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556Y1 -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556Y1
KR960007556Y1 KR2019930012318U KR930012318U KR960007556Y1 KR 960007556 Y1 KR960007556 Y1 KR 960007556Y1 KR 2019930012318 U KR2019930012318 U KR 2019930012318U KR 930012318 U KR930012318 U KR 930012318U KR 960007556 Y1 KR960007556 Y1 KR 960007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unit
fixed
slide
heigh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730U (ko
Inventor
김경종
Original Assignee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엄길용 filed Critical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2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556Y1/ko
Publication of KR950004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 H01J9/2271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by photographic processes
    • H01J9/2272Devic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es, e.g. light ho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01Generalised techniques
    • H01J2209/012Coating
    • H01J2209/015Machin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칼라수상관 노광장치의 요부발췌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종래 칼라수상관 노광장치의 요부발췌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광장치10 : 본체
30 : 높이조절장치40 : 고정다이
41 : 요홈42 : 지지부
43 : 조정구50 : 작동슬라이드부
51 : 작동공52 : 면접부
60 : 고정슬라이드부61 : 나사공
62 : 면접부70 : 받침대
71 : 단턱72 : 보울트
80, 80' : 레일90, 90' : 로울러
91 : 요홈
본 고안은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광장치의 본체 높이를 수평상태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수상관의 제조공정중 형광체가 도포된 판넬내면을 소정의 패턴으로 노광시켜 요구되는 형광면으로 형성하는 노광장치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형광체가 도포된 판넬이 올려지는 면판과 각 렌지의 고정장치, 그리고 그 하부에 설치되어진 광원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주는 높이조절장치로 구성되는 바, 본 고안이 관련된 후자의 높이조절장치로서 종래의 장치는 제3도와 같이 바닥면에 L형상의 레일(50)이 적정폭 및 길이로 고정설치되고, 노광장치(1)의 본체(10) 하부의 각 모서리부마다 레일(50)의 외측벽에 접동되면서 본체(10)가 레일(50)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송로울러(20)가 설치되며, 이와 근접된 위치의 본체(10)에는 지지부(31)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부(31)에 그 외주면에 나사(32)가 형성된 조절부(33)가 상하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에 본체(10)를 임의의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볼로울러(34)를 설치하여서 된 그러한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노광장치의 높이조절수단은 예컨대 관련 노광장치 본체(10)의 어느 한쪽의 다른쪽보다 낮아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등의 경우 상술한 그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본체(10)의 해당부위에 대한 높이조절을 하고자 하는 경우 볼로울러(34)가 설치되어 있는 조절부(33)를 본체(10)의 지지부(31)에 대하여 일측 또는 반대측으로 수회 회전조작하여 목적한 바의 높이조절작업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힘이 많이 들고, 또 구조상 여간한 숙련자가 아니면 한번의 정확한 높이조절을 이루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체 하부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로울러만을 각각 설치하여 받침대 상부에 설치된 레일위를 이동가능토록 하는 한편, 이 받침대의 하부에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를 부설하여 레일의 선단 도는 후단을 적정 높이로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노광장치의 노광대를 항시 수평한 상태로 설치사용할 수 있게 하여 노광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칼라 수상관의 노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에 요홈이 형성된 고정다이를 설치하고, 이 고정다이상에는 중앙에 소정크기의 작동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단에 일측으로 소정기울기로 경사진 면접부를 형성 구비한 작동슬라이드부를 설치하고, 이 작동슬라이드 부상에는 상기 작동슬라이드부의 상단 면접부와 대응면접하는 면접부를 하단에 형성 구비한 고정슬라이드부를 결합설치하며, 이 고정슬라이드부의 상면에 받침대를 보울트로 체결 고정설치하되, 이 보울트의 하부가 작동슬라이드부의 작동공을 통해 고정다이의 요홈에까지 이르도록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는 레일을 결합 설치하여 본체 하부에 설치제공된 로울러가 상기 레일상에서 지지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작동슬라이드부의 일측에는 이 작동슬라이드부를 이에 대한 고정 슬라이드부의 높이변화를 가져오는 방향으로 이동조정할 수 있는 조정구를 설치구비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보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30)가 적용된 노광장치(1)의 요부발췌 측면도이고, 제2도는 위 제1도의 정면도로서, 바닥면에 요홈(41)을 가진 고정다이(40)를 설치하고, 이 고정다이(40)상에는 측방으로 나사공(미도시)이 천공된 지지부(42)를 고정 설치하여 이에 조정구(43)를 도시한 양태로 결합설치한다.
상기 고정다이(40)상의 요홈(41)이 형성된 지점에 설치되는 작동슬라이드부(5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인 몸체 상면에 일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면접부(52)를 형성 구비하고, 이 면접부(52) 중앙에서 하방으로는 상기 요홈(41)보다 큰 작동공(51)을 형성 구비하며, 이 작동슬라이드부(50)의 넓은 면적을 지닌 선단면과 근접한 위치에는 지지부(42)를 고정다이(40)상에 설치하여 이에 조정구(43)를 그 단부가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의 선단면에 접하도록 하여 나사결합 설치한다.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상에 결합설치되는 고정슬라이드부(60)는 그 하단에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 상단의 면접부(52)에 면접슬라이드 될 수 있는 면접부(62)를 형성 구비하고, 그 중앙에는 보울트(72)를 위한 나사공(61)이 형성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두 면접부(52)(62)가 면접슬라이드되도록 작동슬라이드부(50)및 고정슬라이드부(60)가 서로 결합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두 슬라이드부 전체의 상면과 하면은 항상 수평을 이루도록 된다.
상기 고정슬라이드부(60)의 상면에는 받침대(70)가 그 하단 양측방의 단턱(71)을 보울트(72)로 고정슬라이드부(60)의 나사공(61)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체결시켜 설치되고, 이때 상기 보울트(72)는 고정슬라이드부(60)를 관통하여 나온 그 하부가 작동슬라이드부(50)의 작동공(51)을 지나 고정부(40)의 요홈(41)에까지 이르도록 설치되어 작동슬라이드부(50)가 조정구(43)의 조작에 따라 이동될 때 그 이동범위가 상기 보울트(72) 및 작동공(51)에 의해 적정범위 이내로 제한된다.
상기 받침대(70)상에 상호 일정폭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두 레일(80)(80')은, 바람직하게는 그 일측 레일(80)은 환봉형상으로 하고, 다른 일측 레일(80')은 평면적인 형상으로 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하여준다.
관련 노광장치 본체(10)의 하부에 설치제공되는 로울러(90)(90')는 상기 두 레일(80)(80')의 형상에 따라, 일측 레일(80)상에 얹혀지는 로울러(90)에 V형 요홈(91)을 형성하여 로울러(90) 및 이를 설치한 본체(10)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다른 레일(80')상에 얹혀지는 로울러(90')는 평면적인 형상으로 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련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1)를 설치사용함에 있어 노광대상 칼라수상관 판넬이 얹혀져서 노광이 행하여지는 본체(1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비수평상태로 설치되어 노광불량이 일어나게 될 경우 상기 본체(10)의 비수평상태의 원인이 되는 쪽의 높이조절장치(30)를 사용하여 이를 간단히 조절교정해줄 수가 있는 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높이조절장치(30)의 조정구(43)를 일측 혹은 반대측으로 회전시키면 이 조정구(43)의 지지부(42)에 대한 결합위치가 달라지면서 조정구(43)의 단부가 작동슬라이드부(50)쪽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조정구(43)의 단부에 선단면이 접설되어 있는 작동슬라이드부(50)가 제1도의 가상선 위치와 같이 전진이동하거나 후퇴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상에 면접부(52)(62)를 통해 접설되어 있는 고정슬라이드부(60)는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의 면접부(52)가 고정슬라이드부(60)의 면접부(62)를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용에 의해 작동슬라이드부(50)에 대한 그 높이가 변화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고정슬라이드부(60)를 고정하고 있는 받침대(70) 및 그 위에 설치지지되어 있는 레일(80) 또는 레일(80')의 고정다이(40)에 대한 높이가 상기 고정슬라이드부(60)의 높이변화에 상응하는 높이로 변화하여 목적한 바의 높이조절작업을 간편, 정확하게 이루어낼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바닥면과 같은 곳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부(42)에 결합설치되어 있는 조정구(43)를 상기와 같이 회전조작하여 목적하는 높이조절작업을 이루어낼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훨씬 더 간편,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상 본체(10)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등에 영향받지 않는 안정된 조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바닥면에 요홈(41)을 가진 고정다이(40)를 설치하고, 이 고정다이(40)상에는 그 상단에 일측으로 경사진 면접부(52)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작동공(51)이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작동슬라이드부(50)를 설치하고, 이 작동슬라이드부(50)상에는 그 하단에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의 면접부(52)에 대응면접하는 경사진 면졉부(52)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슬라이드부(60)를 결합설치하고, 이 고정슬라이드부(60)에는 그 상면에 레일(80)(80')이 설치지지되는 받침대(70)를 이 받침대(70)의 단턱(71)을 보울트(72)로 체결고정하여 설치하되 상기 보울트(72)의 고정슬라이드부(60)를 관통하여 나온 하부가 작동슬라이드부(50)의 작동공(51)을 거쳐 요홈(41)에 이르도록 설치하며,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의 일측에는 지지부(42)를 고정다이(40)상에 설치하여 이에 조정구(43)를 그 단부가 상기 작동슬라이드부(50)에 접하게 하여 결합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KR2019930012318U 1993-07-06 1993-07-06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KR960007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318U KR960007556Y1 (ko) 1993-07-06 1993-07-06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2318U KR960007556Y1 (ko) 1993-07-06 1993-07-06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30U KR950004730U (ko) 1995-02-18
KR960007556Y1 true KR960007556Y1 (ko) 1996-08-30

Family

ID=1935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318U KR960007556Y1 (ko) 1993-07-06 1993-07-06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5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4365B (zh) * 2020-11-10 2022-05-11 上銀科技股份有限公司 推力式制動器及使用其之旋轉工作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30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7594A (en) Device for adjusting and fixedly securing window frames and door cases or the like in wall openings
KR960007556Y1 (ko) 칼라수상관의 노광장치
DE59304108D1 (de) Befestigungselement zur justierbaren Befestigung einer Platte an einem Rahmenelement sowie Wandelement
ATE54863T1 (de)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befestigungsmittels, bestehend aus einer schraube und einer platte.
KR100259882B1 (ko) 용접 고정구의 레벨링 장치
KR940000834Y1 (ko) 마스크 프레임 용접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JPS60258379A (ja) 移動板の取り付け装置
KR950008274Y1 (ko)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910006120Y1 (ko)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79678Y1 (ko) 인쇄용 피에스판 펀칭기의 카메라 위치 조정장치
CN219155956U (zh) 一种冷却皮带机
KR200147962Y1 (ko) 노광장치
JP2629211B2 (ja) 印刷機用スキージホルダ取付装置
JPS5747221A (en) Mounting construction of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KR970005311Y1 (ko) 가열용 지지대
KR880001620Y1 (ko) 횡편기의 캠 승강 조절구
KR910002791Y1 (ko) 블럭성형기의 압형틀 정지장치
KR0175286B1 (ko)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JPS5678052A (en) Electron beam device
JPH05205629A (ja) パネルの位置決め装置及び方法
KR200177286Y1 (ko) 반도체 이온주입장비의 포커스 컵
JPH0514512Y2 (ko)
JPH0719801Y2 (ja) 電子写真式印刷装置用露光ヘッド取付治具
KR100202165B1 (ko) 노광기용 탑플레이트의 지지구조
JP3004535U (ja) バラ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