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47Y1 - 새시(sash) - Google Patents

새시(s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47Y1
KR960007847Y1 KR92020972U KR920020972U KR960007847Y1 KR 960007847 Y1 KR960007847 Y1 KR 960007847Y1 KR 92020972 U KR92020972 U KR 92020972U KR 920020972 U KR920020972 U KR 920020972U KR 960007847 Y1 KR960007847 Y1 KR 960007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packing
rail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250U (ko
Inventor
권기팔
Original Assignee
권기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팔 filed Critical 권기팔
Priority to KR92020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47Y1/ko
Publication of KR940010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새시(SASH)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새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새시 단면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종래 고안을 비교하기 위한 창문틀의 설치상태의 단면도로서,
제4도와 제5도는 창문틀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제6도와 제7도는 창문틀의 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판2, 3 : 내,외측레일
4 : 하부틀5 : 부착판
6, 7 : 내,외측칸막이8 : 중간칸막이
9a, b, c, d : 패킹레일10 : 수용레일
11 : 새시12 : 방풍창문
16 : 패킹18a, 18b : 내,외측창문
본 고안은 창문틀의 구조에 있어 하부틀을 제외한 좌,우측틀과 상부틀을 구성하는 새시(Sash)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창문틀을 구성하는 좌,우측틀 및 상부틀을 동일 구조로 압출 성형하되 그 틀체를 구성하는 내,외측 칸막이의 내측상면에 융털상의 방풍패킹을 착설할 수 있는 패킹레일과, 또 내,외측 칸막이의 중간부에 위치한 중간칸막이의 상단 양측에 방풍패킹을 착설할 수 있는 패킹레일을 대설시키는 구성으로 두짝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된 창문을 보다 기밀하게 닫히도록 하여 창문의 방풍(防風)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레일의 형성으로 인해 종래의 것보다 폭이 넓어진(길어진) 내,외측칸막이와 중간칸막이를 그들 단부에 걸쳐 길게 형성된 각각의 패킹레일이 보강리브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서 각 칸막이들이 종래의 칸막이보다 폭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각 칸막이들이 부착판체에서 길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창문의 수용폭이 크므로서 방풍효과의 증대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알루미늄제 창문틀로된 창문의 창문골격이 약간 틀어진 경우에도 각 칸막이사이의 내,외측홈이 창문골격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으므로 패킹레일에 삽설된 방풍패킹이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좌,우측틀과 상부틀의 외측칸막이에 방풍창문의 수용레일을 일체로 압출 성형하되 그 수용레일이 방풍창문을 수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방풍창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설치된 방풍창문이 수용레일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에 본 고안의 새시를 설치하였을 경우 방풍창문을 열고 닫을때 방풍창문이 창문틀에서 이탈되어 떨어지는 위험한 일은 절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각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종래 고안처럼 좌,우측틀과 상부틀이 별도의 구조로 구성하고 않고 좌,우측틀과 상부틀을 동일구조로 구성하는 수단으로 새시의 압출금형을 단일화하여 새시의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안출한 것이다.
종래의 알루미늄제 창문틀구조는 제5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틀과 하부틀 및 좌,우측틀이 각기 다른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창문틀중 상부틀(30)은 부착판(31)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에는 한쌍의 앵커편(32)을, 하측에는 내,외측칸막이(33)(34)와 중간칸막이(35)를 형성시켰는데 여기서 각각의 칸막이에 있어 내측 칸막이(33)는 외측 및 중간칸막이(34)(35)보다 폭을 크게 구성하고 그 반대로 내,외측창문은 조금 작게 구성하여 내,외측창문(36)(37)을 창문틀의 외측으로 달고 떼어내기 용이하게 구성하였으며, 하부틀(38)에는 레일판(39)상에 두개의 레일(40)(41)을 형성하고 내측에는 이탈방지판(4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좌,우측틀(43)(44)에는 창문을 수용하는 요홈(45)(46)과 창문을 받아주는 돌출면(47)(48)을 상호 반대적으로 형성하고 이들 요홈과 돌출면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49)에 패킹(52)(53)이 삽설되는 패킹레일(50)(51)을 형성하였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고안의 창문틀은 그 상부틀(30)의 내,외측안내홈(54)(55)이나 좌,우측틀(43)(44)의 요홈(45)(46) 각각의 깊이가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측창문(36)(37)의 수용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태가 되는데, 알루미늄제 창문골격은 통상 나사못으로 조립되므로서 창문의 설치후 개폐작동등에 따른 작동에 의하여 나사못이 헐거워지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창문골격이 약간 뒤틀어지는 현상에 의해 창문을 닫았을 경우 창문골격의 선단부(닫히는 부분)가 좌,우측틀(43)(44)의 요홈(45)(46)에 밀접되지 않고 들뜨는 현상이 나타나 방풍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4짝으로 된 창문의 경우에는 전술의 지적현상은 물론 가운데 위치하는 2짝의 창문이 서로 떨어진 상태로 닫히게 되어 방풍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상부틀(31)의 경우 중간칸막이(35)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 안내홈(54)(55)에 삽입되는 창문의 상부골격이 각 칸막이에서 어느정도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야만 개폐작동의 원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기밀성이 떨어져 방풍의 효과를 피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창문틀은 방풍창문(56)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레일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그 레일중의 하나인 받침레일(57)은 나사못(59)를 이용하여 하부틀(38)에 부착시키고, 다른 하나인 수용레일(58)은 상부틀(30)에만 나사못(59)으로 부착시켜 왔었는바, 이 경우 방풍창문(56) 자체는 양측 즉, 좌,우측틀(43)(44)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방풍창문을 좌,우측틀쪽으로 세게 닫게 될 경우 방풍창문 자체가 창문틀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게 되어 고층 아파트에 있어서는 예기치 않은 큰 사고로 번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결함이 있었으며, 또한 받침레일과 수용레일이 나사못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착력이 강고하지 못하여 방풍레일의 개폐작동에 따른 진동과 그 무게에 의하여 받침레일(57) 또는 수용레일(58)을 부착시키고 있던 나사못(59)이 헐거워져 받침레일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방풍창문을 이탈시키게 될 경우 이 또한 위험한 사고를 일으키게 될 결함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사항을 일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창문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좌,우측틀에 방풍창문을 수용하는 수용레일이 일체로 형성되게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며, 또 창문을 안내 내지 수용하는 내,외측 칸막이와 중간칸막이를 종래것 보가 폭을 크게하면서 융털상의 방풍패킹이 삽설되는 패킹레일을 일체로 형성시켜 주는 구성으로 창문이 부드럽게 개폐되게 하는 한편 방풍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부틀 및 좌,우측틀에 일체로 형성시킨 방풍창문의 수용레일이 방풍레일의 안내는 물론 이탈되는 사례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판(1)상에 내,외측레일(2)(3)이 있는 하부틀(4)과, 창문의 상부 골격을 안내하는 안내홈 또는 선단 골격을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되게 부착판(5)상에 내,외측칸막이(6)(7)와 중간칸막이(8)를 형성시킨 새시로 창문틀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의 내,외측칸막이(6)(7)의 내단부와 중간칸막이(8) 단부 양측에 패킹레일(9a)(9b)(9c)(9d)이 형성되고 외측칸막이(7) 외측에 방풍창문(12)의 수용레일(10)을 일체로 압출 성형한 새시(11)로 창문틀의 상부틀(11a)과 좌,우측틀(11b)(11c)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내,외측 및 중간칸막이의 폭 크기를 종래 것에 비하여 패킹레일의 폭만큼 크게 형성하여 창문수용홈(13a)(13b)이 창문틀의 골격을 충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4,15는 앵커판이며, 16은 융털상의 패킹이고, 17은 방풍창문의 받침레일이며, 18a,18b는 내,외측창문이고, 19는 창문틀의 설치되는 구조물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창문틀을 구성하는 새시(11)를 압출 성형함에 있어 부착판(5)상에 형성되는 내,외측칸막이(6)(7)에는 내측 일측에만 패킹레일(9a)(9b)이 돌설되고 중간칸막이(8)의 단부에는 양측으로 패킹레일(9c)(9d)이 성형함과 동시 외측칸막이(7)의 외면에 방풍창문(12)을 안내 또는 수용하는 수용레일(10)이 일체로 형성되게 압출 성형하여 창문틀의 상부틀(11a)과 좌,우측틀(11b)(11c)을 구성하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상부틀과 좌,우측틀의 새시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두벌의 압출금형이 필요한데 비해 한벌의 금형만으로도 상부및 좌,우측틀을 성형할 수 있어 새시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새시(11)는 창문 또는 베란다의 규격에 맞추어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조립설치되는 것이며(제1도 참조),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새시(11)가 상부틀(11a)을 구성할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틀(4)의 내,외측레일(2)(3)상에 안착된 내,외측창문(18a)(18b)의 상부가 창문수용홈(13a)(13b)에 삽입되는데, 창문수용홈(13a)(13b)의 깊이는 패킹레일에 의하여 그만큼 깊은 상태이므로 창문의 설치상태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패킹레일(9a)(9b)(9c)(9d)에 삽착된 융털상의 패킹(16)들이 창문의 상부를 밀폐하고 있으므로서 방풍효과가 종래의 상부틀(제5도 참조)보다 뛰어나며, 또한 상부틀을 구성하고 있는 각 칸막이들은 각각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패킹레일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되어 있으므로 창문설치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방풍창문(12)을 안내하고 있는 수용레일(10)이 상부틀(11a)의 외측칸막이(7)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서 방풍창문의 개폐작동등에 의한 진동에도 아무런 변화없이 방풍창문을 수용하고 있게 되어 방풍창문의 설치에도 안전성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새시(11)를 창문틀의 좌,우측틀(11b)(11c)로 구성한 경우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측창문(18a)(18b)의 선단부들이 창문수용홈(13a)(13b) 속으로 깊이 들어감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내,외측면이 패킹(16)에 접하게 되어 내,외측창문들의 선단부는 이중으로 차단된 상태가 되어 방풍효과가 확실해지는 것이며, 또 외측칸막이(7)에 일체로 형성된 수용레일(10)이 방풍창문(12)이 외측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하므로서 종래의 창문틀(제7도의 화살표부분 참조)의 경우와 같이 방풍창문(12)이 외측으로 벗어나 창문틀에서 이탈되어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유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창문틀을 구성하는 상부틀과 좌,우측틀을 동일한 구조의 새시로 구성하므로 그 창문틀의 조립이 간편하며, 내,외측칸막이와 중간칸막이의 단부 내측및 양측에 융털상의 패킹을 삽설할 수 있는 패킹레일을 형성하여 창문의 양면을 패킹으로 붙잡아 주도록 하므로서 창문의 상부골격이 상부틀을 구성하는 새시의 각 칸막이에 접하지 않게 되어 창문을 열고 닫을때 금속의 마찰음의 발생없이 부드럽게 개폐작동 되게 하는 효과와 함께 각각의 패킹레일이 각 칸막이를 보강하고 있으므로 새시자체의 강도가 우수해 지는 것이며, 또한 각 칸막이자체를 패킹레일의 폭만큼 크게 구성하였으므로 상부틀과 좌,우측틀의 창문수용홈이 깊어 창문의 수용폭이 커지므로 해서 창문의 설치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패킹레일의 패킹이 창문의 양면을 기밀하게 붙잡게 하므로서 내,외부공기를 이중으로 차단하는 확실한 방풍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고안의 새시의 또 다른 특징은 외측칸막이에 방풍창문의 수용레일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하부틀의 받침레일과 함께 방풍창문의 상단부를 안내함과 동시에 방풍창문이 창문틀을 이탈하는 사례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고층아파트의 베란다등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도 방풍창문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등 한벌의 새시압출금형으로 압출성형한 새시로서 상부틀과 좌우측틀을 구성할 수 있어 창문틀자체의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 동일 구조로된 새시를 이용하므로서 창문틀의 조립설치에 간편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방풍효과의 증진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정성이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레일판(1)상에, 내,외측레일(2)(3)이 있는 하부틀(4)과, 창문의 상부골격을 안내하는 안내홈과 선단골격을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되게 부착판(5)상에 내,외측칸막이(6)(7)와 중간칸막이(8)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칸막이(6)와 중간칸막이(8) 일측에 패킹레일(9c)(9d)을 형성시킨 새시로 창문틀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측칸막이(7)의 내단부에 패킹레일(9d)을 형성하며, 상기 중간칸막이(8) 단부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패킹레일(9c)(9d)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패킹레일에 부착되는 융털상의 패킹들이 내,외측창문의 좌,우단부와 상단부 양쪽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새시.
KR92020972U 1992-10-29 1992-10-29 새시(sash) KR960007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972U KR960007847Y1 (ko) 1992-10-29 1992-10-29 새시(s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972U KR960007847Y1 (ko) 1992-10-29 1992-10-29 새시(sa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250U KR940010250U (ko) 1994-05-23
KR960007847Y1 true KR960007847Y1 (ko) 1996-09-18

Family

ID=1934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972U KR960007847Y1 (ko) 1992-10-29 1992-10-29 새시(s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250U (ko) 199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716A (en) Building kit for vertical or horizontal sliding windows
US4640048A (en) Window sash assembly
KR101077492B1 (ko) 단열성능과 조립성이 개선된 프로젝트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US4961975A (en) Sealed glass unit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PL181966B1 (pl) Zestaw oscieznicy z rama do drzwi i okien PL PL PL
US4979346A (en) Window and door frame
KR20110009878U (ko) 분할식 창호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960007847Y1 (ko) 새시(sash)
US3802127A (en) Window frame
US4727797A (en) Secondary window ventilators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CA2266834A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KR102464446B1 (ko) 창호 일체형 물받이부를 구비한 창틀 유닛
US5901509A (en) Component for a window frame
US4545148A (en) Weathershield and safety screen for opening windows in buildings
KR200279187Y1 (ko) 새시 프레임 연결구조
KR19990001080U (ko) 창틀 마감재
KR200238204Y1 (ko) 창호용 방풍구
CN215978939U (zh) 组装式轨道
KR200476000Y1 (ko) 레일조립형 창틀 및 그것을 구비한 이중창
CN212317746U (zh) 一种具有抗变形中庭的门窗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JPS587028Y2 (ja) 二重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