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035Y1 -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035Y1
KR960009035Y1 KR2019900019861U KR900019861U KR960009035Y1 KR 960009035 Y1 KR960009035 Y1 KR 960009035Y1 KR 2019900019861 U KR2019900019861 U KR 2019900019861U KR 900019861 U KR900019861 U KR 900019861U KR 960009035 Y1 KR960009035 Y1 KR 960009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mparator
charge
unit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980U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9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035Y1/ko
Publication of KR920013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모터 구동회로의 일부 상세회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도.
제3도는 제2도 각부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4 : 비교기 VR1, VR2 : 가변저항
R1~R6 : 저항 D1, D2 : 다이오드
C1, C2 : 콘덴서 10,15 : 제1, 제2 비교부
20, 40 : 제1, 제2 제어부 30 : 충, 방전부
본 고안은 서보 콘트롤러(Servo Controll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베이스 구동회로의 지연시간을 임의적으로 선택가능하게 하고, 좀더 넓은 범위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킨 모터이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모터 구동회로의 일부 상세회로도로서, PWM(pulse Width Modulation)회로(1)에서 PWM펄스를 베이스 구동회로(2)에 인가하고, 베이스 구동회로(2)에서 구동부(3)에 구동 전위를 공급한다.
이때, 모터(M) 양단에 높은 전압이 가해지는 경우 상단 트랜지스터(Q1),(Q2), (Q3)와 하단 트랜지스터(Q4),(Q5),(Q6)가 동시에 턴온되면 상단트랜지스터와 하단 트랜지스터가 쇼트되어 트랜지스터를 파괴시키게 되며 회로의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단 트랜지스터와 하단 트랜지스터가 모터의 권선을 통하지 않고 쇼트되는 현상이 없도록 미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일정시간 동안 지연시간을 제공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로직 IC를 이용함으로써, 시정수 요소인 저항과 콘덴서의 선택 및 지연시간을 결정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정밀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고안의 목적은 모터의 베이스 구동회로에서 미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부분에 임의의 선택 범위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온, 오프 지점에서 지연을 시켜줌으로써 모터 구동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특징은 PWM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AI)를 인가받아 서로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와, 상기 제1비교부에 임의의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비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비교부의 동작의 동작에 따라 정전압원의 충, 방전 통로를 제공하는 충,방전부와, 가변저항의 조정으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제공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충,방전부 및 제2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의 지연시간에 의해 상기 지연시간 만큼의 지연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와, 로 구성되는 모터의 베이스 구동제어회로에 있다.
이하, 이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첩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모터의 베이스 구동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PWM 회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AI)를 인가받아 서로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10)에 상기 제1 비교부(10)에 가변저항(VRI)의 조절에 따라 임의의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제1 제어부(20)를 연결시킨다. 상기 제1 비교부(10)는 비교기(A1), (A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비교부(10)에는 정전압원(Vcc)의 충, 방전 통로를 제공하는 충, 방전부(30)를 연결시키며 상기 충, 방전부(30)는 시정수 조정용 저항(R1), (R2) 및 콘덴서(c1)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로 된 제1 충, 방전부(31)와, 시정수 조정용 저항(R3),(R4) 및 콘덴서(C1)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2)로 된 제1 충, 방전부(32)로 구성된다.
또한, 가변저항(VR2)의 조정으로 임의의 지연시간(t)을 제공하는 제2 제어부(40) 및 상기 충, 방전부(30)에는 상기 제2제어부(40)로부터의 지연시간(t)에 의해 상기 지연시간(t)만큼의 지연된 신호(AO+),(AO-)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50)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2비교부(50)는 비교기(A3,A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에 있어서, PWM회로(1)로 부터 입력신호(AI)가 들어오면 비교기(A1)(A2)를 통해 서로 반전된 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비교기(A1),(A2)에는 가변저항(VR1)의 조정에 의해 비교기(A1),(A2)에 기준전압(VC1)를 제공한다. 단, 여기서 가변저항(VR1)의 조정은 비교기(A1),(A2)의 출력싱크(Sink) 전류가 크도록 한다.
한편, 정전압원(Vcc)의 충,방전 통로인 제1충,방전부(31)는 상기 비교기(A1)의 출력이 로직하이일 경우는 저항(R1),(R2)을 통해 콘덴서(C1)에 정전압원(Vcc)으로부터의 전압을 충전하고 이때 다이오드(D1)는 도통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는 달리 비교기(A1)의 출력전압이 로직로우일 경우는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이 다이오드(D1)를 통해 방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비교기(A2)의 출력은 상기 제1비교기(A1)의 출력과 반대이므로 제2 충, 방전부(32)는 상기와 상반되게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저항(R1),(R3)이 저항(R2),(R4)보다 크다면 방전시간은 충전시간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되며, 상기 충,방전 파형도느 s제3도 (A),(B)와 같다.
또한, 상기 충, 방전부(30)를 통한 출력전압과 가변저항(VR2)의 조정에 의한 전압(VC2)에 의해 비교기(A3),(A4)의 출력은 일정시간(t)만큼 지연된 파형이 출력된다.
상기 비교기(A3),(A4)의 출력은 제3도 (C),(D)에서 보듯이 로직하이레벨이 겹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모터에 연결되는 상단 트랜지스터와 하단 트랜지스터가 쇼트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모터의 베이스 구동회로에서 가변저항의 조정으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제공하여 모터 구동부의 상단 트랜지스터와 하단 트랜지스터의 쇼트현상을 제거하여 모터의 정밀도를 향상시켰다.

Claims (1)

  1. PWM회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AI)를 인가받아 서로 반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부(10)와, 상기 제1비교부(10)에 임의의 기준전압(VC1)을 제공하는 제1제어부(20)와, 상기 제1비교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제1비교부(10)의 동작에 따라 정전압원(Vcc)의 충, 방전 통로를 제공하는 충, 방전부(30)와, 가변저항(VR2)의 조정으로 임의의 지연시간(t)을 제공하는 제2제어부(40)와, 상기 충,방전부(30) 및 제2제어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제어부(40)로부터의 지연시간(t)에 의해 상기 지연시간(t)만큼의 지연된 신호(AI+),(AO-)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50)와, 로 구성되는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KR2019900019861U 1990-12-14 1990-12-14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KR960009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861U KR960009035Y1 (ko) 1990-12-14 1990-12-14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861U KR960009035Y1 (ko) 1990-12-14 1990-12-14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80U KR920013980U (ko) 1992-07-27
KR960009035Y1 true KR960009035Y1 (ko) 1996-10-14

Family

ID=1930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861U KR960009035Y1 (ko) 1990-12-14 1990-12-14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0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980U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0162B2 (en) Switch matrix drive circuit for a power element
US4459498A (en) Switch with series-connected MOS-FETs
US6163190A (en) Hysteresis comparator circuit consuming a small current
US4023122A (en) Signal generating circuit
JPS61502302A (ja)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ための変圧器を使用しない駆動回路
US5930129A (en) Power on reset circuit
EP0160896A2 (en) Current flow reversing circuit
US1134290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5621342A (en) Low-power CMOS driver circuit capable of operating at high frequencies
EP0662747B1 (en) A DC/DC converter for outputting multiple signals
JP4676765B2 (ja) スイッチング回路
KR960009035Y1 (ko) 모터의 베이스 구동 제어회로
EP0582289B1 (en) Transistor circuit for holding peak/bottom level of signal
JP3402983B2 (ja) 電源回路
JP3919991B2 (ja)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用多段階パルス発生回路
JP2001308688A (ja) 出力回路
US4262213A (en) Universal power module
KR19990006822A (ko) 충전발전기의 제어장치
KR100354726B1 (ko) 집적형 전력 증폭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771605B2 (ja) 充放電制御回路
JPH09331243A (ja) ゼロクロス検出回路
JP2671292B2 (ja) パルス信号のクランプ装置
JPH02109413A (ja) パルス発生器
KR0112073Y1 (ko) 오픈 콜렉터 구동회로
JPS62243414A (ja) 発振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