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05B1 -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05B1
KR960008805B1 KR1019920011981A KR920011981A KR960008805B1 KR 960008805 B1 KR960008805 B1 KR 960008805B1 KR 1019920011981 A KR1019920011981 A KR 1019920011981A KR 920011981 A KR920011981 A KR 920011981A KR 960008805 B1 KR960008805 B1 KR 960008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seat
wir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106A (ko
Inventor
장태근
Original Assignee
장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태근 filed Critical 장태근
Priority to KR1019920011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05B1/ko
Publication of KR94000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4Passive restraint systems, i.e. systems both applied and removed automatically, e.g. by movement of the vehicl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착탈 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주행기구부의 평면구성도.
제3도는 안내레일과 와이어 및 고정핀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와이어의 작용설명도.
제5a, b도는 본 발명 체결부의 작용 설명도.
제6도는 체결부의 사시도.
제7도는 주행기구부와 와이어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접속틀 3 : 주행기구부
4 : 와이어 5 : 안내레일
5' : 절개부 7 : 고정핀
8 : 구름부재 9A, 9B : 제한스위치
10 : 기동스위치 11 : 고정틀
13 : 체결부 16 : 체결구
32 : 감속모터 33 : 캡스턴 풀리
33a : 걸림홈 42 : 걸림볼
S : 시트 B : 안전벨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작동신뢰성이 향상되어 승하차시에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사고유발시에 승차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게된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에는 주행중 충돌 또는 추돌 등으로 인한 승차자의 부상은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승차자의 신체를 결박하게 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음은 주지와 같으며, 근래에는 승차자의 편의를 위해 승하차시에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시킬 수 있게 된 다양한 형태, 구성의 안전벨트 자동착탈장치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벨트 자동착탈장치는 그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과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고, 구성부품이 많아 잦은 고장을 유발함은 물론 작동신뢰성이 낮아 자동착탈장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며, 따라서 자동착탈장치의 안전벨트 자체의 원래목적을 저해하는 근본요인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기피를 초래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 자체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승차자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전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것인바,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자동착탈장치(A)를 차량(C)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차량(C)의 시트(S) 일측에는 접속구(1)를 구비한 안전벨트(B)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안전벨트(B)는 보디(C')의 내측에 고정설치된 벨트케이싱(BC)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기구적 구성요소들에 의해 급격한 풀림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음은 주지와 같다.
접속구(1)가 접속고정되는 접속틀(2)은 통상 시트(S)를 중심으로하여 벨트케이싱(BC)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와이어로서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안전벨트(B)의 착용은 벨트케이싱(BC)에 긴장되어 있던 안전벨트(B)를 시트(S) 전방으로 당겨 접속구(1)를 타측의 접속틀(2)에 결합시킴으로써 완료하게 되며, 분리의 경우는 상기의 역순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 자동착탈장치(A)는 접속구(1)가 결합되는 접속틀(2)을 시트(S)의 전방으로 주행이동시켜 안전벨트(B)를 자동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수행하도록 시트(S)의 하부에 설치한 주행기구부(3)는 제2도에서와 같이, 설치대(31)상면에 고정되어 정역구동하는 감속모터(32)의 출력축(32')에 캡스턴 풀리(33)를 설치하고, 캡스턴 풀리(33)의 일측근접위치에는 가이드로울(34,34')을 구비한 장력조절구(35)를 탄성부재(36)로 인장력을 갖도록 힌지(35')로 고정설치하며, 캡스턴 풀리(33)에 감긴 와이어(4)의 양측은 설치대(31)양단에 고정구(37,37')로 고정시킨 안내레일(5)내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연장 설치된다.
이 안내레일(5)은 시트(S)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실런트등의 접착재(6)로 접착고정되며, 제3도에서와 같이, 상단에 절개부(5')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요성 재질의 관체로 형성된다.
안내레일(5) 내부로 연장된 와이어(4)에는 고정핀(7)이 용접, 리벳팅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며, 고정핀(7)의 상부에는 슬리이브(sleeve)형의 구름부재(8)가 끼워진 고정부(7')가 형성되어 접속틀(2) 하단의 연결구(2')가 연결 고정된다.
고정부(7')에 연결고정된 접속틀(2)의 상부에는 안전벨트(B)의 접속구(1)가 삽입고정됨은 주지와 같으며, 안전벨트(B)의 분리위치에 해당하는 안내레일(5)의 외면에는 제한스위치(9A)가 고정되어 구름부재(8)의 접탈에 의해 와이어(4)의 정지동기를 부여한다.
안전벨트(B)의 착용위치에 해당하는 안내레일(5)의 외면에는 상기 주행기구부(3)의 감속모터(32)를 정역구동시키는 기동스위치(10)가 내장된 고정틀(11)이 설치되어 다수의 고정부재(12)들에 의해 보디(C')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며, 고정틀(11)의 전방에는 이동된 접속틀(2)를 잡아고정시키는 체결부(13)가 구비된다.
체결부(13)는 상하체결판(14)에 힌지(15)로 고정된 체결구(16)가 제한핀(17)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된 접속틀(2) 하부의 구름부재(8)를 걸어 고정시키도록 하고, 체결구(16)의 후면에는 탄성핀(18)으로 인장력을 부여하여 개방 또는 폐쇄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틀(11)의 내부에는 제한 스위치(9B)가 설치되어 체결구(10)가 폐쇄위치로 회동된 경우 감속모터(3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자동착탈장치(A)는 제1도에서와 같이 접속구(1)가 접속틀(2)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차자가 시트(S)에 착석하여 고정틀(11)의 기동스위치(10)를 온시키면, 주행기구부(3)의 감속모터(32)는 캡스턴 풀리(33)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와이어(4)는 안내레일(5)을 따라 주행이동하게 된다(제4도 참조).
제7도에서는 캡스턴 풀리(33)의 구동시에 와이어(4)의 미끄러짐에 의한 주행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4) 외면에 스페이서(41)로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걸림볼(42)을 끼우고, 캡스턴 풀리(33)의 외면에는 걸림볼(42)이 함입되는 걸림홈(33a)을 등간격으로 함몰형성시켜, 캡스턴 풀리(33)의 구동시에 와이어(4)는 그 외면의 걸림볼(42)이 걸림홈(33a)에 함입안착된 상태에서 강제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미끄러짐에 의한 작동불능을 적극적으로 방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에 따라 와이어(4)는 접속구(1)가 결합된 접속틀(2)을 끌고 이동하게 되는데, 와이어(4) 상부의 고정핀(7)은 안내레일(5)의 절개부(5')를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와이어(4)와 안내레일(5)의 분리우려는 배제되며, 접속틀(2)의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안전벨트(B)는 신장을 계속하게 된다.
이후 접속틀(2)이 제5도 (a)에서와 같이 착용위치에 설치한 고정틀(11)에 근접하게 되면, 체결부(13)의 체결구(16)는 절개부(5') 상부에서 구름부재(8)의 진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틀(2)이 더욱 이동되어 그 하부의 구름부재(8)가 체결구(16)를 밀며 이동하게되면, 체결구(16)는 제5도 (b)에서와 같이 힌지(15)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고정핀(7)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체결구(16)는 제한스위치(9B)를 작동시켜 감속모터(32)의 기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구름부재(8)를 걸어고정한 체결구(16)는 탄성핀(18)의 탄성에 의해 외측회동이 방지되므로 고정핀(7) 상부에 연결된 접속틀(2)은 이동이 방지된 상태로서 안전벨트(B)를 착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차량(C)의 충돌 등에 의해 안전벨트(B)에 급격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이 인장력은 접속틀(2) 하단의 고정핀(7)이 고정된 와이어(4)에 가해지게 되며, 이 와이어(4)는 고정틀(11)의 고정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승차자의 안전저해 요인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안전벨트(B)의 분리시에 기동스위치(10)를 분리위치로 온하면, 감속모터(32)에 의해 캡스턴 풀리(33)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와이어(4)를 당기게 되는데, 이때의 인장력이 탄성핀(18)의 강도를 넘어서면 체결구(16)는 제5도(a)의 상태로 전환되며 구름부재(8)를 개방하게 되므로, 접속틀(2)은 안내레일(5)을 따라 분리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분리위치에서는 제한스위치(9A)를 작동시켜 감속모터(32)를 정지시킴으로서 안전벨트(B)의 분리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착탈장치(A)는 안전벨트(B)자체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착용과 분리를 자동수행할 수 있어 승차자의 안전과 최대한의 편의를 도모하게 되며, 그 기구적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과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작동신뢰성의 향상에 의해 실용화가 가능한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시트근접위치에 외부장력에 따라 신장, 인입이 단속되도록 설치되며 이동가능한 접속구를 구비한 안전벨트와, 이 접속구를 선택고정, 분리시키는 접속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후방바닥에 감속모터와 캡스턴 풀리로 구성된 주행기구부를 설치하여 접속구가 고정된 와이어를 정역 이동시키도록 하고, 이 와이어는 시트의 전방둘레에 연장설치되고 그 상면에 절개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요성 관체의 안내레일내에 미끄럼설치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분리위치에 설치된 제한스위치에 의해 이동위치를 제한하며, 안전벨트의 착용위치에 고정된 고정틀에는 이동된 접속틀을 고정, 해지하는 체결부와 상기 주행기구부에 정역구동동기를 발생하는 기동스위치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걸림볼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기구부의 캡스턴 풀리 외면에는 걸림볼이 함입되는 걸림홈을 함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밸트의 자동착탈 장치.
KR1019920011981A 1992-07-04 1992-07-0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KR96000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981A KR960008805B1 (ko) 1992-07-04 1992-07-0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981A KR960008805B1 (ko) 1992-07-04 1992-07-0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06A KR940002106A (ko) 1994-02-16
KR960008805B1 true KR960008805B1 (ko) 1996-07-05

Family

ID=1933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981A KR960008805B1 (ko) 1992-07-04 1992-07-04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0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06A (ko)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3484A1 (en) Movable side step for a vehicle
EP2077202B1 (en) Children's safety seat with guide and tension device
US5709408A (en) Motorized safety belts for vehicles
KR96000880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자동착탈장치
US7338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tbelt access
JPH085357B2 (ja) 締付装置
EP0364131A2 (en) Passive seat belts
US4193614A (en) Passive restraining belt for seated vehicle occupant
US4236730A (en) Seatbelt system
JP2523095B2 (ja) 安全用シ−トベルト装置に用いられる、ラツチヘツドを備える滑り部材の固定装置
US4357035A (en) Flexible belt positioning arm
KR200453398Y1 (ko)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버클 설치구조
US4437684A (en) Automatic seatbelt system
JPS61278451A (ja) シ−トベルト着脱装置
EP0928256B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safety restraint belt
CN218966747U (zh) 儿童座椅固定装置和车辆
KR920005587Y1 (ko) 자동 안동벨트 장치용 계지구
JPH0413254Y2 (ko)
KR200156296Y1 (ko) 차량 시트벨트의 감김제어장치
US4369990A (en) 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a slider to a drive wire in a passive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
KR20020051238A (ko) 유아용 시트벨트 앵커 캡 어셈블리의 슬라이딩식 캡 구조
JP2504021Y2 (ja) シ―トベルト装置
KR0158362B1 (ko) 시트백 지지겸용 안전벨트
GB2221379A (en) Passive seat belt arrangement for use in a vehicle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