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225B1 -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225B1
KR960007225B1 KR1019930023016A KR930023016A KR960007225B1 KR 960007225 B1 KR960007225 B1 KR 960007225B1 KR 1019930023016 A KR1019930023016 A KR 1019930023016A KR 930023016 A KR930023016 A KR 930023016A KR 960007225 B1 KR960007225 B1 KR 96000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nsor
sorter
stack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161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101993002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225B1/ko
Publication of KR95001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제1도는 종래 소터의 제어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일반 모드에서 최상위 빈트레이가 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에서 스택커 기능을 하는 최상위 빈트레이가 최대로 하향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를 위한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롯 라이너 2 : 빈트레이
3 : 구동모타 4 : 워엄
5 : 워엄 기어 6 : 회전 레버
7 : 크랭크 8 : 홈 센서
9 : 스택센서 10 : 홈 위치 표시편
11 : 스택위치 표시편 12 : 링크
13 : 래크 14 : 피니언
15 : 트레이 지지대 16 : 트레이 끝단 가이드
17 : 복사 용지 18 : 종동 배지 롤러
19 : 상가이드 20 : 하가이드
21 : 배지센서 22 : 배지롤러
31 : 중앙제어부 32 : 피드모타 구동부
33 : 피드모타 34 : 빈모타 구동부
35 : 빈모타 36 : 홈센서
37 : 스택센서 38 : 인터페이스부
39 : 용지통과 감지부 40 : 이동감지부
본 발명은 다수의 빈트레이가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페이지별 또는 페이지순으로 복사지를 분류하는 복사지 분류장치(이하, 간단히 "소터(SORTER)"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지를 수납하는 최상위 빈트레이에 다량의 용지적재가 가능한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터를 사용하지 않는 복사기에서는 사용자들이 복사기 자체의 배지트레이를 사용하여 급지 카세트 1개의 적재량(통상적으로는 250매임)에 해당하는 용지만큼, 즉 250매 정도까지 한꺼번에 배지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스택커 장치를 별도로 장착한 복사기라야만 더 많은 용지를 적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소터가 장착된 복사기는 스택커 장치를 별도로 더 부착할 수 없고, 하나의 빈트레이에 적재할 수 있는 용지량이 50∼150매 이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트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다량의 복사용지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시로 적재되는 용지를 수시로 들어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를, 첨부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터의 제어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소터는 우선, 초기화를 수행하고 나서(401), 해당 빈 트레이가 홈(Home)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402), 홈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홈(HOME) 서브루틴을 수행하여(403), 홈 위치에 빈 트레이 들이 가지런히 정렬되도록 하고 나서, 모드상태를 논-소트(NON-SORT)로 설정한다(404). 그리고 나서 복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하게 되는데(405 내지 408) 복사지 배출신호가 감지되면(405), 배지되는 용지가 이송되도록 피딩(Feeding)동작을 수행하면서(409), 잼발생 여부를 확인한다(410). 그리고, 잼 발생시에는, 잼 신호를 복사기 측으로 전송하고 소터를 정지시켜, 잼제거 서브루틴(411)이 수행되도록 한후,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를 감지과정부터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잼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는 해당 용지가 배출완료될 때까지 상기 피딩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412)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 검출과정(405 내지 408)부터 반복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소터에서, 소트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최상위 빈트레이만을 이용하여 복사지를 적제하는 경우(이하, 간단히 "넌-소트(NON-SORT)모드"라 함)에는, 상기 최상위 빈트레이의 선단부분에 구비된 트레이탭의 높이 이내에서만 적재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트레이탭 보다 더 높이 용지를 쌓을 수 없다. 설사 그 보다 더 높이 용지를 적재하려고 해도 상기 트레이탭 높이 이상으로 용지가 쌓이면, 용지배출구를 막게되어 배지잼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터를 채용하고 있는 복사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터의 최상위 빈트레이 용지적재량이 50∼150매 정도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소트모드시에는 그 이용이 매우 편리하다 할 수 있으나, 넌-소트(Non-Sort)모드로 대량의 복사를 수행하는 경우는 일정량의 용지적재가 되었을 때 마다 이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소트기능을 수행과 동시에, 넌-소트 모드시에도 배출되는 복사용지 매수가 소정매수에 도달되면, 적충된 빈트레이 전체를 일정간격 만큼씩 단계적을 하강시켜, 용지의 대량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택커 기능을 가는 소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터의 제반 동작을 콘트롤하는 중앙제어 수단과, 빈트레이의 홈위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는 홈센서와, 래크와 함께 상하이동되는 스택위치 표시편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 수단으로 출력하는 스택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나서, 홈(HOME)위치 여부를 체크하여 빈트레이들을 홈위치에 정렬시키는 제 1단계; 모드상태를 넌-소트(비분류) 모드로 세트하고 나서, 복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하는 제2단계; 복사지 배출신호가 감지되면, 피드모타를 구동시켜, 배지되는 용지의 잼발생여부를 확인하여서 이송하는 제3단계; 해당 용지가 배출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수납용지 매수를 하나 증가시키는 제4단계; 수납용지 매수가 한계매수에 도달했는지 비교해서 적재매수가 한계매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페이지를 수납하기 위하여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검출과정부터 반복수행하는 제5단계; 적재용지 매수가 한계매수에 도달되면 스택센서와 홈센서의 상태를 체크하고, 빈 다운(BIN DOWN) 루틴을 수행해서 빈트레이들을 전체적으로 하강시킨 후, 적재용지 매수를 클리어시키고 나서 상기 제3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스택센서와 홈센서가 모두 스택위치 표시편에 의해 "온(ON)"되면, 스택커 기능을 수행하는 마지막 위치(최하단)로 판단하고 곧바로 상기 복사기 배출신호 검출과정으로 천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일반 모드에서 최상위 빈트레이가 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에서 스택커 기능을 하는 최상위 빈트레이가 최대로 하향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1은 슬롯 라이너, 2는 빈트레이, 3은 구동모타, 4는 워엄, 5는 워엄기어, 6은 회전 레버, 7은 크랭크, 8은 홈센서, 9는 스택센서, 10은 홈 위치 표시편, 11은 스택위치 표시편, 12는 링크, 13은 래크, 14는 피니, 15는 트레이 지지대, 16은 트레이 끝단 가이드, 17은 복사용지, 18은 종동 배지 롤러, 19는 상가이드, 20은 하가이드, 21은 배지센서, 22는 배지롤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측판상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롯 라이너(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 라이너(1)에는 다수의 빈트레이(2) 각각에 구비된 빈핀들이 삽입되어 있으면, 복사기로 부터 상,하가이드(19,20)간을 통해 배지된 용지가 배지센서(21)에 검지되면 배지롤러(22)와 종동배지롤러(23)가 구동되어, 상기 용지를 빈트레이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적층된 다수의 빈트레이 각각에 순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는 소터의 양측판과 그에 형성되는 슬롯 라이너(1)의 길이를 기존의 것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의 적층된 빈트레이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래크(13)가 기존의 것보다 하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상기 적층된 빈트레이 전체를 하방으로 충분히 이동시켜 용지배출구와 상기 최상위 빈트레이(2) 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되는 용지가 일정 매수에 도달했을 때 마다, 상기 래크(13)를 소정간격 만큼씩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적층된 빈트레이(2) 전체가 아랫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다량(500 내지 1000매)의 복사지가 상기 최상위 빈트레이(2)에 적재되더라도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최상위 빈트레이(2)만을 특수강으로 제작하거나, 타 빈트레이 보다 그 두께를 더욱 두껍게 형성하여, 하중에 대한 내구력을 증가시키고, 그 후단이 양측의 트레이끝단 가이드(26)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터 하부의 소정위치에 홈 센서(8) 및 스택센서(9)를 각각 구비시키고, 상기 각 센서의 감지동작을 위하여 상기 래크(13)에 홈위치 표시편(10) 및 스택위치 표시편(11)을 구비시킨다.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일반 모드에서 최상위 빈트레이가 홈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배출되는 용지(17)가 배지센서(21)을 통과할 때마다 카운트해서 일정량을 초과하면, 빈모타(3)를 래크하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택커 표시편(11)이 상기 스택센서(9) 및 홈센서(8)에 동시에 감지될 때까지 빈트레이들(2)을 일정 단계별로 하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스택기능을 수행한 상태도로서, 스택커 표시편(11)이 래크와 함께 하향이동되어 상기 스택센서(9) 및 홈센서(8)에 동시에 감지되도록 최하단 위치에 위치한 예를 보인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를 위한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로서, 도면에서 31은 중앙제어부 ,32는 피드모타 구동부, 33은 피드모타, 34는 빈모타구동부, 35는 빈모타, 36은 홈센서, 37은 스택센서, 38은 인터페이스부, 39는 용지통과 감지부, 40은 이동감지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소터의 제반 동작을 콘트롤하는 중앙제어부(31)는 ROM 및 RAM을 내장한 원 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하거나, 또는 분리형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피드 모터 구동부(32)는 중앙제어부(31)의 제어하에 분류할 복사지를 반송하기 위한 피드모터(33)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며, 빈모터 구동부(34)는 상기 중앙제어부(31)에 연결되어 있으며 빈 트레이의 상,하 이송을 위한 빈모터(35)를 구동하는 것이다.
홈센서(36)는 상기 홈위치 표시편(10)을 감지함으로써 홈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택센서(37)는 상기 래크(13)와 함께 상하이동되는 스택위치 표시편(11)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1)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38)는 복사기 측의 시스템 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31)간에 접속되어 양측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대측으로 내보낸다. 그리고, 복사지 배출여부를 검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1)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용지통과 감지부(39)와, 빈트레이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 감지부(40)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제, 첨부도면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행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흐름도이다.
우선, 시스템을 초기화(501)시키고 나서, 현재의 빈트레이 위치가 홈(HOME)위치 인가를 체크한다(502). 만약 현재의 빈트레이 위치가 홈위치가 아니면, 빈트레이를 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홈(HOME) 서브루틴을 수행하고(503), 홈위치이면 모드상태는 넌-소트(NON-SORT(비분류)) 모드로 세트한다(504). 그리고 나서, 복교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하게 되는바(505 내지 508), 복사지 배출신호를 체크해서(505) 신호가 없으면,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소트(SORT) 신호를 체크하여(506), 소트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지의 소트모드(SORT MODE)를 수행하고, 그룹(GROUP)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체크되면(507) 그룹모드(GROUP MODE)를 수행하고, 넌-소트(NON-SORT)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체크되면(508) 넌-소트 모드를 수행하며, 아무런 신호도 입력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과정(505 내지 508)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다가 복사기 본체로 부터 복사지가 배출되어 복사지 배출신호가 감지되면(505), 피드모타를 구동시켜 배지되는 용지가 이송되도록하면서(509), 배출중 잼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510). 그리고, 잼 발생시에는, 잼 신호를 복사기 측으로 전송하고 소터를 정지시켜, 잼(JAM) 제거 서브루틴(511)이 수행되도록 한후, 다시 상기 복사기 배출신호를 감지과정(505)부터 반복수행한다. 그러나, 잼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는 해당 용지가 배출완료될 때까지 상기 피딩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배출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512) 수납용지 매수(P_NO : PAPER NO.)를 하나 증가(513)시키고 나서, 그 매수가 한계 매수(P_MAX : PAPER NO. MAX.)에 도달했는지 비교(514)해서 적재매수가 한계매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페이지를 수납하기 위하여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검출과정(505)부터 반복수행한다. 그리고, 적재용기 매수가 한계매수에 도달되면(514) 래크를 더 하향이동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스택센서(9)와 홈센서(8)의 상태를 체크하는데(515), 상기 스택센서(9)와 홈센서(8)가 모두 스택위치 표시편(11)에 의해 "온(ON)"되지 않았으면, 빈 다운(BIN DOWN) 루틴을 수행해서(516) 빈트레이들(2)을 전체적으로 하강시켜 용지를 더 적재할 수 있도록 한후 적재용지 매수(P_NO)를 클리어시킨다(517). 그리고, 상기 스택센서(9)와 홈센서(8)가 모두 "ON"이면, 스택커 기능을 수행하는 마지막 위치(최하단)로 판단하고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검출과정(505)으로 천이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빈트레이 전체를 소정의 용지적재 높이만큼씩 하강시키면서 다량의 용지를 적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터에 본래의 소터기능이외에 스택커 기능을 부가하여, 넌-소트 모드시에도 배출되는 복사용지 매수가 소정매수에 도달되면, 빈트레이 전체를 일정간격 만큼씩 단계적으로 하강시키면서, 용지의 대략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소터의 제반 동작을 콘트롤하는 중앙제어 수단(31)과, 빈트레이의 홈위치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중앙제어 수단(31)으로 출력하는 홈센서(36)와, 래크(13)와 함께 상하이동되는 스택위치 표시편(11)을 감지하여 상기 중앙제어 수단(31)으로 출력하는 스택센서(37)를 구비하고 있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을 초기화(501)시키고 나서, 홈(HOME)위치 여부를 체크하여 빈트레이들을 홈위치에 정렬시키는(502,503) 제1단계; 모드상태를 넌-소트(비분류) 모드로 세트하고(504) 나서, 복사지 배출신호 및 모드 변경신호를 검출하는(505 내지 508) 제2단계; 복사지 배출신호가 감지되면(505), 피드모타를 구동시켜, 배지되는 용지의 잼발생여부를 확인하면서 이송하는(509) 제 3 단계; 해당 용지가 배출완료되었는지 확인하여, 수납용지 매수를 하나 증가시키는(512,513) 제4단계; 수납용지 매수가 한계매수에 도달했는지 비교해서(514) 적재매수가 한계매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페이지를 수납하기 위하여 다시 상기 복사기 배출신호 검출과정(505)부터 반복수행하는 제5단계; 적재용지 매수가 한계매수에 도달되면(514) 스택센서(9)와 홈센서(8)의 상태를 체크하고, 빈 다운(BIN DOWN) 루틴을 수행해서 빈트레이들(2)을 전체적으로 하강시킨 후, 적재용지 매수를 클리어시키고 나서 상기 제3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515,516,517) 제6단계; 및 상기 스택센서(9)와 홈센서(8)가 모두 스택위치 표시편(11)에 의해 "온(ON)"되면, 스택커 기능을 수행하는 마지막 위치(최하단)로 판단하고 곧바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 검출과정(505)으로 천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잼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되면, 잼 신호를 복사기 측으로 전송하고 소터를 정지시켜, 잼(JAM) 제거 서브루틴(511)을 수행한후, 다시 상기 복사지 배출신호를 감지하는 과정(505)부터 반복수행하는 제8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KR1019930023016A 1993-10-30 1993-10-30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KR96000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016A KR960007225B1 (ko) 1993-10-30 1993-10-30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016A KR960007225B1 (ko) 1993-10-30 1993-10-30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61A KR950012161A (ko) 1995-05-16
KR960007225B1 true KR960007225B1 (ko) 1996-05-29

Family

ID=1936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016A KR960007225B1 (ko) 1993-10-30 1993-10-30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2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161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583B1 (en) Stack transport for a sorter with pressing device
US5217215A (en) Sorter and stapler with rotating gate
US7080831B2 (en) Sheet-sorting apparatus
US5836578A (en) Finishing apparatus provided with stapling function
KR960007225B1 (ko) 스택커 기능을 갖는 소터의 제어 방법
KR100205668B1 (ko) 용지 후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JP2533095B2 (ja) シ−ト後処理装置
JPH11255414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986602B2 (ja) 画像形成装置等の排紙速度制御方法
EP0494347B1 (en) Sorter incorporating a stapler
KR960007224B1 (ko) 비분류 모드시의 용지 수납량을 증대시키는 소타 제어방법
JP3526366B2 (ja) 排紙トレイ装置
JP3710173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KR940010605B1 (ko) 소타의 그룹 모드 수행시 기준 복사 매수 제어방법
JP2007093810A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307437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315670A (ja) ソータ
JP260724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65193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714084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3297555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S6143270B2 (ko)
JPH05323703A (ja) 複写機のマルチジョブ制御装置
JPH02233469A (ja) シート収納装置
JPH0414493A (ja) シート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