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290Y1 -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90Y1
KR960009290Y1 KR2019940001138U KR19940001138U KR960009290Y1 KR 960009290 Y1 KR960009290 Y1 KR 960009290Y1 KR 2019940001138 U KR2019940001138 U KR 2019940001138U KR 19940001138 U KR19940001138 U KR 19940001138U KR 960009290 Y1 KR960009290 Y1 KR 960009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lead
clamping device
support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960U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1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90Y1/ko
Publication of KR950023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6Means for supplying the connector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 H01L2224/78621Holding means, e.g. wire clam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제1도는 종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인 리드 누름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며,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리드 누름부재 결합상태를 보인 제2도의 A-A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이드 레일 2 : 히터 블럭
5 : 업/다운 블럭 10 : 리드 클램퍼
11 : 지지부재 12 : 누름부재
21,22 : 고정공 23 : 지지용 볼
24 : 나사 25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와이어 본더의 히터 블럭으로 이송된 리드 프레임의 리드를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 스티치 본딩(STITCH BONDING)이 행하여지는 인너 리드를 확실하게 클램핑함과 아울러 평탄도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스펙 변경에 따른 리드 클램퍼의 교체를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본더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공정을 행함에 있어서는 작업대인 히터 블럭으로 이송된 리드 프레임의 인너 리드를 평탄도를 유지하여 확실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여야만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와이어 본더에는 히터 블럭으로 이송된 리드 프레임을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드 클램퍼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1 및 1'은 제품(칩이 부착된 리드 프레임 : 도시 생략)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보인 것으로, 이 가이드 레일(1)(1')에는 제품 이송 안내홈 (1a)(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1')의 중간부에는 이송된 제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작업대인 히터 블럭(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 블럭(2)의 상부에는 제품을 상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드 클램퍼(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드 클램퍼(3)는 본딩 에리어 노출공(3a)이 형성된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이송된 제품의 인너 리드를 유동하지 않도록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는 것으로써 이는 그 일측에 고정볼트(4)로 고정된 업/다운 블럭(5)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드 클램퍼(3)와 업/다운 블럭(5)의 연결부위에는 리드 클램퍼(3)의 평탄도를 조정하기 위한 평탄도 조정 볼트(6)가 구비되어 리드 클램핑시 각각의 인너 리드에 일정한 누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해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이 본딩된 리드 프레임(와이어 본딩할 제품)이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인덱스 되어지면, 히터 블럭(2)과 리드 클램퍼(3)가 각각 업/다운 되면서 클램핑 위치(보딩 에리어 노출공 : 3a)까지 본딩될 부분이 인덱스 되게 된다.
이때 인덱스 되어져 들어온 제품은 이미 평탄도 조정 볼트(6)에 의하여 평탄도 조정이 완료된후, 업/다운 블럭(5)에 고정된 리드 클램퍼(3)가 업/다운 블럭(5)의 다운 동작에 의하여 제품의 인너 리드를 유동하지 않도록 클램핑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핑 장치는 리드 클램퍼(3)와 업/다운 블럭(5)의 연결부에 구비된 평탄도 조정 볼트(6)로 평탄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어 평탄도 조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또 제품 스펙이 바뀔 때마다 고정볼트(4) 및 평탄도 조정 볼트(6)를 해체, 체결하여야 함과 아울러 평탄도 조정을 실시 하여야 하므로 스펙 교체에 따른 시간 지연으로 장비의 다운 타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평탄도 조정의 어려움으로 오조정이 야기되어 리드 클램퍼(3)의 변형을 가져온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드 클램퍼의 평탄도 조정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보다 확실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제품 스펙 변경에 따른 리드 클램퍼 교체를 보다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제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히터 블럭의 상부에 그 제품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는 리드 클램퍼가 그 리드 클램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업/다운 블럭에 고정,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리드 클램퍼를 업/다운 블럭에 고정볼트로 고정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단부에 끼워 고정되어 제품을 눌러 지지하는 누름부재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누름 부재를 이탈, 착 가능하게 고정, 지지 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가 제공 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부재와 그 지지부재의 누름부재 삽입홀에 삽입된 누름주재를 연통하도록 각각 형성된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에 개재되어 누름부재의 삽입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용 볼과, 상기 지지용 볼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나사로 고정된 판스프링으로 구성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고정공 중 일측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누름부재 삽입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도록 타원 장공형태로 형성 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는 지지용 볼과 판스프링에 의해 자연스럽게 평탄도를 유지함로써 별도의 평탄도 조정이 불필요함에 따른 시간 절약의 효과 뿐만 아니라 평탄도 조정의 오조정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및 리드 클램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인너 리드 전핀을 일정하게 클램핑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 제품의 스펙 변경에 따른 리드 클램퍼의 교체시에도 다수개의 누름부재만을 즌비하면 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상기 한 누름부재의 착,탈 가능한 결합으로 그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으며, 누름부재의 결합시 위치 조정이 불필요 하다는 효과가 있는등, 결국 장비의 다운 타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 한다.
첨부한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을 이루는 누름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며, 제4도는 본 고안 누름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제3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기본 구조, 예컨대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이송되는 제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히터 블럭(2)의 상부에 그 제품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는 리드 클램퍼(10)가 그 리드 클램퍼(10)를 상,하 이동시키는 업/다운 블럭(5)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된 제품을 클램핑하는 기본 구조는 일반적인 클램핑 장치와 같이하고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리드 클램퍼(10)를 업/다운 블럭(5)에 고정볼트(4)로 고정지지되는 지지부재(11)와 이 지지부재(11)의 단부에 끼워 고정되어 제품을 눌러 지지하는 누름부재(12)로 분리 형성되어 스펙 변경에 따른 리드 클램퍼(1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제1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누름부재(12)가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부재(11)에 이탈,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지지부재(11)와 그 지지부재(11)의 누름부재 삽입홀(11a)에 삽입된 누름부재(12)를 연통하도록 각각 형성된 고정공(21)(22)과, 상기 고정공(21)(22)에 개재되어 누름부재(12)의 삽입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용 볼(23)과, 상기 지지용 볼(23)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 나사(24)로 고정된 판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별도 동작의 평탄도 조정없이 상기 지지용 볼(23)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평탄도를 유지하여 자동적으로 인너 리드 전핀을 같은힘 같은 평탄도로 눌러주도록 구성한 것을 또하나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12)에 결합용 고정공(22)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일측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타측은 누름부재 삽입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도록 타원 장공형태로 형성하고 누름부재 결합시의 위치 결정이 자동으로 결정되어 지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그외 본 고안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를 구성하는 여타 구성은 전기한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클램핑 장치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기본 작용은 일반적인 장치와 같다. 즉 다이 본딩된 제품(리드 프레임)이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인덱스 되어 지면, 히터 블럭(2)과 리드 클램퍼(10)가 각각 업/다운 되면서 클램핑 위치까지 본딩될 부분이 인덱스 되게된다.
이때 인덱스 되어져 들어온 제품의 인너 리드들은 업/다운 블럭(5)의 다운동작과 리드 클램퍼(10)의 누름부재(12)의 구조에 의해 눌려 지지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누름부재(12)는 지지용 볼(23)과 판스프링(25)에 의한 결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평탄도를 유지하면서 전 인너 리드들을 같은 힘 같은 평탄도로 눌러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별도의 평탄도 조정 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장치를 사용하던 도중 제품의 스펙이 변경되어 리드 클램퍼(1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때, 종래와 같이 치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분해, 조립할 필요업이 누름부재(12)만을 그대로 힘을 주어 잡아 빼면 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부재(12)를 교체하여 재조립함에 있어서도 교체된 누름부재(12)를 지지부재(11)의 삽입홀(11a)에 일치시켜 그대로 밀면 지지용 볼(23)과 판 스프링(25)의 작용에 의해 고정됨과 아울러 그 위치도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작업이 한결 편리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는 지지용 볼과 판스프링에 의해 자연스럽게 평탄도를 유지함으로써 별도의 평탄도 조정이 불필요함에 따른 시간 절약의 효과뿐만 아니라 평탄도 조정의 오조정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및 리드 클램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인너 리드 전핀을 일정하게 클램핑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또 제품의 스펙 변경에 따른 리드 클램퍼의 교체시에도 다수개의 누름부재만을 준비하면 되므로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상기한 누름부재의 착,탈 가능한 결합으로 그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으며, 누름부재의 결합시 위치조정이 불필요 하다는 효과가 있는등, 결국 장비의 다운 타임을 대폭적으로 줄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Claims (3)

  1.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이송되는 제품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히터 블럭(2)의 상부에 그 제품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는 리드 클램퍼(10)가 그 리드 클램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업/다운 블럭(5)에 고정,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리드 클램퍼(10)를 업/다운 블럭(5)에 고정볼트(4)로 고정지지되는 지지부재(11)와 이 지지부재(11)의 단부에 끼워 고정되어 제품을 눌러 지지하는 누름부재(12)로 분리 형성하고, 상기 누름부재(12)를 이탈,착 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부재(11)와 그 지지부재(11)의 누름부재 삽입홀(11a)에 삽입된 누름부재(12)를 연통하도록 각각 형성된 고정공(21)(22)과, 상기 고정공(21)(22)에 개재되어 누름부재(12)의 삽입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용 볼(23)과, 상기 지지용 볼(23)을 상부에서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 나사(24)로 고정된 판스프링(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12)에 형성된 고정공(2) 중 일측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누름부재 삽입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도록 타원 장공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KR2019940001138U 1994-01-21 1994-01-21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KR960009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138U KR960009290Y1 (ko) 1994-01-21 1994-01-21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138U KR960009290Y1 (ko) 1994-01-21 1994-01-21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60U KR950023960U (ko) 1995-08-23
KR960009290Y1 true KR960009290Y1 (ko) 1996-10-16

Family

ID=1937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138U KR960009290Y1 (ko) 1994-01-21 1994-01-21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768B1 (ko) * 2001-04-06 2007-06-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윈도우 클램프 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06A (ko) * 2001-08-27 200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어 본딩용 리드프레임 클램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768B1 (ko) * 2001-04-06 2007-06-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윈도우 클램프 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60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19597A (ja) マスクフレームの枠組み溶接装置
KR100340963B1 (ko) 열압착장치
US6135270A (en) Guide rail mechanism for a bonding apparatus
US5186719A (en) Apparatus for conveying semiconductor lead frame strip using guide rails
KR960009290Y1 (ko) 와이어 본더의 리드 프레임 클램핑 장치
US6390350B2 (en) Quick change precisor
BR9101692A (pt) Multicondutor e suporte,e maquina e processo para sua fabricacao
CN210429871U (zh) 一种mini-LED全自动固晶机的流水作业工作平台
KR200167627Y1 (ko) 안경테에 연결팁 용접을 위한 연결팁 자동공급장치
JP2000158242A (ja) 部品供給圧入装置
KR200141998Y1 (ko) 리드 프레임 위치 결정장치
KR930010588B1 (ko) 반송가공물의 클램프장치
KR940003584B1 (ko) 반도체 조립장치
US5951283A (en) Substrate transporting device
KR950000514B1 (ko) 리드 프레임 누름장치
JP2945182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順送り装置
CN211075050U (zh) 一种全自动印刷机的夹板装置
KR100427982B1 (ko) 이송프레스의 판넬소재 클램핑장치
JP3125423B2 (ja)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
KR19990077451A (ko) 본딩장치용가이드레일기구
KR100210326B1 (ko) 통자형의 게이트 홀이 형성된 게이트 절단 다이를 갖는 게이트 절단 장치
CN111284133A (zh) 自动微调版台及调节机构和包含调节机构的自动贴片机
KR200148600Y1 (ko) 크린큐어장비의제품이송장치
KR200145794Y1 (ko) 리드프레임 히팅장치
KR950001543Y1 (ko) Pcb 접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