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286B1 -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286B1
KR0175286B1 KR1019930019858A KR930019858A KR0175286B1 KR 0175286 B1 KR0175286 B1 KR 0175286B1 KR 1019930019858 A KR1019930019858 A KR 1019930019858A KR 930019858 A KR930019858 A KR 930019858A KR 0175286 B1 KR0175286 B1 KR 017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oading chamber
loading
flat mask
vacuu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804A (ko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3001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286B1/ko
Publication of KR95000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플래트마스크를 평활하게 하여주는 레벨링장치에 마스크를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자동투입장치를 구성설치하여 작업환경 및 작업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인바, 이의 구성은 레벨링 장치와 연계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컨베이어 수단과, 이의 일측으로 복수의 마스크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실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마스크를 적정높이 위치하도록 하는 승강부가 마련된 공급수단과, 전술한 적재실 상부에 위치하면서 마스크를 흡착이송하는 진공 패드가 실린더에 의해 수직작동하고, 이 진공패드를 컨베이어수단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이재수단등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투입장치의 요부를 발췌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투입장치의 요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투입장치 10 : 컨베이어수단
11 : 구동모터 20 : 공급수단
21 : 적재실 22 : 받침부
23 : 승강부 24 : 나사축
30 : 이재수단 31 : 진공패드
32 : 실린더 33 : 안내부
60 : 레벨링장치
본 발명은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플래트마스크를 평활하게 하여주는 레벨링(Levelling)장치에 마스크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도우마스크(Shadow Mask)는 색선별 기능을 가지고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입사한 전자빔만을 소망하는 형광체에 충돌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을 가진 얇은 금속판으로서 전술한 새도우마스크를 형성하고자 할 시에는 먼저 플래트마스크를 레벨링장치에 보내어 마스크면을 평활하게 하여야만 새도우마스크 형성 후 발생할 수 있는 새도우마스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플래트마스크 하나하나를 레벨링장치에 계속 투입하도록 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킴은 물론이고, 작업효율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벨링장치에 마스크를 자동으로 투입하도록 한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벨링장치와 연계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컨베이어 수단과, 이의 일측으로 복수의 마스크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실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마스크를 적정높이 위치하도록 하는 승강부가 마련된 공급수단과, 전술한 적재실 상부에 위치하면서 마스크를 흡착이송하는 진공패드가 실린더에 의해 수직작동하고, 이 진공패드를 컨베이어수단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마련된 이재수단등으로 구성되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투입장치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2도는 이에 따른 정면도로써, 플래트마스크(S)을 평활하게 하기 위한 레벨링장치(60)와 연계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수단(10)은 적정높이상에 구동모터(11)에 의해 작동하는 벨트(12)를 설치하여 마스크(S)를 레벨링장치(60)에 규칙적으로 공급한다.
전술한 컨베이어수단(10) 일측으로 설치되는 공급수단(20)은 상부가 개구된 적재실(21)을 적정높이상에 고정설치하고, 이 적재실(21) 하부에 승강부(23)를 설치하여 이와 연계작동하는 복수의 나사축(24)이 균일한 높이로 적재실(21)내에서 상하 작동토록 하는 한편, 이 적재실(21)내에 위치한 나사축(24) 단부에 마스크(S)가 수평으로 올려지도록 판상의 받침부(22)를 마련하여 받침부(22) 위에 차곡차곡 올려진 최상부의 마스크(S)높이를 승강부(23)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그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재실(21) 내부에 위치한 받침부(22) 저면의 네모서리부에 적재실(21) 저면의 축공(미도시)과 슬라이드되도록 축봉을 고정설치하는 한편, 이 받침부(22)와 적재실(21) 저면 사이의 축봉에 스프링을 탄설하여 받침부(22) 상면에 적재되는 마스크(S)의 수가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한다.
컨베이어수단(10)과 공급수단(20) 상부에 설치되는 이재수단(30)은 전술한 적재실(21)내의 마스크(S)를 하나하나 흡착하는 진공패드(31)를 설치하되, 이 진공패드(31)가 수직작동이 가능하도록 실린더(32)를 결합설치하는 한편, 이 진공패드(31)가 일측에 위치한 컨베이어수단(10)의 벨트(12) 상부에까지 이동이 용이하도록 안내부(33)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자동투입장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공급수단(20)의 적재실(21)에 적정량의 플래트마스크(S)를 적재한 후 자동투입장치(1)를 작동시키면 최상부에 위치한 하나의 마스크(S)를 진공흡착한 다음 일정높이 상승함과 동시에 이것이 제1도의 가상선과 같이 안내부(33)를 따라 구동중인 컨베이어수단(10)의 벨트(12)상으로 이동한 후 마스크(S)를 흡착하고 있는 진공패드(31)가 다시 하강하여 진공해제와 함께 마스크(S)를 벨트(12)상에 놓게 되며, 이때 마스크(S)는 벨트(12)를 따라 이송되다가 이와 연결된 레벨링장치(60)로 들어가 마스크(S)를 평활하게 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이 반복되어 적재실(21) 내에 적재된 마스크(S)가 하나씩 줄어들게 되면, 승강부(23)가 작동하여 받침부(22)를 규정된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하므로 진공패드(31)의 마스크(S) 이재를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복수의 마스크(S)를 적재실(21)에 적재하면, 자동투입장치(1)에 의해 마스크(S)가 자동으로 레벨링장치(60)로 공급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작업효율 또한 향상시킨 것이다.

Claims (2)

  1. 레벨링장치(60)에 플래트마스크(S)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자동투입장치(1)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장치(60)와 연계되면서 구동모터(11)에 의해 작동하는 컨베이어수단(10)과, 이의 일측으로 복수의 마스크(S)를 적재하는 적재실(21)이 마련되고, 그 하부에 마스크(S)를 적정높이 위치하도록 하는 승강부(23)가 설치된 공급수단(20)과, 상기 적재실(21) 상부에 위치하면서 하나의 마스크(S)를 흡착하는 진공패드(31)가 수직작동되도록 설치되고, 이 진공패드(31)를 컨베이어수단(10)으로 안내하는 안내부(33)가 마련된 이재수단(30)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실(31) 하부에 승강부(23)를 형성하되, 승강부(23)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복수의 나사축(24)이 적재실(21) 내측으로 수직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이 나사축(24) 상단부에 마스크(S)를 적재하는 받침부(22)를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 장치.
KR1019930019858A 1993-09-27 1993-09-27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KR017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58A KR0175286B1 (ko) 1993-09-27 1993-09-27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58A KR0175286B1 (ko) 1993-09-27 1993-09-27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04A KR950009804A (ko) 1995-04-24
KR0175286B1 true KR0175286B1 (ko) 1999-02-01

Family

ID=1936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858A KR0175286B1 (ko) 1993-09-27 1993-09-27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812B1 (ko) * 2018-11-21 2021-02-10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정질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04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286B1 (ko) 플래트마스크의 자동투입장치
JPH07186362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2526245B1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KR20090089925A (ko) 프레스의 이송테이블 지지구조
KR20200129287A (ko) 샤링기용 클램핑장치
KR0145966B1 (ko) 호이스트이송장치에 설치된 안전가이드
JPH10118879A (ja) テ−ブルシュ−タ−装置
JPS63169242A (ja) 基板矯正保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25528B1 (ko) 트레이공급장치
KR200174663Y1 (ko) 자동 부품 공급장치
KR100535556B1 (ko) 알루미늄-스틸 공용 소재 투입 장치
JP2551722B2 (ja) フランジ・コーナーピース装着装置
CN220975785U (zh) 一种ldi曝光机的横向取料机构
CN218891325U (zh) 一种打标机
CN220326962U (zh) 一种鞋面上料装置
JPH05237572A (ja) プレス装置用ワーク自動送り装置
CN209902110U (zh) 一种带可调料仓的冲床
CN216000762U (zh) 一种小导管打孔机
KR102444105B1 (ko) 아일렛 부착장치
JP3522131B2 (ja) 産業ロボット装置
CN218057123U (zh) 上料装置
CN209902109U (zh) 一种带上料检测装置的冲床
KR20020050558A (ko) 부품 공급 장치
JPS6348578Y2 (ko)
KR100834728B1 (ko) 샤시 자동 투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