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329B1 -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329B1
KR960008329B1 KR1019930702592A KR930702592A KR960008329B1 KR 960008329 B1 KR960008329 B1 KR 960008329B1 KR 1019930702592 A KR1019930702592 A KR 1019930702592A KR 930702592 A KR930702592 A KR 930702592A KR 960008329 B1 KR960008329 B1 KR 960008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d signal
data sequence
variable gain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766A (ko
Inventor
에프. 메덴도르프 데일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살리 2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살리 2세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703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1/00Secret communication
    • H04K1/02Secret communication by adding a second signal to make the desired signal un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03G3/304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for intermittent signals, e.g. bur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35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 H04L27/204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연속파 변조 기법에 의해 발생된 변조 신호와, 변조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하도록 하는 변조 기법에 의해 밭생된 변조 신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도.
제2도는 변조 신호부를 형성하는 슬롯 구조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와 유사한, 특유의 통신 시스템의 포맷에 따라 포맷된 슬롯을 설명하는 구조도.
제4도는 제3a도의 구조도에 도시된, π/4-QPSK 변조를 활용하는, 어떤 의미로는 포맷된 슬룻의 인벨로프 그래픽도.
제5도는 제4도의 그래픽도와 유사하지만, 제4도의 인벨로프부를 확장된 형태로 설명하는 그래픽도.
제6도는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 인벨로프와 소정 증폭 레벨의 인벨로프의 그래픽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양호한 실시예의 이득 제어 회로에 대한 간략한 블럭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양호한 실시예의 이득 제어 회로에 대한 블럭도.
제9도는 제8도의 이득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무선 송수신기 블럭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방법에 대한 방법 단계를 나타내는 논리적 흐름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인데, 특히, 개별적인 버스트들로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지점간에 정보(이하, 정보 신호로 언급됨)를 전송하고, 최소한, 통신 채널에 의해 상호 접속된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그 시스템에서 전송 채널이 통신 스펙트럼의 주파수 범위에 의해 정해진 무선 주파수 채널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무선 주파수 채널상의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전환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그러한 회로는 변조로 언급된 과정을 수행하는 변조 회로를 포함한다. 그 과정에서, 송신될 정보 신호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에 가해진다.
정보 신호가 가해지는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는 정보가 전송될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한정한 주파수 범위내의 주파수이다.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는 흔히 반송(carrier) 신호로서 언급되고, 정보 신호에 의해 일단 변조된 무선 주파수 전자기파는 흔히 변조된 신호로 언급된다.
여러 변조 체계는 정보 신호를 반송 신호에 인가하여 변조된 신호를 형성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 위상 변조, 및 이들의 조합은 정보 신호가 반송파에 인가되어 변조된 신호를 형성하는 모든 변조 체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물리적 상호 접속이 송신기와 수신 기간에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즉, 정보 신호가 변조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일단 변조되면, 변조된 신호는 먼 거리에 대해 전송될 수도 있다.
양방향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또한 한 지점으로의 정보 전송 및 상기 지점으로부터의 정보 전송을 허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그러한 양방향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각 지점은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단일 지점에 위치한 송신기 및 수신기는 전형적으로 무선 송수신기 또는 더욱 간단히 송수신기로서 언급되는 유닛을 구성한다.
흔히,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되도록 제조된 송수신기는 제 1무선 주파수 채널상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고, 제 2무선 주파수 채널상으로 송신된 변조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한 송수신기에 의해, 또, 그러한 송수신기에 송신된 신호들은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상으로 송신되기 때문에, 2개 이상의 송수신기들간에 동시 발생하는 양방향 통신이 허용되게 된다 신호들은 2개의 무선 주파수 채널 각각으로 연속 송신하여 양방향 통신을 실현한다. 그러한 양방향 통신은 일반적으로 송수신기의 이중 동작으로 언급된다.
전자기 주파수 스펙트럼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은 그러한 양방향 통신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800MHz와 900MHz간의 주파수 대역은 미국에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위해 할당된다. 다수의 무선 주파수 채널은 그 채널상에서 여러 셀룰러 전화(송수신기 구조로 구성됨) 동작을 허용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정의된다. 흔히,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송수신기는 주파수 변조 기법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발생한다. 또다른 주파수 대역은 무선 전화(무선 송수신기 구조로 구성됨)에 의한 통신을 위해 할당된다.
그러한 양방향 통신 시스템 사용의 증가는 양방향 통신에 할당된 유한개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접근하는 수요가 증가되게 된다. 그러한 사용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선된 구조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한 몇몇 구조들은 정보 신호를 인코드된 형태로 변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신호는 압축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즉, 동일량의 정보는 훨씬 적은 시간량에서 전송될 수도 있음). 또, 그러한 과정에 의해 헝성된 변조 신호는 연속 송신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변조된 신호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송신될 수도 있다.
가용 주파수 스펙트럼 사용을 최적화 하기 위해,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을 변조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보 신호를 인코드할 수도 있는 그러한 구조로는 π/4 전이된 사분의 위상 전이 방식(π/4-QPSK)이 있다. 그러한 변조 구조에 있어, 이로써 형성된 변조 신호의 정보 내용은 변조된 신호의 위상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들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타율에서의 신속한 위상 변화는, 변조된 신호의 큰 주파수 편차를 생기게 하며, 다음으로, 이 변조된 신호는 넓은 주파수 채널이 생기게 한다.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기저 대역 변조는 주파수 제한된다(필터링됨) . 상기 필터링된 변조된 신호의 중요한 진폭 변조를 일으킨다.
π/4-QPSK 변조된 신호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될 수도 있다. 개별적인 버스트로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동일 주파수로 하나 이상의 신호 전송이 허용된다. 그러한 기법은 시분할 다원 접속(TDMA) 방식으로 언급된다.
그러나, 대역폭이 π/4-QPSK 변조된 신호의 진폭에 의해 제어되므로, 그러한 신호를 증폭할때 주의해야 한다. 증폭 회로는 변조 신호를 송신하기에 앞서 증폭을 위해 무선 송신 회로부를 형성한다.
이득 제어 회로는 다수의 무선 송신 회로부를 형성한다. 그러한 회로는 무선 송신 회로에 의해 송신되는 변조 신호의 신호 레벨을 제어하며, 전형적으로 그 회로에 인가된 변조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 한다.
증폭 회로의 증폭 레벨을 제어함으로써(즉, 증폭 회로의 이득을 제어함), 무선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증폭 변조된 신호의 신호 레벨은 제어될 수도 있다.
이득 제어 회로는 π/4-QPSK 변조된 신호의 평균 전력을 결정하도륵 제조될 수도 있고, 그러한 변조된 신호의 증폭량은 그러한 평균 전력 측정에 응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진폭 변조 성분때문에, 평균 전력 측정은 한 주기 시간 동안 변조된 신호의 신호 레벨의 측정을 요구한다. 변조 신호의 적당한 이득량 결정에 앞서 상기 요구된 시간 주기는, 이 요구된 시간 주기가 경과되고 소정 이득이 결정될 때까지, 변조신호의 소정 이득의 정확한 결정을 금한다.
진폭 변조된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송신하도록 작용하는 무선 송신기내의 그런 종래의 이득 제어 회로를 활용할 때, 증폭 회로의 적당한 증폭 레벨은 변조 신호가 송신되는 초기 개별적인 비스트에 대응하는 시간 주기내에서는 결정될 수 없다.
대안적으로, 소정 이득 레벨이 초기에 산정될 수도 있는 경우, 그러한 산정은 실제가 아닌, 산정된 파라미터에 근거한 상기 소정 이득의 산정으로서 비정확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필요로 하는 것은 변조 신호의 소정 이득량을 빨리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를 필요로 한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의 증록 회로의 이득 레벨을 제어하는 이득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진폭 변조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하는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무선 송신기의 증폭 회로의 이득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장점 및 특성을 제공하는데, 그 상세한 설명은 하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탐독함으로써 더욱 분명 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가 개시된다. 무선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하도록 동작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버스트 동안 발생된 정보 신호는 선정된 데이타시퀀스를 포함하고, 무선 송신기의 송신 회로부를 형성하는 가변 이득 증폭 회로는 정보 신호가 발생된 개별적인 버스트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증폭된 신호를 형성하도록 동작한다.
증폭된 신호의 크기가 측정되고, 측정 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된다.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형성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이 검출된다.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envelope) 특성은 최소한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형성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 동안 결정 된다.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은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 값의 결정에 응답하여 변경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종래의 무선 송신기에 있어서, 변조 신호는 연속파 변조 기법에 의해 발견되고, 변조 신호는 전송 채널상에 변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연속 송신된다. 무선 송신부와 무선 수신부를 구비하는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에서, 변조 신호는 연속파 변조 기법에 의해 유사하게 발생되고 연속 송신된다. 무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고 무선 송수신기에 송신되는 변조 신호는 전송 채널상에 연속 송신된다.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송신 및 수신되는 변조 신호들이 연속 전송될 때, 두 전송 채널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와 양방향 통신을 하도륵 할당되어야만 한다.
상기 언급된 대로, 무선 통신 시스템상으로 통신하기 위한 셀룰러 전화와 같은 무선 송수신기의 이용은 최근 몇년 동안 급속 증가되었다. 때때로, 그러한 사용을 위해 할당된 현존 주파수 대역은 전부 사용되어,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용에 있어 증가를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대로, 개선된 구조는 그러한 이용을 위해 할당된 현존 주파수 대역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특히, 변조 구조는 정보 신호를 인코드 및 변조하도록 개선됨으로써,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 채널상으로 전송되도륵 변조 신호를 허용한다. 그러한 개별적인 버스트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구조인 2개 이상의 무선 송신기는 무선 송신기 각각에 의해 발생된 변조 신호가 시간에 있어 겹치지 않는한, 변조 신호를 단일 전송 채널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런 방식에서, 현존하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전송 용량은 증가될 수도 있다.
제1도의 구조 설명을 언급하면, 종래의 연속파 변조 기법(및, 여기서, 주파수 변조 기법)에 의해 발생된 변조 신호와,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변조 신호간의 관계가 도시된다. 제1도의 상부는 직렬로 위치된 블럭(100,106,112)을 나타낸다. 블럭(100,106,112)내의 그림은 종래의 연속파 변조기법, 여기서는 주파수 변조 기법에 의해 발생된 파형이다. 그러한 변조 신호를 발생, 송신하도륵 만들어진 종래의 무선 송신기는 전송 동안 연속으로 변조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단일 전송 채널은 변조 신호의 연속적인 전송을 허용하도록 할당되어야 한다(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도록, 종래의 연속파 변조 기법에 의해 발생된 변조 신호가 유사하게 도시될 수도 있음).
제1도는 3대 1의 압축비를 도시한 것인데, 블럭(100,106,112)내에 그려진 파형의 정보 내용은 블럭부(150A,156A,162A)에 각각 사상된다. 인코드된, 블럭(100,106,112)내에 그려진 파형의 정보 내용이 블럭부(150A,156A,162A)내에 그려진 파형으로 표현된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될 수도 있는 바, 블럭부(150A,156A,162A)내에 그려진 파형은 개별적인 버스트로 변조 신호의 전송을 나타낸다.
블럭부(150B,150C,156B,156C,162B,162C)내에는 파형이 없는데, 그러한 블럭부는 그동안 다른 신호들이 개별적인 버스트로 전송될 수도 있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무선 송신기가 변조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할 때, 타이밍과 동기 조건이 중요하다. 단일 전송 채널상으로 전송된 변조 신호는 상호 간섭없이 동시에 전송될리가 없다. 또한 변조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는 정보가 제공되어, 개별적인 버스트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수신기에 의해 복조되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무시되는 것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정보 신호를 압축형으로 인코드할 때, 동기 정보는 인코드된 신호에 유입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동기 정보는 예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별적인 버스트로 무선 송신기에 의해 발생, 송신된 변조 신호는 수신기에 수신되고, 개별적인 버스트로 송신된 하나 이상의 변조 신호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기 정보는 동기 및 타이밍 용도로 무선 수신기에 의해 활용된다.
제2도의 구조 표현에 있어서, 때로는 슬롯으로 언급되고 여기서, 일반직으로 참조 번호(200)로 언급되는, 단일 개별적 버스트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 동안 송신되는 변조 신호의 포맷이 도시된다. 슬룻(200)은 제1도의 블럭부(150A,156A,162A)에 의해 나타낸 시간 간격 동안 발생된 변조 신호를 나타낸다. 도시된 대로, 슬롯(200)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06)와 정보부(212)로 구성된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06)는 슬롯(200)의 좌측에 표시되어 슬룻의 앞단에서 전형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06)는 신호가 송신되는 특정 시스템의 시스템 기준에 따른 다른 데이타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롯(200)은 송신된 신호의 초기 신호부를 형성하는(제1도의 블럭부(150A)에 위치된 변조 신호부와 같은) 변조 신호부로 구성될 때, 데이타 시퀀스부(206)의 특성 및 길이는 송신된 신호의 또다른 신호부를 형성하는(제1도의 블럭부(156A 혹은 162A)에 위치된 변조 신호부와 같은) 슬롯의 특성 및 길이와 다를 수도 있다.
제3A도는 변조 신호부로 구성되는, 여기서, 참조 번호(250)로 언급된 슬롯의 포맷으로 제2도와 유사한 구조도이다. 그런데, 슬롯(250)은 여기서 일본 디지탈 셀룰러 표준, RCR STD-27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 특정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같은 특정 통신 시스템의 포맷을 도시한 것이다 슬롯(250)은 시작 블럭(254),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56A,256B,256C,256D) 및, 정보부(262A,262B)로 구성된다 시작 블럭(254)은 흔히 램프 주기(R로 표시)로서 언급되는데, 그동안 변조 신호부(250)의 정보 내용은 무시된다. 선정된 테이타 시퀀스부(256A)는 프리앰블 세그먼트(SF로 표시)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56B)는 동기 워드 세그먼트(SW로 표시)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56C)는 색상 코드 세그먼트(CC로 표시)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256D)는 스틸 플래그(steal plag) 세그먼트(P로 표시)를 나타낸다. 또 선정된 데이타 세그먼트부(256E)는 저속 관련 제어 채널(slow associated control channel) 세그먼트(SAACH로 표시)를 나타낸다. 정보부 세그먼트(262A,262B)는 변조 신호부(250)의 일부를 형성하도륵 인코드된 정보 신호의 정보 내용을 포함한다. 정보부 세그먼트(262A,262B)는 제2도의 변조 신호부(200)의 정보부(212)에 대응한다.
제3b도는 변조 신호부로 구성되는, 여기서 참조 번호(300)로 언급된 슬롯의 포맷으로 제3a도와 유사한 구조도이다. 제3b도외 슬롯(300)은 또다른 특정 통신 시스템의 포맷을 도시한 것으로, 즉, 일본 디지탈 무선 표준 RCR STD-28에서 더욱 상세히 언급된 개인용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디지탈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된 변조 신호 슬룻의 포맷이다.
변조 신호부(300)는 시작 블럭(304),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 세그먼트(306A,306B,306C) 및, 정보부 세그먼트(312)로 구성되도록 도시된다.
제 3a도의 변조 신호부(250)의 시작 주기(254)와 유사한 시작 주기(304)는 램프 주기(R로 표시)로 언급되는데, 그동안 변조 신호부(300)의 정보 내용은 무시된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 세그먼트(306A)는 스타트 심볼(start symbol) 세그먼트(SS로 표시)로 표시된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306B)는 프리앰블 세그먼트(P로 표시)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306C)는 동기 워드 세그먼트(SW로 표시)를 나타낸다. 정보부 세그먼트(312)는 슬롯(300)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인코드된 일부 정보 신호의 정보 내용을 포함한다.
슬롯(250,300)은 제2도의 더욱 일반화된 슬롯(200)이 취할 수도 있는 포맷의 두가지 구체적인 예이다. 중요한 것은 일부 슬롯에 구성되는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의 존재이다. 예로서, 슬롯(250,300)의 프리앰블 세그먼트(256A,306B)는 각각 테이타 시퀀스 1001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득 제어 회로는 프리앰블 세그먼트(256A,306B)로 구성된 데이타 시퀀스1001의 예와 같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의 존재를 활용하여, 무선 송신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증폭 회로의 소정의 증폭 레벨을 빨리 결정한다. 구체적인 선정된 데이타 시스템부는 특정 통신 시스템의 구체적인 포맷에 따라 변할 수도 있는데, 실제 모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개별적인 버스트 동안 송신된 슬룻중의 최소한 하나의 일부를 형성하는 선정된 데이타의 일부 형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변조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를 갖는다.
제4도는 제2도의 슬롯(200)과 같은, 변조 신호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롯의 파형의 인벨로프의 그래픽도 이다.
세로축(350)은 와트 혹은 볼트와 같은 전력과 관계된 양으로 나타내고, 가로축(356)은 예를 들어 초와 같은 시간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제 2도의 슬롯(200)과 같은, 슬롯을 나타내는 인벨로프(362)는 시간 함수로서 도시된 전력과 관계된 양을 도시한 것이다.
인벨로프(362)는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와 정보부를 갖는 슬롯을 형성하는 π/4-DQPSK 변조 신호를 나타낸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 여기서, π/4-DQPSK 변조 체계에 따라 변조, 인코드된 시퀀스 1001은 인벨로프의 좌측에 형성된다. 그러한 일부 변조 신호부와 그 인벨로프가 선정된, 즉, 확정적이므로, 그런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그런 데이타 시퀀스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제5도의 그래픽도는 제4도와 유사하지만, 가로 좌표축 눈금이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좌표축(400)은 전력에 관련된 값으로 눈금이 주어지고, 가로 좌표축(406)은 시간에 관련된 값으로 다시 눈금지어진다. 인벨로프(412)는 제4도의 인벨로프(362)의 확대이다. 특히, 인벨로프(412)는 제4도의 인벨로프(362)의 데이타 시퀀스부를 나타낸다.
데이타 시퀀스부가 확정적이므로, 그런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되는 슬롯으로 형성된 변조 신호는 전송에 앞서 무선 송신기의 증폭 회로에 의해 증폭된다. 무선 송신 회로의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증폭, 변조된 신호는 또한 제4도 및 제5도의 그래픽 표현으로 도시된 파형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런 신호의 전력 관련 특성에 대한 특정은 다이오드 전력 검출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에 의해 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제 증폭 변조된 신호의 전력 관련 특성은 소정의 증폭 변조 신호의 전력 관련 특성이 확정될 때, 그 소정의 증폭 변조 신호의 전력 관련 특성과 비교될 수도 있다
전력 관련 특성은 증폭, 변조된 신호의 임의의 인벨로프 특성일 수도 있다. 시간에 대해, 증폭 변조된 신호의 인벨로프는 단순히 증폭 변조된 신호의 평균 전력일 수도 있다. 슬롯의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가 확정적이기 때문에, 변조 신호부의 그러한 부분의 인벨로프는 유사하게 확정적이다. 따라서, 그런 인벨로프의 피크 대 평균(peak-to-average) 전력비는 결정될 수도 있고, 실제 증폭 변조된 신호의 그런 피크 대 평균 전력비는 소정의 증폭 변조된 신호의 피크 대 평균 전력비와 비교될 수도 있다.
아주 간단하게,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로 구성되는 슬롯부의 인벨로프는 확정적이기 때문에, 상호 관계가 단순히 실제, 증폭 변조된 신호의 피크 전력을 검출함으로써, 실제의 변조 신호 레벨과 소정의 변조 신호 레벨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한 상호 관계에 응답하여, 증폭 회로의 이득은 소정 신호 레벨의 증폭, 변조된 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변조된 신호의 증폭을 일으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제6도는 제4도와 유사한 그래픽도인데, 여기서, 세로 좌표축상의 밀리와트로 눈금지어진 순시 전력 레벨은 가로 좌표축(456)을 따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된다. 축(478,456)으로 형성된 축 시스템에 대해 도시된 인벨로프(462)는 소정 신호 레벨의 선정된 테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슬롯부를 나타낸다. 점선으로 표시된 인벨로프(466)는 실제 증폭 변조된 신호의 선정된 데이타 시권스로 구성되는 슬롯부의 인벨로프를 나타낸다. 인벨로프(462)의 피크 전력 레벨은 세로 좌표측(478)상에 점(472)으로 도시되고, 유사하게, 인벨로프(466)의 피크 전력 레벨은 세로 좌표축(478)상에 점(450)으로 도시된다. 인벨로프(462)와 (466)의 실제의 피크 전력 레벨과 소정의 피크 전력 레벨은 각각 상호 관계될 수도 있다. 그런 상호 관계에 응하여, 무선 송신기의 일부를 형성하는 증폭 회로의 이득 특성은 소정의 신호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 레벨이 되도록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발생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제6도의 그래픽은 소정의 증폭 변조된 신호 보다 큰 전력 레벨인 실제 증폭 변조된 신호의 예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및 소정의 피크 전력 레벨의 상호 관계에 응답하여, 무선 송신기 회로의 증폭 회로의 이득은 낮아질 수도 있다.
제7도의 기능 블럭도를 언급하면, 본 발명의 제1양호한 실시예인, 참조 번호(500)로 언급된 이득 제어회로는 기능 블럭형으로 도시된다 이득 제어 회로(500)는 변조 신호에 대한 제1슬롯의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의 신호 레벨을 비교하고, 그 신호 레벨을 가변 이득 증폭기로 그 신호 레벨을 증폭한 후, 소정의 증폭 레벨로 증폭된 슬롯의 그런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의 신호 레벨을 비교한다.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는 공지된 값이므로, 즉, 실제 발생된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를 포함하는 슬롯의 변조 신호부의 파형에 대한 신호 레벨은, 소정 레벨이 되도록 증폭된 슬롯의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신호 레벨과 비교될 수도 있다 그러한 비교의 결과로서,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은 제1슬롯의 전송 동안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라인(506)상에 발생된 변조 신호(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된 슬롯으로 형성됨)는 가변 이득 증폭기(512)에 인가된다. 가변 이득 증폭기(512)는 인가된 변조 신호를 증폭하고, 라인(518)상에 증폭, 변조된 신호를 발생한다
신호 레벨 검출기(546)는 라인(518)상에 발생된 증폭, 변조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결합되고, 라인(518)상에 발생된 증폭 변조된 신호의 전력 관련 레벨 검출에 응답하여 라인(550)상에 신호를 발생한다. 라인(550)상에 발생된 신호는 인벨로프 특성 검출기(562)에 인가된다. 검출기(562)는 라인(550)상으로 인가된 신호의 신호 레벨에 응답하여 전력 관련 특성을 검출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검출기(562)는 변조 신호의 제 1슬롯에 대한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의 피크 전력 레벨을 검출한다. 인벨로프 특성 검출기(562)는 그러한 검출된 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라인(566)상으로 발생한다.
저장 소자(570)는 소정의 증폭 레벨로 증폭된 슬롯의 소정 전력 관련 특성 값을 저장한다. 그 특성은 검출기(562)에 의해 검출된 특성과 일치한다. 라인(574)상으로 발생된 그러한 값을 나타내는 신호는 비교기(578)에 인가된다. 인벨로프 특성 검출기(562)에 의해 라인(566)상에 발생된 신호는 역시 비교기(578)에 인가된다.
비교기(578)는 라인(566,574)상에 인가된 신호의 값을 비교하며, 그 비교에 따른 비교 신호를 라인(582)상에 발생한다. 라인(582)은 라인(590)상에 신호를 발생하는 이득 조절기(586)에 결합되고, 라인(590)은 가변 이득 증폭기 (512)에 인가된다.
가변 이득 증폭기(512)에 인가된 라인(590)상의 신호는 이득 특성을 변경한다. 이득 조절기(586)에 의해 발생된 라인(590)상의 신호는 증폭기(512)의 이득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륵 하거나, 증가 흑은 감소시킨다.
타이머 소자(594)는 제7도의 기능 블럭도에서 또한 설명되는데, 신호 레벨 검출기(546), 인벨로프 특성 검출기(562), 저장 소자(570) 및 이득 조절기(586)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타이머(594)는 검출기(546,562)의 동작을 일으키는 신호를 밭생하고, 저장 소자(570)가 라인(574)상으로 신호를 발생하도륵 야기하며, 이때, 변조 신호부의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부는 라인(506)상으로 발생된 후, 라인(518)상으로 검출기(546,562), 저장 소자(570) 및, 이득 조절기(586)의 동작을 야기하게 되며, 이때도, 라인(506)상으로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는 발생된다.
제8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참조 번호(600)로 언급된, 이득 제어 회로가 도시된다. 또,무선 송신기의 변조 회로에 의해 발생되고, 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된 슬롯으로 형성된 변조 신호는 가변이득 증폭 회로에 인가된다. 여기서, 변조 신호는 라인(606)상으로 발생되어, 가변 이득 증폭기(612)에 인가 된다.
가변 이득 증폭기(612)는 라인(618)상으로 증폭, 변조된 신호를 발생하며, 이 신호는 혼합 회로(622)에 인가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업-믹싱(up-mixing) 발진 주파수의 발진 신호는 혼합 회로(622)에 또한 공급된다. 혼합 회로(622)는 전력 증폭기(630)에 인가되는 업-믹싱된 신호를 라인(626)상으로 발생한다. 전력 증폭기(630)는 인가된 신호를 증폭한다. 전력 증폭기(630)는 방향성 결합기(638)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634)상으로 발생한다.
라인(642)은 제1측에서 방향성 결합기(638)의 제 1라인에 결합되고, 제 2측에서 신호 레벨 검출기, 즉, 다이오드 전력 검출기(646)에 결합된다. 다이오드(646)는 라인(634)상에 발생된 신호외 전력 레벨을 검출하고, 라인(650)상에 그러한 검출된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라인(650)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654)에 결합되는데, 이 변환기(654)는 프로세서(662)에 인가되는 디지탈 신호를 라인(658)상으로 발생한다. 프로세서(662)는 제7도의 이득 제어 회로(500)내의 인벨로프 특성 검출기(562), 비교기(578) 및, 이득 조절기(586)의 기능을 수행하도륵 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기억 소자(670)는 소정의 전력 관련 특성, 다시 말하자면, 상기 언급된 피크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하고, 라인(674)을 경유하여 프로세서(662)에 결합된다. 프로세서(662)는 기억 소자(670)에 의해 저장된 값으로, 다이오드(646)에 의해 측정된 실제 측정 전력 관련 특성의 레벨을 결정한다. 프로세서(662)는 또한 두 값을 서로 관련시켜서, 그런한 상호 관련에 응답하는 이득 조절 신호를 라인(690)상으로 발생한다. 라인(690)상에 발생된 이득 조절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94)에 인가되며, 아날로그 신호는 라인(698)상에 발생된다. 라인(698)은 가변 이득 증폭기(612)에 결합되어, 라인(698)상으로 인가된 신호의 신호레벨에 응답하여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변경한다.
타이머(704)는 제8도의 블럭도에서 또한 도시되며, 프로세서(662)에 결합되어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필수 알고리즘의 동작을 야기하는데, 이때, 라인(606)상에 발생된 변조 신호(그리고, 이후에는 라인(634)상에 발생된 신호)를 형성하는 슬롯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된다. 이득 제어 회로(600)가 가변 이득 증폭기(612)의 소정 이득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의 피크 전력 레벨 검출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득 제어 회로(600)는 증폭기(612)의 소정 이득 특성을 상당히 빨리 결정할 수 있다.
제9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참조 번호(780)로 언급된 무선 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전화기(780)는 수신부 및 송신부를 갖는 무선 송수신기이며, 여기서, 송신부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이득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전화기(780)의 무선 수신부는 송신된 변조 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784)는 송신된 변조 신호를 수신한다. 안테나(784)는 수신된 신호를 전기적 형태로 전환하고, 라인(788)상으로 수신된 신호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라인(788)은 라인(794)상으로 필터링된 신호를 발생하는 필터(790)에 결합된다. 라인(794)은 다운 혼합기(down-mixer)(798)의 제 1입력에 결합되어 국부 발진기(806)에 의해 발생된 발진 신호를 다운 혼합기(798)에 공급한다.
다운-혼합기(798)는 필터(812)에 인가된 다운-믹싱된 신호를 라인(810)상으로 발생한다. 필터(812)는 제 2의 다운-혼합기(818)의 제 1입력에 인가된 필터링된 신호를 라인(814)상으로 발생하여, 국부 발진기(826)에 의해 발생된 발진 신호를 다운-혼합기(828)에 공급한다.
다운-혼합기(818)는 필터(830)에 인가된 제2의 다운-믹싱된 신호를 라인(828)상으로 발생한다. 필터(830)는 증폭기(834)에 인가된 필터링된 신호를 라인(832)상으로 발생한다. 증폭기(834)는 복조기(838)에 인가된 증폭 신호를 라인(836)상으로 발생한다.
복조기(838)는 디코더(842)에 인가된 복조 신호를 라인(840)으로 발생한다. 디코더(842)는 트랜스듀서, 즉, 스퍼커(848)에 인가된 디코드된 신호를 라인(846)상으로 발생한다.
발진기(806,826)에 의해 밭생된 발진 신호의 발진 주파수는 라인(852)을 경유하여 발진기(850)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기준 발진기(850)와는 공지된 주파수 관계로 유지된다.
무선 전화기(780)의 송신부는 도면의 하단부에 도시된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와 같은 정보 신호는 트랜스듀서, 즉, 마이코로폰(856)에 의해 전기적 형태로 전환되고, 그런 정보 신호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는 라인(860)상으로 발생된다. 라인(860)은 π/4-DQPSK 인코딩 체계와 같은 인코딩 체계에 따라 인가된 정보 신호를 인코드하는 인코더(864)에 결합된다.
인코드(864)는 합산 소자(865)의 입력에 인가된 인코드된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타 시퀀스 발생기(866)는 합산기(865)에 입력으로 또한 인가된 신호를 발생한다. 합산기(865)는 제 2도와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도시된 대로, 슬롯의 포맷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시퀀스로 인가된 신호를 결합한다. 합산 소자(865)는 필터, 즉 평방근 상숭(raised) 코사인(SRRC) 필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868)상으로 밭생한다.
필터(872)는 변조기(880)에 인가되는 필터링된 신호를 라인(876)상으로 발생한다. 변조기(880)는 발진기(888)에 의해 발생된 발진 신호를 라인(884)상으로 역시 수신한다. 변조기(880)는 필터(896)에 인가되는 변조 신호를 라인(892)상으로 발생한다. 필터(896)는 점선으로 블럭화된, 이득 제어 회로(900)에 인가되는 필터링 신호를 라인(898)상으로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이득 제어 회로(900)는 제 8도의 이득 제어 회로(600)와 유사하다.
이득 제어 회로(600)와 유사하게, 이득 제어 회로(900)는 가변 이득 증폭기(912)로 구성되는데, 가변 이득 증폭기(912)는 혼합기(922)에 결합된 신호를 라인(918)상으로 발생한다. 라인(924)은 또한 혼합기(922)에 결합되어, 발진기(925)에 의해 발생된 발진 신호를 혼합기에 공급한다. 혼합기(922)는 전력 증폭기(930)에 인가된 업-믹싱된 신호를 라인(926)상으로 발생한다. 전력 증폭기(930)는 방향성 결합기(938)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934)상으로 발생한다.
라인(942)은 제1측에서 결합기(938)의 라인에 결합되고, 제2측에서 다이오드 피크 검출기(940)에 결합된다.
다이오드 피크 검출기(946)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954)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950)상으로 발생한다. 변환기(952)는 프로세서(962)에 인가되는 디지탈화 신호를 라인(958)상으로 발생한다. 기억 소자(970)는 라인(974)을 경유하여 프로세서(962)에 결합된다.
타이머(976)는 이득 제어 회로(900)의 일부를 형성하며, 프로세서(962)와 데이타 시퀀스 발생기(866)에 결합되어 프로세서내에 구현된 필수 알고리즘의 동작을 일으키는데, 이때, 라인(898)상으로 발생되는 변조신호를 형성하는 슬롯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된다.
프로세서(962)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994)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990)상으로 발생한다. 변환기(994)는 아날로그 신호를 라인(998)상으로 발생하고, 가변 이득 증폭기(912)에 결합되어 이득 특성을 제어 한다.
이득 제어 회로(900)의 동작은 제 8도의 이득 제어 회로의 동작과 유사하며, 따라서, 동작은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9도의 무선 전화기(780)는 또한 방향성 결합기(938)에 결합된 제 1측과, 아이솔레이터(1006)에 결합된 제2축을 갖는 라인(100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아이솔레이터(1006)는 필터(1016)에 인가되는 신호를 라인(1010)상으로 발생하며, 필터(1016)는 필터링된 신호를 라인(1020)상으로 발생한다. 라인(1020)은 인가된 신호의 전송을 허용하는 안테나(784)에 결합된다.
제10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인, 참조 번호(1100)로 언급된 양호한 실시예의 방법에 대한 방법 단계가 리스트된다.
먼저, 블럭(1106)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방법(1100)은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된 증폭 신호의 크기값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블럭(1112)에서 상기 측정 단계 동안 측정된 증폭 신호의 크기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된다.
다음으로, 블럭(1118)에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될 때의 시간이 검출된다.
다음으로, 블럭(1124)에서,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블럭(1130)에서,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은 상기 결정 단계 동안 결정된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에 대한 값에 응답하여 변경된다.
본 발명이 여러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동안,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이용될 수도 있고, 변형예와 첨가예가 본 발명의 동일 기능을 수행하기에 벗어남 없이 상술되는 실시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떤 단일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청구 범위에 따른 폭과 범주내로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가변 이득 증폭 회로를 구비한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로서, 무선 송신기는 정보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발생하며, 최소한 하나의 개별적인 버스트 동안 발생되는 상기 정보 신호는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를 포함하고, 무선 송신기의 송신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변 이득 증폭 회로는 정보 신호가 발생된 개별적인 버스트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증폭된 신호를 형성하도륵 동작하는 이득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형성된 증폭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도륵 결합되어, 상기 증폭 신호의 크기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증폭 신호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형성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형성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 동안 동작하여, 상기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envelope) 특성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 값에 응답하도록 동작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값 측정 수단은 다이오드 피크 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신호의 크기 값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증폭 신호의 순시 전력 관련 값을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련 값을 전압 값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정보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타이머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벨로프 특성을 결정하는 수단은 증폭 신호의 피크 대 평균(peak-to-average) 전력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대 평균 전력비를 결정하는 수단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된 증폭 신호의 피크 전력 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피크 전력 값과 상기 증폭 신호의 소정의 피크 대 평균 전력비와 관련된 피크 전력 값을 서로 관련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관련시키는 수단은 상기 증폭 신호의 소정의 피크 대 편균 전력비와 관련된 피크 전력 값을 저장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소정의 피크 대 평균 전력비의 레벨에 관계가 있는 상기 증폭 신호의 피크 전력 값을 결정하는 수단에 의해 결정되는 피크 전력값의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이득 특성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득 제어 회로.
  10. 정보 신호를 개별적인 버스트로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의 일부를 형성하며 최소한 하나의 개별적인 버스트 동안 발생되는 정보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를 포함하고, 정보 신호가 발생된 개별적인 버스트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버스트로 증폭된 신호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된 증폭 신호의 크기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 동안 측정된 증폭 신호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 이득 증폭 회로에 의해 발생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발생된 증폭 신호가 선정된 데이타 시퀀스로 구성되는 시간 동안 상기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단계 동안 결정된 증폭 신호의 인벨로프 특성의 값에 응답하여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
KR1019930702592A 1991-12-30 1992-10-15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KR960008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14,570 US5222104A (en) 1991-12-30 1991-12-30 Gain control circuit for radio transmitter
US814,570 1991-12-30
PCT/US1992/008779 WO1993013613A1 (en) 1991-12-30 1992-10-15 Gain control circuit for radio transm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766A KR930703766A (ko) 1993-11-30
KR960008329B1 true KR960008329B1 (ko) 1996-06-24

Family

ID=2521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592A KR960008329B1 (ko) 1991-12-30 1992-10-15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222104A (ko)
JP (1) JP3101716B2 (ko)
KR (1) KR960008329B1 (ko)
CN (1) CN1030808C (ko)
BR (1) BR9205670A (ko)
CA (1) CA2101328C (ko)
DE (2) DE4294579C2 (ko)
FI (1) FI933674A (ko)
GB (1) GB2267612B (ko)
IT (1) IT1256552B (ko)
MX (1) MX9207653A (ko)
RU (1) RU2122292C1 (ko)
SG (1) SG42977A1 (ko)
UA (1) UA27722C2 (ko)
WO (1) WO19930136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3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532A (en) * 1992-09-11 1994-12-13 Fujitsu Limited π/4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odulator
JP2611673B2 (ja) * 1994-08-08 1997-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信出力制御回路
US5548616A (en) * 1994-09-09 1996-08-20 Nokia Mobile Phones Ltd. Spread spectrum radiotelephone having adaptive transmitter gain control
US5566201A (en) * 1994-09-27 1996-10-15 Nokia Mobile Phones Ltd. Digital AGC for a CDMA radiotelephone
US5722063A (en) * 1994-12-16 1998-02-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receiver immunity to interference
US5638403A (en) * 1995-04-28 1997-06-10 Motorola, Inc. Low-splatter peak-to-average signal reduction with interpolation
US5793797A (en) * 1995-05-09 1998-08-11 Unisys Corporation Data transmisson system with a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based on distorting small amplitude signals
US5748678A (en) * 1995-07-13 1998-05-05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US5982824A (en) * 1995-12-18 1999-11-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AT407682B (de) * 1995-12-21 2001-05-25 Kapsch Ag Zwischenverstärker für eine relaisstation
US5694431A (en) * 1996-01-17 1997-12-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verage power control
US5812544A (en) * 1996-10-03 1998-09-22 Ericsson Inc. Dual mode portable telephone unit
US6173160B1 (en) 1996-11-18 2001-01-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having drift-free pulsed pow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6160838A (en) * 1996-12-13 2000-12-12 Uniden Corporation Spread spectrum transmitter, spread spectrum receiver an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an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spread spectrum receiver
US6006077A (en) * 1997-10-02 1999-12-21 Ericsson Inc. Received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methods and systems
FI107201B (fi) 1998-03-23 2001-06-15 Nokia Networks Oy Tiedonsiirron laadun turvaaminen tietoliikenneverkossa
JP3166705B2 (ja) * 1998-04-16 2001-05-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送信方法
US6259901B1 (en) 1998-07-03 2001-07-10 Mobile Communications Tokyo Inc.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6366619B1 (en) * 1998-08-28 2002-04-02 Sicom, Inc. Constrained-envelope transmitter and method therefor
US6788728B1 (en) * 1999-01-12 2004-09-07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eak-to-average ratio of the reverse link modulator in a CDMA phone system
JP3592980B2 (ja) * 1999-06-29 2004-11-24 株式会社東芝 送信回路及び無線送信装置
US6166598A (en) * 1999-07-22 2000-12-26 Motorola, Inc. Power amplifying circuit with supply adjust to control adjacent and alternate channel power
JP2001044964A (ja) * 1999-07-30 2001-02-16 Sony Corp 放送受信装置
JP3991543B2 (ja) 2000-01-11 2007-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EP1158666A1 (en) * 2000-05-25 2001-11-28 Lucent Technologies Inc.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discrete-time regulation of the output power of a transmission device
US7570709B2 (en) * 2001-03-08 2009-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tomatic transmit power control loop with modulation averaging
EP1253757A1 (en) * 2001-04-23 2002-10-30 Lucent Technologies Inc. Phase shift keying (PSK) modulator capable of reduc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US6819938B2 (en) * 2001-06-26 2004-11-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alib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906792B2 (ja) 2002-01-22 2007-04-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信号受信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3298486A (ja) * 2002-03-29 2003-10-17 Maruko & Co Ltd 無線中継装置
US7809087B2 (en) * 2002-04-26 2010-10-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detection techniques and discrete gain state selection for wireless networking
DE10250612B4 (de) 2002-10-30 2014-01-16 Advanced Micro Devices, Inc. Automatische Leistungspegelsteuerschaltung für ein Sende/Empfangselement
JP3717472B2 (ja) * 2002-11-08 2005-1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CN1305227C (zh) * 2003-05-12 2007-03-1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可检测通讯信号的传输模式的无线通讯装置
JP2007201812A (ja) * 2006-01-26 2007-08-09 Japan Radio Co Ltd 8psk変調方式を用いたgsm端末の瞬時電力波形を測定する測定器及び測定方法
CN101222251B (zh) * 2007-11-30 2011-11-23 深圳国人通信有限公司 单时隙数控衰减的方法和系统
EP2099128A1 (en) * 2008-03-03 2009-09-09 Fundación Cetena Power control system in transmitters
US8660165B2 (en) * 2009-06-11 2014-02-25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pread spectrum signal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223821B2 (en) * 2009-06-25 2012-07-17 Andrew Llc Uplink signal detection in RF repeaters
RU2684510C1 (ru) * 2018-04-16 2019-04-09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Сх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егулировки уси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игналов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823A (en) * 1973-03-28 1975-08-19 Nathan O Sokal Amplifying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modulated carrier signals
US4199723A (en) * 1978-02-24 1980-04-2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atic modulation control apparatus
DE2835751C2 (de) * 1978-08-16 1980-07-03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HF-Leistungsverstärker mit einer Modulationseinrichtung
JPS5937741A (ja) * 1982-08-26 1984-03-01 Nec Corp 自動利得制御回路
JPS5999851A (ja) * 1982-11-29 1984-06-08 Nec Corp 信号制御回路
US4706262A (en) * 1984-03-30 1987-11-10 Nec Corporation FSK or FM burst signal generating apparatus
JPH0630031B2 (ja) * 1986-09-25 1994-04-20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電力制御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34A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정상 동작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1328A1 (en) 1993-07-01
KR930703766A (ko) 1993-11-30
ITRM920863A0 (it) 1992-12-02
FI933674A0 (fi) 1993-08-20
GB2267612A (en) 1993-12-08
CN1030808C (zh) 1996-01-24
WO1993013613A1 (en) 1993-07-08
US5222104A (en) 1993-06-22
CN1074318A (zh) 1993-07-14
BR9205670A (pt) 1994-06-21
MX9207653A (es) 1993-06-01
SG42977A1 (en) 1997-10-17
GB2267612B (en) 1996-03-06
CA2101328C (en) 1999-07-27
UA27722C2 (uk) 2000-10-16
GB9315240D0 (en) 1993-10-13
DE4294579C2 (de) 2001-08-02
RU2122292C1 (ru) 1998-11-20
JPH06505847A (ja) 1994-06-30
FI933674A (fi) 1993-08-20
DE4294579T1 (de) 1997-07-31
IT1256552B (it) 1995-12-07
ITRM920863A1 (it) 1994-06-02
JP3101716B2 (ja) 200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8329B1 (ko) 무선 송신기용 이득 제어 회로
US5187809A (en)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US5287555A (en)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US5193223A (en)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CN100477853C (zh) 基于导频的发射功率控制方法和系统
US597865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cquiring strength information from received signals transmitted b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nd for transmitting a signal thereof
US5548836A (en) Diversity receiver
CA2247890C (en) Hybrid analog/digita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level of a radio transceiver
CA2097587A1 (en) Gsm interference band selection and reduced power handover
US5199045A (en) Communication apparatus
GB2317284A (en) A transceiver in which the gains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controlled in a timed relation to the transmit/receive switching
US7027482B1 (en) Transmitter with means for complementarily scaling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of a D/A converter
AU692648B2 (en) Base station
EP1368917B1 (en) Method for power detection of multicarrier signals and radio transmission unit
JP2000078096A (ja) 連続タイムスロットにおける伝送方法
AU8307691A (en) Dual mode automatic gain control
US7046970B2 (en) System and method of phase modulation control in RF signal generation
US5261119A (en) Signal level measuring system for a radio receiver
US200400712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oadband multi-carrier base station
JP3253419B2 (ja) 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JP2746658B2 (ja) アンテナ選択ダイバーシティー無線機
GB2349522A (en) Transmit power level control in a mobile telephone
JP38730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11163779A (ja) 無線装置
US20030129947A1 (e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rate vary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