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흡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의 냄비에 물과 쌀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흡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의 냄비에 물과 쌀을 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쌀알 흡수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취반기 본체2 : 냄비
3 : 보호 프레임4 : 코일
6 : 패킹7 : 방열판
8 : 바닥 센서9 : 물로만 이루어진 층
10 : 쌀알과 물이 존재하는 층11 : 흡수·팽창전의 쌀알층
12 : 흡수·팽창 후의 쌀알층20 : 연직부
21 : 냄비의 상단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는 취반기 본체(1)와, 냄비(2)와, 커버(5)를 구비한다.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취반기 본체(1)는 그 내부에 설치된 냄비(2)의 수납부인 보호 프레임(3)과, 보호 프레임(3)의 외측에 설치된 가열 수단인 유도 코일(4)을 구비하고, 취반기 본체(1)에 수납된 냄비(2)를 유도 코일(4)이 유도 가열한다.
커버(5)는 취반기 본체(1)의 상면 개구부를 덮도록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내측에 냄비 패킹(6)을 구비한 방열판(7)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냄비(2)가 취반기 본체(1)에 수납되어 있을 때 냄비(2)에 접하도록 바닥 센서(8)가 배설되어 있다.
냄비(2)는 그 바닥부의 근방의 내측면부에 내경이 변하지 않는 대략 연직부(20)가 형성되고, 또한 대략 연직부(20)로부터 냄비(2)의 상단(21)에 걸쳐 서서히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a 내지 도 2g는 쌀알이 흡수하여 팽창하기 전후의 상태를 간단히 나타내는 냄비(2)의 세로방향의 단면도이다. 냄비(2)에는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존재하는 층(10)이 있다.
도 2a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냄비(2)는 그 바닥부의 근방의 내측면부에 냄비(2)의 전체 높이의 약 1/8까지의 높이에 5mm 이상 설치된 내경이 변화되지 않는 대략 연직부(20)를 갖고, 대략 연직부(20)로부터 냄비(2)의 상단(21)에 걸쳐 서서히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냄비(2)에 물과 쌀알을 넣으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존재하는 층(10)이 생긴다. 이 상태로 취반을 실시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2)내의 하층에 위치하는 쌀알은 흡수와 팽창시에 하향의 팽창력이 냄비(2)의 바닥에 의해 상쇄되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2)의 중심으로부터 상향(51)과 외향(52)으로 팽창하게 된다.
외향(52)의 힘은 냄비(2)의 대략 연직부(20)에 의해 억제되고, 도 2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51)에만 팽창함으로써 종래의 취반기의 냄비에서 보인 외주부 하층의 쌀알이 냄비의 내측을 미끄러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에는 흡수·팽창전의 쌀알층(11)과, 흡수·팽창 후의 쌀알층(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e에 나타낸 중층으로부터 상층부의 쌀알의 흡수·팽창시의 상하향·외향의 팽창에 관해서는,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향의 팽창력이 쌀알층의 위치가 높아짐에 따른 냄비의 내경의 증가에 의한 용적의 증가분(13)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부분의 쌀알이 상승되어 있지 않은 평탄한 표면(14)을 실현할 수 있어서, 각부의 쌀알의 흡수 상태가 균일해져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취반기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2a)는 그 바닥부의 근방의 내측면부에 형성된 대략 연직부(20)를 갖는다. 대략 연직부(20)의 내측면의 기울기는 연직방향에 대해 30°내에 있다. 바닥과 대략 연직부(20)는 반경 10mm 이하의 곡면(22)으로 연결되고, 냄비(2a)는 냄비 바닥부로부터 냄비(2a)의 상단(21)에 걸쳐 서서히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냄비(2a)에 물과 쌀을 넣으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있는 층(10)으로 구성된다. 이 상태로 취반을 하면, 외주부 하층의 쌀알이 냄비(2a)의 내측을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쌀알이 흡수·팽창시의 상향의 팽창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할 때, 외향의 팽창력이 내경의 증가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흡수·팽창 후의 표면(14)이 얻어진다. 따라서, 각 부분의 쌀알의 흡수 상태가 균일해지고,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를 설명한다. 또한 취반기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냄비(2b)는 냄비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의 증가에 따라, 내용량의 증가분이 기본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적어도 냄비 바닥 근방에서 증가분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 즉, 냄비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의 증가에 대한 내용량의 증가는 2개의 취반량(15, 16)에 대응하는 수위선(水位線)의 높이에서 각각 일정하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냄비(2b)에 물과 쌀을 넣으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존재하는 층(10)이 구성된다. 이 상태로 취반을 실시하면, 외주부의 하층의 쌀알이 냄비(2a)의 내측을 미끄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하층보다 상측의 내용량을 최소 취반량과 중간 취반량의 각각의 팽창분에 대응하여 증가시킴으로써, 도 4b와 같이 상기 팽창분에 의한 표면(14)의 변화를 적절히 막을 수 있어서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를 설명한다. 또한 취반기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의한 취반기의 냄비(2c)는 중앙 부분(23)이 외주 부분(24)보다 높은 형상의 바닥을 갖는다.
상기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냄비(2c)에 물과 쌀을 넣으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존재하는 층(10)이 구성된다. 이 상태로 취반을 실시한다. 냄비(2c)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의 증가에 따른 냄비(2c)의 내경의 증가에 대해, 쌀알층이 두꺼운 경우에 냄비(2c)내의 하층에 위치하는 쌀알의 흡수·팽창시의 냄비(2c)의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팽창하는 힘이 억제되면 중앙 부분의 상층의 쌀알을 가압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고, 중앙 부분의 쌀알이 높게 가압 상승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2c)의 바닥이, 중앙 부분(23)이 외주 부분(24)보다 높은 형상을 가지면, 흡수 전에는 중앙 부분(23)의 쌀알층이 얇아져서 상술한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중앙 부분(23)과 외주 부분(24)의 상층부의 흡수·팽창 후의 쌀알층은 높이가 균일해져 균일하게 흡수할수 있어서,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를 설명한다. 또한 취반기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냄비(2d)는 중앙 부분(23)과 외주 부분(24)의 중간 부분(25)이 중앙 부분(23)과 외주 부분(24) 보다 낮은 형상을 갖는 바닥을 구비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냄비(2d)에 물과 쌀을 넣으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로만 이루어진 층(9)과, 쌀알과 물이 있는 층(10)으로 구성된다. 이 상태로 취반을 실시한다. 흡수전에는 중앙 부분과 외주 부분의 쌀알층은 얇다. 중간 부분(25)의 하층의 쌀알이 흡수·팽창시에 외측 방향으로 팽창하고자 하는 힘에 의해, 중앙 부분(23)과 외주 부분(24)의 상층의 쌀알을 높게 가압 상승시키는 상향의 힘이 생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취반기에서는 원래부터 중앙 부분(23)과 외주 부분(24)에 위치하는 쌀알층은 중앙 부분의 층보다 얇기 때문에, 전술한 상향의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앙 부분(23), 외주 부분(24), 중간 부분(25)의 쌀알의 상층부의 흡수·팽창 후의 높이가 균일해지고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냄비는 유도 코일(4)에 의해 유도 가열되지만, 가스, 시즈 히터(sheath heater), 주물 히터, 할로겐 히터 등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냄비의 재질은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 클래드재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취반기는 중앙 부분과 외주 부분의 상층부의 흡수·팽창 후의 쌀알층 높이가 균일해져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어서, 설익음 없이 취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취반기에 있어서,
    상면 개구부를 갖는 취반기 본체와,
    상기 취반기 본체의 상기 상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취반기 본체에 수납되는 냄비와,
    상기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냄비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근방에 설치된 내경의 변화가 없는 연직부를 갖고, 상기 연직부로부터 상단에 걸쳐 내경이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면을 갖는
    취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개구부를 갖는 상기 취반기 본체와,
    상기 취반기 본체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취반기 본체에 수납되는 냄비와,
    상기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비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대략 연직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면을 갖는 대략 연직부를 구비하며, 상기 대략 연직부로부터 상단에 걸쳐 내경이 더욱 확대되는 형상을 갖는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냄비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대략 연직부는 반경 10mm 이하의 곡면으로 연결되는
    취반기.
  3. 취반기에 있어서,
    상면 개구부를 갖는 취반기 본체와,
    상기 취반기 본체의 상기 상면 개구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취반기 본체에 수납된 냄비와,
    상기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냄비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의 높이의 증가에 대한 내용량의 증가가 적어도 상기 바닥부의 근방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 내측면을 갖는
    취반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상기 바닥부는 중앙 부분이 외주 부분보다 높은
    취반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의 상기 바닥부는 중앙 부분과 외주 부분의 중간 부분이 상기 중앙 부분과 외주 부분보다 낮은
    취반기.
KR10-2003-0015103A 2002-03-12 2003-03-11 취반기 KR20030074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66462 2002-03-12
JP2002066462A JP3633568B2 (ja) 2002-03-12 2002-03-12 炊飯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60A true KR20030074360A (ko) 2003-09-19

Family

ID=2803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103A KR20030074360A (ko) 2002-03-12 2003-03-11 취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33568B2 (ko)
KR (1) KR20030074360A (ko)
CN (1) CN14435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9760B (zh) * 2008-09-12 2014-03-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饭煲
JP5263267B2 (ja) * 2010-11-09 201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EP3648641A4 (en) * 2017-07-07 2021-03-10 Zhejiang Supor Electrical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INNER POT, ELECTRIC RICE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CN110638323B (zh) * 2017-11-19 2020-11-24 孙永锋 一种高压电饭锅的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3568B2 (ja) 2005-03-30
CN1443506A (zh) 2003-09-24
JP2003259972A (ja)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18B1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EP1563776B1 (en) Rice cooking system for microwave oven
US4210124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US4143647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JP2007135729A (ja) 炊飯器
KR20030074360A (ko) 취반기
EA005550B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MXPA03002786A (es) Quemador de gas para aparato de coccion.
US5881635A (en) Enamelled cookwa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EP1053711B1 (en) Cooking appliance with base suitable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conduction
JP3164099B2 (ja) 炊飯器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JP2005168548A (ja) 電気炊飯器
JP2002065455A (ja) 炊飯器
KR100564038B1 (ko) 수증기순환식 밥짓기 보조용구
KR960009351Y1 (ko) 취사 용기
US11992157B2 (en) Deep fryer tank, and electric deep fryer comprising such a tank
CN209391679U (zh) 蒸笼及烹饪器具
KR200356371Y1 (ko) 돌솥용 뚜껑
KR20170056743A (ko) 가열식 온수노즐이 구비된 즉석식품 조리장치
JP2009077850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
GB2118024A (en) Cooking utensil
KR200150632Y1 (ko) 조리용 남비
KR20220012592A (ko) 전기밥솥의 내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