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274Y1 -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274Y1
KR950008274Y1 KR2019930003758U KR930003758U KR950008274Y1 KR 950008274 Y1 KR950008274 Y1 KR 950008274Y1 KR 2019930003758 U KR2019930003758 U KR 2019930003758U KR 930003758 U KR930003758 U KR 930003758U KR 950008274 Y1 KR950008274 Y1 KR 950008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screw
head
adjustm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617U (ko
Inventor
임장순
Original Assignee
임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순 filed Critical 임장순
Priority to KR2019930003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274Y1/ko
Publication of KR940023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74Y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요부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펀치홀더
3 : 피복부용 펀치 4 :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
5 : 보울트 6 : 샹크
7 : 회전원판 10 : 큰조절나사
11 : 작은나사 13 : 간격유지링
14 : ㄱ자형 블럭 15 : 작은조절나사
본 고안은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성형다이 위에 올려진 단자소재와 전선을 결착시키고자 하강하는 펀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끝단에는 접속효율을 좋게 하고, 결선을 위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단자를 결착하는바, 근래에는 주로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자동결착기를 사용한다.
이는 프레스기계의 램(RAM)에 상부를 연결하도록 된 성형다이셋트(A)와, 이 성형다이셋트 쪽으로 단자소재(B)를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홈(C)이 마련된 장전테이블(D)과 그 상방의 이송발톱(E)을 가진 이송홀더(F)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때 성형다이셋트(A)에서는 장전테이블(D)의 안내홈(C)으로 도입되어 그 상측의 이송발톱(E)에 의해 공급받은 단자소자(B)와 이 단자소재 위에 얹혀진 전선을 서로 결착하는 일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형다이셋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ㄷ자형 기대(1)의 중앙부에서 프레스 램(RAM)에서 연결되어 상하승강하게 될 펀치홀더(2)로 이루어지며, 이 펀치홀더(2)에는 전방측으로 한쌍의 결착펀치 즉, 피복부용 펀치(3)와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가 보울트(5)로 결합되어 있고, 상측으로는 램에 연결하기 위한 샹크(6)가 나삽되어 있다.
또 이러한 펀치홀더(2)에서는 상기한 펀치(3)(4)의 높낮이를 조절해줄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결착하고자 하는 전선의 굵기가 여러가지 일뿐만 아니라, (제3도 참조) 그때 그때마다 사용하는 단자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를 위한 종래의 펀치높이 조절장치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종래에는 펀치(3)(4)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큰 거리의 조절은 펀치(3)(4)를 포함하고 있는 펀치홀더(2) 전체를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샹크(6)에 끼워진 회전원판(7)과 펀치홀더(2) 사이에 다이얼와셔(8)를 증감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고, 작은 거리의 조절은 상기한 회전원판(7)과 펀치(3)(4)와의 사이에 간격블럭(9)을 개입시켜 조절하였던 것이며, 더 세밀한 미세조절은 상기한 회전원판(7)의 저면에 높이가 조금씩 다른 융기부(7a)를 두어 이를 회전선택하므로서 조절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 ◎ 첫째; 큰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두께가 다른 다수의 다이얼와셔(8)를 준비해야 하고, 작은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역시 높이가 다른 다수의 간격블럭(9)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를 따로따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의 염려가 있으며, ◎ 둘째; 이를 와셔(8) 및 블럭(9)의 치수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만 조절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조절폭이 좁은 문제점이 있고, ◎ 셋째; 높이 조절을 하고자 이들 와셔(8) 및 블럭(9)을 증감하기 위해서는 항상 펀치홀더(2) 전체를 분해했다가 조립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절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느리다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펀치의 높낮이를 조절함에 있어서, 분해조립을 거치지 않고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으면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이를 특징적인 구성은 큰 간격조절을 위해 샹크와 펀치홀더간에 다이얼와셔 대신 별도의 조절나사를 개입시키며, 또 작은 간격조절을 위해 회전원판과 펀치사이에는 다수 블럭대신 ㄱ자형 블럭 및 조절나사를 개입시키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보듯이 ㄷ자형 기대(1)의 중앙에서 상하 승강될 펀치홀더(2)를 준비하되, 상면에 나사구멍(2a)을 마련하고, 이에는 두부(10a)에 고정나사(11') 및 보조구멍(10b)을 가진 큰조절나사(10)를 나삽하여 고정나사(11')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그 위로 회전원판(7)을 끼운 샹크(6)의 나사부(6a)를 나삽하며, 정면측으로는 수직요홈(2b)을 마련해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와, 피복부용 펀치(3)와 마감판(12)을 보울트(5)로서 차례로 고정하되, 상기한 피복부용 펀치(3)의 중간에는 세로 장공(3a)을 천공하여 간격유지링(13)을 개입시킨다.
또한 상기한 회전원판(7)과 이들 펀치(3)(4)의 사이에는 ㄱ자형 블럭(14)과 거기에 수직으로 나삽되면서 두부(15a)에 렌치구멍(15b)을 가지는 작은조절나사(15)를 삽재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작은 조절나사용 고정나사이며, (3a)와 (4a)는 펀치의 성형요홈이고, (2c)는 ㄱ자형 블럭 장착부로서 펀치홀더(2)와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이용해 펀치(3)(4)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자소재(B)의 두께와 전선중 피복부가 벗겨진 와이어 부분의 굵기에 따라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를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샹크(6)의 나사부(6a)가 끼워진 큰조절나사(10)를 돌려 샹크(6)로부터 펀치홀더(2)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두부(10a)의 보조구멍(10b)에 연장을 끼워 적당히 돌려준후 그 두부(10a)에 있는 작은나사(11)로서 그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이 상태는 작업도중 가변시킬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렇게 한 다음에는 전선 피복부의 굵기에 따라 피복부용 펀치(3)를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때는 ㄱ자형 블럭(14)에 수직으로 나삽된 작은조절나사(15)를 회전시켜 그 하단에 접해있는 피복부용 펀치(3)가 눌리도록 한다.
물론, 이때는 그 고정용 보울트(5)를 해지시켜 놓은 상태이어야 하는바, 그 피복부용 펀치(3)의 세로장공(3a)에는 간격유지링(13)이 있기 때문에 약간만 해지시켜도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와는 간섭이 있지 않고 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원판(7)의 저면융기부(7a)에 두부상면이 접해있는 작은조절나사(15)에 의해 피복부용 펀치(3)의 높이가 정해지면, 그 고정나사(16)를 조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또 보울트(5)를 조여 전체 펀치(3)(4)의 높이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램의 승하강에 따라 펀치홀더(2)가 승강작동하므로서 전선에 전원결착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데, 결착작업도중 전원단자의 두께와 전선의 굵기가 다른 새로운 작업을 하고자 할때 또는 그 조절된 상태가 잘못된 것이어서 새로 조절하고자 할때는 종래와 같이 회전원판(7)의 아래에 다이얼와셔를 끼우는 것이 아니라 큰조절나사(10)를 돌려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 및 펀치홀더(2) 전체의 위치를 먼저 바꾸어주고, 또 간격블럭을 끼워주는 것이 아니라, 작은조절나사(15)를 돌려 피복부용 펀치(3)를 간단히 조절하여 줄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조절작업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나사의 피치를 이용해 조절하므로 매우 세밀하고 정확하게 조절하여줄 수 있는 것이어서 실용가치가 큰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성형다이셋트의 ㄷ자형 기대(1) 중앙에서 상·하 승강될 펀치홀더(2)를 준비하되, 상측으로는 두부(10a)에 고정나사(11') 및 보조구멍(10a)을 가진 큰조절나사(10)를 나삽한후, 그 두부위로 회전원판(7)을 끼운 샹크(6)의 나사부(6a)를 나삽하고, 정면측으로는 수직요홈(2b)을 마련한후, 그곳에 와이어 접속부용 펀치(4)와, 피복부용 펀치(3)와, 마감판(12)을 보울트(5)로서 차례로 고정하되, 상기한 피복부용 펀치(3)의 중간에 세로장공(3a)을 천공한후 간격유지링(13)을 개입시키고, 그 위로는 ㄱ자형 블럭(14)과 거기에 수직으로 나삽되면서 두부(15a)에 렌치구멍(15b)을 가진 작은조절나사(15)를 삽설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2019930003758U 1993-03-15 1993-03-15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KR950008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758U KR950008274Y1 (ko) 1993-03-15 1993-03-15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758U KR950008274Y1 (ko) 1993-03-15 1993-03-15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617U KR940023617U (ko) 1994-10-22
KR950008274Y1 true KR950008274Y1 (ko) 1995-10-06

Family

ID=1935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758U KR950008274Y1 (ko) 1993-03-15 1993-03-15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2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98Y1 (ko) * 2016-12-07 2018-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안착지그
KR200486099Y1 (ko) * 2016-11-18 2018-05-1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하이트 조절 볼트를 구비한 단자결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99Y1 (ko) * 2016-11-18 2018-05-1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하이트 조절 볼트를 구비한 단자결착기
KR200486098Y1 (ko) * 2016-12-07 2018-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안착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617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274Y1 (ko) 전원단자 자동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장치
JPS57199523A (en) Bending die holding device
CN113695927A (zh) 一种基于数学模型的智能加工装置
CN210549703U (zh) 一种具有定位作业功能的龙门数控铣床
CN210024289U (zh) 工件托盘
CN212810612U (zh) 猴头型接线夹
CN218195691U (zh) 可调节的水切割治具
CN212682412U (zh) 多工位自动浇注机
CN113560677B (zh) 滚齿机
CN215967560U (zh) 一种机械加工用压紧装置
CN217394442U (zh) 一种型材加工设备的送料升降装置
KR900001651Y1 (ko) 순차이송금형의 캠 벤딩장치
CN212419684U (zh) 一种气动卡盘微调机构
CN215187634U (zh) 电路板印刷出料装置
CN212444033U (zh) 一种带有避位槽的usb产品组装治具
CN219788659U (zh) 一种可等间距切割的切割装置
CN216463256U (zh) 一种非标轴承零件加工用数显铣床
CN2264631Y (zh) 电火花穿孔机进给机构垂直度调节装置
CN218975371U (zh) 一种便于外界导线快速安装的断路器
SU1060291A1 (ru) Штамп дл обрезки обло
KR200159492Y1 (ko) 반도체패키지 어셈블리 공정용 스택 매거진 클램프 블록
KR950001568Y1 (ko) 취출로보트용 선형레일의 취부장치
KR900007419Y1 (ko) 프레스기의 다이, 펀치 교환장치
JP2003136158A (ja) プレス機のパンチ位置決め機構
KR19990013448U (ko) 솔더 플레이팅 장치의 카셋트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